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212B1 - 발차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발차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212B1
KR101488212B1 KR20130058945A KR20130058945A KR101488212B1 KR 101488212 B1 KR101488212 B1 KR 101488212B1 KR 20130058945 A KR20130058945 A KR 20130058945A KR 20130058945 A KR20130058945 A KR 20130058945A KR 101488212 B1 KR101488212 B1 KR 101488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near
linear movement
axis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838A (ko
Inventor
장훈일
Original Assignee
(주)슈칸
장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슈칸, 장훈일 filed Critical (주)슈칸
Priority to KR2013005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2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설치와 운반이 매우 편리하고,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수개의 타격부를 타격시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인지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술연습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격부가 몸체의 전방과 측면, 상ㆍ하에 각각 다수개로 결합되어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기술을 개인이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는 발차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 상,하에 각각 설치된 타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격부는,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일단이 결합되어 플레이트에 의해 연동하는 직진축과,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발차기 운동기구{FOOT KICK EXERCISING MACHINE}
본 발명은 발차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권도, 가라테, 킥복싱과 같은 무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무게중심프레임 또는 런닝머신에 체결되는 몸체에는 복수개의 타격부가 결합되어 개인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타격부를 가격하여 무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발차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와 같은 무술에 있어서, 손으로 치는 정권기술과 발로 차는 발차기기술의 연습은 천장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거나 참으로써 개인적인 연습을 하고 있으며,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태권기술을 익힐 때는 2인 1조가 되어 겨루기를 함으로써 정권과 발차기기술의 연습이 매우 단조롭고 겨루기에서는 부상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권과 발차기기술의 연습에서 반사신경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범 등의 지도자가 주걱형 미트를 손에 들고 주걱형 미트의 위치를 바꾸면서 정권과 발차기기술을 훈련시키고 있으나, 이것 역시 개인적인 연습은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주에 다수개의 아암을 설치하고 그 아암에 주걱형 미트를 고정하여 개별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여러개의 주걱형 미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아니므로 연습효과가 반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994-27953호는 상기의 결점들은 모두 해소할 수는 있었으나, 주걱형 미트의 탄성강도가 미약하고 주걱형 미트에 센서를 설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몸통부위의 가격위치가 부정확하고, 지시램프가 분산 설치되어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태권도, 가라테, 킥복싱과 같은 무술들은 손으로 치는 기술과 발로 차는 기술이 다양하게 구사된다. 이러한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의 연습은 천정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거나 차므로 개인적인 연습을 행하고 있었다. 또한,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기술을 익힐 때는 2인이 1조가되어 겨루기를 함으로써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이 매우 단조롭고 겨루기를 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국부를 가격하게 되는 부상의 위험성도 있다. 그리고,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과정에서 반사신경과 타격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범 등의 지도자가 주걱형미트를 양손에 들고 상ㆍ하ㆍ좌ㆍ우측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치거나 차는 기술을 훈련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습은 개인적인 연습이 불가능하고 주걱형 미트를 들어 줘야하는 보조자가 있어야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주에 다수개의 아암을 설치하고 그 아암에 주걱형 미트를 고정하여 개별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여러개의 주걱형 미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아니므로 연습효과가 반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천정과 바닥에 나사로 체결하는 지주가 구비되고, 이 지주에 주걱형 미트와 삼면 미트를 결합하여 개별적인 무술연습을 할 수 있도록 '무술연습장치'(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148427호)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무술연습장치는 주걱형 미트의 탄성강도가 매우 미약하고, 몸통부위의 가격위치가 부정확했다. 또한, 상기 장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고, 한번 설치를 한 후에는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는,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홀을 형성한 후 상기 지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지지판에 높낮이를 조절한 후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였다. 이때, 상기 지지판의 홀에 맞도록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홀을 형성해야 하고, 상당한 무게를 갖는 상기 장치를 지탱해야 하는 문제점도 동반되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주에 대하여 나사산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데, 연습시 상기 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의 힘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이 유동되어 천정과 바닥면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과 바닥면의 높이가 적당해야 하는데 만약 그 높이가 작으면 설치를 할 수 없으며, 너무 큰 경우에는 설치 후 상기 장치를 지탱하는 힘이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천정과 바닥면이 목재로 구성된 곳에서는 상기 장치를 설치할 수 없으며, 대리석의 경우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홀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상기한 문제들로 인해 최초 설치되는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위치를 옮겨 설치하기가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무술사범이 관리하는 도장에서는 상기 장치를 필요로 하지만 그 설치가 매우 어렵고, 한번 설치 후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설치하는게 쉽지만은 않았다.
최근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등록특허 제10-1063877호(발명의 명칭 : 발차기 운동기구)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063877호는, 실내의 설치와 운반이 매우 편리하고,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타격부를 타격시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인지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술연습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타격부에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타격부가 몸체의 전방과 측면, 상ㆍ하에 각각 다수개로 결합되어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기술을 개인이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특허 제10-1063877호는, 타격부를 타격하게 되면, 직진축이 직선운동을 하고, 랙기어와 피니언에 의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피니언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속도를 센서로 검출하여 각종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타격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 및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타격부의 타격에 의한 직선운동을 랙기어와 피니언을 통해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간접적인 검출방식이므로 정확한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격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몸체 사이의 상하,좌우 4곳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이, 몸체에 설치된 가이드리브와,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장공이 형성되어 장공에 상기 가이드리브가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공이 가이드리브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플레이트는 4곳에 설치되고, 또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타격에 의한 플레이트의 충격 방향이 일률적이지 않고 다양하게 작용하는 경우,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이 각자 조금씩 어긋날 수 있고, 이로써 긴 막대 형태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이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의 설치와 운반이 매우 편리하고,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수개의 타격부를 타격시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인지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술연습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격부가 몸체의 전방과 측면, 상ㆍ하에 각각 다수개로 결합되어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기술을 개인이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는 발차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격부의 직선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수단이 타격부를 구성하는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직접 검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타격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 및 과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발차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격부의 플레이트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을 굴곡 변형이 자유로운 체인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타격에 의해서도 타격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발차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 상,하에 각각 설치된 타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격부는,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일단이 결합되어 플레이트에 의해 연동하는 직진축과,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구비하는 발차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직진축에 형성되고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형성한 센싱부와,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직진축의 센싱부가 관통하는 센서케이스와, 상기 센서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를 통해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센서로 이루어진 발차기 운동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부가 직진축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눈금형태의 검출부로 이루어지고, 검출센서는 직진축의 직선이동시 상기 검출부의 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검출하도록 된 발차기 운동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격유지수단이 몸체와 플레이트에 체인의 양끝단을 각각 고정하여 구성된 발차기 운동기구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는, 실내의 설치와 운반이 매우 편리하여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타격부가 몸체의 전방과 측면, 상ㆍ하에 각각 다수개로 결합되어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기술을 개인이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으며, 제어부와 연결된 검출센서에 의해 타격시 직진축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타격 시간, 타격속도, 타격횟수,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 등의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이 타격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인지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술연습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는, 타격부의 타격시 이동하는 직진축의 이동거리를 직진축에 구비된 센싱부와 검출센서가 직접 검출하게 되므로, 직진축이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로써 타격시 각종 타격 데이터의 정보도 매우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체인에 의해서는 타격에 의해 플레이트가 몸체 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체인이 굴곡 자유롭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이동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할 때에는 체인의 길이에 의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에서 내부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에서 타격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에서 직진축의 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에서 내부 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에서 내부 몸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를 고정구조물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를 런닝머신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발차기 운동기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에서 내부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이 몸체(10)를 감싸는 커버(20)로 이루어진다. 커버(20)는 전방과 후방측으로 분리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전방과 양측면 상,하에는 타격부(30)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타격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1)의 외측에 충격흡수부재(32)를 고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플레이트(31)는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소재의 금속재, 또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제작한다.
상기 플레이트(31)와 충격흡수부재(32)의 고정은, 플레이트(31)에 관통구멍(31a)을 형성하고, 충격흡수부재(32)의 내측면에 고정부(32a)를 형성하며,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관통구멍(31a)으로 관통시켜 고정부(32a)에 나사결합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1)의 내측 중앙에는 직진축(33)의 일단이 결합되어 연결되고, 직진축(33)은 몸체(10)의 내측에 고정된 축지지부재(34)에 관통되어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몸체(10)와 플레이트(31)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5)이 설치되어 플레이트(31)가 항상 몸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몸체(10)와 플레이트(31) 사이의 상,하 양측에는 플레이트(31)가 몸체(1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간격유지수단이 구비된 것으로, 간격유지수단은 굴곡 변형이 자유로운 체인(36)의 양끝단을 몸체(10)와 플레이트(31)에 각각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체인(36)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탄성스프링(35)의 탄성력으로 몸체(10)로부터 이격되는 플레이트(31)와 몸체(10) 사이의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직진축(33)의 직선이동시 직진축(33)의 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수단이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수단은 직진축(33)에 형성한 센싱부(37)와, 몸체(10)에 고정설치되어 직진축(33)의 센싱부(37)가 관통하는 센서케이스(38)와, 센서케이스(38)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37)를 검출하여 직진축(33)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검출센서(39)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싱부(37)는 도 4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직진축(3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의 홈을 형성항여 눈금형태의 검출부(37a)를 형성하고, 검출센서(39)는 직진축(33)의 직선이동시 상기 검출부(37a)의 수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검출센서(39)로서는 근접센서나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검출센서로서 자기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센싱부(37)는 자기센서에 대응하여 검출가능하도록 자성물질로 눈금 형태의 검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검출센서(39)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와 입력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에서는 시간과 타격속도, 타격횟수,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를 갖는 각종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타격부(30)에 가해진 측정값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는 별도로 구성하여 유/무선으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다.
한편 몸체(10)의 후방측에는 고정프레임(11)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프레임(11)을 이용하여 발차기운동기구를 설치할 장소와 위치에 따라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를 고정구조물(2)에 고정설치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런닝머신(3)에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물(2)과 런닝머신(3)은 선발명인 등록특허 제10-1063877호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격부(30)의 충격흡수부재(32)를 손 또는 발차기로 타격하면 플레이트(31)가 내측으로 이동되며 중앙의 직진축(33)이 연동하여 함께 이동된다. 이로써 센싱부(37)의 이동거리를 검출센서(39)가 검출하여 제어부로 보내게 되고, 제어부는 표시부에 타격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타격부(30)는 타격이 끝나는 동시에 몸체(10)와 플레이트(31)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격시 이동하는 직진축(33)의 이동거리를 검출함에 있어, 직진축(33)에 형성된 센싱부(37)의 이동거리를 검출센서(39)가 직접 검출하게 되므로, 직진축(33)의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로써 타격시 각종 타격 데이터의 정보도 매우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와 플레이트(31) 사이에 설치된 체인(36)에 의해서는 타격에 의해 플레이트(31)가 몸체(10) 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체인(36)이 굴곡 자유롭기 때문에 플레이트(31)의 이동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스프링(35)에 의해 원위치할 때에는 체인(36)의 길이에 의해 플레이트(31)가 몸체(1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와 연결된 표시부는 발차기 운동기구와 인접한 장소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 표시부에는 입력부가 구비되어 프로그램에 따른 다양한 방법의 타격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타격시간 및 타격횟수 그리고 타격속도,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 등의 각종 데이터를 미리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에 데이터를 입력할 때 상기 표시부에서는 이에 따른 그 기준 값이 숫자, 또는 램프 등으로 표시되고, 연습자는 설정된 값에 따른 초기단계의 타격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주어진 시간 내에 또는 타격연습이 끝날 경우 시간과 타격속도, 타격횟수,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 등의 연습결과가 표시부로 나타나도록 한다. 그리고, 초기단계의 타격모드를 수행한 결과가 충족되면 다음 단계의 타격모드를 수행하게 되고, 만약 초기단계의 타격모드에 충족되지 않을 경우 또다시, 초기단계의 타격모드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모드에 따라 타격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결과에 따라서 반복 수행 및 다음 단계 수행을 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발차기 운동기구를 설치한 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그 운동연습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타격연습에 따른 각각에 해당되는 데이터들이 표시부에 숫자로 나타남으로써 연습자는 타격강도와 타격의 정확도, 그리고 타격의 타격속도, 타격횟수,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발차기 운동기구 10 : 몸체
20 : 커버 30 : 타격부
31 : 플레이트 32 : 충격흡수부재
33 : 직진축 34 : 축지지부재
35 : 탄성스프링 36 : 체인
37 : 센싱부 38 : 센서케이스
39 : 검출센서

Claims (3)

  1.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커버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 상,하에 각각 설치된 타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격부는,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일단이 결합되어 플레이트에 의해 연동하는 직진축과,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는 축지지부재와, 상기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복수개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직진축에 형성되고 상기 직진축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형성한 센싱부와,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직진축의 센싱부가 관통하는 센서케이스와, 상기 센서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센싱부를 통해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부는 직진축의 직선이동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눈금형태의 검출부로 이루어지고, 검출센서는 직진축의 직선이동시 상기 검출부의 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검출하도록 된 발차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몸체와 플레이트에 굴곡 변형이 자유로운 체인의 양끝단을 각각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KR20130058945A 2013-05-24 2013-05-24 발차기 운동기구 KR101488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945A KR101488212B1 (ko) 2013-05-24 2013-05-24 발차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945A KR101488212B1 (ko) 2013-05-24 2013-05-24 발차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838A KR20140137838A (ko) 2014-12-03
KR101488212B1 true KR101488212B1 (ko) 2015-01-30

Family

ID=5245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8945A KR101488212B1 (ko) 2013-05-24 2013-05-24 발차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2006B (zh) * 2019-05-28 2024-03-19 洛阳师范学院 一种空手道训练测控装置
KR102563091B1 (ko) * 2022-09-20 2023-08-03 (주)웰와이즈 타격 트레이닝 장치
KR102563092B1 (ko) * 2022-11-29 2023-08-03 (주)웰와이즈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427B1 (ko) * 1994-10-28 1998-08-17 지성덕, 지인덕 무술연습장치
KR200188588Y1 (ko) 2000-02-09 2000-07-15 구미은 헬스 트레이너의 안전장치
KR100635383B1 (ko) 2004-04-29 2006-10-17 강남선 무술연습장치
KR101063877B1 (ko) * 2009-05-28 2011-09-09 (주)이오알지 발차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427B1 (ko) * 1994-10-28 1998-08-17 지성덕, 지인덕 무술연습장치
KR200188588Y1 (ko) 2000-02-09 2000-07-15 구미은 헬스 트레이너의 안전장치
KR100635383B1 (ko) 2004-04-29 2006-10-17 강남선 무술연습장치
KR101063877B1 (ko) * 2009-05-28 2011-09-09 (주)이오알지 발차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838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584B2 (en) Apparatus for kicking exercise
KR101522636B1 (ko) 당구 스트로크 연습장치
US20160243422A1 (en) Train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climbing
KR101488212B1 (ko) 발차기 운동기구
KR100860881B1 (ko) 테니스 스윙 연습기
US20150265869A1 (en) Battle Rope Training Device
JP6445697B2 (ja) ゴルフパット矯正装置
US20140066267A1 (en) Boxing simulating exerciser
KR101568981B1 (ko)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US20060247106A1 (en) Stationary kick practice stand
US5031903A (en) Vertical jump testing device
WO2012096593A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большого тенниса «теннисан»
KR101314325B1 (ko) 발차기용 운동기구
US6645094B2 (en) Tennis stroke training apparatus
US8439767B2 (en) Adjustable pendulum golf putting trainer
KR100635383B1 (ko) 무술연습장치
KR200414543Y1 (ko) 골프퍼팅연습장치
KR100898331B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1961074B1 (ko) 타격대
KR200432277Y1 (ko) 골프퍼팅연습장치
KR20170074673A (ko) 교육용 밸런스 보드 장치
KR20210106617A (ko) 타격 무술 연습기구
RU213804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тработки ударов
KR0148427B1 (ko) 무술연습장치
KR200363925Y1 (ko) 무술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