KR101961074B1 - 타격대 - Google Patents

타격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074B1
KR101961074B1 KR1020180155115A KR20180155115A KR101961074B1 KR 101961074 B1 KR101961074 B1 KR 101961074B1 KR 1020180155115 A KR1020180155115 A KR 1020180155115A KR 20180155115 A KR20180155115 A KR 20180155115A KR 101961074 B1 KR101961074 B1 KR 10196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plates
lower elastic
elastic member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Original Assignee
박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준 filed Critical 박태준
Priority to KR102018015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4Tackling, blocking or grappling dummies, e.g. boxing or wrestling or American- football dumm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계열의 무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타격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는 벽면(3) 또는 지지대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하측 탄성부재(11,12)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1) 또는 하측 탄성부재(12)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0)과, 상기 회동판(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타격봉(30)과, 상기 타격봉(30)의 전면 또는 둘레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판(41,42,43,44)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격봉(30)과 타격판(41,42,43,44)을 손과 발로 가격하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져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타격대 {batting stand}
본 발명은 타격계열의 무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타격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쿵푸나 택견 태권도 등의 타격계열 무술을 연마할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격대를 이용하여 연마를 하고 있다.
이러한 타격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이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기둥(1)과, 상기 고정기둥(1)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봉(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기둥(1)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결합공(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기둥(1)은 후단부가 상기 결합공(1a)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과 발로 상기 고정기둥(1)의 둘레면을 가격하거나, 상기 타격봉(2)을 가격하여 무술을 연마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타격기는 구조와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패턴의 연습이 어렵고, 가격할 부위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타격기는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는 구조가 없어서, 주먹이나 발이 단련되지 않은 초심자의 경우, 타격대를 타격할 때 손이나 발에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6436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격계열의 무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타격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3) 또는 지지대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하측 탄성부재(11,12)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1) 또는 하측 탄성부재(12)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0)과, 상기 회동판(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타격봉(30)과, 상기 타격봉(30)의 전면 또는 둘레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판(41,42,43,44)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판(41,42,43,44)에는 타격판(41,42,43,44) 전후면의 중간부를 따라 연장된 절개선(41a,42a,43a,44a)이 형성되어, 타격판(41,42,43,44)에 사용자가 타격을 하기 위한 타격부(41b,42b,43b,4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격판(41,42,43,44)은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하측 타격판(41,42)과,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측면타격판(43)과, 상기 측면타격판(43)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타격판(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15)이 형성된 전후면판(13,14)과, 상기 전후면판(13,14)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둘레판(16)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판(20)과 상하측 타격판(41,42)은 상기 전면판(13)에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벽면(3) 또는 지지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구비된 가이드레일(50)과, 상기 가이드레일(5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고정된 슬라이드부재(5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0)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측방향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70)과, 상기 슬라이드부재(5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부재(50)가 상기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되도록 하는 구동수단(80)과,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50)가 가이드레일(50)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타격판(41,42,43,44)에 구비된 충격감지수단(91)과,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연결되어 충격감지수단(91)에 의해 측정된 충격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92)과, 상기 타격부(41b,42b,43b,44b)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LED램프(93)와, 상기 충격감지수단(9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수단(80)과 디스플레이수단(92) 및 LED램프(9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LED램프(93)를 점소등시키고 상기 구동수단(80)을 작동시켜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충격감지수단(9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램프(93)가 점등된 시간부터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는 벽면(3) 또는 지지대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하측 탄성부재(11,12)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1) 또는 하측 탄성부재(12)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0)과, 상기 회동판(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타격봉(30)과, 상기 타격봉(30)의 전면 또는 둘레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판(41,42,43,44)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격봉(30)과 타격판(41,42,43,44)을 손과 발로 가격하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져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격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대를 도시한 것으로, 벽면(3)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격대는 벽면(3)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하측 탄성부재(11,12)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1) 또는 하측 탄성부재(12)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0)과, 상기 회동판(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타격봉(30)과, 상기 타격봉(30)의 전면 또는 둘레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판(41,42,43,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5)이 형성된 링형태의 부재, 바람직하게는 타이어를 이용한다.
즉,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15)이 형성된 전후면판(13,14)과, 상기 전후면판(13,14)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둘레판(16)으로 구성되며, 상기 후면판(14)을 관통하는 앵커부재에 의해 벽면(3)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판(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목재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양단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전면판(13)의 후측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탄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다.
이때, 상기 회동판(20)의 상하측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타격봉(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나무재질의 원봉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21)에 유동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삽입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31)의 후단부에는 상기 회동판(20)의 후단부에 걸리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31)가 관통공(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타격봉(30)의 측면을 타격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판(20)이 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타격판(41,42,43,44)은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하측 타격판(41,42)과,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측면타격판(43)과, 상기 측면타격판(43)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타격판(4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격판(41,42,43,44)에는 타격판(41,42,43,44) 전후면의 중간부를 따라 연장된 절개선(41a,42a,43a,44a)이 형성되어, 타격판(41,42,43,44)의 전면에 사용자가 타격을 하기 위한 타격부(41b,42b,43b,44b)가 형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타격판(41,42,43,44)은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하측 타격판(41,42)과,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측면타격판(43)과, 상기 측면타격판(43)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타격판(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타격판(4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단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1)의 전면판(13)에 고정볼트로 고정결합된 직사각형의 목재패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절개선(41a)은 상기 상측 타격판(41)의 중간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선단부는 상기 상하측 타격판(41,42)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측 타격판(41)의 중간부 전면에 상기 타격부(41b)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타격판(4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이 상기 하측 탄성부재(12)의 전면판(13)에 고정볼트로 고정결합된 후방타격판(42d)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타격판(42d)의 전면 상단에 고정결합된 전방타격판(42c)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방타격판(42d)과 전방타격판(42c)은 목재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후방타격판(42d)은 하단이 상기 전방타격판(42c)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절개선(42a)은 상기 하측 타격판(42)의 중간부에서 하측 타격판(42)의 상단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하측 타격판(42)의 상단 전면에 상기 타격부(42b)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후방타격판(42d)의 하단을 발로 가격하고, 상기 전방 타격판(42c)의 상단에 형성된 타격부(42b)를 손으로 가격할 수 있다.
상기 측면타격판(4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목재의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둘레판(16)의 양측에 고정볼트로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하측에 상하단으로 개방된 상기 절개선(43a)이 형성되어, 측면타격판(43)의 상하단에 상기 타격부(43b)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타격판(44)은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구성된 목재의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후단부가 상기 측면타격판(43)의 외측면에 고정볼트로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절개선(44a)은 상기 보조타격판(44)의 중간부에서 전단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전단부 외측에 상기 타격부(44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타격판(41,42,43,44)의 타격부(41b,42b,43b,44b)를 손이나 발로 가격하면, 상기 타격부(41b,42b,43b,44b)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타격판(41,42,43,44)에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함으로서, 경쾌한 타격감을 주게 되며, 이때,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격대는 벽면(3) 또는 지지대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하측 탄성부재(11,12)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1) 또는 하측 탄성부재(12)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0)과, 상기 회동판(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타격봉(30)과, 상기 타격봉(30)의 전면 또는 둘레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판(41,42,43,44)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타격봉(30)과 타격판(41,42,43,44)을 손과 발로 가격하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이나 발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져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타격판(41,42,43,44)에는 타격판(41,42,43,44) 전후면의 중간부를 따라 연장된 절개선(41a,42a,43a,44a)이 형성되어, 타격판(41,42,43,44)의 전면에 사용자가 타격을 하기 위한 타격부(41b,42b,43b,44b)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하면타격부(41b,42b,43b,44b)가 타격판(41,42,43,44)에 충돌하여 경쾌한 소리가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하는 타격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격판(41,42,43,44)은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하측 타격판(41,42)과,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측면타격판(43)과, 상기 측면타격판(43)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타격판(44)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다양한 부위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15)이 형성된 전후면판(13,14)과, 상기 전후면판(13,14)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둘레판(16)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타격판(41,42,43,44)을 타격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상기 회동판(20)이 절절히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동판(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판(2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에 고정되어 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판(20)은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중앙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봉(30)은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측 타격판(41,42)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판(20)의 양측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벽면(3)에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목재나 금속재질로 구성된 지지대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벽면(3)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구비된 가이드레일(50)과, 상기 가이드레일(5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고정된 슬라이드부재(5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50)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측방향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70)과, 상기 슬라이드부재(5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부재(50)가 상기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되도록 하는 구동수단(80)과,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50)가 가이드레일(50)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5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가이드바(51)와, 상기 가이드바(51)의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벽면(3)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2)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장 상측에 위치된 가이드바(51)의 상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기어열(53)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50)는 전면에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고정되는 지지패널(61)과, 상기 지지패널(6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51)의 외측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블록(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널(61)의 후측면에 구비된 회전축(71)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열(53)에 치합되는 종동기어(72)와, 상기 회전축(71)에 구비되어 상기 종동기어(72)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도측정수단(73)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패널(61)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종동기어(72)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각도측정수단(73)이 종동기어(72)의 회동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90)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회전각도측정수단(73)의 신호를 수신하여 종동기어(72)가 회전된 각도를 수신하고, 상기 종동기어(72)의 지름과 종동기어(72)가 회전된 각도를 연산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50)가 상기 가이드바(51)의 중앙부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 거리를 연산한다.
상기 구동수단(8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널(61)의 후측면에 후방으로 연장된 구동축(81a)을 갖도록 구비된 구동모터(81)와, 상기 구동모터(81)의 구동축(81a)에 결합되며 상기 기어열(53)에 결합된 구동기어(8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81)를 구동시켜 구동기어(83)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부재(50)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50)가 상기 가이드바(51)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50)가 상기 가이드바(51)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격대는 사용자가 상기 타격판(41,42,43,44), 특히, 상기 측면타격판(43)을 타격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재(50)를 포함한 타격대 전체가 측방향으로 밀리면서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로 사람을 가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실제로 사람을 가격할 경우, 가격된 사람은 측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반면,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벽면(3)이나 지지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가격을 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실제로 사람을 가격하는 것과 다른 느낌을 주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측면타격판(43)을 가격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50)를 포함한 타격대 전체가 측방향으로 밀려 실제로 사람을 가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수단(90)은 사용자가 측면타격판(43)을 가격하여 타격대가 측방향으로 밀리면,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의 신호를 피드백하고 상기 구동수단(80)을 제어하여 타격대가 가이드레일(50)의 중앙부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측면타격판(43)을 가격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50)은 벽면(3)에 고정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레일(50)은 전술한 지지대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타격판(41,42,43,44)에 구비된 충격감지수단(91)과,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연결되어 충격감지수단(91)에 의해 측정된 충격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92)과, 상기 타격부(41b,42b,43b,44b)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LED램프(93)와, 상기 충격감지수단(9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수단(80)과 디스플레이수단(92) 및 LED램프(9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충격감지수단(91)은 상기 타격부(41b,42b,43b,44b)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할 때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한 충격강도를 측정하는 상기 제어수단(90)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2)은 상측 탄성부재(1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면(3)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제어되어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LED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다.
상기 LED램프(93)는 상기 타격판(41,42,43,44)에 형성된 타격부(41b,42b,43b,44b)의 외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LED램프(93)를 점소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구동수단(80)을 제어하여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90)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LED램프(93)를 점소등시킴으로써, 사용자는 LED램프(93)가 점등된 타격부(41b,42b,43b,44b)를 순서대로 가격함으로써, 타격연습을 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90)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80)을 제어하여,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타격할 타격부(41b,42b,43b,44b)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충격감지수단(9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의해 측정된 충격량을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2)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LED램프(93)가 점등된 시간부터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할 때까지의 시간, 즉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2)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2)에는 상하측의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어, 상단에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의해 측정된 충격량을 디스플레이하고, 하단에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할 때까지의 시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격대는 상기 제어수단(90)이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측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함과 동시에, LED램프(93)를 점등시켜 사용자가 LED가 점등된 타격부(41b,42b,43b,44b)를 유도 타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효과적으로 타격연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2)에 타격강도와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한 반응시간이 디스플레이됨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12. 상하측 탄성부재 20. 회동판
30. 타격봉 41,42,43,44. 타격판

Claims (5)

  1. 벽면(3) 또는 지지대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하측 탄성부재(11,12)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1) 또는 하측 탄성부재(12)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0)과,
    상기 회동판(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타격봉(30)과,
    상기 타격봉(30)의 전면 또는 둘레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판(41,42,43,44)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판(41,42,43,44)에는 타격판(41,42,43,44) 전후면의 중간부를 따라 연장된 절개선(41a,42a,43a,44a)이 형성되어, 타격판(41,42,43,44)에 사용자가 타격을 하기 위한 타격부(41b,42b,43b,44b)가 형성되며,
    상기 타격판(41,42,43,44)은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상하측 타격판(41,42)과,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의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측면타격판(43)과,
    상기 측면타격판(43)의 양측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타격판(44)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는 중앙부에 관통공(15)이 형성된 전후면판(13,14)과,
    상기 전후면판(13,14)의 둘레면을 연결하는 둘레판(16)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판(20)과 상하측 타격판(41,42)은 상기 전면판(13)에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
  2. 삭제
  3. 삭제
  4. 벽면(3) 또는 지지대의 전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상하측 탄성부재(11,12)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1) 또는 하측 탄성부재(12)에 결합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회동판(20)과,
    상기 회동판(20)의 전면에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타격봉(30)과,
    상기 타격봉(30)의 전면 또는 둘레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판(41,42,43,44)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판(41,42,43,44)에는 타격판(41,42,43,44) 전후면의 중간부를 따라 연장된 절개선(41a,42a,43a,44a)이 형성되어, 타격판(41,42,43,44)에 사용자가 타격을 하기 위한 타격부(41b,42b,43b,44b)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3) 또는 지지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구비된 가이드레일(50)과,
    상기 가이드레일(5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는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고정된 슬라이드부재(6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60)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60)의 측방향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70)과,
    상기 슬라이드부재(6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부재(60)가 상기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되도록 하는 구동수단(80)과,
    상기 위치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60)가 가이드레일(50)의 중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수단(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판(41,42,43,44)에 구비된 충격감지수단(91)과,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연결되어 충격감지수단(91)에 의해 측정된 충격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92)과,
    상기 타격부(41b,42b,43b,44b)의 외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LED램프(93)와,
    상기 충격감지수단(9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구동수단(80)과 디스플레이수단(92) 및 LED램프(9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90)은 미리 정해진 패턴에 따라 상기 LED램프(93)를 점소등시키고 상기 구동수단(80)을 작동시켜 상기 상하측 탄성부재(11,12)가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충격감지수단(9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LED램프(93)가 점등된 시간부터 상기 충격감지수단(91)에 사용자가 타격부(41b,42b,43b,44b)를 타격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수단(92)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대.
KR1020180155115A 2018-12-05 2018-12-05 타격대 KR10196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15A KR101961074B1 (ko) 2018-12-05 2018-12-05 타격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115A KR101961074B1 (ko) 2018-12-05 2018-12-05 타격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074B1 true KR101961074B1 (ko) 2019-03-21

Family

ID=6603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115A KR101961074B1 (ko) 2018-12-05 2018-12-05 타격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0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522A (ja) * 1994-10-06 1996-04-23 Namco Ltd 衝撃力測定ゲーム装置
KR200264368Y1 (ko) 2001-11-05 2002-02-19 배광주 무술수련장치
KR100635383B1 (ko) * 2004-04-29 2006-10-17 강남선 무술연습장치
US7591768B1 (en) * 2003-03-17 2009-09-22 Eliot Geeting Striking target device
KR20170032767A (ko) * 2015-09-15 2017-03-23 (주)디엠비에이치 복싱 훈련 시스템 및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522A (ja) * 1994-10-06 1996-04-23 Namco Ltd 衝撃力測定ゲーム装置
KR200264368Y1 (ko) 2001-11-05 2002-02-19 배광주 무술수련장치
US7591768B1 (en) * 2003-03-17 2009-09-22 Eliot Geeting Striking target device
KR100635383B1 (ko) * 2004-04-29 2006-10-17 강남선 무술연습장치
KR20170032767A (ko) * 2015-09-15 2017-03-23 (주)디엠비에이치 복싱 훈련 시스템 및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877B1 (ko) 발차기 운동기구
US7604570B2 (en) Exercise device having position verification feedback
US7604571B2 (en) Exercise device with a user-defined exercise mode
US4309032A (en) Tennis training device
US5921896A (en) Exercise device
US20090149281A1 (en) Basketball and soccer train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080248901A1 (en) Pitching target
HU222643B1 (hu) Berendezés labdajátékok edzésének, gyakorlásának elżsegítésére
CN101124020A (zh) 对练设备
CN109045570B (zh) 多功能哑铃球体育器材及其使用方法
US20140066267A1 (en) Boxing simulating exerciser
JP2022524496A (ja) ビリヤードボールの駆動状態情報入力制御装置
CN104307156A (zh) 羽毛球训练板
WO1999033531A1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KR101961074B1 (ko) 타격대
KR101314325B1 (ko) 발차기용 운동기구
US3873097A (en) Golf putting device
KR100635383B1 (ko) 무술연습장치
KR101488212B1 (ko) 발차기 운동기구
KR20190086308A (ko)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363925Y1 (ko) 무술연습장치
JP2003310811A (ja) 球技練習具及び球技練習装置
KR20170074673A (ko) 교육용 밸런스 보드 장치
KR20140031058A (ko) 흥미를 유발하는 타격 운동기구
KR100615243B1 (ko) 광센서를 내장한 전자 감응형 격투기 훈련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