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213U - 휴대용 탁구연습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탁구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213U
KR20210000213U KR2020190003020U KR20190003020U KR20210000213U KR 20210000213 U KR20210000213 U KR 20210000213U KR 2020190003020 U KR2020190003020 U KR 2020190003020U KR 20190003020 U KR20190003020 U KR 20190003020U KR 20210000213 U KR20210000213 U KR 202100002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ennis
hub plate
support
practic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길
Original Assignee
심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길 filed Critical 심영길
Priority to KR2020190003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213U/ko
Publication of KR202100002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1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탁구연습기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은 탄성이 있는 지지대의 상단부에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를 결합하고 지지대의 하단부는 허브판을 두어 지지대를 다수개 결합하여 카메라삼각대의 헤드 부분에 상기의 허브판을 결합하여 카메라삼각대의 신축식다리와 엘리네이션기능을 이용하여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지지대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카메라삼각대가 가지고있는 기능 중 헤드의 각도를 세로,좌우,회전,앞뒤로 기울기를 조절하여 헤드에 결합된 상기 허브판과 허브판에 결합된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성형체의 타점을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연습하고자하는 탁구스윙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설정된 타점의 타격체의 모든부분을 탁구라켓이나 탁구라켓형상의 도구로 번갈아 타구하면서 탁구연습을 하며 연습상대없이 혼자서도 탁구연습이 가능하면서 장치를 구동할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접고 펼수있어서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에 제약이 따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탁구연습기

Description

휴대용 탁구연습기{Portable table tennis trainer}
본고안은 휴대용 탁구연습기에 관한것으로,
탁구가 생활체육으로 활성화 되고 있음에 따라 인터넷의 공간에 유명탁구인이나 탁구선수출신의 탁구인들이 탁구레슨과 관련하여 많은 동영상들을 제작하여 올리고 있고 많은 탁구인들은 영상을 보고 탁구를 배우고 있고 배우고 싶어한다. 예전에는 탁구를 배우기 위하여 탁구코치에게 레슨을 받아야만 했다. 하지만 지금은 여러 레슨동영상들을 보고 참고하여 본인 스스로 탁구를 즐기고 배울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탁구레슨동영상을 보기만 하고 탁구기술동작을 습득하기는 어렵다. 또한 바로 실전에서 게임을 하며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하나의 기본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같은 동작을 꾸준히 반복연습을 해야한다. 탁구는 포핸드와 백핸드가 기본기술이다. 이 기본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드라이브 푸시 플릭 등등 다양한 다른 기술들을 연습할 수 있다. 하지만 탁구를 처음 배우기 시작한 초보탁구자들은 일주일에 두세번 한번에 20여분의 레슨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짧은 레슨시간외에 개인적으로 배운것을 반복적으로 연습하여 탁구기술을 익히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탁구는 2명 이상의 사용자가 함께 계획하고 운동을 해야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탁구 동영상의 레슨내용도 상대와 공을 주고 받으면서 연습을 하는 내용이다. 탁구를 배우기 위해서는 상대가 있어야 하고 탁구대와 탁구라켓 탁구공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처음 배우는 입장에서는 상대가 공을 일정하게 주지 못하면 올바른 스윙연습을 하지 못하게 된다. 연습하면서 바닥에 떨어진 공을 주으러 다니는 시간도 많은 편이어서 실제 탁구공을 치며 연습하는 시간은 총연습시간에 비하면 짧은 편이 되어버린다.
그러나 혼자 연습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다면 탁구대가 있는 장소에서 상대와 탁구를 연습하는 것처럼 연습을 원하는 시간만큼 혼자 연습을 통하여 실력향상을 이루어 보다 빨리 탁구를 익힐 수 있다. 또한 탁구동영상을 참고하여 영상을 보고 따라하며 탁구의 기술을 익힐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대와 연습상대없이 혼자서도 탁구스윙연습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타구하는 탁구공의 위치와 타점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정하고 일정하게 고정된 탁구공을 타구하며 탁구연습을 할 수 있으며, 탁구공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으므로 공을 주으러 다니는 시간을 절약하여 연습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으며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공간에 큰 제약이 따르지 않으며, 연속적이고 용이하게 탁구연습을 할 수 있는 휴대용 탁구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구 연습을 하기 위해서는 탁구공, 탁구대, 라켓 및 연습상대등이 필요하다. 근래에는 탁구공을 자동으로 던져주는 자동 탁구 연습기가 있어 혼자서도 탁구 연습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2-0002087호(선행문건1),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83-0002778호(선행문건2),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실1995-0010324(선행문건3) 등에는 탁구공을 자동으로 던져주어 연습상대없이 탁구연습을 할 수 있는 탁구 연습기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에 제시된 탁구연습기는 장치적인 요소를 구동하기위한 동력이 필요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하여 부피가 크다. 이에따라, 충분한 설치공간이 필요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른다.
또한, 매우 고가임으로 인하여 일반인들이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5455호에서는 별도의 동력이나 연습상대없이 탁구 연습이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설치공간에 제약이 따르지 않으며, 연속적이고 용이하게 탁구 연습을 할 수 있는 탁구연습기가 제시 되었다.
상기 선행문헌에 제시된 탁구 연습기는 받침대에 지지대를 직각으로 결합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대 끝에 탁구공또는 탁구공형상의 성형체를 결합하여 정점에있는 타격체를 타구하도록 제시되었다.
그러나 실제 탁구를 해보면 상대가 타구하여 넘긴 탁구공이 긴 포물선을 그리며 넘어와서 자신의 코트 탁구대 상단에 맞고 튀어올라 다시 포물선을 그리며 움직인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이 움직이는 탁구공을 쳐서 상대코트로 넘길 때 보통은 탁구공이 정점에 떠올랐을때 치기보다는 탁구공이 정점에서 살짝 떨어지는 순간을 타점으로하여 공을 타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하여야 정확하게 탁구공을 타구하게 되고 안정적으로 상대의 코트에 넘기기에 용이하다. 그리고 탁구의 스윙기술 중에 드라이브기술 같은 경우는 탁구공의 타점이 정점에서 부터 시작하여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모든 순간이 타구 할 수 있는 타점이 된다.
상기 선행문헌에 제시된 탁구 연습기는 정점에 있는 타격체를 타구하는 연습을 하게된다. 실제 탁구에서 탁구공을 타구할 때 정점에서 살짝 떨어지는 타점과 다양한 타점에서 타구하는것과 다르므로 다양한 연습과 효과를 이루기 어렵다.
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타격체의 높이를 조절할때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한다고 하였다.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 하므로 인하여 지지대를 길게 할 때와 짧게 할 때 지지대의 탄력과 복원력의 변화가 생겨 지지대의 일정한 탄력과 복원력을 유지할 수 없다.
가령, 지지대가 길면 지지대 상단의 타격체를 타구하고 지지대가 앞으로 넘어갔다가 돌아오는 시간이 길 것이며 지지대가 짧으면 그 시간이 짧을것이다. 그러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지지대의 길이가 틀릴 것이며 타격체를 타구하고 타격체가 다시 돌아오는 시간도 틀릴 것이다. 반복적인 스윙을 통하여 타구함에 있어서 스윙의 속도가 빨라질 경우 타격체가 돌아오기전에 스윙을 해야되므로 타격체를 원하는 박자와 타점에서 타격하기가 어렵다
신체조건이 틀려도 누구나 일정한 탄력으로 연습할 수 있고 반복적인 스윙을 통하여 타구함에 있어서 스윙의 속도가 빨라질 경우에도 타격체를 원하는 박자와 타점에서 일정하게 타격하여 스윙의 일정한 동작을 유지할수 있는 탁구연습기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 상기 선행문건에 제시된 탁구 연습기는 지지대 상단부에 타격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탁구공의 밑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로 인하여 탁구의 스윙에 있어서 탁구공의 밑부분을 타구하는 연습을 할 수 없다.
탁구의 스윙기술중 탁구공의 밑면을 타구하는 커트 스윙과 서브의 종류중에 탁구공의 밑면을 타구하여 넣는 하회전서브나 하횡회전서브등을 연습 할 수 없다.
이에, 본 고안은 별도의 장치적인 요소를 구동하기위한 동력이나 연습상대없이 탁구연습이 가능하면서, 탁구연습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스윙의 종류에 따라 타격체인 탁구공을 타구하는 타점을, 더 자세하게는 정점에서부터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다양한 타점들을 사용자가 쉽게 조절하고 설정 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지대의 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탁구공의 모든 부분을 타구하며 탁구의 다양한 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며,타구한 타격체의 움직임을 통해 반복적인 스윙의 일정함의 정도를 알수 있으며, 타격체를 다수개 형성하여 스윙의 속도가 빨라도 타격체를 번갈아 칠수 있어 반복적인 빠른 스윙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쉽게 접고 펼수있어서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의 제약이 많지 않는 휴대용 탁구연습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탄성이 있는 지지대 상단에 결합되고 지지대 하부는 다양한 형상의 허브판에 다수개의 지지대 결합부가 형성되어 그 결합부에 다수개의 지지대하부를 결합하여 고정하고 허브판의 가운데부분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카메라삼각대의 카메라를 결합하는 헤드부분의 수나사에 나사구조로 결합하거나 헤드부분에 허브판을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하여 허브판의 받침대 역할을하는 카메라삼각대의 신축식다리와 엘리네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지지대 상단부에 형성된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지지대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지대의 탄력과 복원력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으며 허브판에 다수개의 타격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타격하는 스윙의 속도가 빨라도 다수개의 타격체를 번갈아 칠수 있어 원하는 타점의 타격체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며 스윙이 가능하고
장치적인 요소를 구동하기위한 별도의 동력이나 연습상대없이 탁구연습이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접고 펼수있어서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의 제약이 많지 않으며
받침대 역할을 하는 카메라삼각대의 기능중 신축식다리와 엘리네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헤드를 좌우로 360도 회전시키는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좌우각도를 조절하고
헤드를 앞뒤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앞뒤상하각을 조절하고
헤드를 0도에서90도 각도로 세로로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세로각도를 조절하여 헤드에 결합된 허브판과 허브판에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지지대 상단에 결합된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를 정점에서부터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다양한 타점들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연습하고자하는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타격체의 높이와 타점을 조절하여 설정하여 탁구라켓 또는 탁구라켓형상의 도구로 다수개의 타격체 모든 부분을 스윙의 속도에 상관없이 번갈아 타구하며 탁구연습을 할 수 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탁구연습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탁구연습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장치적인 요소를 구동하기위한 별도의 동력이나 연습상대없이 탁구연습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쉽게 접고 펼수있어서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에 제약이 따르지 않으며 타격체인 탁구공 또는 탁구공 형상의 성형체를 타구하는 타점을 정점의 타점부터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다양한 위치의 타점을 받침대역할을 하는 카메라삼각대에 허브판이 결합된 헤드부분의 높낮이조절기능과 세로각도조절기능과 좌우회전기능과 앞뒤기울기조절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설정 할 수 있으며 타점을 조절 하고 설정하므로 허브판에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대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지지대의 탄력과 복원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일정한 탄력과 복원력으로 탁구 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며 탁구 스윙 연습에 있어서 스윙의 종류별, 또는 상대가 보내는 공의 구질에 따라 탁구공의 밑면을 타구해야하는 커트스윙과 하회전서브 정면을 타구하는 포핸드스윙 탁구공의 중상단이나 중하단을 타구해야하는 드라이브스윙등 탁구공의 모든 부분을 타구하며 허브판에 타격체가 다수개 형성되어 스윙의 속도가 빨라져도 타격체를 번갈아 칠수 있어 반복적고 빠른 스윙이 가능하고 탁구의 다양한 스윙연습을 혼자서 할 수 있으며 실생활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제작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탁구의 모든 스윙을 연습 할 수 있다.
휴대용탁구연습기를 2대이상 설치하여 연습하면 탁구에서 실력향상에 중요한 다리를 움직여 스텝을 밟는 풋웍과 스윙연습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실제 탁구레슨을 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윙의 종류별로 타점을 직접 설정하여 사용하므로 탁구스윙의 원리를 쉽게 이해 할 수 있으며 스윙의 종류별에 따라 타구해야하는 공의 정확한 부분을 쉽게 보고 칠 수 있으며 직접 그 부분을 정확하게 타구하며 연습할 수 있어서 연습의 효과를 탁월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은 탄성이 있는 지지대와 상단부에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나무 플라스틱 고무 아크릴 철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수 있는 허브판으로 가운데는 카메라삼각대의 헤드에 있는 수나사와 나사구조로 결합할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하단부를 결합할 수 있는 다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허브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단부에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결합된 지지대를 다수개 결합한 허브판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카메라삼각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나무 플라스틱 고무 아크릴 철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수 있는 허브판으로 가운데는 카메라삼각대의 헤드에 있는 수나사와 나사구조로 결합할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하단부를 결합할 수 있는 다수개의 결합부에 다수개의 지지대가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대를 결합할 수 있는 다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된 허브판에 상단부에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결합된 지지대의 하단부를 결합한 허브판과 카메라삼각대의 헤드부분에 상기 허브판을 나사구조로 결합한 휴대용탁구연습기의 사시도이다.
1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세로각도를 0도에서90도 조절하는 조절레버이다.
2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을 앞 또는 뒤로 0도에서 90도 각도로 기울기를 조절 하는 조절레버이다.
3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엘리네이션 레버이다.
4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절레버이다
5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3단의 클립락이다
6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허브판과 결합하는 헤드이다
7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에 형성된 수나사이다.
8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미끄럼방지처리된 다리 끝부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탄성이 있는 지지대와 지지대 상단부에 탁구공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상기 타격체(10)는 탁구라켓으로 타구하는 부분으로서, 이는 탁구공 또는 탁구공의 형상의 성형체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격체는 구형으로서, 실제 탁구경기(또는 연습)에서 사용되는 실제 탁구공으로 구성되거나, 실제 탁구공의 형상과 같은 무게로 성형된 구형의 성형체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는 타격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타격체(10)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대(20)는 지지력과 휘어짐과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로 구성된다.
지지대의 탄력의 정도에 따라 지지대의 길이와 두께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서는 지지대(20)의 길이는 제한되지 않지만 탄성체의 지지력과 휘어짐과 복원력을 감안하여 30cm정도로 제작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다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단부에 타격체가 결합된 지지대의 하단부를 다수개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다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된 허브판이다. 허브판의 재질은 나무 플라스틱 고무 아크릴 철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모양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허브판 중앙에는 카메라삼각대의 헤드부분에 있는 수나사와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있다. 또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허브판을 카메라삼각대의 헤드부분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서는 두께 15mm 가로 30cm 세로 5cm인 나무판으로 제작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3단 카메라삼각대이다. 받침대 역할을 하는 카메라삼각대는 허브판을 결합하는 헤드와 헤드에 결합된 허브판을 세로로 0도에서90도로 조절하는 기능과 좌우로 0도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기능과 앞 또는 뒤로 기울기를 0도에서90도로 조절가능한 기능과 높낮이를 조절하는 3단이상의 신축식다리와 엘리네이션기능을 포함하고 카메라삼각대 다리 바닥은 미끄럼방지 재질로 구성된 카메라삼각대이어야 한다. 이러한 카메라삼각대는 일반적인 카메라삼각대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있는 제품이다.
도 4는 나무 플라스틱 고무 아크릴 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수 있는 허브판으로 가운데는 카메라삼각대의 헤드에 있는 수나사와 나사구조로 결합할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다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단부에 탁구공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결합된 지지대의 하단부를 결합한 허브판과 다수개의 지지대가 결합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허브판과 지지대하단부의 결합은 탈부착이 가능한 결합부재를 사용한다. 이는 수회의 타격으로 인해 지지대가 부러지거나 지지대 상단부에 있는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손상되었을 때 지지대를 쉽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서 지지대는 허브판 양쪽 끝부분에 30cm정도 간격으로 2개를 결합하였다. 이는 탁구공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를 번갈아 타구를 하기 위함이다. 한개만 반복적으로 빠르게 타구를 할 경우 지지대의 흔들림으로 인해 지지대 상단부에 있는 탁구공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를 올바른 스윙으로 정확하게 타구하기 힘들다. 지지대를 짧게하면 흔들림은 없어지지만 탁구공을 타구하여 상대에게 보내는 느낌을 느낄 수 없다. 지지대를 30cm길이로 한것은 실제 탁구공을 타구하는 것처럼 하기 위함이고 타구하여 상대에게 보내는 느낌을 느끼기 위함이다. 허브판에 지지대를 다수개 결합하여 반복적으로 빠르게 타구할때 번갈아 타구하면 지지대의 흔들림은 최소화되어 올바른 스윙으로 정확하게 탁구공을 타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와 지지대의 간격을 30cm정도 두어서 번갈아 타구할때 스텝을 조금씩 옮겨가며 몸을 움직여 타구하기 때문에 연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타구한 탁구공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일정하게 흔들리는 것을 보고 자신의 스윙이 일정한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다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된 허브판에 상단부에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가 결합된 지지대 하단부를 다수개 결합한 허브판과 카메라삼각대의 헤드부분을 나사구조로 결합한 휴대용탁구연습기의 사시도이다.
1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세로각도를 0도에서90도 조절하는 조절레버이다.
2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을 앞 또는 뒤로 0도에서 90도 각도로 기울기를 조절 하는 조절레버이다.
3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엘리네이션 레버이다.
4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절레버이다
5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3단의 클립락이다
6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허브판과 결합하는 헤드이다
7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헤드에 형성된 수나사이다.
800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에 따른 미끄럼방지처리된 다리 끝부분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는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된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타격체(10)를 정점에서부터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다양한 타점들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연습하고자하는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타격체의 높이와 타점을 카메라삼각대의 조절레버들을 이용하여 카메라삼각대의 헤드와 결합된 허브판의 높이와 좌우각도 앞뒤각도등을 설정하고 탁구라켓 또는 탁구라켓형상의 도구로 탁구의 다양한 스윙을 설정된 타점의 타격체의 여러 부분을 타구하며 탁구스윙을 혼자서 연습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형태는 탁구의스윙 종류중에서 포핸드스윙을 연습할 수 있도록 조절레버들을 조절하여 설정한 사시도이다
상기에 제시한 방식으로 타점을 설정하면 타격체(10)의 타점의 높이를 20센티미터 정도 부터 170센티미터 정도까지 다양하게 설정 할 수 있으며 지지대(20)의 각도를 직각에서 세로로 눕히거나 앞뒤로 눕혀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 되어 있는 타격체(10)의 옆부분을 밑으로 오게하여 타격체의 하단 부분을 타격하는 커트스윙이나 하회전 서브를 연습 할 수 있다.
또한 탁구공이 정점에서 부터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다양한 각도와 높이로 타격체(10)의 타점을 설정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제 날아오는 탁구공을 타구하는것과 같은 느낌으로 타구하며 연습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탁구의 다양한 스윙의 종류에 따라 타점을 설정하고 사용자는 탁구라켓 또는 탁구라켓형상의 도구로 연습하고자하는 스윙을 반복적으로 지지대(20)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타격체(10)를 번갈아 타구하며 연습 할 수 있다.
받침대인 카메라삼각대의 삼각대다리와 다리끝이 미끄럼방지 재질로 구성되어 지지대(20) 상단부의 타격체(10)를 반복적으로 타구하여도 흔들림없이 고정이 되어 안정감있고 정확하고 올바른 동작으로 탁구스윙을 반복적으로 연습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탁구 연습기의 실시예를 들면
탁구스윙의 종류중에 포핸드 스윙을 연습하기로 한다.
받침대 역할을 하는 카메라삼각대의 헤드(600)에 있는 나사(700)에 허브판을 나사구조로 결합한다.
세로각도를 0도에서90도 조절하는 조절레버(100)를 조절하여 헤드에 결합된 허브판을 조절하여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된 타격체의 각도를 45도정도로 설정하여 고정한다.
허브판이 결합된 헤드(600)를 좌우로 360도 회전시키는 조절레버(400)를 조절하여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된 타격체가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게 조절하여 고정한다.
허브판이 결합된 헤드(600)를 앞 또는 뒤로 0도에서 90도 기울기로 조절하는 조절 레버(200)를 이용하여 지지대와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된 타격체를 앞으로 15도정도 기울어지게 조절하여 고정한다.
받침대인 카메라 삼각대의 다리를 펴고
허브판이 결합된 헤드(6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3단 신축식다리와 이를 조절하는 클립락(500)과 엘리네이션기능과 이를 조절하는 레버(300)를 이용하여 헤드(600)에 결합된 허브판과 지지대 상단에 결합된 타격체(10)의 높이를 포핸드 스윙할 때의 높이인 100센티미터 정도의 높이로 고정한다.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높이는 달라지는데 보통은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서 타구가 이루어진다.
포핸드 스윙자세를 잡고 타점이 설정된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된 타격체를 사용자의 허리 옆 앞쪽에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탁구라켓 또는 탁구라켓형상의 도구를 들고 정확하게 설정된 타점의 타격체를 포핸드 스윙을 하여 타구하며 자연스럽게 타구가 이루어지는 자리를 잡아가며 연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타점을 설정하여 탁구의 다양한 스윙들, 구체적으로는 포핸드, 커트, 스트로크, 서브, 드라이브, 쇼트, 백드라이브, 푸쉬, 스매시, 플릭, 치키타등을 연습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탁구연습기 다수개를 설치하여 발을 움직이며 풋웍을 하며 탁구의 공격과 수비시스템들을 연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탁구연습기 2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서브넣는 타점을 설정하여 휴대용 탁구연습기를 위치 시키고, 서브를 구사하고 리턴되어 넘어올거라 예상되는 지점에 드라이브를 할 수 있는 타점을 설정하여 휴대용탁구연습기를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타격체를 타구하여 서브를 넣고 풋웍하여 이동하여 드라이브 스윙을 하여 타격체를 타구하며 반복적으로 풋웍을 이용하여 탁구스윙연습을 할 수 있다.
이처럼 2대를 설치 했을때 서브후 포핸드스윙, 서브후 드라이브스윙, 서브후 백드라이브스윙, 서브후 커트스트록스윙,포핸드스윙 포핸드드라이브스윙, 포핸드스윙 백핸드드라이브스윙등 다양한 경우의 수로 조합하여 타점을 설정하여 풋웍을 하며 탁구연습을 할 수 있다.
설치대수를 늘릴수록 탁구연습 시스템의 경우의 수는 더 다양해지고 더 다양하게 탁구연습을 할 수 있다.
지지대상단부에 결합된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성형체를 타구하며 연습하므로 공이 바닥에 떨어지지 않으므로 공을 주으러 다닐 필요가 없으므로 연습의 효율이 높아진다.
받침대인 카메라삼각대의 헤드부분에 나사구조로 결합되어있는 허브판과 허브판에 결합된 지지대를 분리하고 카메라삼각대를 접어 카메라삼각대 전용가방에 허브판과 지지대를 함께 넣으면 보관과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실내나 실외 적당한 공간만 있으면 탁구대와 상대가 없어도 휴대용탁구연습기를 설치하여 탁구공을 치며 탁구를 연습할 수 있다.
10 탁구공 또는 탁구공 형상의 성형체
20 지지대
30 허브판
40 지지대 결합부재
50 4/1인치 암나사
100 세로조절레버
200 앞뒤기울기조절레버
300 엘리네이션 높이조절레버
400 회전조절레버
500 높이조절클립락
600 삼각대헤드
700 4/1인치 수나사
800 미끄럼방지고무캡

Claims (1)

  1.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탁구연습기는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성형체가 탄성이 있는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되고 지지대 하단부는 허브판을 두고 허브판에 지지대 다수개를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장치를 마련하여 결합하고 카메라삼각대를 받침대로 하여 상기 허브판을 카메라삼각대 헤드부분의 나사에 나사구조로 결합하고 받침대 역할을 하는 카메라삼각대의 신축식다리와 엘리네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지지대가 결합된 상기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허브판에 결합된 지지대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지대의 탄력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으며 카메라삼각대의 신축식다리와 엘리네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헤드와 나사구조로 결합된 허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헤드와 나사구조로 결합된 허브판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좌우각도를 조절하고
    헤드와 나사구조로 결합된 허브판의 앞뒤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앞뒤기울기를 조절하고
    헤드와 나사구조로 결합된 허브판을 0도에서90도 각도로 세로로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세로각도를
    조절하여
    허브판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지지대와 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된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성형체를 정점이나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다양한 높이와 타점들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연습하고자하는 탁구스윙의 종류에 따라 조절하여 설정하고 탁구라켓 또는 탁구라켓형상의 도구로 탁구의 다양한 스윙을 설정된 타점의 탁구공 또는 탁구공형상의 성형체인 타격체의 모든 부분을 번갈아 타구하며 탁구스윙연습을 할 수 있으며
    장치를 구동할 별도의 동력이나 연습상대없이 혼자서도 탁구연습이 가능하면서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허브판과 지지대와 카메라삼각대가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카메라삼각대를 쉽게 접고 펼 수 있어서 휴대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에 제약이 따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탁구연습기
KR2020190003020U 2019-07-18 2019-07-18 휴대용 탁구연습기 KR202100002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20U KR20210000213U (ko) 2019-07-18 2019-07-18 휴대용 탁구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020U KR20210000213U (ko) 2019-07-18 2019-07-18 휴대용 탁구연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13U true KR20210000213U (ko) 2021-01-27

Family

ID=7423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020U KR20210000213U (ko) 2019-07-18 2019-07-18 휴대용 탁구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21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5971B2 (en) Training tool for ball games
US6475108B1 (en) Soccer kicking training device
US8328665B2 (en) Combination pitching aid and batting tee
EP2758138B1 (en) Variable gravity training device
US9149707B2 (en) Ball hitting teacher
US6322461B1 (en) Baseball pitching target
US20050288120A1 (en) Dual sport swing training aid and method of using
US20040033848A1 (en) Training device
US20090305824A1 (en) Special Baseball Training Device called BASEx
US7070520B1 (en) Sports training device for hitting a ball
US4786057A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JP2007152057A (ja) 打撃系練習機
KR101900191B1 (ko) 축구 전술 더미 받침장치
US7901304B1 (en) Golf teaching device
US20030228943A1 (en) Strike zone pitching backstop
KR20210000213U (ko) 휴대용 탁구연습기
US8079917B2 (en) Training apparatus for improving an athletes swing
CN201939983U (zh) 一种乒乓球、网球或壁球击球力量训练器
US20140066230A1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US9375623B2 (en) Method for training and improving overhand throwing
KR20030063936A (ko) 태권도용 운동기구
US10632357B1 (en) Swing training device
JP3214814U (ja) バッティング用スタンド
CN208905941U (zh) 一种乒乓球挥拍姿势矫正装置
TH17830A3 (th) หุ่นจำลองฝึกเล่นกอล์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