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236B1 -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236B1
KR102248236B1 KR1020210013396A KR20210013396A KR102248236B1 KR 102248236 B1 KR102248236 B1 KR 102248236B1 KR 1020210013396 A KR1020210013396 A KR 1020210013396A KR 20210013396 A KR20210013396 A KR 20210013396A KR 102248236 B1 KR102248236 B1 KR 10224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rive shaft
piston
brak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스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스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스포텍
Priority to KR1020210013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236B1/ko
Priority to KR1020210043403A priority patent/KR102266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63B21/005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for charging a batt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7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81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 조작이 가능한 구동축을 제공하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구동축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제동력을 부여하여 운동기구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운동기구 및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는, 운동기구의 구동축에 부착되며, 구동축의 변형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구동축의 변형을 감지할 시 상기 구동축을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BREAKING DEVICE AND EXERCISE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이나 회동 조작이 가능한 구동축을 제공하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구동축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제동력을 부여하여 운동기구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운동기구 및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식생활이 개선되고 여가가 늘어나면서 과거에 비교해 자연스럽게 건강과 힐링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힐링을 동시에 이루게 해주는 것이 바로 운동이라 할 수 있다.
운동을 하면 행복감을 주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이나 엔도르핀이 증가되어 운동 그 자체만으로도 심리적, 정신적 힐링으로 이어지게 된다.
더 나아가,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쾌감을 얻는 것도 심리적, 정신적 힐링에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은 혈당과 혈압, 혈중 지질, 체지방 등을 감소시켜 만성질환 개선에 도움이 된다.
걷기, 조깅과 같이 별도의 도구 없이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도 물론 건강에 도움이 되나, 전체적인 체력 향상은 물론 근력, 순발력, 지구력, 민첩성 강화를 위하거나 특정 근육의 발달을 위해 다양한 운동기구를 활용한 운동 훈련방법이 공개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자전거, 러닝머신과 같은 장치를 비롯하여 바벨, 덤벨, 폼롤러와 같은 소도구를 활용한 방법까지 다양한 운동 방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기구 역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공지의 운동기구는 고정식으로 특정 장소에 배치되어 기능에 따라 특정 신체 부위를 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운동기구는 작동체가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동 또는 회전가능하게 제공되어, 사용자는 작동체를 손이나 발로 회전시켜 가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구동축은 반복적으로 회동 또는 회전작동하기 때문에 쉽게 마모, 변형되어 운동기구에 고장을 발생시키는 주된 요인이 된다.
그리고, 구동축은 대부분 운동기구의 내부에 매립되기 때문에 관리자나 사용자가 구동축의 변형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동축이 변형된 사실을 알지 못하고 운동기구를 계속 사용할 경우 운동기구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구동축의 변형으로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동축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신속히 파악하여 운동기구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운동기구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1050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19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동 조작이 가능한 구동축을 제공하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구동축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제동력을 부여하여 운동기구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운동기구 및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는, 운동기구의 구동축에 부착되며, 구동축의 변형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구동축의 변형을 감지할 시 상기 구동축을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며 상기 운동기구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장자리에 삽입홀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가 구동축의 변형을 감지할 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동되는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회동 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작동시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와 고압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배관을 통해 주입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전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피스톤에 푸쉬되어 전진될 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회전체 및 구동축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회전체의 가장자리에는 인식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인식수단을 인식할 시 상기 제3 실린더의 피스톤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에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및 제동장치는, 회동 조작이 가능한 구동축을 제공하여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구동축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제동력을 부여하여 운동기구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된 제동장치를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및 이 운동기구에 적용된 제동부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된 제동부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된 제동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1)는, 공원, 놀이터, 산책로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운동기구(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운동기구(100)를 구성하는 구동축(140)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구동축(140)을 제동시켜 운동기구(100)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동장치(1)는, 감지부(10) 및 제동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는 구동축(140)에 부착된다. 감지부(10)는 구동축(140)의 변형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적용된다.
그 예로, 감지부(10)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적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구동축(140)이 마찰로 인해 마모되거나 휘어지는 등 기 설정된 양 이상으로 변형될 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제동부(2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관리자용 PC에 구동축(140)의 마모사실을 전송할 수 있다.
제동부(20)는 구동축(140)이 기 설정된 양 이상으로 변형될 시 구동축(140)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제동부(20)는 회전체(21)와, 솔레노이드(22)와, 회동체(23)와, 제1 실린더(24)와, 제2 실린더(27) 및 제3 실린더(28)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제동부(20) 및 본 발명의 제1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일면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회전가이드홀이 형성된 포스트(120)와, 포스트(1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손잡이(130)와, 일부분이 포스트(120)의 회전가이드홀의 내부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측부분이 포스트(120)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동축(140)과, 구동축(140) 중 포스트(120)의 우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장착되며, 구동축(140)과 함께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며, 사용자가 양발로 디딜 수 있는 발판(151)을 갖는 작동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따라서, 사용자는 발판(151)에 올라서서 손잡이(130)를 잡은 다음, 하체를 좌,우 방향으로 반복해서 번갈아가면서 흔드는 방식으로 운동을 하면된다.
이때, 포스트(120)에는 전술한 제동부(20)가 수납되는 케이스(C1)가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C1)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22)에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반(C)이 수납된다.
한편, 제동부(20)를 구성하는 회전체(21)는 포스트(120)의 회전가이드홀에 삽입되고 구동축(140)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장착구(211) 및 그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어 구동축(140) 중 포스트(120)의 좌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중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삽입홀(2121)과 인식수단(2122)이 형성된 매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매개부(212)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3 실린더(28)의 제동력이 구동축(140)에 작용되도록 한다.
인식수단(2122)은 센서부(30)가 인식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홀(HOLE)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30)는 케이스(C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매개부(212)의 가장자리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인식수단(2122)은 센서부(30)가 삽입홀(2121)을 감지하지 아니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인식수단(2122)은 삽입홀(2121)보다 중공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센서부(30)는 인식수단(2122)만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30)는 어느 물체에서 홀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제품들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센서부(30)는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포토센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부와 수광부는 매개부(212)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매개부(212)는 구동축(140)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인식수단(2122)이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는 발광부의 광이 수광부에 수신되지 않는다.
그리고, 매개부(212)가 회전됨으로 인해 발광부와 인식수단(2122)이 수평선상에 위치되면, 수광부가 발광부의 광을 수신하게 됨으로, 인식수단(2122)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센서부(30)는 감지부(10)가 구동축(140)의 변형을 감지하였을 때만 온(ON) 상태가 되어 인식수단(2122)을 감지하게 된다.
솔레노이드(22)는 케이스(C1)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매개부(212)의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솔레노이드(22)의 로드(221)는 회전체(21)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로드(221)는 감지부(10)가 구동축(140)의 변형을 감지 시 전진되면서 회전체(21)를 밀어 회동시킨다.
회동체(23)는 케이스(C1)의 내부공간에 수직배치되며, 그 중앙부분에는 케이스(C1)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축(231)이 형성된다.
회동체(23)의 하측은 로드(221)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회동체(23)는 축(231)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체(23)가 수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로드(221)가 전진되면 회동체(23)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제1 실린더(24) 및 케이스(C1)의 내벽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부가적으로, 회동체(23)의 상측에는 장공(23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장공(232)에는 제1 실린더(24)의 피스톤(241)이 핀(234)을 통해 고정되는 롤러(233)가 형성된다.
롤러(233)는 회동체(23)가 수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장공(232)의 중앙부분에 위치된다.
롤러(233)는 회동체(23)의 회동방향이나 각도에 따라 장공(232)의 내벽면을 따라 구름이동됨으로, 제1 실린더(24)의 피스톤(241)은 수평방향으로만 작동하게 된다.
제1 실린더(24)의 내부공간에는 제동에 필요한 제동력을 제공하는 작동유체(26)가 저장된다.
피스톤(241)은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롤러(233)에 핀(234) 고정되고, 다른 부분은 제1 실린더(24)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그리고, 피스톤(241)의 끝단에는 제1 실린더(24)의 내부공간에 압력을 가해 작동유체(26)를 배출시키는 가압부재(2411)가 형성된다.
즉, 회동체(23)의 상측이 제1 실린더(24) 방향으로 회동되면, 제1 실린더(24)의 피스톤(241)이 연계하여 전진되고, 이로 인해 가압부재(2411)가 작동유체(26)를 배출시킨다.
제2 실린더(27)는 고압배관(25)을 매개로 제1 실린더(24)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실린더(24)에서 배출된 작동유체(26)는 고압배관(25)을 통해 제2 실린더(27)의 내부공간에 주입된다.
제2 실린더(27)의 내부공간에 주입된 작용유체는 피스톤(271)의 가압부재(272)를 밀어낸다. 따라서, 피스톤(271)은 전진된다. 피스톤(271)이 전진 시 제2 실린더(27)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실린더(27)의 내부에는 전진된 피스톤(271)을 후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1 복귀스프링(27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복귀스프링(2712)은 가압부재(272)와 제2 실린더(27)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복귀스프링(2712)은 제2 실린더(27)의 피스톤(271)이 전진 시 압축된다.
그리고, 전술한 로드(221)가 후진될 시 제1 실린더(24)의 피스톤(241)도 함께 후진되며, 이로 인해 제2 실린더(27) 내의 작동유체(26)는 고압배관(25)을 통해 제2 실린더(27)의 내부공간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복귀스프링(2712)은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되면서 제2 실린더(27)의 피스톤(271)을 민다. 따라서, 제2 실린더(27) 내의 작동유체(26)가 제1 실린더(24)로 신속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실린더(28)는 제2 실린더(27)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은 좌측과 우측이 제3 실린더(28)의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된다.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은 좌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제2 실린더(27)의 피스톤(271)과 접촉되고,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매개부(212)의 가장자리면과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은 매개부(212)의 회전각도에 따라 삽입홀(2121)과 마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 중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2 실린더(27)의 피스톤(271)에 푸쉬되어 전진될 시 삽입홀(2121)에 삽입되어 매개부(212) 및 구동축(14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3 실린더(28)의 내부에는 전진된 피스톤(281)을 후진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제2 복귀스프링(28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복귀스프링(283)은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돌출편(282)과 제3 실린더(28)의 내벽면에 형성된 지지편(284)의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2 복귀스프링(283)은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이 매개부(212) 방향으로 전진 시 압축된다.
그리고, 전술한 로드(221)가 후진될 시 제1 실린더(24)의 피스톤(241)도 함께 후진된다. 이로 인해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에 대한 제2 실린더(27)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제2 실린더(27)의 피스톤(271)에 대한 작동유체(26)의 가압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2 복귀스프링(283)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팽창되면서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을 민다. 따라서, 제3 실린더(28) 내의 작동유체(26)가 제1 실린더(24)로 보다 신속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제동부(20) 및 센서부(30)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먼저, 구동축(140)에 변형이 발생되면 감지부(10)가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센서부(30)를 작동시킨다.
센서부(30)는 매개부(212)가 회전됨으로 인해 인식수단(2122)이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솔레노이드(22)를 작동시킨다.
이때, 인식수단(2122)과 삽입홀(2121)은 매개부(212)의 중공을 사이에 두고 대칭됨으로, 센서부(30)가 인식수단(2122)을 감지하면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의 전방에 삽입홀(2121)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22)와, 제1 실린더(24)의 피스톤(241)의 작동에 의해 작동유체(26)가 제2 실린더(27)의 내부공간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제2 실린더(27)의 피스톤(271)이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을 전진시켜 삽입홀(2121)에 삽입되도록 한다.
결국, 제3 실린더(28)의 피스톤(281)이 매개부(212) 및 구동축(140)의 회동 작동을 정지시킴에 따라, 운동기구(100)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200) 및 제동부(4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및 이 운동기구에 적용된 제동부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에 적용된 제동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200)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에 수평연결대(221)를 매개로 연결되고 대략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포스트(220)와, 포스트(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중앙부분이 포스트(220)의 상측에 힌지결합되어 베이스(210)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상측에 손잡이(231)가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230)와, 연결부(230)의 하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면에 발판(2411)이 각각 형성된 경사부(241) 및 경사부(241)의 끝단에 연결되는 수평부(242)를 포함하는 폐달부(240)와, 구동축(250)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바퀴나 롤러로 형성되는 회전수단(243)과, 구동축(2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되어 수평부(242)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회전링크(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수단(243)은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틀(244)의 내부에 수용된다.
틀(244)의 내부에는 회전수단(243)의 둘레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수단(243)은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폐달부(240)는 회전링크(245)를 통해 구동축(250)과 연결되어 회전수단(243)과 연계하여 폐달부(240)링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운동기구(200)는 상용화 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200)에 적용되는 제동부(40)는 스토퍼(41)와, 승강링크(42)와, 솔레노이드(43)와, 회동체(44)와, 제1 실린더(45) 및 제2 실린더(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동부(40)는 지중에 매립된 케이스(C2)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200)를 구성하는 구동축(250)에 장착된다.
케이스(C2)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41)는 1개로 적용되어 2개의 발판(2411) 중 어느 하나의 하방에 배치되거나 또는 2개로 적용되어 2개의 발판(2411) 하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41)는 승강링크(42)가 상승되기 전에는 케이스(C2)의 상면 개구부에 위치되어 발판(2411)과 접촉되지 아니한다.
승강링크(42)는 케이스(C2)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승강링크(42)는 다수개의 링크바(421)로 구성되며, 각 링크바(421)의 양단이 서로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링크(42)는 자바라 형태로 펼쳐지거나 또는 접힐 수 있다.
스토퍼(41)는 승강링크(42)가 펼쳐지면 상승되고, 접히면 하강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200)에 적용되는 제동부(40) 중에서 솔레노이드(43)와, 회동체(44)와, 제1 실린더(45) 및 제2 실린더(47)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솔레노이드(43)와, 회동체(44)와, 제1 실린더(45) 및 제2 실린더(47)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실린더(47)는 케이스(C2)의 바닥면에 힌지결합되고, 제2 실린더(47)의 피스톤(471)은 최상부에 위치한 링크바(421)에 힌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2 실린더(47)와 피스톤(471)은 원활하게 회동작동하면서 승강링크(4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제동부(40)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먼저, 구동축(250)에 변형이 발생되면 감지부(10)가 제어부에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전송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43)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회동체(44)는 상측부분이 제1 실린더(45)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 실린더(45)의 피스톤(451)이 후진되면서 작동유체(49)를 제2 실린더(47)의 내부공간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2 실린더(47)의 내부공간으로 이송된 작동유체(49)는 피스톤(471)의 가압부재(472)를 밀어낸다. 따라서, 피스톤(471)은 상승되면서 승강링크(42)를 펼친다.
승강링크(42)가 펼쳐지면 스토퍼(41)가 상승되어 발판(2411)의 저면을 지지한다.
결국, 발판(2411)의 회동 작동을 정지됨에 따라 운동기구(200) 및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200)는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솔레노이드(4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쉽지 아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솔레노이드(43)는 태양광 발전부(5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50)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및 축전한 후 제어반(C)에 공급하고, 제어반(C)은 솔레노이드(43)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제동장치 10 : 감지부
20,40 : 제동부 21 : 회전체
211 : 장착구 212 : 매개부
2121 : 삽입홀 2122 : 인식수단
22, 43 : 솔레노이드 221, 431 : 로드
23, 44 : 회동체 231,441 : 축
232,442 : 장공 233, 443 : 롤러
234,444 : 핀 24,45 : 제1 실린더
241,271,281,451,471 : 피스톤 2411,272,452,472 : 가압부재
25,46 : 고압배관 26,49 : 작동유체
27,47 : 제2 실린더 2712 : 제1 복귀스프링
28 : 제3 실린더 282 : 돌출편
283 : 제2 복귀스프링 284 : 지지편
30 : 센서부 41 : 스토퍼
42 : 승강링크 421 : 링크바
50 : 태양광 발전부 100,200 : 운동기구
110,210 : 베이스 120,220 : 포스트
130,231 : 손잡이 140,250 : 구동축
150 : 작동체 151,2411 : 발판
230 : 연결부 240 : 폐달부
241 : 경사부 242 : 수평부
243 : 회전수단 244 : 틀
245 : 회전링크 473 : 복귀스프링

Claims (7)

  1. 운동기구의 구동축에 부착되며, 구동축의 변형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구동축의 변형을 감지할 시 상기 구동축을 제동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장착되며 상기 운동기구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장자리에 삽입홀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가 구동축의 변형을 감지할 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동되는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회동 방향으로 작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작동시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와 고압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배관을 통해 주입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전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2 실린더; 및
    상기 제2 실린더의 피스톤에 푸쉬되어 전진될 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회전체 및 구동축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가장자리에는 인식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인식수단을 인식할 시 상기 제3 실린더의 피스톤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제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광 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제동장치.
  6.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7. 삭제
KR1020210013396A 2021-01-29 2021-01-29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KR10224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96A KR102248236B1 (ko) 2021-01-29 2021-01-29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KR1020210043403A KR102266881B1 (ko) 2021-01-29 2021-04-02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396A KR102248236B1 (ko) 2021-01-29 2021-01-29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403A Division KR102266881B1 (ko) 2021-01-29 2021-04-02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236B1 true KR102248236B1 (ko) 2021-05-04

Family

ID=759138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396A KR102248236B1 (ko) 2021-01-29 2021-01-29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KR1020210043403A KR102266881B1 (ko) 2021-01-29 2021-04-02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403A KR102266881B1 (ko) 2021-01-29 2021-04-02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482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5281A1 (en) * 1992-06-12 1993-12-23 Loredan Biomedical, Inc. Linear tracking programmable exerciser
KR19980051792A (ko) * 1996-12-23 1998-09-25 박병재 대형 프로펠러 샤프트의 보호장치
KR200421998Y1 (ko) 2006-05-09 2006-07-20 황선주 다중 사용자형 운동기구
KR101031050B1 (ko) 2010-08-02 2011-04-2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야외 공용운동기구
KR20170027364A (ko) * 2015-09-01 2017-03-10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1741A (ko) * 2012-06-18 2013-12-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노피가 장착된 타격 게임형 상지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5281A1 (en) * 1992-06-12 1993-12-23 Loredan Biomedical, Inc. Linear tracking programmable exerciser
KR19980051792A (ko) * 1996-12-23 1998-09-25 박병재 대형 프로펠러 샤프트의 보호장치
KR200421998Y1 (ko) 2006-05-09 2006-07-20 황선주 다중 사용자형 운동기구
KR101031050B1 (ko) 2010-08-02 2011-04-2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야외 공용운동기구
KR20170027364A (ko) * 2015-09-01 2017-03-10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881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162B2 (en)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cle strengthening
JP6371880B1 (ja) 歩行訓練装置
TW201821129A (zh) 跑步機中的拉繩阻力機構
CN113069729B (zh) 一种患者康复锻炼用多功能训练器
CN206613083U (zh) 磁控式跑步机
CN108704246B (zh) 一种平衡训练系统
CN111111134A (zh) 攀爬机
KR102248236B1 (ko)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기구
KR101424109B1 (ko) 보행 보조장치
GB2596216A (en) An elliptical trainer with protective function
CN103785138B (zh) 登山跑步机
TW201731561A (zh) 可雙向運動的電動跑步機
CN207980282U (zh) 一种老年人跑步机
CN212369524U (zh) 攀爬机
KR102163247B1 (ko)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CN107096173B (zh) 一种具有健身功能的康复器械
KR20090097614A (ko) 하퇴단련 운동기구
CN110559596B (zh) 一种运用离心力训练身体协调性的装置
CN106693337A (zh) 一种折叠式轮滑助学器
CN202409992U (zh) 一种练腿器
CN202128854U (zh) 椭圆健身机
CN216222758U (zh) 一种自动更换杠铃片的装置
CN216023014U (zh) 一种助于脚踝康复的医疗装置
CN212757052U (zh) 体育锻炼训练装置
CN102526975A (zh) 一种练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