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516B1 -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 Google Patents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516B1
KR102109516B1 KR1020190009146A KR20190009146A KR102109516B1 KR 102109516 B1 KR102109516 B1 KR 102109516B1 KR 1020190009146 A KR1020190009146 A KR 1020190009146A KR 20190009146 A KR20190009146 A KR 20190009146A KR 102109516 B1 KR102109516 B1 KR 102109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ing
pole member
fixed
fixing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석
이희수
김진환
이태율
유주욱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9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B69/004
    • A63B2069/004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31Breaking boards or holders therefore, i.e. devices for destroying exercise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관 중 지름이 작은 관이 지름이 큰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상하로 길이가 조절가능하므로 다양한 높이로 격파용 송판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HIGH-ALTITUDE BREAK APPARATUS FOR TAEKWOMDO PERFORMANCE}
본 발명은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관 중 지름이 작은 관이 지름이 큰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상하로 길이가 조절가능하므로 다양한 높이로 격파용 송판을 위치시킬 수 있어 다양한 송판 격파 시범을 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격파는 손과 발 등의 공격 및 방어의 부위를 각종 보조기구를 통하여 강화·단련함으로써 파괴력을 기르는 것으로, 품새·겨루기와 함께 태권도의 3대 기본 구성요소이다.
손발의 기술체계를 숙달하고 심사 또는 시연 때 실제의 위력으로 단단한 물체인 송판·기와·벽돌 등을 깨뜨려 보이는 기술을 말하며, 주먹, 등주먹, 손날, 손끝 또는 손날등을 사용하고 발도 마찬가지로 앞축, 뒤축, 발날 부위를 사용하며 그 격파 기술이 다양하다.
또한, 격파는 위력 격파와 고난도 격파로 구분되고, 초급자에게는 가르치지 않으며, 고급자나 유단(품)자가 연습한다.
상기와 같은 격파 중 고난도 격파를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사람들이 각각 송 판을 들고 여러가지 위치를 잡으면, 가격하는 사람이 손, 발의 기술체계로 송판을 가격하여 격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사람이 직접 손에 송판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가격하여 격파를 수련해야 함으로, 혼자 수련할 수 없어 수련하는데 다른 인력이 소요되며, 또한, 송판을 들고 있는 사람은 부상의 위험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유력 격파에 제한이 따르는 저품 저단자들의 격파 연습 및 심사 대회에 송판 고정수단이 필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송판 고정수단을 벽면 등과 같은 설치 대상물에 고정된 고정홈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송판 고정수단(2)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4)과 고정부재(6)와 고정손잡이(8)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손잡이(8)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격파용 기구에 결합되거나 격파 도우미가 손으로 잡는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고정부재(6)에는 송판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4)는 고정부재(6)를 승하강 시켜 송판이 고정부재(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판 고정수단은 격파용 기구 등과 같이, 기설정된 위치나 높이에 설치되는 경우, 격파용 기구를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가 더 필요하게 되므로 격파용 기구의 무게가 더 무거워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송판 고정수단을 도우미가 들고 있는 경우, 부상의 위험과 도우미의 신장에 한계가 있어, 다양한 송판의 격파 시범에 제약이 따르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9611호(발명의 명칭:무술수련용 운동기구, 공개일자:2004년 09월 16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관 중 지름이 작은 관이 지름이 큰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상하로 길이가 조절가능하므로 다양한 높이로 격파용 송판을 위치시킬 수 있어 다양한 송판 격파 시범을 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격파 도우미가 착용가능한 착용장비를 제공하며, 상하로 길이가 조절가능한 폴부재가 상기 착용장비에 탈착가능하도록 하여 격파 도우미가 부상될 염려가 전혀 없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송판 격파시 격파 도우미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충격 완충 부재를 구비하여 격파 도우미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클립에 설치되며, 직사각 형상의 송판의 세 모서리를 감싸는 송판틀이 구비되므로 간편하게 송판틀에 송판을 인입 및 반출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송판틀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격파 시범자가 모서리를 가격하더라도 부상을 당할 염려가 없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격파 시범자가 송판의 격파를 제대로 했는지 판정할 수 있는 판정센서부와 이 판정센서부에서 판정된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자들을 집중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격파 시범자에게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격파 도우미의 양쪽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전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착용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끼움홈이 구비된 끼움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회전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형상의 볼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홈의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볼조인트가 회전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과 상기 고정용 커버의 내벽에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조인트의 외경을 따라 양분된 "C"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충격흡수 홈과, 상기 볼조인트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서로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 돌기와, 상기 충격흡수 홈에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충격흡수 돌기를 지지하여 격파 시범자가 격파용 송판을 격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충격흡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홈의 내부에는, 상기 충격흡수 돌기가 충격흡수 홈에서 이동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격파용 송판의 파손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센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정센서부는, 상기 충격흡수 돌기가 기설정된 구간의 내에서 이동된 경우, 격파용 송판이 정상적으로 격파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충격흡수 돌기가 상기 기설정된 구간을 벗어난 경우, 격파용 송판이 비정상적 또는 격파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정센서부에서 판정된 격파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밴드부에 내장된 광원으로 전달되거나 외부로 무선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파용 송판의 외주면을 감싸며, 격파용 송판의 인입 및 반출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실리콘 재질의 송판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복수의 관 중 지름이 작은 관이 지름이 큰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상하로 길이가 조절가능하므로 다양한 높이로 격파용 송판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격파 도우미가 착용가능한 착용장비를 제공하며, 상하로 길이가 조절가능한 폴부재가 상기 착용장비에 탈착가능하도록 하여 격파 도우미가 부상될 염려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판 격파시 격파 도우미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충격 완충 부재를 구비하여 격파 도우미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클립에 설치되며, 직사각 형상의 송판의 세 모서리를 감싸는 송판틀이 구비되므로 간편하게 송판틀에 송판을 인입 및 반출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송판틀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격파 시범자가 모서리를 가격하더라도 부상을 당할 염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격파 시범자가 송판의 격파를 제대로 했는지 판정할 수 있는 판정센서부와 이 판정센서부에서 판정된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자들을 집중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격파 시범자에게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송판 고정수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폴부재가 길이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격파 보조 장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격파 보조 장비의 착용장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착용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충격흡수 돌기가 충격흡수 홈의 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격파 보조 장비의 송판틀에 격파용 송판이 인입되는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폴부재가 길이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는, 폴부재(10)와 고정클립(20)이 포함된다.
상기 폴부재(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11~13)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복수의 관(11~13)들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복수의 관(11~13)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고정클립(20)이 지면에서부터 약 2~4m의 높이에 격파용 송판(30)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격파 도우미의 신장을 고려하는 경우 약 3~5m의 높이에 격파용 송판(30)이 위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약 5m의 높이에 격파용 송판(30)이 위치되는 경우, 격파 시범자는 도움닫기나 덤블링 등과 같이 점프를 극대화 하여 화려한 격파 시범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폴부재(10)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제작되는 경우, 통상의 다단 우산이나 낚시대와 같이, 복수의 관(11~13)이 인출 또는 수납이 용이하면서도 좌우로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나 돌기와 같은 회전방지부재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폴부재(10)의 복수의 관(11~13)들은 서로 분리되지 않아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폴부재(10)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가벼우면서도 내부식성 및 고강도 재질인 티타늄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격파 도우미의 손목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예컨대, 3kg 미만의 무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태권도 격파 시범 공연시 고공 격파 보조장비들은 대부분 무거운 소재인 PVC, 각목, 강철파이트 등으로 제작된 격파 보조물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 본 발명은 가장 큰 무게를 차지하는 폴부재를 경량화하여 격파 도우미가 폴부재(10)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고정클립(20)은 상기 폴부재(10)의 상단, 즉, 복수의 관 중 가장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고정클립(20)에는 격파 시범자의 격파 시범을 위한 직사각형상의 격파용 송판(3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격파 보조 장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격파 보조 장비의 착용장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착용장비의 정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의 충격흡수 돌기가 충격흡수 홈의 내에서 이동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격파 보조 장비의 송판틀에 격파용 송판이 인입되는 것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폴부재(10)와 고정클립(20)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폴부재(10)와 고정클립(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는, 착용장비(1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용장비(10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밴드부(110)와, 이 밴드부(110)의 전면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120)와, 이 연결부(120)에 설치되되, 폴부재(10)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밴드부(110)는 격파 도우미의 어깨에 착용되는 부재로서, 예컨대, 배낭의 어깨끈과 같은 방법으로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부(110)의 내부에는 후술할 판정센서부에 의해 점등되는 광원(111)이 내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연결부(120)는 밴드부(110)의 전면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여기서 전면은 격파 도우미가 착용장비(100)를 정상 착용한 상태에서 흉부측을 뜻한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120)에는 고정부(1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고정부(130)에는 폴부재(10)의 하단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의 회전홈(121)에 결합되며, 연결부(120)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되면서 격파용 송판(30)의 격파시 발생되는 충격을 경감시켜 격파 도우미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30)의 일측에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부재(10)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홈(132)이 구비되는 끼움부(13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끼움홈(132)은 폴부재(10)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하여 개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의 타측에는 회전홈(121)에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형상의 볼조인트(133)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볼조인트(133)가 회전홈(121)에 좌우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유지용 부재인 고정용 커버(1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격파용 송판(30)의 격파시 발생되는 충격을 경감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용 커버(140)의 내벽과 회전홈(121)의 바닥면에는 충격흡수 홈(150)이 형성되고, 볼조인트(133)의 외주면에는 충격흡수 돌기(160)가 구비되며, 충격흡수 홈(150)에는 격파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 스프링(170)이 설치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홈(121)의 바닥면과 고정용 커버(140)의 내벽에는 각각 충격흡수 홈(15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충격흡수 홈(150)은 예컨대, 격벽이 돌출되어 자연스럽게 형성된 홈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 홈(150)에는 충격흡수 스프링(170)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 홈(150)은 격벽이 대체로 "C"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충격흡수 홈(15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좌우 대칭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충격흡수 홈(150)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예컨대, 도너츠 형상("O"자 형상)에서 좌우로 대칭되게 일부 절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 홈(150)은 볼조인트(133)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볼조인트(133)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충격흡수 돌기(160)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충격흡수 돌기(160)는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대향된 위치라 함은, 구형상의 볼조인트(133) 외주면을 횡단하는 경우, 서로 대향된 방향으로 돌출되며, 횡단면이 원형인 볼조인트(133)에서 18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 돌기(160)는 상술한 충격흡수 홈(15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충격흡수 돌기(160)의 양측은 충격흡수 스프링(170)와 맞닿아 충격흡수 스프링(170)이 갖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충격흡수 돌기(160)는 별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충격흡수 스프링(170)에 의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고정부(130)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거나 외력에 의해 볼조인트(133)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 즉, 초기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 스프링(170)은 충격흡수 홈(1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충격흡수 돌기(160)를 지지하여 격파 시범자가 격파용 송판(30)을 격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충격흡수 돌기(160)를 원상태로 복원시켜 고정부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 홈(150)의 내벽에는 격파 시범자에 의해 격파용 송판(30)이 격파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볼조인트(133)가 회전되는 경우, 충격흡수 돌기(160)가 충격흡수 홈(150)에서 이동되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판정센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판정센서부는 자석을 이용한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판정센서부는 충격흡수 돌기(160)의 외부 또는 내부(내장)에 판정용 자석(161)이 구비되고, 회전홈(121)의 내벽에는 판정용 자석(161)의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예:홀센서)(180)가 구비되어 충격흡수 돌기(16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정센서부는 충격흡수 돌기(160)가 충격흡수 홈(150)의 내에서 이동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격파용 송판(30)이 정상적으로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판정센서부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격파용 송판(30)에 격파 시범자의 발차기 또는 주먹치기 등의 외력(충격)이 가해지면, 격파 시범자의 외력은 고정클립(20)과 폴부재(10)로, 폴부재(10)로 전달된 외력은 고정부(130)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30)로 전달된 격파 시범자의 외력에 의해 볼조인트(133)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는데, 이에 따라, 충격흡수 돌기(160)는 충격흡수 홈(150)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판정센서부는 충격흡수 돌기(160)의 위치를 감지하여 격파 시범자가 격파용 송판(30)을 올바르게 격파하였는지를 판정하게 되는데, 판정센서부는 충격흡수 돌기(160)가 기설정된 구간의 내에서 이동하면 격파용 송판(30)이 정상적으로 격파된 것으로 판정하고, 충격흡수 돌기(160)가 상기 기설정된 구간을 벗어난 경우(충격흡수 돌기(160)가 기설정된 구간 보다 더 이동된 경우), 비정상적으로 격파된 것으로 판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격파용 송판(30)은 격파되기 위한 최적의 위치(예:격파용 송판의 외측 모서리와 중앙 사이 또는 중앙)에 외력이 가해지면, 격파 도우미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 되는데, 이에 따라, 충격흡수 돌기(160)는 충격흡수 홈(150)의 내에서 매우 미미하게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격파 시범자가 격파용 송판(30)의 모서리를 타격하는 경우에는 송판이 격파되지 않거나 격파되더라도 이상적으로 쪼개지지 아니하고, 모서리에 인접한 부위만 쪼개진다.
이러한 경우, 격파 시범자의 외력은 격파 시범자와 격파 도우미 모두에게 상당한 충격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충격흡수 돌기(160)는 충격흡수 홈(150)에서 정상적인 격파인 경우 보다 더 많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격파용 송판(30)의 모서리를 타격하는 격파 시범자의 발 또는 손에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판틀(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판틀(200)은 격파용 송판(30)의 외주면을 감싸되, 직사각형상의 격파용 송판(30)의 3개의 모서리를 감싸는 것이 바람직한데, 격파용 송판(30)이 송판틀(200)에 인입 및 반출이 용이하도록 일측 모서리만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20)과 격파용 송판(30)이 결합되는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 모서리 모두를 감싸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격파용 송판(30)이 격파되지 않는 경우에도 판정센서부는 비정상적인 격파로 판정할 수 있는데, 예컨대, 격파 시범자가 폴부재(10)를 가격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상기 판정센서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격파용 송판(30)의 격파가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판정되면, 이를 외부에서 알 수 있게 하여 격파용 시범자는 송판 격파 시범 공연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격파용 송판(30)의 타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격파 시범 공연 중에는 격파 시범자 뿐만 아니라 관람자에게도 격파의 성공여부를 알려주어 격파 시범 공연의 집중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판정된 판정센서부의 격파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격파 도우미가 어깨에 착용하고 있는 밴드부(110)에 내장된 광원이나 외부의 전광판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로 전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격파시 발생되는 충격을 충격흡수 스프링(170)으로 흡수하며, 이 충격흡수 스프링(170)에 의해 폴부재(10)가 원상태로 복귀됨은 물론 일정한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므로 격파 도우미는 폴부재(10)를 손으로 붙잡지 않아도 격파 시범 공연이 가능하므로 격파 도우미의 부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폴부재 11~13-관
20-고정클립
30-격파용 송판
100-착용장비
110-밴드부 111-광원
120-연결부 121-회전홈
130-고정부 131-끼움부
132-끼움홈 133-볼조인트
140-고정용 커버
150-충격흡수 홈
160-충격흡수 돌기 161-판정용 자석
170-충격흡수 스프링
180-센서
200-송판틀

Claims (9)

  1.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
    상기 격파용 송판의 외주면을 감싸며, 격파용 송판의 인입 및 반출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실리콘 재질의 송판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2.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과,
    격파 도우미의 양쪽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전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착용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3.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과,
    격파 도우미의 양쪽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전면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착용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끼움홈이 구비된 끼움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회전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형상의 볼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4.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과,
    격파 도우미의 양쪽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전면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착용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끼움홈이 구비된 끼움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회전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형상의 볼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홈의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볼조인트가 회전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5.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과,
    격파 도우미의 양쪽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전면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착용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끼움홈이 구비된 끼움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회전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형상의 볼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홈의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볼조인트가 회전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과 상기 고정용 커버의 내벽에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조인트의 외경을 따라 양분된 "C"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충격흡수 홈과,
    상기 볼조인트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서로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 돌기와,
    상기 충격흡수 홈에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충격흡수 돌기를 지지하여 격파 시범자가 격파용 송판을 격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충격흡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6.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관으로 구성되며, 작은 지름을 갖는 관이 큰 지름을 갖는 관의 내부에 수납 또는 인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폴부재와,
    상기 폴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며, 직사각형 격파용 송판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클립과,
    격파 도우미의 양쪽 어깨에 각각 착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전면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착용장비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폴부재의 하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측을 향하여 개방된 끼움홈이 구비된 끼움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회전홈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가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형상의 볼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홈의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볼조인트가 회전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홈의 바닥면과 상기 고정용 커버의 내벽에 각각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조인트의 외경을 따라 양분된 "C"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충격흡수 홈과,
    상기 볼조인트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되, 서로 대향된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충격흡수 돌기와,
    상기 충격흡수 홈에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충격흡수 돌기를 지지하여 격파 시범자가 격파용 송판을 격파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충격흡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홈의 내부에는,
    상기 충격흡수 돌기가 충격흡수 홈에서 이동되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격파용 송판의 파손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센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정센서부는,
    상기 충격흡수 돌기가 기설정된 구간의 내에서 이동된 경우, 격파용 송판이 정상적으로 격파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충격흡수 돌기가 상기 기설정된 구간을 벗어난 경우, 격파용 송판이 비정상적 또는 격파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판정센서부에서 판정된 격파에 대한 정보는 상기 밴드부에 내장된 광원으로 전달되거나 외부로 무선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파용 송판의 외주면을 감싸며, 격파용 송판의 인입 및 반출이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구되는 실리콘 재질의 송판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KR1020190009146A 2019-01-24 2019-01-24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KR102109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46A KR102109516B1 (ko) 2019-01-24 2019-01-24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146A KR102109516B1 (ko) 2019-01-24 2019-01-24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516B1 true KR102109516B1 (ko) 2020-05-12

Family

ID=7067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146A KR102109516B1 (ko) 2019-01-24 2019-01-24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5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93U (ko) * 2007-10-25 2009-04-29 이현근 태권도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93U (ko) * 2007-10-25 2009-04-29 이현근 태권도용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739B2 (en) Boxing training device
US9084908B1 (en) Trampoline basketball goal
US4932657A (en) Sports training device
US8287437B1 (en) Martial art training pad
US3166317A (en) Batting practice and training device
US20110306475A1 (en) Exercise apparatus for permitting a user to build muscle strength in an ergonomic fashion
KR102114834B1 (ko)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US20190247732A1 (en) Impact-Absorbing Mechanism
US20180126251A1 (en) Improvement to a Martial Arts Ring
KR102109516B1 (ko) 태권도 공연용 고공 격파 보조 장비
US10272312B2 (en) Volleyball training apparatus
US3744799A (en) Golf practice device
KR101314325B1 (ko) 발차기용 운동기구
US20170007897A1 (en) Baseball Training Device
US20130184106A1 (en) Swing training device having adjustable contact area
Vinger et al. The mechanism and prevention of soccer eye injuries
US20140148313A1 (en) Hand Guard for Striking Targets
US6688994B2 (en) Batting aid
US10709951B2 (en) Portable fighting opponent for boxing, martial arts, or any fighting arts
KR200316627Y1 (ko) 연습용 골프채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KR101719729B1 (ko) 전자 호구
KR200315357Y1 (ko) 무술수련용 운동기구
US10569151B2 (en) Sparring training tool
KR20150098168A (ko) 골프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