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96U -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 Google Patents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996U
KR20170003996U KR2020160002675U KR20160002675U KR20170003996U KR 20170003996 U KR20170003996 U KR 20170003996U KR 2020160002675 U KR2020160002675 U KR 2020160002675U KR 20160002675 U KR20160002675 U KR 20160002675U KR 20170003996 U KR20170003996 U KR 201700039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ing
power
technical
fixed
til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298Y1 (ko
Inventor
민경복
Original Assignee
민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복 filed Critical 민경복
Priority to KR2020160002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9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31Breaking boards or holders therefore, i.e. devices for destroy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4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movable support
    • A63B69/00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63B2069/004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면에 케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양단부로부터 수직상 고정 연결되는 수직고정부재; 상기 수직고정부재 상단부에서 힌지부를 통하여 절첩 회동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측면으로 상하 이격 고정되는 위력격파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 내부로 상하 조절되며 고정되어지는 기술격파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위력 격파를 위하거나 또는 기술 격파를 진행할 때 각각 준비되어야 하는 장치를 통합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위력 격파와 기술 격파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격파 훈련 및 연습의 효율성을 갖게 되는 효과와, 위력 격파 및 기술 격파를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실현시키되, 장치를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그 보관시 필요로 하게 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물론 이동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Power and technical defeat type Comprehensive training device defeated}
본 고안은 태권도 등과 같은 무술 단련을 위한 격파 단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판등을 격파하기 위한 위력 격파 또는 미트나 송판등을 파지한 상태에서 격파 기술을 요구하게 되는 기술 격파 등을 혼합하여, 단련자의 요구나 격파 심사 과정등에서 기술, 위력 격파 시험 및 시범 등이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실현 가능하도록 하는 종합 격파 단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를 단련하는 방법으로, 태권도, 격투기, 복싱 등의 다양한 무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각국마다 전통적인 무술 종류가 다양하다. 특히 자국의 전통 무술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전통적인 무술의 하나로 태권도를 들 수 있는데, 태권도의 경우 1988년 올림픽 시범경기를 시작으로 전세계인에게 널리 알려져 즐기게 된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태권도는 사람과 사람간의 대련을 위한 경기와, 격파로 행하여지고 있는데 특히 격파의 경우 보조자가 송판을 양쪽에서 잡은 후 격파자가 송판을 자기의 손, 발 등을 이용하여 격파하게 되므로서 그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러나, 단련 또는 격파 시범 등을 보이기 위해서는 보조자의 도움 없이는 사실상 힘든 문제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이어져 왔다.
또한 시범경기 등을 위해서 실시되는 격파는 크게 위력 격파와 기술 격파(흔히 묘기 격파라고도 함)로 나누어지는데, 상기 위력 격파는 동작의 파괴력을 시험하거나 보여주는 것이고, 기술 격파는 위력 격파와 같은 파괴력을 보여주기 보다는 다양한 동작과 기술의 발휘가 목적이 되므로, 비교적 얇은 송판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격파 종류 중 위력 격파의 경우 송판을 다수 적층하여 바닥에 고정시킨 후 격파하거나 또는 사람이 양쪽에서 송판을 잡은 상태에서 격파 시범자가 격파를 하게 되고, 기술 격파의 경우 미트장치를 이용하여 수련 또는 시범을 보이게 된다.
즉, 위력 격파를 하고자 할 경우 위력 격파에 적합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고 기술 격파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력 격파에 사용된 장치와는 다른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며, 보조자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위력 격파와 기술 격파를 동시에 진행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이 20-2009-0003993의 경우에는 주로 기술 격파를 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술 격파에만 한정되어 사용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을 위한 부피가 상당하여 보관상 문제 및 이동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들이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위력 격파장치나 기술 격파 장치들이 개시되고는 있으나, 전술한 문제점들인, 각각의 장치를 이용하여 위력 격파를 시행하거나 기술 격파를 시행하게 되는 문제와, 이동의 용이성 및 해당 장치의 부피 등으로 인한 보관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국내 공개 실용신안 20-2009-0003993 (2009. 04. 29 공개)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위력 격파와 기술 격파가 동시에 하나의 격파장치를 통하여 실현 가능하도록 하며, 보조자가 없이도 해당 격파 시범 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장치의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장치를 이동시킬 때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절첩 되도록 하여 보관 부피의 최소화와 보관 면적 및 부피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면에 케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양단부로부터 수직상 고정 연결되는 수직고정부재,
상기 수직고정부재 상단부에서 힌지부를 통하여 절첩 회동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측면으로 상하 이격 고정되는 위력격파부재,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 내부로 상하 조절되며 고정되어지는 기술격파부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위력 격파를 위하거나 또는 기술 격파를 진행할 때 각각 준비되어야 하는 장치를 통합할 수 있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위력 격파와 기술 격파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격파 훈련 및 연습의 효율성을 갖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위력 격파 및 기술 격파를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실현시키되, 장치를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에는 그 보관시 필요로 하게 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물론 이동 용이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전체적으로 절첩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수직상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회동부재 측면으로 구비되는 위력격파부재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의한 상태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서의 위력격파부재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위력격파부재에 의해 송판의 위력격파가 이루어지기 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위력격파부재중 하부위력격파부재를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8에 의해 위력격파부재에 파지된 송판이 파괴되면서, 하부위력격파부재가 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송판을 더욱 두텁게 파지하고자 할 경우, 제2파지구를 분리하여 연장되는 로드를 갈이 끼워 사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서 기술격파부재의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 단부에 연결되는 미트고정구가 상하로 각각 일정각도 회동 고정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고안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위력 격파와 기술 격파를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실현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절첩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여 부피의 최소화를 통한 보관 용이성과 이동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시되는 본 고안은,
하면에 케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 부재(100) 일단부로부터 수직상 고정 연결되는 수직고정부재(200)와, 상기 수직고정부재(200) 상단부에서 힌지부를 통하여 절첩 회동되는 회동부재(300)와, 상기 회동부재(300)의 측면으로 상하 이격 고정되는 위력격파부재(400)와, 상기 회동부재(400)의 일측 내부로 상하 조절되며 고정되어지는 기술격파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본 고안의 최하단에 구비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케스터(110)가 구비되어 이동시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고정부재(200)는 상기한 베이스부재(100)의 일측단으로부터 수직상 고정 연결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직고정부재(200)의 상면측에는 힌지부(210)가 구비되어져, 후술하는 회동부재(300)의 회절을 가능하게 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갖게 된다.
또한 이와 대응되어 상기 수직고정부재(200)와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부재(100) 단부측 상방으로도 상기 히지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300)는 전술한 수직고정부재(200) 상면으로 구비되는 힌지부(210)와 그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힌지부(210)를 기점으로 회절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그 회전각도는 90 ° 범위로 한정하여 회절되도록 한다.
도 2 에서 보는 것과 같이 회동부재(300)는 평상시에는 수직고정부재(200) 상단 힌지부(210)와, 베이스부재(100)의 힌지부(210)를 기준으로 수평한 상태로 회전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회동부재(300)는 베이스부재(100)의 양단측으로 각각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내측방향으로 회절되며 각 회동부재(300)가 상호 절첩되는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와 같이 회동부재(300)를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며 대향되는 두 개의 회동부재(300)가 상호 절첩되며 겹쳐지는 상태를 취하게 되어, 보관시에 그 부피를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300)를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수직상태로 90° 회동시킨 후 고정하게 되면 수직고정부재(200)는 수직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회동부재(300)를 수직상으로 고정 시킨 후에는 회동부재(300)와 회동부재(300) 사이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 고정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320)를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예컨데, 회동부재(30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보강재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회동부재(300)는 베이스부재(100)의 양측으로부터 수직상 고정되면 대향 이격되며 서로 마주보게 고정된 회동부재(300) 사이에 상기 보강재에 걸쳐지도록 하는 간격유지부재(32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부재(320)의 양단측 중 어느 일측단에, 상기 보강재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간격유지부재(320)의 일측단으로부터 보강재간을 관통하는 고정핀으로 상호 고정 결합이 가능할 수도 있는바, 제품 설계에 따른 변경에 의해 그 실시의 가변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위력격파부재(400)는 상기 회동부재(300)의 측면으로 상하 이격 고정되며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로 구분되는 한 조의 위력격파부재(400)를 제공하고, 그 위력격파부재(400)에 송판(P) 등을 파지시켜 위력격파를 시행하게 된다.
이를 위한 위력격파부재(400)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위력격파부재(4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회동부재(300)의 측면 상하로 이격되는 한조로 구성되는데, 이해의 편의상 상부측에 있는 위력격파부재를 상부위력격파지지부(410)라 하고, 이와 이격되어 하부측에 구비되는 것을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라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에서 동일하게 여겨지는 구성요소들은 그 설명을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동일한 구성들로 구성되어지는 공통적인 요소들을 설명하면,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는 회동부재(300)의 측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40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401)의 전면측으로 상기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의 일단부가 힌지(402)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의 타단부에는 송판(P)을 파지하기 위한 송판파지구가 형성된다.
상기 송판파지구는 클립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송판(P) 하나만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송판을 파지하여 위력 격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송판파지구는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를 이루는 몸체의 선단부에서 인입출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은 중공 형태를 이루는 몸체(411,421)와, 상기 몸체(411,421)의 선단부에는 각각 제1파지구(412,42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파지구(412,422)와 이격 조절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제2파지구(413,423)을 형성한다.
상기 제2파지구(413,423)은 몸체(411,421)의 선단부와 접하여 제1파지구(412,422)와 근접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파지구(412,422)와 이격된 후 고정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송판(P)을 한장에서부터 다수장까지 겹겹이 형성하여 격파 시범자의 위력 격파 시범 또는 훈련이 가능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파지구(413,423)는 이와 같이 몸체(411,421)로부터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2파지구(413,423)으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로드(414,424)가 몸체(411,421)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로드(414,424)의 외주면에 스프링(S)을 탄지하고, 로드(414,424)의 외측으로 손잡이(415,425)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415,425)는 몸체(411,4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416,426)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로드(414,424)의 단부측으로는 스토퍼(417)을 형성하고 상기 로드(414,424)의 전방측을 감싸는 원통체(418)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418)와 스토퍼(417) 사이에 상기 스프링(S)을 탄지하는 구성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시범자가 송판(P)을 제1파지구(412,422)에 지지하며 다수개 겹겹이 적층하여 원하는 소정 두께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 제2파지구(413,423)의 몸체(411,421)의 장공(416,426)으로 돌출되는 손잡이(415,425)를 잡아당겨, 제2파지구(413,423)를 충분히 벌린 상태에서 손잡이(415,425)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S)의 복귀력에 의해 제2파지구(413,423)을 제1파지구(412,422)측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에 의해 송판(P)을 상부위력격파지지부(410)에서의 제1,2파지구(412,413)과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에서의 제1,2파지구(422,423)에 의해 견고히 고정하여, 시범자의 위력격파 시범 또는 훈련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430)의 몸체(421,431)은 전술한 힌지(402)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는데,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430)의 수평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위력격파지지부(410)는 접혀진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절시킨 후에는 후단부에 구비되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채택한다.
즉, 상부위력격파지지부(410)는 위력 격파 시범 또는 훈련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부위력격파지지부(410)를 상방향으로 힌지(402)를 중심으로 회동시킨 후 몸체(411)의 후단측으로 천공되어지는 통공으로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이와는 달리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는 위력 격파 시범자 또는 훈련자에 의해 송판(P)이 격파될 때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송판(P)의 격파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는 격파 충격 등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하방향으로의 회절이 가능하여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의 후단 힌지(402)의 축(403) 외주면으로 걸림턱(404)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턱(404)에 걸려지는 걸림돌부(427)와 상기 걸림돌부(427)의 전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드(428) 및 상기 걸림로드(428)의 전단측으로 연결되어져 제1파지구(422)의 상방측 수직선상으로 이어지는 연결편(429a)과 상기 연결편(429a)으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지지편(429)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편(429a)이 걸림로드(428)의 전단부측과 접하도록 하고, 상기 걸림돌부(427)와 걸림로드(428)간 스프링(427a)이 내합되는 스프링탄지부(427b)를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탄지부(427b)에는 걸림로드(427)가 관통되며 상기 걸림로드(427)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스프링탄지부(427b)에 내입 탄지되는 스프링(427a)은 스프링탄지부(427b) 내부를 관통하는 걸림로드(428) 영역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부위력격파지지부(410)의 제1,2파지구(412,413)과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의 제1,2파지구(422,423)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여러겹의 송판(P)을 위력 격파 시범자 또는 훈련자에 의해 격파가 되는 순간, 송판(P)이 지지편(429)을 뒷쪽 방향으로 젖혀지게 하고, 지지편(429)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편(429a)의 단부와 연결되는 걸림로드(428)가 전방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걸림로드(428)의 전방측 당겨짐 현상에 의해, 상기 걸림로드(428)의 타단으로 연결되어 있던 상기 걸림돌부(427)도 몸체(421)의 힌지(402)에 구비되는 축(403)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턱(404)에 고정되어 있던 상태에서 해제된다.
즉, 걸림턱(404) 상단에 얹혀지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던 걸림돌부(427)는 전술한 작용에 의해 걸림턱(404)으로부터 걸림돌부(427)가 이탈됨으로서, 상기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는 그 자중에 의해 힌지(402)를 중심으로 하방향 회동되어지는 것이다.
이로서, 송판(P)을 격파하게 되는 위력 격파 시범자 또는 훈련자는 송판(P) 격파시 신체의 일부인 팔 또는 다리가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의 구성요소와 충격되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어, 안전한 격파 시범 또는 훈련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송판(P)의 두께를 더 두텁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파지구(413,423)과 연결되는 로드(414,424)를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하며 상호 분리되도록 하는 연장로드(L)를 이용하여, 송판(P)을 두텁게 형성하여 위력 격파 시범을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에 의해서 위력격파 시범 및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기술 격파를 본 고안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것으로 상기한 기술격파부재(500)를 구비하게 되는데, 먼저,회동부재(400)의 측면으로 중공 형태를 갖는 각관(310)이 고정되고, 상기 각관(310)의 상방측으로 통공(311)을 형성하고, 상기 기술격파부재(500)가 회동부재(400)의 각관(310)으로 삽입한 후 상방향으로 길게 돌출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기술격파부재(500)는 전술한 회동부재(400)의 각관(310)으로 삽입 되어 상방향으로 길게 돌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511)이 이격 천공되는 제1부재(510)와, 상기 제1부재(510) 상단으로부터 회동되는 제2부재(5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520) 단부에는 송판(P)을 파지하기 위한 미트(54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미트고정구(5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부재(510)가 상기 각관(310) 내부로 삽입된 후, 각관(310)의 통공(311)의 위치에, 인출 길이가 선정된 위치에 해당되는 제1부재(510)의 선택된 구멍(511)과 일치 시킨 후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제1부재(510)와 각관(310)간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부재(510)의 상단부측으로는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부재(520)가 구비되는바, 상기 제1부재(510)와 제2부재(520)가 접하는 부위에는 상호 암수 결합에 의해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해제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하게 되어, 제1부재(510)를 각관(310)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제2부재(520)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고정핀 등으로 제1부재(510)와 제2부재(520)간 접하는 부위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부재(520)의 단부측(즉 제1부재와의 결합되는 부위의 타측)으로는 송판(P)을 파지하기 위한 미트(54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미트고정구(53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트고정구(530)는 통상적인 구조를 채택하여 실시하게 되는바, 자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미트(540)를 고정하기 위한 설명으로 미트고정구(530)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송판을 파지하기 위한 송판파지구로 대체하여 실시 가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송판파지구의 구성 적용 또한 본 고안의 실시 범위내에 포함됨을 인식하여야 한다.
상기 제2부재(520)는 제1부재(510)로부터 일정각도, 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로 상하 회전된 후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제2부재(520)의 단부측으로 연결되는 상기 미트고정구(530)도 상하로 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로의 회전 후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기술격파에서 시범자의 신체 조건 등에 따라 그 난이도 및 높이 조절등이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고안을 이용하여 태권도의 시범 종목들 중의 하나로 인식되는 위력격파시범 및 기술격파시범을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 가능할 수 있으며, 시범 또는 훈련이 완료된 후에는 기술격파를 위한 기술격파부재(500)를 회동부재(300)의 각관(31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어서 베이스부재(100)의 양측단으로 각각 수직상 고정되어 있는 회동부재(300)를 수평선상으로 상호 절첩되도록 회동시키게 되므로서, 본 고안의 장치에 대한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본 고안의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를 절첩하여 보관하게 되고, 베이스부재의 케스터에 의해 소망하는 위치로의 이동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재 200; 수직고정부재
210; 힌지부 300; 회동부재
310; 각관 311; 통공
320; 간격유지부재 400; 위력격파부재
401; 고정프레임 402; 힌지
403; 축 404; 걸림턱
410; 상부위력격파지지부 411; 몸체
412; 제1파지구 413; 제2파지구
414; 로드 415; 손잡이
416; 장공 420; 하부위력격파지지부
421; 몸체 422; 제1파지구
423; 제2파지구 424; 로드
425; 손잡이 426; 장공
427; 걸림돌부 427a; 스프링
427b; 스프링탄지부 428; 걸림로드
429; 지지편 429a; 연결편
500; 기술격파부재
510; 제1부재 511; 구멍
520; 제2부재 530; 미트고정구
540; 미트

Claims (10)

  1. 하면에 케스터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재(100);
    상기 베이스 부재 양단부로부터 수직상 고정 연결되는 수직고정부재(200);
    상기 수직고정부재(200) 상단부에서 힌지부를 통하여 절첩 회동되는 회동부재(300);
    상기 회동부재(300)의 측면으로 상하 이격 고정되는 위력격파부재(400);
    상기 회동부재(300)의 일측 내부로 상하 조절되며 고정되어지는 기술격파부재(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300)와 회동부재(300) 사이의 수직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320)가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력격파부재(400)는 상기 회동부재(300)의 측면 상하로 이격되는 상부위력격파지지부(410)와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에 의해 한조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는 회동부재(300)의 측면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프레임(40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401)의 전면측으로 상기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의 일단부가 힌지(402)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위력격파지지부(410,420)는 중공 형태를 이루는 몸체(411,421)와, 상기 몸체(411,421)의 선단부에 송판(P)을 파지하기 위한 송판파지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판파지구는, 상기 몸체(411,421)의 선단부에는 각각 제1파지구(412,42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파지구(412,422)와 이격 조절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제2파지구(413,423)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지구(413,423)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연장되는 로드(414,424)가 몸체(411,421) 내부에 인입되고, 상기 로드(414,424)의 외주면에 스프링(S)을 탄지하고, 로드(414,424)의 외측으로 손잡이(415,425)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415,425)는 몸체(411,4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공(416,426)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위력격파지지부(420)의 후단 힌지(402)의 축(403) 외주면으로 걸림턱(404)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턱(404)에 걸려지는 걸림돌부(427)와 상기 걸림돌부(427)의 전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드(428) 및 상기 걸림로드(428)의 전단측으로 연결되어져 제1파지구(422)의 상방측 수직선상으로 이어지는 연결편(429a)과 상기 연결편(429a)으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연하여 이어지는 지지편(429)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편(429a)이 걸림로드(428)의 전단부측과 접하도록 하고, 상기 걸림돌부(427)와 걸림로드(428)간 스프링(427a)이 내합되는 스프링탄지부(427b)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400)의 측면으로 중공 형태를 갖는 각관(310)이 고정되고, 상기 각관(310)의 상방측으로 통공(311)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격파부재(500)는 상기 회동부재(400)의 각관(310)으로 삽입 되어 상방향으로 길게 돌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511)이 이격 천공되는 제1부재(510)와, 상기 제1부재(510) 상단으로부터 회동되는 제2부재(5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520) 단부에는 송판(P)을 파지하기 위한 미트(54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미트고정구(53)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KR2020160002675U 2016-05-17 2016-05-17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KR2004872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75U KR200487298Y1 (ko) 2016-05-17 2016-05-17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675U KR200487298Y1 (ko) 2016-05-17 2016-05-17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96U true KR20170003996U (ko) 2017-11-28
KR200487298Y1 KR200487298Y1 (ko) 2018-09-03

Family

ID=6048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675U KR200487298Y1 (ko) 2016-05-17 2016-05-17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9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357Y1 (ko) * 2003-03-08 2003-06-02 민경복 무술수련용 운동기구
KR20030063936A (ko) * 2002-01-24 2003-07-31 민경복 태권도용 운동기구
US7377883B1 (en) * 2007-01-30 2008-05-27 Blanton Stephen F Martial arts kicking apparatus
KR20090003993U (ko) 2007-10-25 2009-04-29 이현근 태권도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936A (ko) * 2002-01-24 2003-07-31 민경복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315357Y1 (ko) * 2003-03-08 2003-06-02 민경복 무술수련용 운동기구
US7377883B1 (en) * 2007-01-30 2008-05-27 Blanton Stephen F Martial arts kicking apparatus
KR20090003993U (ko) 2007-10-25 2009-04-29 이현근 태권도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98Y1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769B2 (en) Plyometr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20120087982A (ko)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KR200487298Y1 (ko) 위력 및 기술 격파를 위한 종합 격파 단련장치
US6994655B2 (en) Horizontal bar
CN202354931U (zh) 医用病床上护栏的锁紧机构
CN206228830U (zh) 一种多功能田径训练装置
CN216259012U (zh) 一种铅球训练装置
CN105715102A (zh) 一种体育场地用缓冲围栏
CN203235273U (zh) 教学训练用跨栏架
CN201969236U (zh) 一种引体向上训练器
CN205549500U (zh) 一种组合式足球角旗
CN212491580U (zh) 跨栏
ES2636624B2 (es) Simulador mecánico para el entrenamiento del salto con pértiga
CN105534567B (zh) 一种组织粉碎保护篮及其使用方法
CN204601508U (zh) 拉筋凳
US20120322622A1 (en) Handstand cast trainer
CN218187741U (zh) 一种手臂训练用可调节拉力器
CN206492154U (zh) 俯卧撑训练装置
CN202459937U (zh) 新型撑杆跳高架
CN213100683U (zh) 一种多功能烧伤科拉力锻炼康复器
CN209468689U (zh) 一种结构稳定的坚固型桥梁防护栏
CN104436534A (zh) 不倒翁后手翻辅助性训练器
CN207119151U (zh) 起跑器
CN207805672U (zh) 一种物理学实验台
CN206545427U (zh) 一种易于搬运的广告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