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152B1 - 무술연습장치 - Google Patents

무술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152B1
KR100995152B1 KR1020080011693A KR20080011693A KR100995152B1 KR 100995152 B1 KR100995152 B1 KR 100995152B1 KR 1020080011693 A KR1020080011693 A KR 1020080011693A KR 20080011693 A KR20080011693 A KR 20080011693A KR 100995152 B1 KR100995152 B1 KR 100995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support
rod
fixing
martial 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832A (ko
Inventor
김명자
김창기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riority to KR102008001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1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31Breaking boards or holders therefore, i.e. devices for destroy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부(10)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타격봉에 타격구를 고정시켜 무기를 이용하여 무술 연마를 수행하는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상에 수직 결합되는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상에 지지대(22)를 개재하여 상하조절볼트(23)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봉(20); 상기 몸체봉(20)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구조로서 탄력과 탄성을 겸비하는 고무재로 형성되는 헤드(30); 상기 몸체봉(20)의 지지대(22)상에 밀착되게 개재되는 패킹(42)을 구비하고, 일측에 고정볼트(41)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구(40); 및 상기 승강구(40)에 연계되어 회동과 고정을 수행하는 조절수단(60)을 구비하고, 일단에 타격구(70)를 연결하는 타격봉(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조자가 없어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타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정확도 향상을 높일 수 있으며, 타격부의 방향과 높낮이를 조절하여 여러 가지 패턴을 연습하여 흥미를 더욱 배가시키며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술, 몸체봉, 헤드, 각도, 방향, 조절수단

Description

무술연습장치{military arts practice equipment}
본 발명은 무술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받침부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타격부에 타격구를 고정시켜 무기를 이용하여 무술 연마 타격을 하기 위한 무술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무술은 예의범절, 신체달련 및 신체보호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합기도, 쿵푸, 가라테 같은 무술들은 손으로 치는기술과 발로 차는기술이 다양하게 구사됨과 함께 일반적인 무기나 검, 쌍절곤, 봉, 단봉, 목도 등의 도구인 무기를 가지고 무술의 기술 연습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무기를 이용한 기술 연습은 천정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고 찌르면서 단련을 하거나 보조자가 타격을 위한 미트를 들고 사용자가 미트를 치거나 찌르면서 단련을 해왔다.
하지만 사람의 급소를 노려야하는 무술의 특성상 많은 정확성을 요하지만 넓은 면적의 샌드백이나 미트를 치고 찌르는 단련은 그 만큼 정확성을 요구하기 어렵고 보조자가 타격을 보조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국부를 가격하게 되는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 안전을 보장할 수 없으며 패턴이 단조로워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조자가 없어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타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정확도 향상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격부의 방향과 높낮이를 조절하여 여러 가지 패턴을 연습하여 흥미를 더욱 배가시키는 무술연습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받침부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타격봉에 타격구를 고정시켜 무기를 이용하여 무술 연마를 수행하는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상에 수직 결합되는 고정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상에 지지대를 개재하여 상하조절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봉; 상기 몸체봉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구조로서 탄력과 탄성을 겸비하는 고무재로 형성되는 헤드; 상기 몸체봉의 지지대상에 밀착되게 개재되는 패킹을 구비하고, 일측에 고정볼트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구; 및 상기 승강구에 연계되어 회동과 고정을 수행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일단에 타격구를 연결하는 타격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내부의 홈상에 탄성스프링과 볼이 개재된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볼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된 다각면의 조절기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기상에 홈과 볼이 맞닿아 타격봉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조절수단은 내부홈이 형성된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상의 내부홈에 연결되는 다각면의 조절기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상에 연결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기가 맞닿아 타격봉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타격구는 타격봉의 끝단에 볼트에 의해 고정하여 체결되는 폭죽, 종, 방울, 풍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자가 없어 안전을 보장함과 동시에 타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정확도 향상을 높일 수 있으며, 타격부의 방향과 높낮이를 조절하여 여러 가지 패턴을 연습하여 흥미를 더욱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받침부(10)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타격부에 타격구를 고정시켜 무기를 이용하여 무술 연마를 수행하는 연습장치에 관련되며, 이러한 연습장치는 몸체봉(20), 헤드(30), 승강부(40), 타격봉(50)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봉(20)은 상기 받침부(10)상에 상측으로 수직 결합되는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상에 고정되는 지지대(22)를 개재하여 상하조절볼트(23)에 의해 고정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봉(20)는 고정대(21)와 지지대(22)로 나누어지고, 고정대(21)는 지면과 맞닿은 받침부(10)상에 상측으로 고정/결합되며, 지지대(22)는 상기 고정대(21)의 상단에 직경을 축소하여 고정대(21)의 내부로 상측과 하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대(21)의 상측에 체결된 상하조절볼트(23)는 지지대(22)가 하측과 상측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맞추어 체결된 상하조절볼트(23)를 조여 고정시킨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30)는 상기 몸체봉(20)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구조로서 탄력과 탄성을 겸비하는 고무재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30)는 충격 흡수가 뛰어난 고무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가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사용자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구(40)는 상기 몸체봉(20)의 지지대(22)상에 밀착되게 개재되는 패킹(42)을 구비하고, 일측에 고정볼트(41)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40)는 지지대(22)에 밀착하여 양측에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을 지닌 패킹(42)이 개재되는데, 이는 일측의 볼트구멍에 고정볼트(41)가 체결되고, 타측의 볼트구멍에 타격봉(50)이 체결하여 상기 고정볼트(41)와 타격봉(50)이 승강구(40)의 내부에 패킹(42)을 압박하여 승강구(40)를 원하는 높이에 맞추어 상하로 승강되어 지지대(22)상에 고정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격봉(50)은 상기 승강구(40)에 연계되어 회동과 고정을 수행하는 조절수단(50)을 구비하고, 일단에 타격구(70)를 연결한다. 상기 타격봉(5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40)와 결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40)의 내부에 밀착되어 개재되는 패킹(42)을 압박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타격봉(50)의 각도조절을 하는 조절수단(50)과 사용자의 가격을 위한 타격구(70)의 세부 구성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또 다른실시예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조절수단(60)은 내부홈(61)상에 탄성스프링(63)과 볼(64)이 개재된 고정구(62)를 구비하고, 상기 볼(64)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된 다각면의 조절기(51)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기(51)상에 홈과 볼(64)이 맞닿아 타격봉(5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2)는 탄성스프링(53)과 볼(52)이 수용할 수 있는 내부홈(6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홈(61)은 조절기(51)가 회동을 할 수 있는 반원형태와 탄성스프링(63)이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태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기(51)와 탄성스프링(63)의 사이에 볼(64)을 개재하여 탄성스프링(63)에 의해 볼(64)이 상기 조절기(51)의 홈에 맞닿아 고정되어 타격봉(50)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와 방향을 폭넓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수단(60)은 내부홈(61')이 형성된 고정구(6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62')상의 내부홈(61')에 연결되는 다각면의 조절기(51')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62')상에 연결되는 조절볼트(67)와 상기 조절기(51')가 맞닿아 타격봉(5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62')는 형성된 내부홈(61')은 조절기(51')가 수용하여 회동될 수 있게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기(51')는 다각면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각면의 조절기(51')가 고정구(62')상에 형성된 내부홈(61')에 삽입하여 고정구(62')상에 형성된 조절볼트(67)가 체결함에 따라 상기 조절기(51')의 다각면의 한 면과 맞닿아 체결되어 고정시킨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조절볼트(67)는 하부에 형성되어 조절기(51')를 고정시키지만 하부가 아닌 상부에 설치하여도 무관하며,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체결하여 더욱더 견고히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때, 상기 타격구(70)는 타격봉(50)의 끝단에 볼트(52)에 의해 고정하여 체결되는 폭죽, 종, 방울, 풍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죽, 종, 방울, 풍선의 타격구(7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타격봉(50)상에 볼트(52)를 체결하고 상기 타격구(60)를 볼트(52)상에 연결한 다음 연 결된 타격구(60)는 검, 쌍절곤, 봉, 단봉, 목도 등의 무술용 무기를 사용하여 가격함으로서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고, 무술시범 등의 다양한 현태의 연출이 가능하여 많은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또 다른실시예의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받침부 20: 몸체봉 21: 고정대
22: 지지대 23: 상하조절볼트 30: 헤드
40: 승강구 41: 고정볼트 42: 패킹
50: 타격봉 51: 조절기 52: 볼트
60: 조절수단 61, 61': 내부홈 62, 62': 고정구
63: 탄성스프링 64: 볼 67: 볼트
70: 타격구

Claims (4)

  1. 받침부(10)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타격봉에 타격구를 고정시켜 무기를 이용하여 무술 연마를 수행하는 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상에 수직 결합되는 고정대(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대(21)상에 지지대(22)를 개재하여 상하조절볼트(23)에 의해 고정되는 몸체봉(20);
    상기 몸체봉(20)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의 구조로서 탄력과 탄성을 겸비하는 고무재로 형성되는 헤드(30);
    상기 몸체봉(20)의 지지대(22)상에 밀착되게 개재되는 패킹(42)을 구비하고, 일측에 고정볼트(41)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구(40); 및
    상기 승강구(40)에 연계되어 회동과 고정을 수행하는 조절수단(60)을 구비하고, 일단에 타격구(70)를 연결하는 타격봉(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연습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60)은 내부홈(61)상에 탄성스프링(63)과 볼(64)이 개재된 고정구(62)를 구비하고, 상기 볼(64)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된 다각면의 조절기(51)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기(51)상에 홈과 볼(64)이 맞닿아 타격봉(5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연습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60)은 내부홈(61')이 형성된 고정구(6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62')상의 내부홈(61')에 연결되는 다각면의 조절기(51')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구(62')상에 연결되는 조절볼트(67)와 상기 조절기(51')가 맞닿아 타격봉(5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연습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구(70)는 타격봉(50)의 끝단에 볼트(52)에 의해 고정하여 체결되는 폭죽, 종, 방울, 풍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술연습용장치.
KR1020080011693A 2008-02-05 2008-02-05 무술연습장치 KR10099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93A KR100995152B1 (ko) 2008-02-05 2008-02-05 무술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693A KR100995152B1 (ko) 2008-02-05 2008-02-05 무술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32A KR20090085832A (ko) 2009-08-10
KR100995152B1 true KR100995152B1 (ko) 2010-11-18

Family

ID=4120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693A KR100995152B1 (ko) 2008-02-05 2008-02-05 무술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65B1 (ko) * 2012-09-21 2013-11-20 채희배 이동식 목인장 장치
KR200491742Y1 (ko) * 2018-10-01 2020-05-27 홍교종 스탠드형 가전제품의 높이조절장치
KR102049181B1 (ko) * 2018-11-29 2019-11-26 최재도 차기와 치기 및 막기 수련이 가능한 멀티 수련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6965U (ko) 1980-08-13 1982-02-26
JP2003175140A (ja) 2001-12-11 2003-06-24 Takehiko Okamoto 卓球などの球技練習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6965U (ko) 1980-08-13 1982-02-26
JP2003175140A (ja) 2001-12-11 2003-06-24 Takehiko Okamoto 卓球などの球技練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32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517B2 (en) Interactive martial arts training apparatus
US5899835A (en) Multifunctional training device
KR101522636B1 (ko) 당구 스트로크 연습장치
US3166317A (en) Batting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US2765170A (en) Practice batting device
EP2332620B1 (en) A device for practicing tennis ball rebounds
KR200410215Y1 (ko) 스윙연습용 골프채
US20170259153A1 (en) Tennis training device
KR100995152B1 (ko) 무술연습장치
TWI569859B (zh) 競技運動擺動訓練裝置及其使用方法
GB2508074A (en) Martial arts target device
WO2012096593A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большого тенниса «теннисан»
CN208176883U (zh) 一种羽毛球拍挥拍练习器
CN205145552U (zh) 一种落地式速度球拳击靶
CN208465138U (zh) 一种用于幼儿武术教学的木人桩
CN206404270U (zh) 拳击练习装置
US9636563B2 (en) Training limb device
CN101543675A (zh) 专业拳击搏斗教练靶机
CA2817991C (en) Portable table tennis trainer and the methods of using thereof
KR200489695Y1 (ko) 족구 연습용 타격기의 결합구조
CN210521699U (zh) 一种教学用踢足球脚力锻炼装置
WO2016145282A1 (en) Tennis training device
KR20210080641A (ko) 골프 스윙 연습용 스윙 안테나
KR101619490B1 (ko) 위치복원이 가능한 회전형 타격연습장치
CN205626997U (zh) 武术训练中拳速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