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881B1 - 테니스 스윙 연습기 - Google Patents

테니스 스윙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881B1
KR100860881B1 KR1020070057848A KR20070057848A KR100860881B1 KR 100860881 B1 KR100860881 B1 KR 100860881B1 KR 1020070057848 A KR1020070057848 A KR 1020070057848A KR 20070057848 A KR20070057848 A KR 20070057848A KR 100860881 B1 KR100860881 B1 KR 100860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at
tennis
tennis ball
cou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인석
Original Assignee
나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238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6088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나인석 filed Critical 나인석
Priority to KR102007005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하여 파트너가 필요없이 혼자서 연습할 수 있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격한 테니스볼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복귀되도록 하여 스윙 연습을 반복할 수 있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일정각도 기울여져서 지지되는 코트 지지프레임에 천막시트로 이루어진 코트가 다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코트본체; 상기 코트의 상부에서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에 다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층코트; 상기 코트와 상층코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통로; 상기 상층코트상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통로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하측으로 테니스볼보다는 조금더 큰 직경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진 테니스볼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테니스, 스윙, 연습, 복귀부, 코트.

Description

테니스 스윙 연습기{Tennis Swing Machine for Exercis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좌측면도
도 4는 받침대 및 코트본체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테니스볼 복귀부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에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동부재의 분리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7은 단면도이고 도 8은 테니스볼 복귀부의 덮개를 벗겨낸 상태를 보인 좌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대 11 : 수평프레임
12 : 수직프레임 12a : 힌지편
11a, 11b, 12b, 22b, 22c : 결합봉 13, 16 : 연결프레임
14 : 각도조절봉 15 : 고정구
20 : 코트본체 21 : 코트 지지프레임
21A : 하부프레임 21B : 상부프레임
22a : 힌지축 25 : 탄성부재
30 : 테니스볼 복귀부 31 : 밀폐공간
32 : 개방부 33 : 덮개
34 : 복귀부 프레임 35 : 반사봉
36 : 이동통로 37 : 원호프레임
C1 : 코트 C2 : 상층코트
C3 : 이탈방지막 P1 : 타격포인트
P2 : 네트라인 40 : 반동부재
41 : 반동판 41a : 힌지축
42 : 반동판 받침대 42a : 힌지편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하여 파트너가 필요없이 혼자서 연습할 수 있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격한 테니스볼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복귀되도록 하여 스윙 연습을 반복할 수 있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체력향상이나 취미생활에서 테니스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으나,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넓은 공간에 테니스 코트를 설치한 별도의 테니스 연습장이 필요하였고, 이러한 테니스 코트에서 연습하기 위하여는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어 일반인에게 테니스가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테니스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타격한 공을 받아줄 파트너가 필요하므로, 혼자서는 연습이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이 따랐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테니스라켓으로 스윙하여 타격한 테니스볼을 사용자에게 복귀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한 고안으로, 한국실용신안출원 1992-9685호(명칭: 테니스 연습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테니스 연습기구는 코트지지대에 코트가 설치되고 코트지지대를 지지대가 지지하고 있으며, 코트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어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코트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코트지지대의 상부 에는 가로대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테니스 연습기구를 이용하여 테니스볼을 타격하면 테니스볼이 코트에 충돌하여 코트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테니스볼은 가로대에 부딪혀서 다시 하부로 하강하여 지면에 닿아 튀어오르게 되며, 튀어오른 테니스볼을 다시 스윙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테니스 연습기구는 코트의 상부로 테니스볼이 이동되어 가로대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부딪히는 각도에 따라서 다시 하부로 하강하게 되는 방향이 매번 달라지게 되어 즉, 되돌아 오는 방향을 예측할 수 없어서 사용자는 제자리에서 스윙을 하지 못하고 되돌아오는 테니스볼의 방향에 따라 자리를 옮겨가면서 스윙을 해야만 하는 불편이 따랐다. 또한, 가로대에 부딪혀서 곧바로 되돌아오므로, 그 속도가 너무 빨라서 테니스볼을 타격한 후 자세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다시 스윙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올바른 스윙 자세를 반복하여 연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테니스 연습기구는 타격한 테니스볼이 가로대에 부딪혀서 다시 하부로 하강하여 지면에 닿아 튀어오르게 되므로, 연습시에 필요한 일정 높이로 테니스볼이 바운드(bound, 이하 '반동'으로 통일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초보자나 스윙자세를 교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임팩트 높이로의 일정한 반동이 요구되는 사용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하여 파트너가 필요없이 혼자서 테니스에 필요한 스윙을 연습할 수 있으며, 특히 타격한 테니스볼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복귀되도록 하여 스윙 연습을 반복할 수 있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코트본체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테니스볼의 복귀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연습을 하는 속도를 사용자의 체력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각 부분별로 분리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분리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고, 설치할 때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타격하는 테니스볼의 충격력에 따른 소음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더라도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반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복귀하는 테니스볼이 반동되어 반사되는 각도를 사용자가 스윙을 하는데 가장 알맞은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반동부재의 각도를 변화시켜 테니스볼의 반사각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테니스볼이 반동되는 각도에 맞추어 적절한 스윙자세로 테니스볼을 타격하는 연습이 가능한 테니스 스윙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서 일정각도 기울여져서 지지되는 코트 지지프레임에 천막시트로 이루어진 코트가 다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코트본체; 상기 코트의 상부에서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에 다수개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층코트; 상기 코트와 상층코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통로; 상기 상층코트상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통로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하측으로 테니스볼보다는 조금더 큰 직경을 가지는 개방부가 형성된 밀폐공간으로 이루어진 테니스볼 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밀폐공간은,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역삼각형 형태의 복귀부 프레임 및 상기 복귀부 프레임의 외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코트의 상부 끝부위에 연결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복귀부 프레임의 하측 꼭지점부위에서 위치하여 테니스볼보다는 조금더 큰 직경의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좌, 우측에 대응되게 한쌍씩 이루어지되, 바닥면에 놓여지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중심부에 세워지며 상단부에 힌지편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서 각각 연결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측에는 각도조절봉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은 좌, 우측에 대응되게 한쌍씩 이루어지되, 일측부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힌지편에 결합되는 힌지축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는 뒤쪽을 향하여 수직으로 상기 각도조절봉에 삽입되는 결합봉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조절봉의 외측면에 고정구가 관통 결합되어서 삽입된 결합봉의 외측면을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트본체의 하단부 앞쪽에 일정거리를 두고 지면에 설치하는 반동부재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반동부재는 판재로 이루어져 양측면에 힌지축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테니스볼이 반동되도록 하는 반동판과, 일정높이를 갖게 형성되어 상단부에 힌지편이 구비된 한쌍의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동판의 힌지축이 받침대의 힌지편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힌지편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구에 의해 상기 반동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트의 상면에는, 중심부에 타격포인트가 표시되고 하단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2줄의 네트라인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폐공간내에서 개방부의 바로 위에는 테니스볼이 직통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반사시키면서 양편을 통해서 테니스볼이 상기 개방부로 투입되게 하는 반사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결착구에 의해 상기 상층코트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의 상부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테니스볼이 상기 이동통로를 거쳐서 밀폐공간으로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귀부 프레임의 상부에서 양단부가 결합된 원호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에 구성된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에 이탈방지막이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은 결합봉이 상단부에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가 결합된 상부프레임으로 분리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봉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좌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서 일정각도 기울여져서 결합되는 코트 지지프레임(21)의 사이에서 코트(C1)가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코트본체(20) 및 타격하는 테니스볼을 동일한 방향으로 다시 되돌려 보내게 하는 테니스볼 복귀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코트(C1)는 그 재질이 타포린(Tarpaulin)으로 형성된 천막시트로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코트(C1)를 코트 지지프레임(21)에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탄성부재(25)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코트 지지프레임(21)에 코트(C1)가 탄력성있게 고정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타격된 테니스볼이 코트(C1)에 충돌할 때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 며, 상기 탄성부재(25)는 탄력성을 가지는 고무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5)는 코트(C1)의 외측부에 일정간격마다 부착되어 있는 링을 통해서 코트 지지프레임(21)상에 다수개가 결합되며, 이렇게 탄성부재(25)에 의해 코트 지지프레임(21)에 고정된 코트(C1)는 길이방향으로 중심부가 하측으로 쳐져서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코트(C1)의 중심부에는 사각형의 내부에 원형점이 표현된 타격포인트(P1)를 표시하고, 코트(C1)의 하단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2줄의 네트라인(P2)을 눈에 잘 띄는 색(예:하얀색 또는 노란색)으로 페인팅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으며, 야간에도 식별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형광페인트를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타격포인트(P1)와 네트라인(P2)를 표시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라켓으로 테니스볼을 타격할 때, 실제 경기를 하는 것과 같이 네트라인(P2)의 상측부로 타격하여야 함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아울러, 타격된 테니스볼이 타격포인트(P1)에 맞는지를 보면서 스윙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코트본체(20)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대(10)에 코트본체(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받침대(10)와 코트본체(20)는 모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각각을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고, 설치할 때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에 도시한 받침대 및 코트본체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 및 코트 지지프레임(21)은 각각 좌,우측에 대응되게 한쌍씩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0)는 바닥면에 놓여지는 수평프레임(11)과,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중심부에 세워지며 상단부에 힌지편(12a)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2), 상기 수평프레임(11) 및 수직프레임(12)의 내측면에서 각각 연결프레임(16),(13)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3)의 일측에는 각도조절봉(14)이 회동가능하게 힌지(14a)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은 일측부에 상기 수직프레임(12)의 힌지편(12a)에 결합되는 힌지축(22a)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부에는 뒤쪽을 향하여 수직으로 상기 각도조절봉(14)에 삽입되는 결합봉(22b)이 연결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의 힌지축(22a)은 상기 수직프레임(12)에 형성된 힌지편(12a)에 결합되고, 코트 지지프레임(21)의 결합봉(22b)은 상기 연결프레임(13)상에 일단부가 힌지(14a) 결합된 각도조절봉(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15)에 의해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15)는 맨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볼트로써, 각도조절봉(14)의 외측면에서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면서 결합봉(22b)의 외측면을 압박하여 그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것이다.
코트본체(20)가 이루는 경사도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고정구(15)를 풀어 각도조절봉(14)의 내부에 결합봉(22b)을 빼내거나 넣어서 고정구(15)를 조임으로써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도조절봉(14)에 결합된 결합봉(22b)을 빼내어서 고정구(15)로 고정한 상태에서는, 각도조절봉(14)에서 빠져나온 결합봉(22b)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코트본체(20)는 힌지축(22a)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코트본체(20)가 이루는 경사도를 낮아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나 있고, 도 4에서 가상선인 이점쇄선으로 표현되어 있듯이, 잘못 타격한 테니스볼이 코트본체(20)의 하부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막(C3)이 지면에서부터 일정높이, 즉 바닥면에서 떨어져 있는 코트(C1)의 하단부 높이정도까지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막(C3)은 받침대(10)를 이루는 수평프레임(11) 및 수직프레임(12)의 내측면에서 각각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6),(13)의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데, 이탈방지막(C3)은 코트(C1)와 마찬가지로 천막시트가 적합하며 탄성부재(25)에 의해 연결프레임(16),(13)에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트본체(20)의 상단부에는 타격하는 테니스볼을 동일한 방향으로 다시 되돌려 보내게 하는 기능을 하는 테니스볼 복귀부(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에 대하여 도 5에 도시한 테니스볼 복귀부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는 상기 코트본체(20)의 상단부에 위치되며, 코트(C1)의 상면에서 이격져서 하측 꼭지점부위가 개방된 밀폐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테니스볼 복귀부(30)는 하측 꼭지점부위가 개방된 밀폐공간(31)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어떠한 재질로도 밀폐공간을 가지는 통체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프라스틱 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그 재질 및 결합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한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는, 상기 코트(C1)의 상면에 이격져서 상층코트(C2)가 탄성부재(15)에 의해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에 결합되며, 상층코트(C2)의 하측에는 상기 밀폐공간(31)으로 연통되는 이동통로(36)가 형성되고, 상기 상층코트(C2)의 상면에서 역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복귀부 프레임(34)이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복귀부 프레임(34)의 하측 꼭지점부위에서 테니스볼보다는 조금더 큰 직경을 가지는 개방부(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개방부(32)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체이며, 상기 개방부(32)를 제외한 복귀부 프레임(34)의 외측부를 덮개(33)로 감싸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에 형성된 밀폐공간(31)내에서 개방부(32)의 바로 위에는 테니스볼이 직통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반사시키면서 양편을 통해서 테니스볼이 상기 개방부(32)로 투입되게 하는 반사봉(35)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봉(35)은 두께가 얇은 3개의 봉으로 이루어지는데, 복귀부 프레임(34)에 봉 1개가 고정되고 그 봉의 일정부위에서 양편에 각각 1개의 봉이 연결되 며 이들 봉들은 모두 일정부위에서 'ㄱ'형태로 절곡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33)의 상부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테니스볼이 코트(C1)와 상층코트(C2)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36)를 거쳐서 밀폐공간(31)으로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곡률로 절곡되어서 원호형상을 하고 있는 원호프레임(37)의 양단부를 복귀부 프레임(34)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호프레임(37)이 이루는 원호형태는 복귀부 프레임(3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복귀부 프레임(34)의 외측부를 덮개(33)로 감싸면 그 측단면의 형태가 '⊃'형태로 코트(C1)의 상단부와 덮개(33)의 일단부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층코트(C2) 및 덮개(33)는 코트(C1)와 같은 재질인 천막시트가 적합하다.
상기 덮개(33)는 상기 개방부(31)를 덮지 않도록 그 부분은 절취되어야 하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니스볼 복귀부(30)의 바닥을 이루게 되는 상층코트(C2)의 상면에서 상기 복귀부 프레임의 외측부위에 결착구(33b)를 부착하고 이에 대응되게 덮개(33)의 안쪽면에도 결착구(33a)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결착구(33a,33b)에 의해 상층코트(C2)의 상면에 덮개(33)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착구(33a,33b)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거나 지퍼 또는 똑닥이 단추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받침대(10)와 코트본 체(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각각을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도 두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결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은 결합봉(22c)이 상단부에 형성된 하부프레임(21A)과,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가 결합된 상부프레임(21B)으로 분리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1A)의 결합봉(22c)이 상기 상부프레임(21B)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고정구(15)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고, 설치할 때에는 편리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설치장소가 시멘트 바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지면인 경우에는, 타격한 테니스볼이 코트(C1)를 타고 올라가서 테니스볼 복귀부(30)를 거쳐서 다시 하강하여 지면에 떨어졌다가 스윙을 하기 좋은 알맞은 높이로 반동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에는 반동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반동부재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반동부재(40)는 판재로 이루어져 양측면에 힌지축(41a)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테니스볼이 반동되도록 하는 반동판(41)과, 일정높이를 갖게 형성되어 상단부에 힌지편(42a)이 구비된 한쌍의 받침대(42)로 이루어지되, 상기 반동판(41)의 힌지축(41a)이 받침대(42)의 힌지편(42a)에 각각 삽입되는데, 이때 반동판(41)이 원하는 각도로 이루어지게 하여 삽 입한 후, 상기 힌지편(42a)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구(15)로 고정하여 그 결합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동부재(40)는 테니스볼이 반동되어 반사되는 각도를 사용자가 스윙을 하는데 가장 알맞은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반동부재(40)의 각도를 변화시켜 테니스볼의 반사각을 매번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테니스볼이 반동되는 각도에 맞추어 적절한 스윙자세로 테니스볼을 타격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반동부재(40)는 코트본체(20)의 하단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7은 단면도이고 도 8은 테니스볼 복귀부(30)의 덮개(33)를 벗겨낸 상태를 보인 좌측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사용자가 테니스 라켓(도면 미도시)으로 테니스볼을 타격했을 때, 테니스볼의 이동경로를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화살표의 경로를 계속적으로 반복하게 되어서 사용자는 파트너가 없이도 계속하여 스윙을 연습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코트(C1)를 향해 타격된 테니스볼은 코트(C1)의 상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단부로 이동하는 테니스볼은 이동통로(36)를 거쳐서 코트(C1)의 상단부와 상층코트(C2)의 상단부 사이에 생긴 틈을 통해서 테니스볼 복귀 부(30)를 이루는 밀폐공간(3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밀폐공간(31)에서 개방부(31)를 향해서 테니스볼이 곧바로 하강하게 되는 경우에는, 개방부(3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반사봉(35)에 테니스볼이 반사되어서 덮개(33)의 내측면 상부 또는 양측에 부딪혀서 다시 하강하여 반사봉(35)의 양편을 통해서 테니스볼이 개방부(32)으로 투입되어 빠져나가서 코트(C1)를 타고 서 다시 하부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상기 코트본체(20)의 각도를 급경사지게 해 놓았거나 또는 완만하게 이루어지게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트본체(20)의 각도를 조절해 놓은 경우, 테니스볼은 코트본체(20)가 이루고 있는 경사도에 따라 코트(C1)의 하부로 하강하는 속도가 빠르게 되거나 느리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윙연습을 하는 속도가 자신의 체력에 알맞게 되도록 코트본체(20)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코트(C1)의 하부로 하강된 테니스볼은 일정각도를 이루고 있는 반동부재(40)의 반동판(41)에 의해 튀어오르게 되며, 사용자는 튀어오르는 테니스볼을 라켓으로 스윙하여 연습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에는 개방부(32)이 역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복귀부 프레임(34)의 하측 꼭지점 부위에 위치되어, 다시 말해서 코트(C1)의 중심부가 오목하게 쳐져 있는 부위의 바로 위에 위치하므로, 개방부(32)을 통해서 테니스볼은 항상 코트(C1)의 중심부로만 하강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자리에서 연속적으로 테니스볼을 타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테니스볼 복귀부(30)에 구비된 반사봉(35)에 의해서 테니스볼이 직통으로 개방부(31)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면서 반사봉(35)의 양편을 통해서만 개방부(32)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있으므로, 되돌아오는 테니스볼의 반복주기를 어느 정도 지연시켜, 즉 타격을 한 후 스윙자세를 바르게 취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을 벌어주어서 정확한 스윙자세로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니스 스윙 연습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별도의 테니스 연습장과 파트너가 필요없이 실외 또는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도 혼자서 테니스에 필요한 스윙 기술을 연습할 수 있다.
2) 타격한 테니스볼은 테니스볼 복귀부에 의해서 항상 코트의 중심부로만 하강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제자리에서 연속적으로 테니스볼을 타격할 수 있다.
3) 코트본체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테니스볼의 복귀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윙연습을 하는 속도를 사용자의 체력에 알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각도조절이 가능한 반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복귀하는 테니스볼이 반동되어 반사되는 각도를 사용자가 스윙을 하는데 가장 알맞은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반동부재의 각도를 변화시켜 테니스볼의 반사각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테니스볼이 반동되는 각도에 맞추어 적절한 스윙자세로 테니스볼을 타격하는 연습이 가능하다.
5) 코트에 표시되어 있는 타격포인트와 네트라인에 의해서 타격하는 테니스볼의 정확도를 직접 확인하면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6) 코트 지지프레임에 코트가 탄성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타격된 테니스볼이 코트에 충돌할 때,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이 현저히 감소되기 때문에,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더라도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7) 코트본체의 하부에 이탈방지막이 설치되어 잘못 타격한 테니스볼이 코트본체의 하부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테니스볼을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연습을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는다.

Claims (8)

  1.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서 일정각도 기울여져서 지지되는 코트 지지프레임(21)에 천막시트로 이루어진 코트(C1)가 다수개의 탄성부재(25)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코트본체(20);
    상기 코트(C1)의 상부에서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에 다수개의 탄성부재(25)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층코트(C2);
    상기 코트(C1)와 상층코트(C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동통로(36);
    상기 상층코트(C2)상에 위치하되, 상기 이동통로(36)의 상단부와 연통되며 하측으로 테니스볼보다는 조금더 큰 직경을 가지는 개방부(32)가 형성된 밀폐공간(31)으로 이루어진 테니스볼 복귀부(30)를 포함하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31)은,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역삼각형 형태의 복귀부 프레임(34) 및 상기 복귀부 프레임(34)의 외측부를 감싸면서 상기 코트(C1)의 상부 끝부위에 연결되는 덮개(3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부(32)는 상기 복귀부 프레임(34)의 하측 꼭지점부위에서 위치하여 테니스볼보다는 조금더 큰 직경의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테니스 스윙 연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는 좌, 우측에 대응되게 한쌍씩 이루어지되, 바닥면에 놓여지는 수평프레임(11),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중심부에 세워지며 상단부에 힌지편(12a)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2), 상기 수평프레임(11) 및 수직프레임(12)의 내측면에서 각각 연결프레임(16),(13)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3)의 일측에는 각도조절봉(14)이 회동가능하게 힌지(14a)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은 좌, 우측에 대응되게 한쌍씩 이루어지되, 일측부에 상기 수직프레임(12)의 힌지편(12a)에 결합되는 힌지축(22a)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하부에는 뒤쪽을 향하여 수직으로 상기 각도조절봉(14)에 삽입되는 결합봉(22b)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도조절봉(14)의 외측면에 고정구(15)가 관통 결합되어서 삽입된 결합봉(22b)의 외측면을 압박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본체(20)의 하단부 앞쪽에 일정거리를 두고 지면에 설치하는 반동 부재(40)를 포함하여 구비하되,
    상기 반동부재(40)는 판재로 이루어져 양측면에 힌지축(41a)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테니스볼이 반동되도록 하는 반동판(41)과, 일정높이를 갖게 형성되어 상단부에 힌지편(42a)이 구비된 한쌍의 받침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동판(41)의 힌지축(41a)이 받침대(42)의 힌지편(42a)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힌지편(42a)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고정구(15)에 의해 상기 반동판(4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C1)의 상면에는, 중심부에 타격포인트(P1)가 표시되고 하단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2줄의 네트라인(P2)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31)내에서 개방부(32)의 바로 위에는 테니스볼이 직통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반사시키면서 양편을 통해서 테니스볼이 상기 개방부(32)로 투입되게 하는 반사봉(35)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33)는 결착구(33a,33b)에 의해 상기 상층코트(C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3)의 상부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테니스볼이 상기 이동통로(36)를 거쳐서 밀폐공간(31)으로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귀부 프레임(34)의 상부에서 양단부가 결합된 원호프레임(3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에 구성된 상기 연결프레임(13,16) 사이에 이탈방지막(C3)이 배치되어 결합되고,
    상기 코트 지지프레임(21)은 결합봉(22c)이 상단부에 형성된 하부프레임(21A)과, 상기 테니스볼 복귀부(30)가 결합된 상부프레임(21B)으로 분리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1A)의 결합봉(22c)이 상기 상부프레임(21B)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고정구(15)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니스 스윙 연습기.
KR1020070057848A 2007-06-13 2007-06-13 테니스 스윙 연습기 KR100860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48A KR100860881B1 (ko) 2007-06-13 2007-06-13 테니스 스윙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48A KR100860881B1 (ko) 2007-06-13 2007-06-13 테니스 스윙 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881B1 true KR100860881B1 (ko) 2008-09-29

Family

ID=4002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848A KR100860881B1 (ko) 2007-06-13 2007-06-13 테니스 스윙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88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19Y1 (ko) * 2010-01-14 2010-07-15 김진선 테니스 스윙 연습기
KR200454299Y1 (ko) 2010-09-30 2011-06-27 이유작 구기운동의 타격 연습기
KR200465136Y1 (ko) * 2012-12-20 2013-02-19 조남선 테니스 연습기
KR101354922B1 (ko) 2012-07-19 2014-01-22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스윙연습기
KR20170027930A (ko) 2015-09-02 2017-03-13 한국기계연구원 진동감지를 통한 인/아웃 판정부를 구비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WO2017135520A1 (ko) * 2016-02-05 2017-08-10 강평국 축구 연습용 더미
KR101812146B1 (ko) 2016-06-20 2017-12-26 주식회사 더 테니스 리턴방식 테니스 연습장치
KR101812143B1 (ko) 2016-06-20 2018-01-25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연습장치
US20230036541A1 (en) * 2021-08-01 2023-02-02 Kok Soon Chee Racket Sports Rebounder with Side Shields
US11691065B1 (en) * 2021-08-18 2023-07-04 Mario Llano Tennis practice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070U (ja) 1982-09-30 1984-04-07 株式会社新盛インダストリ−ズ テニス練習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070U (ja) 1982-09-30 1984-04-07 株式会社新盛インダストリ−ズ テニス練習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19Y1 (ko) * 2010-01-14 2010-07-15 김진선 테니스 스윙 연습기
KR200454299Y1 (ko) 2010-09-30 2011-06-27 이유작 구기운동의 타격 연습기
KR101354922B1 (ko) 2012-07-19 2014-01-22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스윙연습기
KR200465136Y1 (ko) * 2012-12-20 2013-02-19 조남선 테니스 연습기
KR20170027930A (ko) 2015-09-02 2017-03-13 한국기계연구원 진동감지를 통한 인/아웃 판정부를 구비하는 테니스 연습장치
WO2017135520A1 (ko) * 2016-02-05 2017-08-10 강평국 축구 연습용 더미
KR101812146B1 (ko) 2016-06-20 2017-12-26 주식회사 더 테니스 리턴방식 테니스 연습장치
KR101812143B1 (ko) 2016-06-20 2018-01-25 주식회사 더 테니스 테니스 연습장치
US20230036541A1 (en) * 2021-08-01 2023-02-02 Kok Soon Chee Racket Sports Rebounder with Side Shields
US11691065B1 (en) * 2021-08-18 2023-07-04 Mario Llano Tennis practic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881B1 (ko) 테니스 스윙 연습기
US8029422B2 (en) Martial arts striking device with flexible, non-force impact, relatively non-resistant contact, striking targets, and method of use
US5913739A (en) Ball-suspending device and modified ball
US8033934B1 (en) Baseball hitting apparatus
US8328665B2 (en) Combination pitching aid and batting tee
US6162061A (en) Multiple trampoline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4881742A (en) Volleyball technique trainer
US3997158A (en) Strike-zone target
US8641584B2 (en) Apparatus for kicking exercise
US5607377A (en) Rebounder and punching bag-boxing fitness device
US76910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nnis training
US6322461B1 (en) Baseball pitching target
US20150105186A1 (en) Indoor activity games
EP2092966B1 (en) Inflatable type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5419550A (en) Tethered ball batting practice device
US7955082B1 (en) Basketball training device and method
WO2008058378A1 (en) Sports goal nets
US8827844B2 (en) Footballmaster
CN101450252A (zh) 高尔夫训练组件
KR101900191B1 (ko) 축구 전술 더미 받침장치
US7435195B1 (en) Strok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6716121B1 (en) Heavy hitter batting practice aid
KR200465136Y1 (ko) 테니스 연습기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JP3114152B2 (ja) 動力付き移動ヒッティングテ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719

Effective date: 201103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615

Effective date: 201103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