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427B1 - 무술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무술연습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427B1
KR0148427B1 KR1019940027953A KR19940027953A KR0148427B1 KR 0148427 B1 KR0148427 B1 KR 0148427B1 KR 1019940027953 A KR1019940027953 A KR 1019940027953A KR 19940027953 A KR19940027953 A KR 19940027953A KR 0148427 B1 KR0148427 B1 KR 0148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bracket
spatula
martial arts
mi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인덕
지성덕
Original Assignee
지성덕, 지인덕
주식회사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덕, 지인덕, 주식회사거인 filed Critical 지성덕, 지인덕
Priority to KR101994002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427B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권도와 같은 무술의 손으로 치는기술과 발로 차느 기술등을 혼자서도 자유롭게 연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권도의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태권기술을 혼자서 습득하고 그 태권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술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주거형미트부와 삼면미트를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고정되는 지주에 상하로 설치하여 무술연습자가 다수의 주걱미터와 미트를 손과 발로 가격하면서 개별적인 무술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삼면미트의 브라켓과 미트에 센서와 감지판을 설치하여 강도와 반응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를 수 있는 장치이다.

Description

무술연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발췌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삼면미트의 종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삼면미트의 배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제4도의 A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걱형미트부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 주걱형미트부의 저면도
제8도는 본 발명 주걱형미트부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 삼면미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 제11도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습기 2:지주
6,6',6:쿠션보호대 10:삼면미트
11,14:브라켓 12,42:결합판
13:협지구 17,21:힌지부
20,20',20:미트 22:스프링
30:센서 31:감지판
40:주걱형미트부 44:플랜지
46,46'47,47':주걱미트
본 발명은 태권도와 같은 무술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술의 손으로 치는기술과 발로차는 기술등을 혼자서도 자유롭게 연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권도의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태권기술을 혼자서 습득하고 그 태권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무술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와 같은 무술의 손으로 치는기술과 발로차는 기술의 연습은 천장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거나 차므로서 개인적인 연습을 하고 있으며,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태권기술을 익힐때는 2인 1조가 되어 겨루기를 함으로서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이 매우 단조롭고 겨루기에서는 부상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에서 반사신경과 정확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범등의 지도자가 주거형미트를 손에 들고 주걱형미트의 위치를 바꾸면서 치거나 차는기술을 훈련시키고 있으나 이것 역시 개인적인 연습은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주에 다수개의 아암을 설치하고 그 아암에 주걱형미트를 고정하여 개별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여러개의 주거형미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아니므로 연습효과가 반감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천정과 바닥면사이에 고정되는 지주에 주걱형미트와 삼면미트를 다단으로 결합하여 개별적인 무술연습을 함과 동시에 겨루기에서의 강도와 반응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무술연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정(60)과 바닥면(61)사이에 나사(4)(4')가 구비된 지지판(3)(3')을 승강시켜 고정하는 지주(2)에 주걱형미트부(40)와 삼면미트(10)를 상하로 결합하고 그 사이와 삼면미트(10)의 하단에 지시램프(7)(7')(7)가 설치된 쿠션보호대(6)(6')(6)를 결합하여 엽스기(1)를 구성하며 주걱형미트부(40)의 정면에는 2개의 주걱미트(46)(46')를 일체로 하여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하고 측면에는 주걱미트(47)(47')를 경사지게 설치하되 각각의 주걱미트(46)(46')(47)(47')에는 세레이션부(48)를 형성하여 결합판(42)에 의해 지주(2)에 결합되는 브라켓(41)의 플랜지(44)에 결합하며 상기 주걱형미트부(4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삼면미트(10)는 그 브라켓(11)의 배면에 협지구(13)가 구비된 결합판(12)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브라켓(11)의 정면과 양측면에 설치되는 미트(20)(20')(20)는 그 하측을 미트(20)(20')(20)와 브라켓(11)의 힌지부(17)(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상측은 스프링(22)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삼면미트(10)의 브라켓(11)상측에는 센서(30)를 설치하고 미트(20)(20')(20)의 상측에는 상기 센서(30)에 삽입되는 감지판(31)을 설치하여 미트(20)(20')(20)를 차는 강도와 반응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지주(2)의 상단에 결합된 주걱형미트부(40)는 그 정면에 설치되는 주걱미트(46)(46')로 돌려차기를 연습할 수 있고 양측면에 경사지게 설치한 주걱미트(47)(47')로는 찍어차기를 연습 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주걱미트(46)(46')(47)(47')는 세레이션부(48)중앙에 요홈(49)을 형성하여 세레이션(45)이 형성된 플랜지(44)로 삽입하고 나사(50)로 고정함으로서 발차기 연습 도중에 주걱미트(46)(46')(47)(47')가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41)과 결합판(42)을 볼트(43)로 결합하여 지주(2)에 고정함으로서 주걱형미트부(40)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다.
특히, 주걱미트(46)(46')(47)(47')를 각각 일정한 가도로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서 돌려차기와 찍어차기가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주거형미트부(4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삼면미트(10)는 그 표시부(10a)를 손으로 치거나 발로 차는 것으로, 삼면미트(10)의 표시부(10a)를 앞차기와 옆차기등으로 차면 각각의 미트(20)(20')(20)는 힌지부(17)(21)에 의해 스프링(22)을 압축하면서 회전한 후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된다.
이때 각각의 미트(20)(20')(20)는 하단이 힌지부(17)(21)에 의해 브라켓(11)에 결합되고 상단은 스프링(22)의 양단을 절곡홈(24)(26)이 형성된 고정판(23)(25)으로 브라켓(11)과 미트(20)(20')(20)에 고정하여 결합한 것이므로 스프링(22)의 탄성력 범위내에서 미트(20)(20')(20)가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삼면미트(10)의 브라켓(11)은 그 배면에 경첩(16)등으로 결합판(12)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후 그 결합판(12)에는 협지구(13)를 설치하여 협지구(13)의 링(14)을 브라켓(11)의 고리(11a)에 걸고 손잡이(15)를 당기거나 누르는 동작으로 삼면미트(10)의 브라켓(11)을 지주(2)에 착탈할 수 있으므로 삼면미트(10)의 착탈이 더욱 용이해지는 것이며,
협지구(13)로 브라켓(11)을 지주(2)에 결합한 후에는 볼트(18)를 결합판(12)에 서 정면으로 관통삽입하여 브라켓(11)정면에 용접한 너트(19)에 체결함으로서 충격에 의해 삼면미트(10)가 지주(2)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삼면미트(10)에는 센서(30)와 감지판(31)을 구비하여 감지판(31)이 센서(30)를 통과하는 속도와 깊이를 측정하므로서 별도의 콘트롤박스(도시 하지 않았음)에서 그 강도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콘트롤박스로 구션보호대(6)(6')에 구비한 지지램프(7)(7')(7)를 무작위로 점멸시켜 점등된 지시램프(7)(7')(7)가 가리키는 미트(20)(20')(20)또는 주걱미트(46)(46')(47)(47')를 가격토록 하면 강도와 순발력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연습자의 능력을 평가할수 있게 된다.
한편, 본발명의 지주(2)를 설치할때는 설치할 위치에 지주(2)를 세우고 지주(2) 상하측의 너트(5)(5')를 회전시켜 나사(4)(4')를 인출시키면 나사(4)(4')에 고정된 지지판(3)(3')이 천정(60)과 바닥면(61)에 지지되므로 지주(2)를 간편하게 고정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0도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삼면미트(10)를 연습자의 체형에 맞추어 3개를 설치한 것이며 어린이들이 사용할때는 삼면미트(10)를 1개만 설치할수도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 삼면미트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삼면미트(10)의 미트(20)(20')(20'')하단에 구비된 힌지부(21)에 장홀(21a)을 형성하여 브라켓(11)의 힌지부(1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면서 브라켓(11)과 미트(20)(20')(20)의 힌지부(21)를 스프링(27)으로 탄설함으로서 연습자가 미트(20)(20')(20) 표시부(10a)를 차지 못하고 미트(20)(20')(20)의 하단을 가격했을때 스프링(27)의 완충작용으로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한편 본발명의 지주(20를 안테나와 같이 다단으로 삽탈식으로 구성하여 지주(2)를 이동시킬때는 다단의 지주를 접어서 이동하고 설치할때는 지주를 펼쳐서 설치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동과 설치를 더욱 편리하게 할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발명은 주걱형미트부와 삼면미트를 하나의 지주에 상하로 설치하여 무술연습자가 다수의 주걱미트와 미트를 가격하면서 개별적으로 무술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와 감지판으로 강도와 반응도를 측정하여 능력을 평가함으로서 개개인의 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 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천정(60)과 바닥면(61)사이에 나사(4)(4')가 구비된 지지판(3)(3')을 승강시켜 고정하는 지주(2)에 주걱형미트부(40)와 삼면미트(10)를 상하로 결합하고 그 사이와 삼면미트(10)의 하단에 지시램프(7)(7')(7)가 설치된 쿠션보호대(6)(6')(6)를 결합하여 연습기(1)를 구성하며 주걱형미트부(40)의 정면에는 2개의 주걱미트(46)(46')를 일체로 하여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설치하고 측면에는 주걱미트(47)(47')를 경사지게 설치하되 각각의 주걱미트(46)(46')(47)(47')에는 세레이션부(48)를 형성하여 결합판(42)에 의해 지주(2)에 결합되는 브라켓(41)의 플랜지(44)에 결합하며 상기 주걱형미트부(4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삼면미트(10)는 그 브라켓(11)의 배면에 협지구(13)가 구비된 결합판(12)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브라켓(11)의 정면과 양측면에 설치되는 미트(20)(20')(20)는 그 하측을 미트(20)(20')(20)와 브라켓(11)의 힌지부(17)(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상측은 스프링(22)으로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무술연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면미트(10)의 브라켓(11)상측에는 센서(30)를 설치하고 미트(20)(20')(20)의 상측에는 상기 센서(30)에 삽입되는 감지판(31)을 설치하여 미트(20)(20')(20)를 차는 강도와 반응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무술연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면미트(10)의 미트(20)(20')(20)하단에 구비된 힌지부(21)에 장흘(21a)을 형성하여 브라켓(11)의 힌지부(1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면서 브라켓(11)과 미트(20)(20')(20)의 힌지부(21)를 스프링(27)으로 탄설하여 연습자의 부상을 방지토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무술연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2)를 다단 삽탈식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무술연습장치.
KR1019940027953A 1994-10-28 1994-10-28 무술연습장치 KR0148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953A KR0148427B1 (ko) 1994-10-28 1994-10-28 무술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953A KR0148427B1 (ko) 1994-10-28 1994-10-28 무술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8427B1 true KR0148427B1 (ko) 1998-08-17

Family

ID=19396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953A KR0148427B1 (ko) 1994-10-28 1994-10-28 무술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4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72B1 (ko) * 2006-07-14 2007-03-28 공윤식 무술 연습용 인형
WO2010137760A1 (ko) 2009-05-28 2010-12-02 (주)이오알지 발차기 운동기구
KR101488212B1 (ko) * 2013-05-24 2015-01-30 (주)슈칸 발차기 운동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072B1 (ko) * 2006-07-14 2007-03-28 공윤식 무술 연습용 인형
WO2010137760A1 (ko) 2009-05-28 2010-12-02 (주)이오알지 발차기 운동기구
KR101063877B1 (ko) * 2009-05-28 2011-09-09 (주)이오알지 발차기 운동기구
EP2436427A1 (en) * 2009-05-28 2012-04-04 Eorg. Co. Ltd. Apparatus for kicking exercise
CN102438712A (zh) * 2009-05-28 2012-05-02 艾尔格株式会社 脚踢运动器材
EP2436427A4 (en) * 2009-05-28 2013-01-23 Eorg Co Ltd DEVICE FOR KICK TRAINING
RU2503475C2 (ru) * 2009-05-28 2014-01-10 Эорг.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ударов
US8641584B2 (en) 2009-05-28 2014-02-04 Eorg. Co., Ltd Apparatus for kicking exercise
CN102438712B (zh) * 2009-05-28 2014-05-14 艾尔格株式会社 脚踢运动器材
KR101488212B1 (ko) * 2013-05-24 2015-01-30 (주)슈칸 발차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877B1 (ko) 발차기 운동기구
US4881742A (en) Volleyball technique trainer
US7416517B2 (en) Interactive martial arts training apparatus
US5921896A (en) Exercise device
US7857729B2 (en) Automated striking and blocking trainer with quantitative feedback
US5221243A (en) Para-peripheral sports training center
US3997158A (en) Strike-zone target
US8029422B2 (en) Martial arts striking device with flexible, non-force impact, relatively non-resistant contact, striking targets, and method of use
US3948517A (en) Tennis stroke practice device
US20090048069A1 (en) Box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0860881B1 (ko) 테니스 스윙 연습기
US3558134A (en) Ball throwing accuracy training apparatus
US8216083B1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20140066267A1 (en) Boxing simulating exerciser
US6089989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1263699B1 (ko) 권투 연습장치
KR0148427B1 (ko) 무술연습장치
WO1999033531A1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US5575481A (en) Volleyball training aid
US4049266A (en) Sport practice apparatus
KR101568981B1 (ko)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US7435195B1 (en) Strok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0635383B1 (ko) 무술연습장치
KR101488212B1 (ko) 발차기 운동기구
US20140066230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