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249B1 - 발차기 연속 타격기 - Google Patents

발차기 연속 타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249B1
KR101498249B1 KR20140145450A KR20140145450A KR101498249B1 KR 101498249 B1 KR101498249 B1 KR 101498249B1 KR 20140145450 A KR20140145450 A KR 20140145450A KR 20140145450 A KR20140145450 A KR 20140145450A KR 101498249 B1 KR101498249 B1 KR 10149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ting
elastic member
elastic
strik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덕
임동규
Original Assignee
유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덕 filed Critical 유재덕
Priority to KR2014014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2Boxing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복수개의 회전수단을다단으로 구비하고, 각각의 회전수단에 타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격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함에 따라 타격수단에 타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에 타격수단이 원위치 복원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재를 회전수단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하되, 역방향으로 제작되어 복원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타격연습을 할 수 있으며, 타격수단이 다단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격투 및 타격 훈련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동 효과 및 타격기술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차기 연속 타격기{HITTING DEVICE}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복수개의 회전수단을다단으로 구비하고, 각각의 회전수단에 타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타격수단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함에 따라 타격수단에 타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에 타격수단이 원위치 복원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탄성부재를 회전수단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하되, 역방향으로 제작되어 복원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타격연습을 할 수 있으며, 타격수단이 다단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격투 및 타격 훈련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동 효과 및 타격기술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에 관한 것이다.
격투가, 복싱선수 등은 다양한 타격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타격기술 연마, 훈련 등을 하고 있다. 따라서 스스로 사용자의 펀치 또는 타격을 연습할 수 있는 다양한 타격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태권도나 합기도, 태극권 등에서 발차기 연습 및 시합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사범 및 관장이 핸드미트를 손에 들고 타격위치를 잡아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격 연습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타격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97050호 『펀치백의 높이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격투기 연습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쿠션백이 달린 봉에 2개의 힌지를 달아 높낮이와 길이 및 위치를 바꾸어 고정할 수 있는 격투기 연습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강한 타격을 가했을 경우, 쿠션백이 원위치 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원위치 시킨 후 재타격을 실시해야하는 것으로서, 타격을 연속적으로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타격훈련의 타점을 변경함에 따라 높낮이를 매번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특2001-0105459호 『권투연습용 타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3차원 입체상태의 인체모형을 가격하는 것으로 종래 2차원 평면상태에서는 돌출되는 타격수단을 가격하는 직선적인 가격 연습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제 권투에서 필요한 다양한 펀치를 실제와 동일함 감각으로 연습하 수 있는 권투연습용 타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실제 사람 모형을 제??함에 따라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발차기 등의 강한 타격을 가하는 경우 쉽게 부서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실1999-0022787호 『격투기연습용 타겟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손이나 발등으로 타겟트를 가격하면 이에 의한 충격력으로 타겟트가 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이 충격력을 균등분배 되어지게 하고 최상의 탄력을 갖게하여 부러질 염려없이 충격을 최대한 완화 흡수 할 수 있도록 스폰지대의 내측으로 심재를 부착하고 외면을 감싸는 인조피혁 또는 그와 유사한 재질로 된 카바지를 씌워 격투기 연습용 타겟트를 형성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종래의 일체로 되어진 심재를 같은 두께내에서 심재를 여러개로 나누어 겹쳐지게 형성하는 격투기연습용 타겟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탄력에 의해 타격시 휘어지게 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서, 강한 타격 또는 반복되는 타격에 의해 그 탄력이 약화되어 훈련기구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실1998-014292호 『격투기 운동용 훈련용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설치장소의 높이에 맞추어 바닥과 천장사이에 고정식으로 설치가능케하는 리프트(LIFT)장치를 갖춘 대략 중공의 각형으로 형성되는 기둥과, 이기둥의 외면을 상하 방향으로 습동하여 표적미트의 높낮이를 조절가능케하는 조절구 장치와 이를 임의 위치로 조절후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이 조절구의 측면에 표적미트를 장착한 연결대를 원주상 임의각도에 체결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기둥으로부터 표적미트의 높이 조절시 표적미트와, 연결대와, 조절구장치의 낙하하중을 상쇄가능케 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또한 표적미트에 강한 타격을 가하는 경우, 그 힘에 의하여 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없이 반복되는 타격연습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수명이 짧아지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발차기 연속 타격기에 있어서,
본체에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 외주면을 회전 가능한 타격수단이 구비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되, 회전수단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타격 후 원위치 복귀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타격훈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이 지지부재에 복수개로 다단 구비됨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의 타격수단이 함께 구비될 수 있어 높낮이를 따로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다양한 타점의 타격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회전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부재와 하부고정부재를 구비하여 회전부재가 지지부재에 일정한 높낮이를 갖으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보조고정부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탄성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하되, 서로 역방향으로 구성하여 복원력을 강화시키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연속 타격기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부재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지지부재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수단;
상기 회전수단에 구비되는 타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수단에는 상기 타격수단이 회전하는 경우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연속 타격기는 본체에 지지부재 외주면을 회전하되 타격수단이 구비되는 회전수단을 통하여 타격 되는 경우, 타격의 충격을 상기 회전수단이 지지부재 외면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타격 강도에 따라 회전반경의 차이가 생겨 사용자의 타격강도를 알아볼 수 있어 효율적으로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타격된 타격수단이 탄성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 복원됨에 따라 사용자가 타격 후 다시 타격수단을 수동으로 복원 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탄성부재를 회전수단의 상부와 하부에 서로 역방향으로 구비하여 복원력을 더욱 향상시켜 연속적인 훈련이 가능하여 훈련 효율이 향상되며,
복수개의 회전수단이 다단으로 구비됨에 따라 다양한 높이의 타점에 대한 타격훈련을 동시에 진행 할 수 있어 훈련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나아가 회전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지지부재로부터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고정부재를 통하여 회전수단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연속 타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연속 타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연속 타격기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수단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타격 또는 격투기 등의 훈련 및 연습 특히, 태권도나 합기도, 태극권 등에서 발에 의한 타격(발차기)을 연습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A)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받침부재(11)와 지지부재(13) 및 상기 지지부재(13)에 구비되는 회전수단(20) 및 상기 회전수단(20)에 구비되는 타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는 받침부재(11)와, 상기 받침부재(11)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타격수단(3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부재(11)에는 일반적으로 물이나 추 등을 이용하여 흔들리지 않고 바닥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받침부재(11)의 상부에는 상기 받침부재(11)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13)가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13)는 복수개의 분체가 상호 중첩되어 각각의 분체들이 연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신장이나 타격점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설치환경 및 상황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11)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에는 회전수단(2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수단(20)은 상기 지지부재(13)에 외면에 결합되는 회전부재(21)와, 상기 회전부재(21)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부재(23)와 하부고정부재(25)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1)는 상기 지지부재(13)의 외면에 삽입되어 지지부재(13) 외주면을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특히 타격하는 힘에 따라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각각 90도 정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회전부재(21)가 지지부재(13)에서 일정 높이로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회전부재(2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고정부재(23)와 하부고정부재(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재(23)와 하부고정부재(25)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고정부재(23)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고정부재(23)는 상기 지지부재(13)를 내삽하는 내삽부(231)가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회전부재(21)의 상부 일부를 내삽할 수 있는 회전부(23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재(23)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공(235)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공(235)을 통하여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지지부재(13)의 외면을 가압함에 따라 지지부재(13)에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상부고정부재(23)와 하부고정부재(25)에 의해 상부와 하부 일부가 각각 내삽된 회전부재(21)는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부재(13)의 외면에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재(13)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베어링(131)과 하부베어링(133)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베어링(131)은 상기 상부고정부재(23)의 내측에, 하부베어링(133)은 상기 하부고정부재(25)의 내측에 위치하여 보다 원활한 회전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회전부재(21)에는 후술하는 타격수단(30)이 구비되게 되며, 사용자가 타격수단(30)에 타격을 가하는 경우, 다시 타격수단(30)이 원위치로 복귀 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31)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31)는 상기 상부고정부재(23)와 하부고정부재(25)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부고정부재(23)에 구비되어 있는 제1 탄성부재(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탄성부재(31)는 상기 상부고정부재(23)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1 탄성부재(31)의 일측은 상기 상부고정부재(23)에 구비되어 있는 제1 고정홈(239)에 내삽되게 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31)의 타측은 상기 회전부재(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 고정홈(211)에 내삽되어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고정부재(25)에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31′)는 상기 상부고정부재(23)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31)와 서로 역방향의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역방향으로 구비되며, 이에 따라 회전부재(21)가 좌측방향으로 회전(약90도),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약90도)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부고정부재(25)에는 제3 고정홈(239′)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21)의 하부에는 제4 고정홈(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31′)의 양 단부가 상기 제3 고정홈(239′)과 제4 고정홈(211′)에 결합되게 된다.
이 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홈(239)와 제3 고정홈(239′)의 위치는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되고, 제2 고정홈(211)과 제4 고정홈(211′) 또한 서로 반대방향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탄성부재(31)(31′)는 서로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갖을 수 있게 되며, 예를 들어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31)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갖으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31′)는 우측방향으로 복원력을 갖음으로서 타격의 방향에 따라 좌측방향으로 약 90도, 우측방향으로 약90도 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각각의 복원력이 형성될 수 있어 다양한 타격 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수단(20)이 회전을 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31)의 일측은 상부고정부재(23)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회전수단(20)에 고정되어 회전수단(20)과 함께 회전운동을 하므로서 복원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타격이 없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31)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회전수단(20)은 타격되기 전의 위치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연속적인 타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31)(31′)의 수축 및 이완을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지지부재 사이는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21), 상부고정부재(23), 하부고정부재(25)는 상기 지지부재(13)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후술하는 타격수단(30)이 하나의 지지부재(13)에 복수개가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타격기술을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부재(13)에 구비되는 각각의 회전부재(21) 사이에는 복수개의 보조고정부재(213)를 더 구비함에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는 타격수단(30)의 간격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훈련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고정부재(213)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지부재(13)를 내삽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본 발명의 회전부재(21)에는 타격수단(30)이 각각 구비되게 되는데, 하나의 타격수단(3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2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프레임(3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33)에 타격부재(35)가 결합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타격부재(35)는 사용자가 직접 타격을 가하는 타격부(351)가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351)에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3)과 결합되는 결합부(35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353)에 내삽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3)과 결합되는 연장부재(37)가 더 구비되어 상기 타격부재(35)와 지지부재(13)의 이격거리를 사용자가 손쉽게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연장공(3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33)은 연장부재(37)에 내삽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재(37)의 외면에는 결합공(3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371)에 결합볼트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볼트가 상기 결합공(371)과 연장공(331)을 모두 관통하여 결합함에 따라 타격부재(35)와 지지프레임(33)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되는 연장공(331)을 길이에 따라 선택하여 결합함에 따라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타격수단(30)은 상기 지지부재(13)에 하나 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타격수단(30)는 평면상에서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발차기 연속 타격기 10 : 본체
11 : 받침부재 13 : 지지부재
131 : 상부베어링 133 : 하부베어링
20 : 회전수단 21 : 회전부재
211 : 제2 고정홈 213 : 보조고정부재
23 : 상부고정부재 231 : 내삽부
233 : 회전부 235 : 고정공
239 : 제1 고정홈 25 : 하부고정부재
30 : 타격수단 31 : 탄성부재
33 : 지지프레임 331 : 연장공
35 : 타격부재 351 : 타격부
353 : 결합공

Claims (4)

  1. 받침부재(11)와, 상기 받침부재(11)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3)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지지부재(13)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지지부재 외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1)를 포함하는 회전수단(20);
    상기 회전수단(20)에 구비되는 타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수단(20)에는 상기 타격수단(30)이 회전하는 경우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1)가 더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31)는
    상기 회전부재(2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 탄성부재(31)와, 회전부재(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탄성부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31)의 일측은 상부고정부재(23)에 구비되는 제1 고정홈(239)에 내삽되고, 타측은 회전부재(21)에 구비되는 제2 고정홈(211)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탄성부재(31′)의 일측은 하부고정부재(25)에 구비되는 제3 고정홈(239´)에 내삽되고, 타측은 회전부재(21)에 구비되는 제4 고정홈(2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31)는 상기 지지부재(13)를 회전축으로 일방향 복원력을 갖고, 상기 제2 탄성부재(31´)는 제1 탄성부재(31)와 반대방향의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30)은
    상기 회전부재(21)의 일측에 돌출된 지지프레임(33)과 상기 지지프레임(33)에 결합되는 타격부재(35) 및 상기 타격부재(35)와 지지부재(13)의 거리를 조절하는 연장부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연속 타격기.
KR20140145450A 2014-10-24 2014-10-24 발차기 연속 타격기 KR10149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450A KR101498249B1 (ko) 2014-10-24 2014-10-24 발차기 연속 타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5450A KR101498249B1 (ko) 2014-10-24 2014-10-24 발차기 연속 타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249B1 true KR101498249B1 (ko) 2015-03-16

Family

ID=5302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5450A KR101498249B1 (ko) 2014-10-24 2014-10-24 발차기 연속 타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9054A (zh) * 2018-11-27 2019-03-22 南京林业大学 一种跆拳道陪练辅助器械
KR102049181B1 (ko) * 2018-11-29 2019-11-26 최재도 차기와 치기 및 막기 수련이 가능한 멀티 수련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009Y1 (en) * 1982-12-17 1984-06-18 Han Man Suk Exerciser
KR19980025231U (ko) * 1998-05-13 1998-07-25 배광주 기술발차기 및 주먹찌르기 연습운동기구
KR19980059846U (ko) * 1997-03-05 1998-11-05 우종선 발차기 연습구
KR200271150Y1 (ko) 2002-01-24 2002-04-09 민경복 태권도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009Y1 (en) * 1982-12-17 1984-06-18 Han Man Suk Exerciser
KR19980059846U (ko) * 1997-03-05 1998-11-05 우종선 발차기 연습구
KR19980025231U (ko) * 1998-05-13 1998-07-25 배광주 기술발차기 및 주먹찌르기 연습운동기구
KR200271150Y1 (ko) 2002-01-24 2002-04-09 민경복 태권도용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9054A (zh) * 2018-11-27 2019-03-22 南京林业大学 一种跆拳道陪练辅助器械
KR102049181B1 (ko) * 2018-11-29 2019-11-26 최재도 차기와 치기 및 막기 수련이 가능한 멀티 수련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893B2 (en) Body hardening machine that simulates martial arts sparring
US7416517B2 (en) Interactive martial arts training apparatus
US7641602B2 (en) Weightlifting system with positionable handles
US5899835A (en) Multifunctional training device
CA2922024C (en) Rotational resistance system
US7749142B2 (en) Therapeutic device
JP2009213896A (ja) 回転可能なハンドルと回動可能なバーとを備えた引き上げ運動用組立体
US9643047B1 (en) Sit-up bench apparatus
JP2009034500A (ja) トレーニング及びフィットネス用装置
KR101498249B1 (ko) 발차기 연속 타격기
EP1587586B1 (en) Golf exercise device
US20190275365A1 (en) Punching Handle V.1
KR101244716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KR102171477B1 (ko) 발차기용 수련 기구
US20050124469A1 (en) U-Twist
US20160346594A1 (en) Forearm workout device
US11779825B2 (en) Martial arts training equipment
KR102049181B1 (ko) 차기와 치기 및 막기 수련이 가능한 멀티 수련 기구
DE102005040476A1 (de) Golfschwungübungsgerät
DE102018119855A1 (de) Trainingsgerät
DE202013006560U1 (de) Golf-Übungsgerät
RU186620U1 (ru) Комплект тренажеров для отжиманий
WO2018203218A1 (en) Apparatus for developing and/or training ball skills
JP5993882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CN203736817U (zh) 排球垫球手臂弯曲矫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