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954A - 만능 구기 연습기구 - Google Patents

만능 구기 연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954A
KR20060088954A KR1020050009472A KR20050009472A KR20060088954A KR 20060088954 A KR20060088954 A KR 20060088954A KR 1020050009472 A KR1020050009472 A KR 1020050009472A KR 20050009472 A KR20050009472 A KR 20050009472A KR 20060088954 A KR20060088954 A KR 20060088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low
ball game
flow ring
game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두원
이준혁
Original Assignee
황두원
이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두원, 이준혁 filed Critical 황두원
Priority to KR102005000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954A/ko
Publication of KR2006008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3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in the position of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 연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볼을 연결시켜 정확한 타점을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는 만능 구기 연습기구에 관한 것이며, 볼과, 파이프 형태의 기본대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신축대와, 상기 신축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볼이 연결되는 유동고리와, 상기 유동고리의 유동범위를 통제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고리의 유동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고정대로 구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습자의 타격에 의해 볼이 비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볼이 연결된 연결줄이 끊어질 가능성이 적고, 실내외 어디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가 용이하고, 상하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연습자마다 자신의 체형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기, 연습기구, 타점, 충격완화, 배드민턴.

Description

만능 구기 연습기구{Ball game practic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프레임부가 신장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에 테니스볼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볼 20: 프레임부
26: 고정대 28: 유동고리
30: 완충부재 32: 고정구
40: 지지부 42: 외체
44: 내체 50: 받침판
52: 상측지지대 56: 연결대
본 발명은 구기 연습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볼을 연결시켜 정확한 타점을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는 만능 구기 연습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이나 테니스 등의 구기 종목은 날아오는 볼을 정확한 지점에서 타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실내외 어디든지 설치하여 볼의 타점을 정확히 맞추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기구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28740에 "볼과, 상기 볼을 매다는 동시에 볼의 비행범위를 규제 가능하며, 상기 볼을 소정 위치에 탄성 수단을 통하여 매달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주를 가지는 연습 기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의 접속부와, 상기 볼을 매다는 볼 접속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수단의 프레임 접속부는 회전 가능한 턴백 기구를 가지는 적어도 한 쌍의 턴백부에 의하여 턴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 연습기구가 제안되어 있지만, 이는 구성이 복잡하고 볼을 매다는 탄성수단이 쉽게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타점을 연습할 수 있으며, 연습자의 타격에 의해 볼이 비행할 때 발생하 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실내외 어디든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가 용이하고, 연습자마다 자신의 체형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하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만능 구기 연습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만능 구기 연습기구는, 볼과, 파이프 형태의 기본대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신축대와, 상기 신축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볼이 연결되는 유동고리와, 상기 유동고리의 유동범위를 통제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고리의 유동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고정대로 구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고리의 내면에는 고정대 상에서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외체와 상기 외체에 수용되는 내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체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끼움되는 고정볼트를 외체에 구비하여 상하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프레임부가 신장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기 연습기구에 테니스볼을 연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구기 연습기구는 크게 볼(10)이 연결줄(12)에 의해 연결되는 유동고리(28)를 구비한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가 지지되는 지지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볼(10)은 각종 배드민턴 볼, 테니스볼 등 각종 볼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대표적인 배드민턴 볼(10)과 테니스볼(1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볼(10)을 연결하는 연결줄(12)은 탄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부(20)는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기본대(22)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신축대(24)와, 상기 신축대(24)에서 연장되어 결합된 고정대(26)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26)에는 상기 볼(10)이 연결되는 유동고리(28)와, 상기 유동고리(28)의 유동범위를 통제하기 위해 상기 고정대(26)의 전후방에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유동고리(28) 방향으로 각각 상기 유동고리(28)의 유동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부(20)의 기본대(22)와 신축대(24)의 내주면에는 돌출테(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대(24)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테가 끼움되는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기본대(22)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신축대(24)를 소정 위치까지 연장하면 돌출테와 끼움홈이 맞닿아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테는 끼움홈에 끼우거나 이탈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본대(22)의 후방부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상기 지지부(40)의 암나사(미도시)와 결합하기 위한 수나사(22a)가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할 지지부(40)의 플레이트(54)에 일측이 결합된 상부 스프링(60)의 일측이 결합되는 고리(22b)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20)의 선단에 위치한 고정대(26)에는 볼(10)을 연결시킬 수 있는 유동고리(28)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고리(28)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대(26)에 끼움결합되는데, 볼(10)의 비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내면에 베어링(28a)을 구비하여 고정대(26)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유동고리(28)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고리(28)에는 볼(10)에 연결된 연결줄(12)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구(28b)가 형성된다.
그리고 볼(10)의 비행에 따라 볼이 연결된 연결줄(12)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관계로 상기 연결줄(12)이 쉽게 끊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 정대(26)는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대(26)의 전후에는 상기 유동고리(28)가 일정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동범위를 통제하는 고정구(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32)에서 유동고리(28) 방향으로 각각 완충부재(30)를 구비하여 상기 유동고리(28)에 연결된 볼(10)의 유동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 완충부재(30)는 탄성력을 가진 스프링(30a)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30a)에서 상기 유동고리(28)와 인접하는 측의 단부는 패킹(30b)으로 마감하여 스프링의 단부에 유동고리(28)가 손상되거나 걸리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부(2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40)는, 파이프 형상의 외체(42)와 내체(44)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외체(42)의 내측으로 내체(44)가 수용되어 상하길이조절이 가능한 몸체와, 상기 외체(42)를 지면에서 받치고 있는 받침판(50)과, 상기 내체(44)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측지지대(52)와 상기 상측지지대(52)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54)와, 상기 플레이트(54)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연결대(56)로 구성된다.
또한, 볼을 타격할 때 상기 지지부(40)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볼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줄이 상기 프레임부(20)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스프링(60, 62)이 구비된다.
상기 내체(44)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나사홈(46)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 홈(46)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볼트(48)는 외체(42)의 상부에 구비된다. 나사홈(46)과 고정볼트(48)에 의해 외체(42)와 내체(44)가 고정되고, 상기 내체(44)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나사홈(46)이 형성되어, 내체(44)의 상부를 수용하며 결합되는 상측지지대(52)와 고정볼트(48)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상측지지대(52)는 나사홈(46)의 체결위치의 변경으로 상측지지대(52)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체(42)의 상부 외측에는 하부스프링(62)의 일측이 결합되는 고리(4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지지대(52)에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54)에 결합된 연결대(56)의 외측에는 상기 외체(42)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하부스프링(62)의 타측이 결합되는 고리(5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대(56)의 전방부에는 상기 프레임부(20)의 기본대(22)의 수나사(22a)와 결합되는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구기 연습기구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구기 연습기구를 실내외 원하는 곳에 설치한 후, 신축대(24)를 기본대(22)로부터 인출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기 유동고리(28)에 연습하고자 하는 볼(10)을 매달아서 연습을 하면, 정확한 타점을 기르는데 매우 유용하며, 혼자서도 얼마든지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매달린 볼(10)을 타격하면 볼(10)은 비행하다가 유동고리(28)의 전방에 구비된 완충부재(30)와 고정구(32)에 의해 리턴되어 돌아오게 된다. 다시 리턴되어 돌아오면 다시 볼(10)을 타격하는 연습을 반복수행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구기 연습기구는 프레임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의 상하 길이조절이 가능하므로 연습자가 자신의 키나 운동목적에 맞추어 연습을 할 수 있고, 볼을 매다는 곳에 탱탱볼을 매달아 어린이들의 유연성, 민첩성과 같은 운동신경을 발달시키는 놀이기구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볼을 발로 차는 연습이나 손으로 치는 연습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구기 연습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볼은 배드민턴볼, 테니스볼, 탱탱볼에 한정되지 않고, 스쿼시 볼, 축구공, 야구공 등 다양하게 매달아 연습할 수 있다. 또한, 볼이 기구에 매달려 있으므로 한 번 치고 난 후 볼을 주우러 가야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상대방이 없더라도 혼자서 얼마든지 타점연습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구기 연습기구는, 정확한 타점을 연습할 수 있으며, 연습자의 타격에 의해 볼이 비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볼이 연결된 연결줄이 끊어질 가능성이 적고, 실내외 어디든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가 용이하고, 상하길이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연습자마다 자신의 체 형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만능 구기 연습 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볼과;
    파이프 형태의 기본대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구성되어 길이의 신축이 가능한 다단의 신축대와, 상기 신축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볼이 연결되는 유동고리와, 상기 유동고리의 유동범위를 통제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동고리의 유동시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한 고정대로 구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만능 구기 연습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고리의 내면에는 고정대 상에서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만능 구기 연습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외체와 상기 외체에 수용되는 내체로 구성되며, 상기 내체에는 수직으로 다수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 끼움되는 고정볼트를 외체 에 구비하여 상하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 만능 구기 연습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탄성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만능 구기 연습기구.
KR1020050009472A 2005-02-02 2005-02-02 만능 구기 연습기구 KR20060088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472A KR20060088954A (ko) 2005-02-02 2005-02-02 만능 구기 연습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472A KR20060088954A (ko) 2005-02-02 2005-02-02 만능 구기 연습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954A true KR20060088954A (ko) 2006-08-07

Family

ID=3717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472A KR20060088954A (ko) 2005-02-02 2005-02-02 만능 구기 연습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9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15B1 (ko) * 2008-08-22 2011-01-18 이금선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KR102345638B1 (ko) * 2021-05-24 2021-12-29 박연복 비대면 방식의 장애인 운동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23210844A1 (ko) * 2022-04-29 2023-11-02 전병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115B1 (ko) * 2008-08-22 2011-01-18 이금선 홀로하는 배드민턴 연습대
KR102345638B1 (ko) * 2021-05-24 2021-12-29 박연복 비대면 방식의 장애인 운동 관리 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23210844A1 (ko) * 2022-04-29 2023-11-02 전병수 배드민턴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111Y1 (ko) 회전형 타격 연습기
US8777781B2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US76910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nnis training
ES2676147T3 (es) Dispositivo de entrenamiento de tenis
US3997158A (en) Strike-zone target
US20100087296A1 (en) Multiple targets, physical ability enhancer apparatus
US7033290B1 (en) Sports training assembly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192840B2 (en) Martial arts trainer
US8197364B2 (en) Training device for beach volleyball players
US11554305B2 (en) Volleyball hitting training device
KR20060088954A (ko) 만능 구기 연습기구
US20230173368A1 (en) Volleyball hitting training device
KR200465136Y1 (ko) 테니스 연습기
CN205964921U (zh) 一种羽毛球训练器
US20110034263A1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n athletes swing
KR200264425Y1 (ko) 테니스 타격자세 연습장치
US10661140B2 (en) Golf-training apparatus
KR20120050948A (ko) 골프 스윙 연습장치
KR20120136122A (ko) 골프연습장치
KR20110123446A (ko) 실내용 수평그린 골프연습장
CN218280487U (zh) 一种立式速度球
KR200323910Y1 (ko) 골프공 낙하속도조절기
RU190072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игровых перемещений спортсмена
KR20110100699A (ko) 스윙 연습용 토싱머신.
KR200316439Y1 (ko) 골프공 자동공급시스템에 장착되는 낙하속도조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