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93U - 태권도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태권도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93U
KR20090003993U KR2020070017289U KR20070017289U KR20090003993U KR 20090003993 U KR20090003993 U KR 20090003993U KR 2020070017289 U KR2020070017289 U KR 2020070017289U KR 20070017289 U KR20070017289 U KR 20070017289U KR 20090003993 U KR20090003993 U KR 200900039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ekwondo
fastened
support
presen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8579Y1 (ko
Inventor
이현근
Original Assignee
이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근 filed Critical 이현근
Priority to KR2020070017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7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9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8Attachments located on the balls or other training devices at opposite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Abstract

본 고안은 태권도용 미트나 송판 등을 고정하여 태권도 수련을 하기 위한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면에 바닥판(110)이 구비되어 지고, 중앙으로 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이 중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재(100)와;
상기 바닥부재(100)의 삽입부(101)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110)과 체결하는 삽입바(211)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판(210)의 상단으로 손잡이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부재(200)와;
상기 이송부재(20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 형성된 높이조절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에 끼움 결합되어 체결부재(600)에 의해 높이조절공(311)에 체결될되는 것으로 다수의 결합공(410)이 형성된 설치부재(400)와;
상기 설치부재(40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다수의 체결공(510)이 천공되어 있는 연결부재(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이송이 편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태권도 수련자가 송판 등을 격파하는 연습을 하는 데 있어 보다 안전하게 수련을 할 수 있는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태권도, 송판, 미트,

Description

태권도용 운동기구{T’aekwondo of sporting goods}
본 고안은 태권도용 미트나 송판 등을 고정하여 태권도 수련을 하기 위한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이송이 편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태권도 수련자가 송판 등을 격파하는 연습을 하는 데 있어 보다 안전하게 수련을 할 수 있는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세계적인 월드컵,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자국의 전통의 무술로 자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려는 국가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태권도는 1988년 올림픽의 시범경기를 시작으로 전세계인에게 알려져 세계인이 즐기는 스포츠로 자리를 잡고있으며, 상기 태권도는 사람과 사람이 대련을 하는 경기와 격파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 태권도의 격파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손이나 발, 팔꿈치 등의 인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벽돌, 기와 및 송판과 같은 딱딱한 물체를 깨는 것이다.
상기 격파는 원래 수련자가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보고 자신감을 얻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태권도 경기가 일반화된 이후로는 주로 일반인에게 태권도의 기술과 위력을 보여주기 위한 '시범 격파'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 '태권도 한마당' 등의 경연대회가 개최되면서 일반인이 격파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상기 격파는 크게 위력 격파와 묘기 격파로 나누지는데, 상기 위력 격파는 동작의 위력이 얼마나 센가를 시험하거나 보여주는 것으로, 벽돌이나 대리석, 기와 등을 깨는 것이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묘기 격파는 격파 자체보다 다양한 동작과 기술의 발휘가 목적으로, 격파 물체도 얇은 송판을 주로 쓰여지고 있다.
상기 격파(위력 격파, 묘기 격파)를 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동안 태권도를 수련해야 하며, 위력 격파의 수련은 샌드백을 천정 또는 벽면에 매달아 놓고 수련을 하거나, 미트가 장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트장치를 이용하여 수련을 하고,
묘기 격파의 수련은 사람이 직접 송판을 잡고 높이를 조절하여 수련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트장치를 이용하여 위력 격파를 수련할 때에는 미트장치당 한 사람씩 수련이 가능하여 장치구입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며, 묘기 격파 수련시에는 사람이 직접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송판을 잡는 사람은 수련을 할 수 없고, 또한 격파 대회 때에는 높은 위치로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한 사람이 아니 여러 사람들이 함께 협력하여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많은 인원이 소요되며, 부상의 위험성이 있어 인적인 재해가 발생하고, 심사 항목에 격파 항목이 추가되어, 심사시 사람이 직접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심사의 공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태권도용 운동기구가 제작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종래 태권도용 운동기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어느 특정 장소에 고정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하는데 상당한 문제점이 있는게 사실이다.
또한, 종래 태권도용 운동기구는 분해 및 조립이 어려워 사용자가 보관이나 운반하는데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고, 수련자가 격파 등을 할 시 운동기구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해 인제 사고의 위험이 따르는게 사실이였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태권도용 미트나 송판 등을 본 고안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격파나 발 차기 등의 태권도 수련을 하는데 보다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태권도 수련이 가능하며, 본 고안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수련자가 운동을 하는 데 있어 보다 본 고안에 부딪혀서 사고를 당할 위험을 최소화한 태권도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특징은 내측이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져 물이나 기타 중량이 무거운 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바닥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본 고안의 이동이 용이하면서 수련을 할 시 본 고안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 하였고,
또한, 본 고안은 보관이나 운반하는데 용이 하도록 각각의 구성품 간을 체결부재하나로 체결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여 기타 도구가 필요 없이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 및 분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태권도용 송판이나 미트를 고정하여 수련을 하는데 있어 미트나 송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련자가 원하는 형태의 수련을 할 수 있는 태권도용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본 고안의 이동이 용이하여 원하는 장소에서 수련을 할 수 있고, 각각의 구성품 간을 체결부재하나로 체결 및 분해가 가능해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며, 태권도용 미트나 송판을 고정하는 데 있어 각도 조절이 가능해 수련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운동이 가능하고, 수련자가 운동하는 데 있어 보다 안전한 상태로의 운동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에 바닥판(110)이 구비되어 지고, 중앙으로 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이 중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재(100)와;
상기 바닥부재(100)의 삽입부(101)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110)과 체결하는 삽입바(211)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판(210)의 상단으로 손잡이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부재(200)와;
상기 이송부재(20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 형성된 높이조절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에 끼움 결합되어 체결부재(600)에 의해 높이조절공(311)에 체결될되는 것으로 다수의 결합공(410)이 형성된 설치부재(400)와;
상기 설치부재(40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다수의 체결공(510)이 천공되어 있는 연결부재(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주요부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고정부재와 미트가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 및 연결대가 회동가능한 것을 나타낸 작동상태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태권도용 미트 및 송판이 고정되어 사용되어 지는 사용상태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부재(100)에 이송부재(200)가 체결되고, 상기 이송부재(200) 상측으로 지지대(300)가 체결되며, 상기 지지대(300)에 끼움결합되는 설치부재(400)에 연결부재(500)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부재(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이 형상이 도넛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저면에 바닥판(110)이 구비되데,
상기 바닥판(110)은 중량이 무거운 제질로 구성하여 본 고안을 수련자가 운동을 하면서 강한 힘을 가하게 되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잡아 주게 되며, 상기 이송부재(200)의 삽입바(211) 저면에 체결되어 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부재(100)는 내측이 중공의 형태를 이루고 있어, 내측으로 물이나 기타 물질들을 수용할 수 있게 하여 본 고안의 무게 중심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 주면서 흔들리지 않게 하였다.
이때, 사용자가 본 고안을 운반할 시에는 상기 바닥부재(100)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물질을 배출시켜 보다 손쉽게 본 고안을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부재(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재(100)에 체결되는 안착판(210)의 저면으로 삽입바(211)가 구비되며, 상면으로는 손잡이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삽입바(211)는 상기 바닥부재(100)의 삽입부(101)에 삽입되어 저면으로 바닥판(110)과 체결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송부재(200)와 바닥부재(100) 바닥판(110)이 체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재(200)와 바닥부재(100) 및 바닥판(110)이 체결되어 무 게 중심을 더룩 견고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본 고안을 이용하여 수련자가 운동을 하는데 있어 본 고안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찬판(210)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부(212)를 이용하여 상용자가 본 고안을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3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제1지지대(310)와, 상기 제1지지대(3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320)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하는 체결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대(320)는 하단으로 상기 이송부재(200)와 체결부재(600)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제1지지대(310)와 제2지지대(320)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본 고안을 보관 하거나 운반할 시 이송이 간편함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지지대(320)만을 교체하게 되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 진다.
상기 설치부재(4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대(310)에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공(311)에 끼움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다수의 결합공(410)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공(410)은 후술하는 연결부재(500)가 체결부재(600)에 의해 체결되기 위한 것으로, 결합공(410)을 다수 천공하여 연결부재(500)의 일정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 가능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5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재(400)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다수의 체결공(510)이 천공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고정구(501)가 구비되어 고정부재(530)및 태권도용미트(540)가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부재(400)에 형성된 결합공(410)과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체결공(510)은 체결부재(600)에 의해 체결되어 지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연결부재(500)를 설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태권도용 미트나 송판의 각도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의 설치가 가능해 진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50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530)에 상기 태권도용 송판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530)가 연결부재(500)에 착탈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고정부재(530)에 송판을 자유롭게 설치한 후 연결부재 (500)에 고정부재(530)를 체결하여 수련하게 되며,
태권도용미트(540) 또한 상기 연결부재(500)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태권도 수련을 하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재(400)와 연결부재(500) 사이에 연결대(520)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대(520)에 의해 연결부재(500)가 본 고 안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게 하여, 수련자가 발차기나 격파 등의 동작이 큰 수련을 하게 될경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작이 작은 운동을 할 경우 상기 연결대(520)를 구비하지 않고 설치부재(400)에 연결부재(500)를 바로 설치하에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도 7은 상기 지지대(300)에 고정부재(530)를 직접 체결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고정부재(530)를 지지대(300)에 체결하여 송판을 격파하는 수련을 하는 데 있어, 다수의 송판을 여러동작을 이용해 격파하는 수련을 하는데 용이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의 주요부 분리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고정부재와 미트가 연결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 및 연결대가 회동가능한 것을 나타낸 작동상태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태권도용 미트 및 송판이 고정되어 사용되어 지는 사용상태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따른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바닥부재 101; 삽입부
110; 바닥판 200; 이송부재
210; 안착판 211; 삽입바
212; 손잡이부 300; 지지대
310; 제1지지대 311; 높이조절공
320; 제2지지대 330; 체결대
400; 설치부재 410; 결합공
500; 연결부재 501; 고정구
510; 체결공 520; 연결대
530; 고정부재 540; 태권도용미트
600; 체결부재

Claims (3)

  1. 저면에 바닥판(110)이 구비되어 지고, 중앙으로 삽입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이 중공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재(100)와;
    상기 바닥부재(100)의 삽입부(101)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110)과 체결하는 삽입바(211)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판(210)의 상단으로 손잡이부(212)가 형성되어 있는 이송부재(200)와;
    상기 이송부재(20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 형성된 높이조절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지지대(300)와;
    상기 지지대(300)에 끼움 결합되어 체결부재(600)에 의해 높이조절공(311)에 체결될되는 것으로 다수의 결합공(410)이 형성된 설치부재(400)와;
    상기 설치부재(400)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으로 다수의 체결공(510)이 천공되어 있는 연결부재(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0)는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공(311)이 천공되어 있는 제1지지대(310)와, 상기 제1지지대(31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지지대(320)를 각각 체결하여 연결하는 체결대(330)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대(310)와 제2지지대(320)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400)의 일측으로 연결대(520)를 회동가능하게 체결하고, 상기 연결대(520)의 타측 끝단부에 연결부재(500)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연결부재(500) 내측으로 고정구(501)를 구비하여 고정부재(530)및 태권도용미트(54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20070017289U 2007-10-25 2007-10-25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448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89U KR200448579Y1 (ko) 2007-10-25 2007-10-25 태권도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289U KR200448579Y1 (ko) 2007-10-25 2007-10-25 태권도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93U true KR20090003993U (ko) 2009-04-29
KR200448579Y1 KR200448579Y1 (ko) 2010-04-27

Family

ID=4128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289U KR200448579Y1 (ko) 2007-10-25 2007-10-25 태권도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65B1 (ko) * 2012-09-21 2013-11-20 채희배 이동식 목인장 장치
KR20170003996U (ko) 2016-05-17 2017-11-28 민경복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KR102109516B1 (ko) * 2019-01-24 2020-05-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KR102114834B1 (ko) * 2019-01-24 2020-05-2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936A (ko) * 2002-01-24 2003-07-31 민경복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40079568A (ko) * 2003-03-07 2004-09-16 민경복 송판 고정수단
US20070197348A1 (en) * 2006-02-21 2007-08-23 Yuan-Sheng Ku Beating training ma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65B1 (ko) * 2012-09-21 2013-11-20 채희배 이동식 목인장 장치
KR20170003996U (ko) 2016-05-17 2017-11-28 민경복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KR102109516B1 (ko) * 2019-01-24 2020-05-1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KR102114834B1 (ko) * 2019-01-24 2020-05-2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579Y1 (ko) 2010-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1310B2 (en) Interchangeable modular ball game apparatus
JP4087791B2 (ja) 球技用の練習装置
US5692979A (en) Multi-purpose game device
US8118714B2 (en) Portable boxing and martial arts training apparatus
US9821208B2 (en) Multi-headed, multi-abdomen, multi-armed apparatus for use with a slip and counter fight simulation/workout machine or stand alone device for fight simulation
US201902626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 soccer skills-enhancing game
US10493346B2 (en) Multi-headed, multi-abdomen, multi-armed apparatus for use with a slip and counter fight simulation / workout machine or stand alone device for fight simulation
US5246225A (en) Foldable arcade game apparatus and method
US10646762B2 (en) Surface mounted ball and net device
KR200448579Y1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US20080220913A1 (en) Ball and ladder gam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n indoor table game
US7717431B2 (en) Table-top football kicking game
CN101450252B (zh) 高尔夫训练组件
US20170095719A1 (en) Multi-Head, Multi-Abdomen, Multi-Armed Apparatus For Use With A Slip And Counter Fight Simulation / Workout Machine Or Stand Alone Device For Fight Simulation
GB2536890A (en) Ball training apparatus and facilitating devices
KR200329936Y1 (ko) 여러가지 운동기구로 사용이 가능한 지주대 구조
US6398672B1 (en) Football kicking trainer
JP2006340738A (ja) バッテリースタンドを添えた多目的スポーツネット
US20150157910A1 (en) Table Game with Surface and Air Components
KR20030063936A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US8888097B2 (en) Table game with surface and air components
US20160121191A1 (en) Take-Home Sparring Partner
KR200315357Y1 (ko) 무술수련용 운동기구
KR200271150Y1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JP2548100B2 (ja) サッカー用リフティングトレ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