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150Y1 - 태권도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태권도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150Y1
KR200271150Y1 KR2020020002326U KR20020002326U KR200271150Y1 KR 200271150 Y1 KR200271150 Y1 KR 200271150Y1 KR 2020020002326 U KR2020020002326 U KR 2020020002326U KR 20020002326 U KR20020002326 U KR 20020002326U KR 200271150 Y1 KR200271150 Y1 KR 200271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intermittent
coupled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복
김동호
Original Assignee
민경복
김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복, 김동호 filed Critical 민경복
Priority to KR2020020002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150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 상부에 형성된 지지봉의 일측으로 미트 유동부를 형성하여 미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과 연결된 유동봉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연결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대 끝단으로 송판 고정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중량에 의해 각 구성부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지지(支持), 고정하는 중량부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동부를 외부로 부터 키입력 받아 구동시키는 컨트롤 패널과, 상기 본체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미트회전부가 형성되고,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어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하측으로 회전수단을 갖는 유동봉과, 상기 유동봉 상측으로 연결되며 다수개의 연결돌기를 갖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지지대와, 상기 연결판 외각에 결합되어 상, 하 180도 회전 가능한 제 1 관절부와, 상기 제 1 관절부와 연결되어 지지대로 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으로 연결되어 상, 하 180도 회전 가능한 제 2 관절부, 상기 제 2 관절부에 연결되어 송판을 고정하는 송판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권도용 운동기구{Taekwondo exercise device}
본 고안은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 상부에 형성된 지지봉의 일측으로 미트 유동부를 형성하여 미트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봉과 연결된 유동봉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연결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대 끝단으로 송판 고정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세계적인 월드컵, 올림픽과 같은 스포츠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자국의 전통의 무술로 자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려는 국가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태권도는 1988년 올림픽의 시범경기를 시작으로 전세계인에게 알려져 세계인이 즐기는 스포츠로 자리를 잡고있으며, 상기 태권도는 사람과 사람이 대련을 하는 경기와 격파가 행해지고 있다.
상기 태권도의 격파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손이나 발, 팔꿈치 등의 인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벽돌, 기와 및 송판과 같은 딱딱한 물체를 깨는 것이다.
상기 격파는 원래 수련자가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보고 자신감을 얻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태권도 경기가 일반화된 이후로는 주로 일반인에게 태권도의 기술과 위력을 보여주기 위한 '시범 격파'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 '태권도 한마당' 등의 경연대회가 개최되면서 일반인이 격파에 대한 관심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상기 격파는 크게 위력 격파와 묘기 격파로 나누지는데, 상기 위력 격파는동작의 위력이 얼마나 센가를 시험하거나 보여주는 것으로, 벽돌이나 대리석, 기와 등을 깨는 것이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묘기 격파는 격파 자체보다 다양한 동작과 기술의 발휘가 목적으로, 격파 물체도 얇은 송판을 주로 쓰여지고 있다.
상기 격파(위력 격파, 묘기 격파)를 하기 위해서는 장시간 동안 태권도를 수련해야 하며, 위력 격파의 수련은 샌드백을 천정 또는 벽면에 매달아 놓고 수련을 하거나, 미트가 장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미트장치를 이용하여 수련을 하고, 묘기 격파의 수련은 사람이 직접 송판을 잡고 높이를 조절하여 수련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트장치를 이용하여 위력 격파을 수련할 때에는 미트장치당 한 사람씩 수련이 가능하여 장치구입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며, 묘기 격파 수련시에는 사람이 직접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송판을 잡는 사람은 수련을 할 수 없고, 또한 격파 대회 때에는 높은 위치로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한 사람이 아니 여러 사람들이 함께 협력하여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많은 인원이 소유되며, 부상의 위험성이 있어 인적인 재해가 발생하고, 심사 항목에 격파 항목이 추가되어, 심사시 사람이 직접 송판을 잡아야 함으로, 심사의 공정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체의 일측으로 미트 걸림부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송판 고정부를 구성하여, 상기 미트 걸림부와 송판 고정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태권도 수련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미트 걸림부를 상, 하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송판 고정부의 높이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모든 수련생들이 송판을 잡을 필요없이 함께 수련을 할 수 있고, 송판을 잡아주는 사람의 부상의 위험성이 없으며, 또한 초보단계의 수련자도 쉬운 작동으로 격파 수련이 가능하고, 심사시 공정성을 최대화 시킬수 있으며, 모든 기술 발차기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태권도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중량에 의해 각 구성부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지지(支持), 고정하는 중량부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동부를 외부로 부터 키입력 받아 구동시키는 컨트롤 패널과, 상기 본체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미트회전부가 형성되고,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어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하측으로 회전수단을 갖는 유동봉과, 상기 유동봉 상측으로 연결되며 다수개의 연결돌기를 갖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지지대와, 상기 연결판 외각에 결합되어 상, 하 180도 회전 가능한 제 1 관절부와, 상기 제 1 관절부와 연결되어 지지대로 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으로 연결되어 상, 하 180도 회전 가능한 제 2 관절부, 상기 제 2 관절부에 연결되어 송판을 고정하는 송판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은 외부로 부터 각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각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미트 회전부는 지지봉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일측으로 상, 하 회전 가능한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미트를 연결하는 미트 결합부와, 상기 미트 결합부의 외각으로 미트를 원하는 각도로 결합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고정부의 타측으로 수직방향으로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 중앙으로 다각의 단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속돌기의 중앙으로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는 회전부는 최소한 다각의 단속돌기보다 많은 단속홈을 갖으며, 상기 결합돌기와 회전부는 단속 손잡이로 결합되어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관절부는, 일측으로 연결판의 형성된 연결돌기와 연결되는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의 타측으로 상, 하 및 정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과, 상기 단속편에 연결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관절부는 일측으로 연결대와 고정 결합되고, 송판 고정부가 끼움결함되는 연결홈과, 상기 송판 고정부와 끼움결합되는 부분에 상, 하 및 정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과, 상기 단속편에 송판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송판 고정부는 제 2 관절부와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송판 걸림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각으로 송판 걸림부를 원하는 각도로 결합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송판 걸림부는 외장이 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송판을 잡아주는 잡이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크류 결합된 잡이부를 출력부의 구동에 따라 유동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지지대의 일측으로 유동봉과 잡이부를 임의로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판은 전면부에 미트회전부를 설치하여, 미트와 농구골대 및 닥트등을 교체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전체사시도.
도 2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2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c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구성도.
도 4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미트결합부 확대도.
도 4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미트 결합부의 분해 사시도.
도 5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1 관절부의 확대도.
도 5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1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6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2 관절부의 확대도.
도 6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2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7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송판 고정부의 확대도.
도 7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송판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중량부
20 : 컨트롤 패널 22 : 입력부
24 : 메모리부 26 : 제어부
28 : 출력부 30 : 지지대
32 : 지지봉 34 : 유동봉
34a, 98 : 회전수단 36 : 연결판
36a : 연결돌기 40 : 미트회전부
42 : 고정부 42a : 결합판
42b : 단속돌기 42c : 탄성부재
42d : 결합돌기 44 : 회전부
44a : 단속홈 46 : 미트결합부
48, 86 : 고정핀 49 : 단속손잡이
50 : 제 1 관절부 52, 72 : 연결홈
54, 74 : 단속편 56, 76 : 단속부재
60 : 연결대 70 : 제 2 관절부
80 : 송판고정부 82 : 연결부
84 : 결합부 90 : 송판걸림부
92 : 케이스 94 : 잡이부
96 : 스크류 110 : 리모콘
120 : 미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c은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태권도용 운동기구(100)는 본체(10), 컨트롤 패널(20), 지지대(30), 제 1 관절부(50), 연결대(60)와 제 2 관절부(70) 및 송판고정부(8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중량에 의해 각 구성부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지지(支持), 고정하는 중량부(12)가 설치된다.
상기 중량부(12)는 다단으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고, 하단에는 비중이 높은 중량부재(12a)를 넣어 중량에 의해 본체(10) 및 각 구성부를 지지(支持), 고정한다.
상기 중량부(12)의 상단에는 수납부(12b)가 구성되어 부수기재(미트, 송판잡이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량부재(12a)는 다리에 달고 운동을 할 수 있는 모래주머니로 사용하여 이동시 사람들의 다리에 달고 이동하여 사람들의 체력을 향상시키고, 본체(10)의 중량을 줄여 이동을 편리하게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 일측하단으로 바퀴(16)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0)의 바퀴(16)부분 상부에 손잡이(18)를 설치하여 이동의 편리함을 증대시킨다.
상기 컨트롤 패널(20)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동부(유동봉 회전수단, 송판 걸림부 회전수단)을 구동을 외부로 부터 입력받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30)는 본체(10)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복수개의 미트회전부(40)가 형성된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봉(32)과, 상기 지지봉(32)과 결합되어 상, 하 유동가능하도록 하측으로 회전수단(34a)을 갖는 유동봉(34)과, 상기 유동봉(34) 상측으로 연결되며, 다수개의 연결돌기(36a)를 갖는 연결판(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관절부(50)는 연결판(36) 양측으로 상, 하 18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관절부(50)의 타측으로는 연결대(60)가 연결되어 지지대(30)로 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대(60)의 길이는 사람들이 태권도 수련과 대회 및 심사때 본체(10)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30)와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수련 및 대회시 사람들의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충분한 거리를 이격한다.
이때, 상기 제 2 관절부(70)는 연결대(60)의 타측으로 연결되어 상, 하 180도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관절부(70)의 타측으로는 송판을 고정하는 송판 고정부(80)가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의 전면부에 미트회전부를 설치하여, 미트와 농구골대 및 닥트등을 교체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여, 태권도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편의 시설로 사용이 가능하고, 지지대에 설치된 복수개의 미트회전부와 함께 미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고급 발차기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구성도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패널(20)은 입력부(22), 메모리부(24)와 제어부(26) 및 출력부(28)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22)는 외부에서 유동봉(34)의 회전 수단(34a)과 송판 걸림부(90)의 회전 수단(98)을 리모콘(110)으로 작동상태를 입력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제어부(26)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6)는 수신된 작동상태를 메모리부(24)에 저장한 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26)의 제어에 따라 유동봉(34)의 회전 수단(34a)을 작동시켜, 유동봉(34)을 상, 하로 유동시키고, 송판 걸림부(90)의 회전 수단(98)을 작동시켜, 송판을 잡았다, 놨다를 실행시킨다.
여기서, 리모콘(110) 고장 또는 컨트롤 패널(20)의 고장으로 외부 입력이 불가능 할때에는 지지대(30)의 일측으로 작동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버튼(14)에 구성된 유동봉 작동 버튼(14a)과 좌, 우 잡이부 작동버튼(14b, 14c)을 이용하여 각 회전 수단(34a, 98)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a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미트결합부 확대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미트 결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미트 회전부(40)는 지지봉(32)에 고정되는 고정부(42)와, 상기 고정부(42)의 일측으로 상, 하 회전 가능한 회전부(44)와, 상기 회전부(44)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미트(120)를 연결하는 미트 결합부(46)와, 상기 미트 결합부(46)의 외각으로 미트(120)를 원하는 각도로 결합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핀(48)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42)는 지지봉(32)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람들이 미트(120)를 가격(加擊)시 고정부(42)가 지지봉(32)에서 분리(分離)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32)에 결합되는 고정부(42)의 타측 수직방향으로 결합판(4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42a) 중앙으로 다각의 단속돌기(42b)가 형성되며, 상기 단속돌기(42b)의 중앙으로는 탄성부재(42c)가 결합된 결합돌기(42d)가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42d)에 끼움결합되는 회전부(44)는 최소한 다각의 단속돌기(42b)보다 많은 단속홈(44a)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부(44)를 회전시킬 때 다양한 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42d)와 회전부(44)는 단속 손잡이(49)로 결합되어 회전부(44)의 회전을 단속한다.
여기서 회전부(44)가 회전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결합돌기(42d)와 회전부를 결합하고 있는 단속 손잡이(49)를 반시계방향(일반적인 나사결합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단속돌기(42b)의 중앙에 결합된 탄성부재(42c)에 의해 단속돌기(42b)에 걸려진 단속홈(44a)이 분리(分離)되어 회전부(44)가 회전 가능상태로 변환되면, 상기 회전부(44)를 원하는 각도(상, 하)를 정하여 단속돌기(42b)에서 분리(分離)된 상태의 단속홈(44a)을 단속돌기(42b)에 끼운다음 단속 손잡이(49)를 시계방향(일반적인 나사결합에서 잠그는 방향)으로 돌려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부(44)의 타측으로는 미트(120)가 연결가능하도록 미트 결합부(46)가 형성되고, 상기 미트 결합부(46)의 외각으로는 미트(120)를 원하는 각도로 결합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핀(48)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48)은 원형으로 형성된 고정공(48a)이 미트 결합부(46)의 외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원형의 고정공(48a)의 일측으로 편중(偏重)되어 연결편(48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48b)을 상, 하로 움직이면 고정공(48a)이 미트를 잡아주게 되는것이다.
여기서, 상기 미트(120)가 미트 결합부(46)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일정크기로 홈이 형성되어, 고정핀(48)의 고정공(48a)이 미트(120)의 홈으로 삽이되어 고정된다.
도 5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1 관절부의 확대도와 도 5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1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관절부(50)는 일측으로 연결판(36)의 연결돌기(36a)와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홈(52)과, 상기 연결홈(52)의 타측으로 상, 하 및 정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54)과, 상기 단속편(54)에 연결대(6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6)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대(60)를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정부재(56)는 연결대(60)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56)를 반시계방향(일반적인 나사결합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부재(56)가 단속편(54)에서 분리되어 연결대(60)가 회전가능 상태로 된다.
상기 회전가능 상태로된 연결대(60)를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54)의 원하는 위치에 놓고, 고정부재(56)를 시계방향(일반적인 나사결합에서 잠그는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부재(56)가 단속편(54)에 결합되어 정확하게 45도 각도로 연결대(60)를 회전되어 고정된다.
도 6a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2 관절부의 확대도이고, 도 6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제 2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관절부(70)는 일측으로 연결대(60)와 고정 결합되고, 타측으로 송판 고정부(80)가 끼움결합되는 연결홈(72)과, 상기 송판 고정부(80)와 끼움결합되는 부분에 상, 하 및 정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74)과, 상기 단속편(74)에 송판 고정부(8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6)로 구성된다.
상기 송판 고정부(80)를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정부재(76)는 송판 고정부(80)에 나사 결합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76)를 반시계방향(일반적인 나사결합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부재(76)가 단속편(74)에서 분리되어 송판 고정부(80)가 회전가능(상, 하) 상태로 된다.
상기 회전가능 상태로된 송판 고정부(80)를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74)의 원하는 위치에 놓고, 고정부재(76)를 시계방향(일반적인 나사결합에서 잠그는 방향)으로 돌리면, 고정부재(76)가 단속편(74)에 결합되어 정확하게 45도 각도로 송판 고정부(80)를 회전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관절부(50)의 단속편(54)과, 제 2 관절부(70)의 단속편(74)을 각각 45도 각도로 형성하여 각 관절부를 회전할 때 정확한 각도를 구현할 수 있게된다.
도 7a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송판 고정부의 확대도와 도 7b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송판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판 고정부(80)는 제 2 관절부(70)와 연결되는 연결봉(82)과, 상기 연결봉(82)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송판 걸림부(90)가 결합되는 결합부(84)와, 상기 결합부(84)의 외각으로 송판 걸림부(90)를 원하는 각도로 결합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핀(86)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86)은 원형으로 형성된 고정공(86a)이 결합부(84)의 외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원형의 고정공(86a)의 일측으로 편중(偏重)되어 연결편(86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86b)을 상, 하로 움직이면 고정공(86a)이 송판 걸림부(90)를 잡아주게 되는것이다.
여기서, 송판 걸림부(90)는 외장이 되는 케이스(92)와, 상기 케이스(92) 내부에 스크류(96) 결합되어 송판을 잡아주는 잡이부(94)와, 상기 케이스(92) 내부에 스크류(96) 결합된 잡이부(94)를 출력부(28)의 구동에 따라 유동시키는 회전수단(9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출력부(28)에서 송판을 잡도록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 수단(98)이 스크류(96) 전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잡이부(94)는 결합되 케이스(92)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송판이 끼워진 상태에서 송판을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된 송판을 격파하였을 경우에는 출력부(28)에서 송판을 놓도록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 수단(98)이 스크류(96) 후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잡이부(94)가 결합된 케이스(92)쪽으로 이동하여 송판을 놓는다.
여기서, 상기 미트 결합부(46)와 송판 고정부(80)에는 미트(120)와 송판걸림부(90) 모두가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의 일측으로 미트 걸림부를 구성하고, 본체의 일측으로 미트 걸림부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복수개의 송판 고정부를 구성하여, 상기미트 걸림부와 송판 고정부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태권도 수련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미트 걸림부를 상, 하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송판 고정부의 높이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모든 수련생들이 송판을 잡을 필요없이 함께 수련을 할 수 있고, 송판을 잡아주는 사람의 부상의 위험성이 없으며, 또한 초보단계의 수련자도 쉬운 작동으로 격파 수련이 가능하고, 심사시 공정성을 최대화 시킬수 있으며, 모든 기술 발차기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태권도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자와 수련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0)

  1. 중량에 의해 각 구성부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지지(支持), 고정하는 중량부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각 구동부를 외부로 부터 키입력 받아 구동시키는 컨트롤 패널과;
    상기 본체 상부에 연결되며, 일측으로 미트회전부가 형성되고,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과 결합되어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하측으로 회전수단을 갖는 유동봉과, 상기 유동봉 상측으로 연결되며 다수개의 연결돌기를 갖는 연결판으로 구성된 지지대와;
    상기 연결판 외각에 결합되어 상, 하 180도 회전 가능한 제 1 관절부와;
    상기 제 1 관절부와 연결되어 지지대로 부터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타측으로 연결되어 상, 하 180도 회전 가능한 제 2 관절부;
    상기 제 2 관절부에 연결되어 송판을 고정하는 송판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외부로 부터 각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각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각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트 회전부는
    지지봉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일측으로 상, 하 회전 가능한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미트를 연결하는 미트 결합부와;
    상기 미트 결합부의 외각으로 미트를 원하는 각도로 결합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타측으로 수직방향으로 결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판 중앙으로 다각의 단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단속돌기의 중앙으로는 탄성부재가 결합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는 회전부는 최소한 다각의 단속돌기보다 많은 단속홈을 갖으며, 상기 결합돌기와 회전부는 단속 손잡이로 결합되어 회전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절부는
    일측으로 연결판의 형성된 연결돌기와 연결되는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의 타측으로 상, 하 및 정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과;
    상기 단속편에 연결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절부는
    일측으로 연결대와 고정 결합되고, 송판 고정부가 끼움결함되는 연결홈과;
    상기 송판 고정부와 끼움결합되는 부분에 상, 하 및 정방향으로 45도 각도로 형성된 단속편과;
    상기 단속편에 송판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판 고정부는
    제 2 관절부와 연결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송판 걸림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각으로 송판 걸림부를 원하는 각도로 결합한 후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판 걸림부는
    외장이 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크류 결합되어 송판을 잡아주는 잡이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스크류 결합된 잡이부를 출력부의 구동에 따라 유동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의 일측으로 유동봉과 잡이부를 임의로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전면부에 미트회전부를 설치하여, 미트와 농구골대 및 닥트등을 교체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20020002326U 2002-01-24 2002-01-24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271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26U KR200271150Y1 (ko) 2002-01-24 2002-01-24 태권도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326U KR200271150Y1 (ko) 2002-01-24 2002-01-24 태권도용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298A Division KR20030063936A (ko) 2002-01-24 2002-01-24 태권도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150Y1 true KR200271150Y1 (ko) 2002-04-09

Family

ID=7311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326U KR200271150Y1 (ko) 2002-01-24 2002-01-24 태권도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1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49B1 (ko) 2014-10-24 2015-03-16 유재덕 발차기 연속 타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249B1 (ko) 2014-10-24 2015-03-16 유재덕 발차기 연속 타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5108B1 (en) Soccer kicking training device
US7011310B2 (en) Interchangeable modular ball game apparatus
US5527185A (en) Athletic training device
US6935971B2 (en) Training tool for ball games
US7416517B2 (en) Interactive martial arts training apparatus
CN109045570B (zh) 多功能哑铃球体育器材及其使用方法
CA2451703A1 (en) Exercise and golf, baseball and other sport training apparatus
US20080146423A1 (en) Portable exercise pole and method of use
US4417730A (en) Tennis practice apparatus
US6322461B1 (en) Baseball pitching target
US9827476B2 (en) Wheelchair accessory for playing soccer
KR20030063936A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448579Y1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KR200271150Y1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US7896757B2 (en) Football center training aid
US7182340B1 (en) Hockey player toy
US10632357B1 (en) Swing training device
KR200315357Y1 (ko) 무술수련용 운동기구
KR20040079611A (ko) 무술수련용 운동기구
CN208905941U (zh) 一种乒乓球挥拍姿势矫正装置
KR20180022486A (ko) 종합 탁구 연습대
JP3214814U (ja) バッティング用スタンド
JP2548100B2 (ja) サッカー用リフティングトレーナー
CN212467030U (zh) 便携式自回收网球运动器
KR20210000213U (ko) 휴대용 탁구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