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091B1 - 타격 트레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타격 트레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091B1
KR102563091B1 KR1020220118262A KR20220118262A KR102563091B1 KR 102563091 B1 KR102563091 B1 KR 102563091B1 KR 1020220118262 A KR1020220118262 A KR 1020220118262A KR 20220118262 A KR20220118262 A KR 20220118262A KR 102563091 B1 KR102563091 B1 KR 10256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ting
support
shock absorbing
device housing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웰와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웰와이즈 filed Critical (주)웰와이즈
Priority to KR102022011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4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movabl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는, 선택적으로 타격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되는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 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부 및 상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완충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을 세우는 지지 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격 트레이닝 장치{PUNCHING TRAING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타격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타격부 중 타격 표시가 된 타격부를 선택적으로 타격할 수 있어 흥미를 느끼면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에 대하여 여러 완충 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은 물론 소음 저감 구조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은 물론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관리 및 몸매관리 등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해 사람들은 헬스 트레이닝 클럽이나 체육 시설 또는 기타 여러 장소에 설치된 다양한 운동 기구들을 이용해 운동을 하고 있는데, 이의 경우 꾸준히 운동을 하면 충분한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대부분 단순하고 지루한 운동이어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고 중도에 그만 두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재미와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복싱, 태권도, 격투기 등과 같은 타격 기반의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타격 기반 운동에는 샌드백과 같은 타격 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샌드백의 경우 훈련자의 타격에 의해 좌우 상하로 움직이는 것 말고는 다른 반응이 없기 때문에, 흥미 면에서 그렇게 탁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운동 방법 역시 금방 그만 두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타격 센서를 구비한 펀칭 머신 등이 개발되어서 사용되고 있는데, 이 머신의 경우 다수의 타격 지점에 선택적으로 불이 들어오면 그 타격 지점을 타격함으로써 훈련장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 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펀칭 머신과 같은 장치의 경우에도, 타격 지점만이 표시됨으로써 단조로운 운동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으며, 따라서 충분한 운동량을 끌어내지 못하였으며, 아울러 플라스틱 기반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우수한 내구성을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훈련자에게 운동의 흥미를 느끼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충분한 운동량을 끌어낼 수 있으며,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한 새로운 구성의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10-2221287호(발명의 명칭: 타격 감지와 LSTM 모델을 이용한 게임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타격부 중 타격 표시가 된 타격부를 선택적으로 타격할 수 있어 흥미를 느끼면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에 대하여 여러 완충 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은 물론 소음 저감 구조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는, 선택적으로 타격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되는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 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부 및 상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완충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을 세우는 지지 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 발판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부분과,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 부분 및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부분이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분과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재는 3개의 충격 흡수부재이며, 상기 3개의 충격 흡수부재 중 2개의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분의 양 단부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고, 1개의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분과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3개의 충격 흡수부재는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 구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충격 완화를 위한 완충 고무 또는 완충 스프링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부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연성 제공부는 스프링이며,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제1 지지 부분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프레임과,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제공부의 일단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연성 제공부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상기 유연성 제공부 중심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저감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되는 전면 하우징부재 및 상기 전면 하우징부재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하우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전면 하우징부재는, 전방을 향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타격부가 배치되는 전면 부분과, 상기 전면 부분의 양측에서 경사지게 연결되어 전방 및 측방의 사이 방향을 향하며, 적어도 1개의 상기 타격부가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측면 부분 및 상기 2개의 측면 부분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후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상기 타격부가 각각 배치되는 2개의 하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타격부는, 실리콘 재질의 타격 부분과, 상기 타격 부분의 후미에 구비되는 LED 램프 및 상기 타격 부분 및 상기 LED 램프가 장착되며, 타격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메모리폼으로 마련되는 장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치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에게 동작을 지시하는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는, 선택적으로 타격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되는 장치 하우징과, 상기 장치 하우징이 지면에 대해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발판부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연성 제공부는 스프링이며, 상기 유연성 제공부를 감쌈으로써 상기 유연성 제공부 중심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저감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타격부 중 타격 표시가 된 타격부를 선택적으로 타격할 수 있어 흥미를 느끼면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에 대하여 여러 완충 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은 물론 소음 저감 구조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에서 사용자가 트레이닝을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 하우징에서 후면 하우징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완충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에서 사용자가 트레이닝을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 하우징에서 후면 하우징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완충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완충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100)는, 사용자(1)가 장치의 발판부(150)에 서서 예를 들면 위빙(weaving) 또는 더킹(ducking)과 같은 동작을 하면서 타격부(120)를 타격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복수 개의 타격부(120)의 선택적인 점등에 따라 타격 훈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된 대로 위빙 또는 더킹과 같은 동작을 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어 우수한 훈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타격이 가능한 복수 개의 타격부(120)를 구비하는 장치 하우징(110)과,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 또는 소음을 줄이는 완충부(130)와, 장치 하우징(110)이 장착됨은 물론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완충부(130)가 장착되는 지지 발판부(150)와, 장치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지지 발판부(150)의 기립부재(151)에 장착되어 사용자(1)에게 예를 들면 위빙(weaving) 또는 더킹(ducking) 방향을 지시하는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170)와, 장치의 온/오프 및 제어를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1)는 복수 개의 타격부(120) 중 타격 표시가 된 타격부(120)를 선택적으로 타격할 수 있어 흥미를 느끼면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겠지만 여러 단계의 완충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소음 저감 구조로 인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장치 하우징(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타격부(120)가 구비되는 전면 하우징부재(111)와, 전면 하우징부재(111)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하우징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면 하우징부재(111)와 후면 하우징부재(115)의 결합에 의해 완충부(130)와 같은 구성이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면 하우징부재(111)는 전방을 향하는 평평한 부분이 있고, 이에 굴곡을 갖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부분이 있는데, 이를 통해 타격부(120)가 여러 부분에서 여러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1)는 다양한 타격 훈련을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전면 하우징부재(111)는, 전방을 향하며 4개의 타격부(120)가 정사각형 구도로 구비되고 그 가운데 1개의 타격부(120)가 구비되는 전면 부분(112)과, 전면 부분(112)의 양측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전방 및 측방의 사이 방향을 향하며 1개의 타격부(120)가 배치되는 2개의 측면 부분(113)과, 2개의 측면 부분(113)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뒤쪽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1개의 타격부(120)가 각각 배치되는 2개의 하면 부분(11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는 전면 부분(112)에 구비된 타격부(120)를 통해 스트레이트 훈련을 할 수 있고, 측면 부분(113)에 구비된 타격부(120)를 통해 훅 훈련을 할 수 있으며, 하면 부분(114)에 구비된 타격부(120)를 통해 어퍼컷 훈련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타격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총 9개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1)는 이 중 점등된 타격부(120)만을 선택적으로 타격함으로써 타격 훈련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타격부(1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식 타격 부분(121)과, 타격 부분(121)의 후미에 구비되거나 타격 부분(121)을 감싸는 LED램프(122)와, 타격 부분(121) 및 LED 램프(122)가 장착되는 장착 부분(12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격 부분(121)은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1)가 타격하더라도 충격이 완화되어 사용자(1)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장이 발생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LED 램프(122)는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1)는 LED 램프(122)가 켜진 타격부(120)만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훈련을 할 수 있다.
장착 부분(123)은 메모리폼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타격 부분(121)을 타격하면 그 충격이 장착 부분(123)에게까지 미치게 되는데, 장착 부분(123)이 메모리폼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며, 타격으로 인한 충격 발생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완충부(130)가 구비됨으로써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완충부(1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발판부(15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31)와, 지지부재(13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전면 하우징부재(111)의 내면에 연결되어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3개의 충격 흡수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타격부(120)를 타격하면 충격 흡수부재(141)에 충격이 흡수되는데, 이때 충격 흡수부재(141)를 지지부재(131)가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부재(131)는 일부분이 다른 일부분에 대해 움직임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지지부재(131)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부분(132)과, 내부 공간의 하부 영역에서 지지 발판부(150)의 기립부재(15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 부분(132)과, 기립부재(151)에 제1 지지 부분(132)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135, 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지지 부분(132)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공간의 상부 영역에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데, 이러한 제1 지지 부분(132)의 양단부에 3개의 충격 흡수부재(141) 중 2개의 충격 흡수부재(141)가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 부분(132)의 양단부 각각에 충격 흡수부재(141)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에 대응되는 전면 하우징부재(111)의 내면에 충격 흡수부재(141)의 타단이 연결됨으로써 전면 하우징부재(111)가 제1 지지 부분(132)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이 충격 흡수부재(141)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충격 흡수부재(141)는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완충 고무 대신 완충 스프링 등이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2 지지 부분(13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발판부(150)의 기립부재(151)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지지 부분(132)에 3개의 충격 흡수부재(141) 중 나머지 1개의 충격 흡수부재(141)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분(132)에 일단이 장착되는 충격 흡수부재(141)는 그 타단이 전면 하우징부재(111)의 내면에 연결됨으로써 전면 하우징부재(111)의 중앙의 아래 영역에 가해지는 충격을 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3개의 충격 흡수부재(141)는 지지 부분(132, 133)들로 인해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 구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면 하우징부재(111)에 구비된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3개의 충격 흡수부재(141)에 의해 고르게 흡수할 수 있어 장치의 내구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것처럼 타격부(120)의 타격 부분(121)이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고 장착 부분(123)이 메모리폼으로 마련되어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을 일차적으로 완화할 수 있음은 물론 완충부(130)의 충격 흡수부재(141)들로 인해 타격 시 발생되는 주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완충부(130)는, 추가적인 충격 완화 및 소음 저감을 위해서, 제1 지지 부분(132)이 제2 지지 부분(132)이 결합된 지지 발판부(150)의 기립부재(151)의 상단부에 대해 움직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연결 부분(135) 및 이에 구비되는 유연성 제공부(190, 도 6 참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완충부(130)의 연결 부분(135)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지지 부분(132)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프레임(136)과, 기립부재(151)의 양측에 고정된 고정바아(152)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프레임(1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연성 제공부(190)가 제1 고정 프레임(136)과 제2 고정 프레임(137) 간을 연결함으로써 제2 고정 프레임(137)에 대한 제1 고정 프레임(136)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유연성 제공부(190)는, 직경이 어느 정도 되는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연성 제공부(190)의 일단이 제1 고정 프레임(136)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고정 프레임(137)에 고정됨으로써 제1 고정 프레임(136)과 일체를 이루는 제1 지지 부분(132)이 기립부재(151)에 대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추가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타격 트레이닝 장치(100)는 소음 저감 박스(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저감 박스(180)는 유연성 제공부(190)와, 제1 고정 프레임(136) 및 제2 고정 프레임(137)의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유연성 제공부(190) 중심의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되는 소음이 빈 공간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170)는, 사용자(1)가 잘 볼 수 있도록 장치 하우징(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사용자(1)에게 다양한 동작을 요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170)에 위빙 또는 더킹 방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1)는 이를 보고 다양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타격부(120) 중 타격 표시가 된 타격부(120)를 선택적으로 타격할 수 있어 흥미를 느끼면서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타격부(120)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에 대하여 여러 완충 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은 물론 소음 저감 구조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 트레이닝 장치는, 장치 하우징의 전면 하우징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장치 하우징 내에서 기립부재의 상단붕에 대해 지지붕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부를 기립부재에 연결하는 유연성 제공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충격 흡수부재들이 구비되는 경우에 대해 상술하였는데, 충격 흡수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유연성 제공부만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타격 트레이닝 장치
110: 장치 하우징
111: 전면 하우징부재
115: 후면 하우징부재
120: 타격부
121: 타격 부분
122: LED 램프
123: 장착 부분
130: 완충부
131: 지지부재
132: 제1 지지 부분
133: 제2 지지 부분
135: 연결 부분
141: 충격 흡수부재
150: 지지 발판부
160: 제어부
170: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
180: 소음 저감 박스
190: 유연성 제공부

Claims (14)

  1. 선택적으로 타격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되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 가능한 충격 또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완충부; 및
    상단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완충부에 부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을 세우는 지지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 발판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 부분;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 부분; 및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부분이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지지 부분과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분 및 상기 제2 지지 부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 부분, 상기 제2 지지 부분, 상기 연결 부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격 흡수부재는 3개의 충격 흡수부재이며,
    상기 3개의 충격 흡수부재 중 2개의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제1 지지 부분의 양 단부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고, 1개의 충격 흡수부재는 상기 제2 지지 부분과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3개의 충격 흡수부재는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삼각형 구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충격 완화를 위한 완충 고무 또는 완충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 부분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유연성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제공부는 스프링이며,
    상기 연결 부분은,
    상기 제1 지지 부분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프레임;
    상기 지지 발판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제공부의 일단이 상기 제1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제공부와, 상기 제1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상기 유연성 제공부 중심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타격부의 타격 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저감 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기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되는 전면 하우징부재; 및
    상기 전면 하우징부재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하우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하우징부재는,
    전방을 향하며 복수 개의 상기 타격부가 배치되는 전면 부분;
    상기 전면 부분의 양측에서 경사지게 연결되어 전방 및 측방의 사이 방향을 향하며, 적어도 1개의 상기 타격부가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측면 부분; 및
    상기 2개의 측면 부분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후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적어도 1개의 상기 타격부가 각각 배치되는 2개의 하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는
    실리콘 재질의 타격 부분;
    상기 타격 부분의 후미에 구비되는 LED 램프; 및
    상기 타격 부분 및 상기 LED 램프가 장착되며, 타격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메모리폼으로 마련되는 장착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에게 동작을 지시하는 동작 표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 트레이닝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220118262A 2022-09-20 2022-09-20 타격 트레이닝 장치 KR10256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62A KR102563091B1 (ko) 2022-09-20 2022-09-20 타격 트레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262A KR102563091B1 (ko) 2022-09-20 2022-09-20 타격 트레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091B1 true KR102563091B1 (ko) 2023-08-03

Family

ID=8756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262A KR102563091B1 (ko) 2022-09-20 2022-09-20 타격 트레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0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43Y1 (ko) * 2003-01-23 2003-04-16 주식회사 아름 타격 게임기
KR20140137838A (ko) * 2013-05-24 2014-12-03 (주)슈칸 발차기 운동기구
KR20160049111A (ko) * 2014-10-24 2016-05-09 케어로보시스템스(주) 타격 훈련용 로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43Y1 (ko) * 2003-01-23 2003-04-16 주식회사 아름 타격 게임기
KR20140137838A (ko) * 2013-05-24 2014-12-03 (주)슈칸 발차기 운동기구
KR20160049111A (ko) * 2014-10-24 2016-05-09 케어로보시스템스(주) 타격 훈련용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5356B2 (ja) ボクシング・トレーニング装置
US6685581B2 (en) Athlete training device
US5685542A (en) Tennis teaching apparatus
US7488276B2 (en) Sparring partner
US4635929A (en) Karate exercising bag
CA2594882A1 (en) Sparring apparatus
US20120238414A1 (en) Sparring Dummy
US7041016B1 (en) Volleyball spiking training system
US3310306A (en) Ball batting practice apparatus
US20090029833A1 (en) Exercising ball
KR102563091B1 (ko) 타격 트레이닝 장치
US6241640B1 (en) Boxing exercise apparatus
US20020111222A1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US20170007897A1 (en) Baseball Training Device
CN1042841A (zh) 练习用的高尔夫球棒及系统
WO2010058992A2 (ko) 좁은 실내 공간용 라켓
ES2269478T3 (es) Aparato para juegos de pelota.
JP2003175140A (ja) 卓球などの球技練習装置
CN201939983U (zh) 一种乒乓球、网球或壁球击球力量训练器
CN206577329U (zh) 一种让投篮更精准的篮球框
JP2005529718A (ja) 可変レイアウトを有する競技領域の周囲マーキングシステム
US8287405B1 (en) Batting machine
US20240001211A1 (en) A sports training apparatus
KR102557076B1 (ko) Vr 리얼 모듈시스템
KR102650665B1 (ko) 스크린 골프장용 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