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981B1 -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 Google Patents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981B1
KR101568981B1 KR1020150117306A KR20150117306A KR101568981B1 KR 101568981 B1 KR101568981 B1 KR 101568981B1 KR 1020150117306 A KR1020150117306 A KR 1020150117306A KR 20150117306 A KR20150117306 A KR 20150117306A KR 101568981 B1 KR101568981 B1 KR 10156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ed
hole
coupl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 덕 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에프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에프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에프케이
Priority to KR102015011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B69/00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4Tackling, blocking or grappling dummies, e.g. boxing or wrestling or American- football dumm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권도, 가라테, 킥복싱과 같은 무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무게중심프레임에 체결되는 몸체에는 복수개의 타격부가 결합되어 개인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타격부를 가격하여 무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는, 헤드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로봇커버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외부에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되어 타격부로 이루어진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결합된 파워측정 센싱수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 충격흡수부재가 외측에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상,하 양쪽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로 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타격부가 결합된 전면 상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하측 양다리부가 결합되고 물을 넣어 사용하는 바닥중량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Martial arts training machine for power measurement}
본 발명은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권도, 가라테, 킥복싱과 같은 무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무게중심프레임에 체결되는 몸체에는 복수개의 타격부가 결합되어 개인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타격부를 가격하여 무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와 같은 무술에 있어서, 손으로 치는 정권기술과 발로 차는 발차기기술의 연습은 천장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거나 참으로써 개인적인 연습을 하고 있으며,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태권기술을 익힐 때는 2인 1조가 되어 겨루기를 함으로써 정권과 발차기기술의 연습이 매우 단조롭고 겨루기에서는 부상의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권과 발차기기술의 연습에서 반사신경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범 등의 지도자가 주걱형 미트를 손에 들고 주걱형 미트의 위치를 바꾸면서 정권과 발차기기술을 훈련시키고 있으나, 이것 역시 개인적인 연습은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주에 다수개의 아암을 설치하고 그 아암에 주걱형 미트를 고정하여 개별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여러개의 주걱형 미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아니므로 연습효과가 반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994-27953호는 상기의 결점들은 모두 해소할 수는 있었으나, 주걱형 미트의 탄성강도가 미약하고 주걱형 미트에 센서를 설치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몸통부위의 가격위치가 부정확하고, 지시램프가 분산 설치되어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태권도, 가라테, 킥복싱과 같은 무술들은 손으로 치는 기술과 발로 차는 기술이 다양하게 구사된다. 이러한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의 연습은 천정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거나 차므로 개인적인 연습을 행하고 있었다. 또한,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기술을 익힐 때는 2인이 1조가되어 겨루기를 함으로써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이 매우 단조롭고 겨루기를 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국부를 가격하게 되는 부상의 위험성도 있다. 그리고,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과정에서 반사신경과 타격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범 등의 지도자가 주걱형미트를 양손에 들고 상ㆍ하ㆍ좌ㆍ우측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치거나 차는 기술을 훈련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습은 개인적인 연습이 불가능하고 주걱형 미트를 들어 줘야하는 보조자가 있어야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주에 다수개의 아암을 설치하고 그 아암에 주걱형 미트를 고정하여 개별적인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여러개의 주걱형 미트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 아니므로 연습효과가 반감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천정과 바닥에 나사로 체결하는 지주가 구비되고, 이 지주에 주걱형 미트와 삼면 미트를 결합하여 개별적인 무술연습을 할 수 있도록 '무술연습장치'(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148427호)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무술연습장치는 주걱형 미트의 탄성강도가 매우 미약하고, 몸통부위의 가격위치가 부정확했다. 또한, 상기 장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설치 작업이 매우 어렵고, 한번 설치를 한 후에는 이동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는,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홀을 형성한 후 상기 지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지지판에 높낮이를 조절한 후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형성된 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였다. 이때, 상기 지지판의 홀에 맞도록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홀을 형성해야 하고, 상당한 무게를 갖는 상기 장치를 지탱해야 하는 문제점도 동반되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주에 대하여 나사산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데, 연습시 상기 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의 힘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이 유동되어 천정과 바닥면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천정과 바닥면의 높이가 적당해야 하는데 만약 그 높이가 작으면 설치를 할 수 없으며, 너무 큰 경우에는 설치 후 상기 장치를 지탱하는 힘이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고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천정과 바닥면이 목재로 구성된 곳에서는 상기 장치를 설치할 수 없으며, 대리석의 경우 천정과 바닥면에 각각 홀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상기한 문제들로 인해 최초 설치되는 장소에서 다른 곳으로 위치를 옮겨 설치하기가 매우 번거롭다. 따라서, 무술사범이 관리하는 도장에서는 상기 장치를 필요로 하지만 그 설치가 매우 어렵고, 한번 설치 후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설치하는게 쉽지만은 않았다.
최근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등록특허 제10-1063877호(발명의 명칭 : 발차기 운동기구)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063877호는, 실내의 설치와 운반이 매우 편리하고,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타격부를 타격시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인지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술연습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타격부에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타격부가 몸체의 전방과 측면, 상ㆍ하에 각각 다수개로 결합되어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기술을 개인이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특허 제10-1063877호는, 타격부를 타격하게 되면, 직진축이 직선운동을 하고, 랙기어와 피니언에 의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피니언의 회전축이 회전하는 속도를 센서로 검출하여 각종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타격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 및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타격부의 타격에 의한 직선운동을 랙기어와 피니언을 통해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간접적인 검출방식이므로 정확한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격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몸체 사이의 상하,좌우 4곳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이, 몸체에 설치된 가이드리브와,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장공이 형성되어 장공에 상기 가이드리브가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공이 가이드리브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플레이트는 4곳에 설치되고, 또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타격에 의한 플레이트의 충격 방향이 일률적이지 않고 다양하게 작용하는 경우,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방향이 각자 조금씩 어긋날 수 있고, 이로써 긴 막대 형태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이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허등록 제10-0148427호 무술연습장치. 등록특허 제10-1063877호 발차기 운동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설치와 운반이 매우 편리하고,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고, 다수개의 타격부를 타격시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인지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술연습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격부가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기술을 개인이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는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격부의 직선운동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수단이 타격부를 구성하는 직진축의 직선이동거리를 직접 검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타격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 및 과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격부의 플레이트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을 굴곡 변형이 자유로운 로프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타격에 의해서도 타격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는, 헤드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로봇커버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외부에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되어 타격부로 이루어진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결합된 파워측정 센싱수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 충격흡수부재가 외측에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상,하 양쪽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로 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타격부가 결합된 전면 상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하측 양다리부가 결합되고 물을 넣어 사용하는 바닥중량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상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파워측정 센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하측이 고정되게 고정홀이 형성되고 양측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에 축홀과 상하측이 고정홀과 전면하측에 케이스홀이 형성된 센서브라켓과, 상기 축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중앙에 와이어결합홀과 일측이 절결되어 태엽스프링 내측 끝단을 고정하는 절결홈이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중심홀을 중심으로 상부관통구멍과 하부관통구멍을 형성한 와이어원판과, 상기 와이어원판의 상부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중심축에 형성된 와이어결합홀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중심축의 일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다수의 센싱홀이 형성된 측정원판과, 상기 중심축의 타측 절결홈에 내측 끝단이 고정되고 외측 끝단은 태엽케이스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이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센서브라켓과 상측은 고정핀으로 결합되고 하측은 고정볼트로 결합되는 태엽케이스와, 상기 센서브라켓의 상부홈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원판의 다수의 센싱홀을 통해 감지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를 고정시키며 상기 센서브라켓의 전면 케이스홀에 고정되며 절곡된 전면에 와이어구멍과 고정홀이 형성된 센서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브라켓은 고정홀을 통해 볼트로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고정된 조절볼트는 플레이트의 중앙에 절곡된 고정리브의 볼트구멍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몸체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변형이 자유로운 로프의 양끝단을 각각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는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타단이 플레이트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의 설치와 운반이 매우 편리하여 위치를 이동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타격부가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다양한 발차기 기술을 구사할 수 있어 다양한 기술을 개인이 혼자서도 연습할 수 있으며, 제어부와 연결된 검출센서에 의해 타격시 직진축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타격 시간, 타격속도, 타격횟수,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 등의 타격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이 타격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능력을 인지하여 훈련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무술연습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격부의 타격시 이동하는 직진축의 이동거리를 직진축에 구비된 센싱부와 검출센서가 직접 검출하게 되므로, 직진축이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로써 타격시 각종 타격 데이터의 정보도 매우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몸체와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와이어에 의해서는 타격에 의해 플레이트가 몸체 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와이어가 굴곡 자유롭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이동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할 때에는 로프의 길이에 의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내부 몸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내부 몸체에 타격부가 설치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에 설치되는 센싱수단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에 설치되는 센싱수단 조립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몸체와 헤드부에 설치되는 센싱수단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몸체와 헤드부에 설치되는 센싱수단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당 업계의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내부 몸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내부 몸체에 타격부가 설치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몸체에 설치되는 센싱수단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에 설치되는 센싱수단 조립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몸체와 헤드부에 설치되는 센싱수단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몸체와 헤드부에 설치되는 센싱수단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권도, 가라테, 킥복싱과 같은 무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위치 이동이 가능한 무게중심프레임에 체결되는 몸체에는 복수개의 타격부가 결합되어 개인이 손과 발을 이용하여 타격부를 가격하여 무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1)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헤드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로봇커버(20)와, 상기 몸체(10)의 전방과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외부에 충격흡수부재(31)가 결합되어 타격부(30)로 이루어진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1)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30)는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2)의 내측 중앙에 결합된 파워측정 센싱수단(40)과, 상기 고정플레이트(32)와 이격된 위치에 충격흡수부재(31)가 외측에 결합된 플레이트(33)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2)와 상기 플레이트(33)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33)가 몸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된 탄성스프링(34)과, 상기 탄성스프링(34)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3) 사이에 상,하 양쪽에 설치되어 플레이트(33)가 고정플레이트(32)로 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35)과, 상기 타격부(30)가 결합된 전면 상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50)와, 상기 몸체(10)의 하측 양다리부가 결합되고 물을 넣어 사용하는 바닥중량체(6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파워측정 센싱수단(40)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센싱수단(4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32)에 상,하측이 고정되게 고정홀(411)이 형성되고 양측판 사이에 공간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에 축홀(413)과 상하측이 고정홀(414)과 전면하측에 케이스홀(415)이 형성된 센서브라켓(41)과, 상기 축홀(413)에 끼워져 결합되며 중앙에 와이어결합홀(421)과 일측이 절결되어 태엽스프링(47) 내측 끝단을 고정하는 절결홈(422)이 형성된 중심축(42)과, 상기 공간부(412)에 위치하며 상기 중심축(42)에 결합되는 중심홀(431)을 중심으로 상부관통구멍(432)과 하부관통구멍을 형성한 와이어원판(43)과, 상기 와이어원판(43)의 상부관통구멍(432)을 통해 상기 중심축(42)에 형성된 와이어결합홀(421)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44)와, 상기 와이어(44)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33)에 고정되는 조절볼트(441)와, 상기 중심축(42)의 일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다수의 센싱홀(461)이 형성된 측정원판(46)과, 상기 중심축(42)의 타측 절결홈(422)에 내측 끝단이 고정되고 외측 끝단은 태엽케이스(48)의 고정홀(481)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47)과, 상기 태엽스프링(47)이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센서브라켓(41)과 상측은 고정핀(482)으로 결합되고 하측은 고정볼트로 결합되는 태엽케이스(48)와, 상기 센서브라켓(41)의 상부홈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원판(46)의 다수의 센싱홀(461)을 통해 감지하는 검출센서(45)와, 상기 검출센서(45)를 고정시키며 상기 센서브라켓(41)의 전면 케이스홀(415)에 고정되며 절곡된 전면에 와이어구멍(491)과 고정홀(492)이 형성된 센서케이스(49)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센서브라켓(41)은 고정홀(411)을 통해 볼트로 고정플레이트(31)와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44)의 타측이 고정된 조절볼트(441)는 플레이트(33)의 중앙에 절곡된 고정리브(331)의 볼트구멍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간격유지수단(35)은 몸체(10)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31)와 플레이트(33)에 변형이 자유로운 로프의 양끝단을 각각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로프는 고정플레이트(31)에 일단이 결합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타단이 플레이트(33)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이다.
상기 와이어원판(43)은 중심홀(431)을 중심으로 상부관통구멍(432)보다 하부관통구멍이 넓게 형성되여 상기 중심축(42)의 와이어결합홀(421)에 와이어(44) 일단을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이 로봇커버(20)가 설치되며 몸체(10)의 하측 양다리부가 바닥중량체(60)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중량체(60)에는 물을 넣고 뺄수 있는 주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전방과 양측면에는 타격부(30)가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타격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3)의 외측에 충격흡수부재(31)를 고정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플레이트(33)는 알루미늄 또는 가벼운 소재의 금속재, 또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로 제작한다.
상기 플레이트(33)와 충격흡수부재(31)의 고정은, 플레이트(32)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충격흡수부재(31)의 내측면에 고정부를 형성하여 볼트를 관통구멍으로 관통시켜 고정부에 나사결합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와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3)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4)이 설치되어 플레이트(33)가 항상 몸체(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고정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3) 사이의 상,하 양측에는 플레이트(33)가 고정플레이트(32)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간격유지수단(35)이 구비된 것으로, 간격유지수단(35)은 굴곡 변형이 자유로운 로프의 양끝단을 고정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3)에 각각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로프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탄성스프링(34)의 탄성력으로 고정플레이트(32)로부터 이격되는 플레이트(33) 사이의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히기 위한 것이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수단(4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32)에 상,하측이 고정되게 고정홀(411)을 통해 볼트로 센서브라켓(41)을 설치한다.
상기 센서브라켓(41)의 양측판 사이에 공간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에 축홀(413)과 상하측이 고정홀(414)과 전면하측에 케이스홀(415)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와이어원판(43)을 공간부(412)에 삽입하고 일측에서 중심축(42)을 축홀(413)과 와이어원판(43)의 중심홀(431)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중심축(42) 일측에는 다수의 센싱홀(461)이 형성된 측정원판(46)을 볼트로 고정되게 결합한다.
이때 측정원판(46)의 센싱홀(461)이 위치되게 검출센서(45)를 상기 센서브라켓(41)의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한다.
상기 중심축(42)의 타측 절결홈(422)에 태엽스프링(47)의 내측 끝단을 끼워 고정하고 외측 끝단은 태엽케이스(48)의 고정홀(481)에 끼워 고정한다.
상기 태엽케이스(48)의 상측은 상기 센서브라켓(41)의 상측 고정홀(414)에 고정핀(482)으로 결합하고 하측은 고정볼트로 결합한다.
이후 와이어(44)의 타단이 고정된 조절볼트(441)를 상기 플레이트(33)에 형성된 절곡된 고정리브(331)의 볼트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44)의 일단은 센서케이스(49)의 와이어구멍(491)을 통해 와이어원판(43)의 상부관통구멍(432)을 통하여 중심축(42)의 와이어결합홀(421)을 통해 하부관통구멍에서 와이어(44)가 두줄로 묶여져서 상기 중심축(42)의 와이어결합홀(421)까지 올라가 상기 중심축(42)과 와이어원판(43)이 고정된다.
이후 센서케이스(49)는 고정홀(492)을 통해 볼트로 상기 센서브라켓(41)의 전면 케이스홀(415)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태엽케이스(48)을 반시계방향으로 두세바퀴 정도 돌리면 태엽스프링(47)이 외측 끝단이 태엽케이스(48)와 결합되어 있어 태엽스프링(47)이 감기면서 중심축(42)에 고정된 와이어(44)는 태엽스프링(47)이 풀리려는 힘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된다.
이후 태엽케이스(48)의 상측을 상기 센서브라켓(41)의 상측 고정홀(414)과 고정핀(482)으로 고정시키고 하측을 고정볼트로 상기 센서브라켓(41)와 결합한다.
상기 검출센서(45)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표시부와 입력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에서는 시간과 타격속도, 타격횟수,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를 갖는 각종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50)는 타격부(30)에 가해진 측정값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것이다.
도 7,8은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의 몸체와 헤드부에 설치되는 센싱수단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격부(30)에 설치된 센서수단(40)과 동일하게 상기 몸체(10)의 상부와 헤드부에 사이에 센서수단(40)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격부(30)의 충격흡수부재(31)를 손 또는 발차기로 타격하면 플레이트(33)가 내측으로 이동되며 플레이트(33)의 중앙에 조절볼트(441)에 설치된 와이어(44)가 순간 느슨해지 지게 된다. 이때 고정플레이트(31)에 설치된 센싱수단(40)의 태엽스프링(47)이 와이어(44)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상태에서 순간 풀리면서 중심축(42)이 역회전되며 고정된 상기 측정원판(46)이 같이 역회전되어 다수의 센싱홀(461)에 의해 검출센서(45)에서 이동거리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보내게 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50)에 타격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타격부(30)는 타격이 끝나는 동시에 고정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3) 사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플레이트(33)가 원치치 되며 와이어(44)를 당기게 되므로 중심축(42) 정회전하며 태엽스프링(47)도 원위치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격시 이동하는 이동거리를 검출센서(45)가 직접 검출하게 되므로,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로써 타격시 각종 타격 데이터의 정보도 매우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32)와 플레이트(33) 사이에 설치된 로프에 의해서는 타격에 의해 플레이트(33)가 몸체(10) 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로프가 굴곡 자유롭기 때문에 플레이트(33)의 이동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고, 탄성스프링(34)에 의해 원위치할 때에는 로프의 길이에 의해 플레이트(33)가 고정플레이트(32)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는 입력부가 구비되어 프로그램에 따른 다양한 방법의 타격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타격시간 및 타격횟수 그리고 타격속도,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 등의 각종 데이터를 미리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와 헤드부에 설치된 센싱수단(40)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손으로 헤드부를 타격하면 내부에 설치된 센싱수단(40)의 플레이트(33)는 타격하는 반대 방향으로 밀려 플레이트(33)의 중앙에 조절볼트(441)에 설치된 와이어(44)를 당기게 된다. 이때 태엽스프링(47)이 와이어(44)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상태에서 와이어(44)가 당겨지며 와이어원판(43)이 정회전되며 중심홀(431)에 끼워 결합된 상기 중심축(42)이 정회전되며 태엽스프링(47)은 상기 측정원판(46)이 같이 정회전되어 다수의 센싱홀에 의해 검출센서(45)에서 이동거리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보내게 되고,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50)에 타격에 따른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헤드부의 타격이 끝나는 동시에 상기 태엽스프링(47)이 풀리면서 중심축(42)이 역회전되며 와이어원판(43)이 역회전되어 와이어(44)를 감으며 원위치로 당기게 되고 이때 상기 측정원판(46)도 같이 역회전되어 최초 센싱홀 위치가 검출센서(45)와 일치되게 원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타격시 이동하는 이동거리를 검출센서(45)가 직접 검출하게 되므로,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로써 타격시 각종 타격 데이터의 정보도 매우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를 설치한 후 사용자가 입력부에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그 운동연습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타격연습에 따른 각각에 해당되는 데이터들이 표시부에 숫자로 나타남으로써 연습자는 타격강도와 타격의 정확도, 그리고 타격의 타격속도, 타격횟수, 타격시 무게, 타격시 시간변화량, 충격량, 충격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무술훈련 기구 10 : 몸체
20 : 로봇커버 30 : 타격부
31 : 충격흡수부재 32 : 고정플레이트
33 : 플레이트 34 : 탄성스프링
35 : 간격유지수단 40 : 센싱수단
41: 센서브라켓 42 : 중심축
43 : 와이어원판 44 : 와이어
45 : 검출센서 46 : 측정원판
47 : 태엽스프링 48 : 태엽케이스
49 : 센서케이스 50 : 디스플레이부
60 : 바닥중량체

Claims (6)

  1. 헤드부의 하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형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로봇커버와, 상기 몸체의 전방과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외부에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되어 타격부로 이루어진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측 중앙에 결합된 파워측정 센싱수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이격된 위치에 충격흡수부재가 외측에 결합된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게 설치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사이에 상,하 양쪽에 설치되어 플레이트가 고정플레이트로 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간격유지수단과, 상기 타격부가 결합된 전면 상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의 하측 양다리부가 결합되고 물을 넣어 사용하는 바닥중량체로 구성되며,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하측이 고정되게 고정홀이 형성되고 양측판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판에 축홀과 상하측이 고정홀과 전면하측에 케이스홀이 형성된 센서브라켓과, 상기 축홀에 끼워져 결합되며 중앙에 와이어결합홀과 일측이 절결되어 태엽스프링 내측 끝단을 고정하는 절결홈이 형성된 중심축과,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는 중심홀을 중심으로 상부관통구멍과 하부관통구멍을 형성한 와이어원판과, 상기 와이어원판의 상부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중심축에 형성된 와이어결합홀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중심축의 일측에 볼트로 결합되는 다수의 센싱홀이 형성된 측정원판과, 상기 중심축의 타측 절결홈에 내측 끝단이 고정되고 외측 끝단은 태엽케이스에 고정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태엽스프링이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센서브라켓과 상측은 고정핀으로 결합되고 하측은 고정볼트로 결합되는 태엽케이스와, 상기 센서브라켓의 상부홈에 결합되며 상기 측정원판의 다수의 센싱홀을 통해 감지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를 고정시키며 상기 센서브라켓의 전면 케이스홀에 고정되며 절곡된 전면에 와이어구멍과 고정홀이 형성된 센서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파워측정 센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브라켓은 고정홀을 통해 볼트로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고정된 조절볼트는 플레이트의 중앙에 절곡된 고정리브의 볼트구멍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수단은 몸체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변형이 자유로운 로프의 양끝단을 각각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된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타단이 플레이트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KR1020150117306A 2015-08-20 2015-08-20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KR10156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306A KR101568981B1 (ko) 2015-08-20 2015-08-20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306A KR101568981B1 (ko) 2015-08-20 2015-08-20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981B1 true KR101568981B1 (ko) 2015-11-16

Family

ID=5478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306A KR101568981B1 (ko) 2015-08-20 2015-08-20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8878A (zh) * 2019-08-07 2019-11-22 威海五度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囊形变原理的攻击力测试拳靶
CN113500628A (zh) * 2021-07-07 2021-10-15 浙江齐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跌倒的自动站立机构
WO2022239924A1 (ko) * 2021-05-12 2022-11-17 (주) 무토 인체 관절형 전신 타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8878A (zh) * 2019-08-07 2019-11-22 威海五度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囊形变原理的攻击力测试拳靶
CN110478878B (zh) * 2019-08-07 2024-04-16 威海五度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囊形变原理的攻击力测试拳靶
WO2022239924A1 (ko) * 2021-05-12 2022-11-17 (주) 무토 인체 관절형 전신 타격기
CN113500628A (zh) * 2021-07-07 2021-10-15 浙江齐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跌倒的自动站立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584B2 (en) Apparatus for kicking exercise
US4881742A (en) Volleyball technique trainer
US3948517A (en) Tennis stroke practice device
US20020055402A1 (en) Batting swing trainer and method
KR101568981B1 (ko) 무술파워측정을 위한 무술훈련 기구
JP6445697B2 (ja) ゴルフパット矯正装置
US6648780B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20150265869A1 (en) Battle Rope Training Device
US9227130B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5634856A (en) Sports swing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40315652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1488212B1 (ko) 발차기 운동기구
WO2012096593A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большого тенниса «теннисан»
US20060009314A1 (en) Tennis strok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9468829B2 (en) Sport swing training apparatus and swing system
US8439767B2 (en) Adjustable pendulum golf putting trainer
KR101959777B1 (ko) 골프 연습장치
US4928974A (en) Golf swing trainer
KR100635383B1 (ko) 무술연습장치
KR101754226B1 (ko) 골프 샷 훈련 및 교정 장치
KR101100289B1 (ko) 플랫 다운스윙 연습기
JP3174991U (ja) スイング軌道練習用具
KR200487288Y1 (ko) 스윙 자세 교정구
KR101372576B1 (ko) 골프스윙 연습기구
KR0148427B1 (ko) 무술연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