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265B1 - 이동식 목인장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목인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265B1
KR101330265B1 KR1020120105234A KR20120105234A KR101330265B1 KR 101330265 B1 KR101330265 B1 KR 101330265B1 KR 1020120105234 A KR1020120105234 A KR 1020120105234A KR 20120105234 A KR20120105234 A KR 20120105234A KR 101330265 B1 KR101330265 B1 KR 10133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ar
insertion groove
heigh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배
Original Assignee
채희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배 filed Critical 채희배
Priority to KR102012010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B69/00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6Devices for protection, storage or transport, e.g. stand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목인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면에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받침부(100)와 상기 받침부(10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받침부(100) 하부로부터 관통되는 나사(210)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에 복수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삽입홈에 길이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300)로 구성되어, 목인장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연습 시 공간 활용도가 높고 돌출부(300)의 길이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수련자에 따라 다양한 수련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수련 시 목인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며 움직이는 상대와 연습하는 효과를 구비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목인장 장치{Movable type training fight sports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목인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련자의 목인장을 통한 타격 수련 시에 각자의 체형에 따라 높이와 돌출부의 길이 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수련 장소 및 위치에 따라 목인장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동식 목인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 가라테, 킥복싱과 같은 무술들은 손으로 치는 기술과 발로 차는 기술이 다양하게 구사된다.
이러한 손과 발을 이용한 기술의 연습은 천정에 매달린 샌드백을 치거나 차는 것이 전부이며, 겨루기와 같은 실질적인 기술을 익힐 때는 2인이 1조가 되어 겨루기를 하게 되는데,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은 매우 단조롭고 겨루기는 연습 과정에서 신체의 국부를 가격하게 되는 부상의 위험성도 있다.
또한, 치거나 차는 기술의 연습과정에서 반사 신경과 타격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범 등의 지도자가 별도의 미트를 양손에 들고 상하좌우측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면서 치거나 차는 기술을 훈련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습은 개인적인 연습이 불가능하고 미트를 들어줘야 하는 보조자가 있어야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주에 다수개의 암을 설치하여 개별적인 연습을 할 수 있는 목인장이 공지되어 있다.
목인장은 나무를 사람모양으로 만들어 무술 연습을 하는데 사용하는 기구로, 강한 힘으로 가격하거나 밀고 당겨야 하므로 매우 견고하게 제작되고 고정되어야 함은 물론 적당한 탄성과 움직임을 통하여 사람과 연습하는 효과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목인장은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해야 하므로 건물을 파손할 뿐만 아니라 지정된 위치에서만 연습이 가능하고 아암도 목인장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연습이 어려워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이동식 목인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인장을 통한 타격 수련 시에 수련자의 신체조건과 요구사항에 따라 높이와 돌출부의 길이 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건물벽면이나 바닥을 파손하지 않으면서 수련 장소 및 위치에 따라 목인장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마치 움직이는 상대와 연습하는 효과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면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받침부 하부로부터 관통되는 나사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에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삽입홈에 길이와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의 일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바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바와 삽임홈 사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바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바와 연동되는 탄성체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와 몸체부를 연결하는 고무줄이 추가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건물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목인장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연습 시 공간 활용도가 높고 높이와 돌출부의 길이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수련자에 따라 다양한 수련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수련 시 목인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움직이는 상대방과 연습하는 감각을 배양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의 받침부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의 받침부 하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받침부(100)와, 받침부(100)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가이드홈(201)이 구비된 몸체부(200)와, 몸체부(200)로부터 길이 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된 돌출부(300)로 이루어져, 높이와 길이 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수련이 가능하게 하고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며 적당한 탄성과 이동성으로 인하여 움직이는 상대와 연습하는 효과를 구비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받침부(100)와, 받침부(10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몸체부(200)와, 몸체부(20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는 본 발명인 이동식 목인장 장치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저면에는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이동수단(110, 도 4 참조)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10)은 고정장치가 장착된 바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받침부(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이동수단(110)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받침부(100) 저면에 이동수단(110)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목인장을 건물의 벽이나 바닥면에 고정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동이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실전 겨루기와 같이 움직이는 상대방과 연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받침부(100) 내측에는 별도의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받침대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예상 상대의 체중을 감안한 연습을 할 수 있으며 바퀴에 장착된 고정장치를 통하여 한 곳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는 받침부(100)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몸체부(200)는 받침부(100) 하부로부터 관통되는 나사(210, 도 5 참조)를 통해 결합된다.
이때, 나사(210)에는 암나사(211)가 구비되어 몸체부(200)가 암나사(211)의 조임 또는 조임해제를 통해 받침부(100)로부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몸체부(200) 저면에는 나사(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201)이 형성되도록 한다.
받침대(100) 하부에는 나사(210)를 고정시키는 볼트(101)가 구비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목인장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몸체부(200) 외측면에는 복수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돌출부(300)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돌출부(300)는 목인장을 통한 연습 시 손과 발을 이용한 타격을 연습하는 것으로 상부와 중간부에는 직선 형상의 바가 구비되어 손을 이용한 타격을 연습하며, 하부에는 굴절된 형상의 바가 구비되어 발을 이용한 타격을 연습할 수 있게 한다. 굴절된 형상의 바는 바닥과 가깝게 위치하여 목인장이 앞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밑면에 방진고무를 달아 건물바닥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돌출부(300)는 몸체부(200)에 일정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목인장의 균형 유지 및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의 상대를 가정한 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몸체부(200)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부(300)의 일단 외주면에 나사산(310)이 형성되도록 하여 몸체부(200)로부터 돌출부(300)의 길이및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00)는 몸체부(200)의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는 삽입바(310)와, 삽입바(310) 끝단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바(320)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삽입바(310)와 삽입홈 사이에는 고무패킹(330)이 구비되도록 하고, 삽입바(310) 외주면에는 돌출바(320)와 연동되는 탄성체(340)가 구비되도록 하여 타격 연습 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삽입바의 고무패킹(330)외면에 암나사(350)를 장착하여 조임 또는 조임해제에 따라 돌출부(300)의 강도및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출바(320)는 수평으로 돌출되어 손을 이용한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하며, 중간이 굴절되어 발을 이용한 타격 연습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에서 몸체부(200)와 돌출바(320)는 나무재질로 구비되어 수련 시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100)와 몸체부(200)를 연결하는 고무줄(120)이 추가로 구비되도록 하여 연습 시 목인장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받침부(100) 밑면에는 방진고무(미도시)를 장착시켜 건물바닥을 보호하는 동시에 소음 발생을 저감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동식 목인장 장치는 저면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받침부 하부로부터 관통되는 나사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에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삽입홈에 길이 및 강도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로 구성되어 목인장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연습 시 공간 활용도가 높고 높이와 돌출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수련자에 따라 다양한 수련이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수련 시 목인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며 움직이는 상대와 연습하는 효과를 구비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탁월한 이점을 가진 발명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받침부 110 : 이동수단
120 : 고무줄 200 : 몸체부
210 : 나사 300 : 돌출부
310 : 삽입바 320 : 돌출바
330 : 고무패킹 340 : 탄성체
350 : 암나사

Claims (5)

  1. 저면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받침부 하부로부터 관통되는 나사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에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삽입홈에 길이와 강도 조절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인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인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부의 일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인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바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바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바와 삽임홈 사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바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바와 연동되는 탄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인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와 몸체부를 연결하는 고무줄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목인장 장치.
KR1020120105234A 2012-09-21 2012-09-21 이동식 목인장 장치 KR10133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234A KR101330265B1 (ko) 2012-09-21 2012-09-21 이동식 목인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234A KR101330265B1 (ko) 2012-09-21 2012-09-21 이동식 목인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265B1 true KR101330265B1 (ko) 2013-11-20

Family

ID=498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234A KR101330265B1 (ko) 2012-09-21 2012-09-21 이동식 목인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2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739Y1 (ko) * 1988-11-08 1991-10-05 송제찬 투기운동의 가격연습기
KR20090003993U (ko) * 2007-10-25 2009-04-29 이현근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90085832A (ko) * 2008-02-05 2009-08-10 김명자 무술연습장치
KR20120002864U (ko) * 2010-10-18 2012-04-26 김지식 검술 수련용 타격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739Y1 (ko) * 1988-11-08 1991-10-05 송제찬 투기운동의 가격연습기
KR20090003993U (ko) * 2007-10-25 2009-04-29 이현근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90085832A (ko) * 2008-02-05 2009-08-10 김명자 무술연습장치
KR20120002864U (ko) * 2010-10-18 2012-04-26 김지식 검술 수련용 타격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0911A (en) Training device for golfers
US7056224B1 (en) Golf swing training apparatus
US8721505B2 (en) Training assembly
US6475108B1 (en) Soccer kicking training device
US8784239B2 (en) Batting training device
US20110136089A1 (en) Multiple targets, physical ability enhancer apparatus
TWI569859B (zh) 競技運動擺動訓練裝置及其使用方法
US3744799A (en) Golf practice device
US5989137A (en) Ball mounted training device
US20140335969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901295B1 (en) Rail—golf swing guide
KR101314325B1 (ko) 발차기용 운동기구
KR101330265B1 (ko) 이동식 목인장 장치
KR100694182B1 (ko) 골프연습용 매트
US7399232B1 (en) Golf club sw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9205317B2 (en) Training device to aid improving proper form and measuring directional accuracy when kicking a football or soccer ball
US6517446B2 (en) Apparatus and product for improving a golfer's swing
US7758442B2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20120050948A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JPH0413007Y2 (ko)
US20190232139A1 (en) Golf-Training Apparatus
US6352481B1 (en) Golf swing improving system
US20150005109A1 (en) Batting aid
JP3137859U (ja) ゴルフ練習用くさび型ブロック
KR20060088954A (ko) 만능 구기 연습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