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477B1 - 발차기용 수련 기구 - Google Patents

발차기용 수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477B1
KR102171477B1 KR1020190022172A KR20190022172A KR102171477B1 KR 102171477 B1 KR102171477 B1 KR 102171477B1 KR 1020190022172 A KR1020190022172 A KR 1020190022172A KR 20190022172 A KR20190022172 A KR 20190022172A KR 102171477 B1 KR102171477 B1 KR 10217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ngitudinal
kick
train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948A (ko
Inventor
최재도
Original Assignee
최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도 filed Critical 최재도
Priority to KR102019002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477B1/ko
Priority to US16/799,979 priority patent/US20200273368A1/en
Publication of KR20200103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A63B69/00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63B2208/0209Standing on the feet on a singl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4Jud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6Kar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7Means for physically limiting movements of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권도를 포함한 발차기를 동반하는 무예나 운동에서 앞차기 및 옆차기 등의 발차기를 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며 몸에 무리없는 수련을 가능하게 하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발차기 자세를 갖도록 수련할 수 있는 발차기용 수련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또는 벽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차기 수련 수단; 및 일단부는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종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소정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을 그 발차기 수련 수단의 상단을 축으로 회동시켜 소정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수련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발차기용 수련 기구{KICK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발차기용 수련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권도를 포함한 발차기를 동반하는 무예나 운동에서 앞차기 및 옆차기 등의 발차기를 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며 몸에 무리 없는 수련을 가능하게 하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발차기 자세를 갖도록 수련할 수 있는 발차기용 수련 기구에 관한 것이다.
태권도, 택견, 격투기, 주짓수 등의 무예나 운동은 다양한 타격 장치를 이용하여 자신의 타격기술 연마, 훈련 등을 하고 있다. 따라서 스스로 사용자의 펀치 또는 타격을 연습할 수 있는 다양한 타격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발차기 연습을 위한 타격장치로, 종래에는 사범 및 관장이 핸드 미트를 손에 들고 타격위치를 잡아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격 연습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타격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97050호에 '펀치백의 높이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격투기 연습기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연습기구는 쿠션 백이 달린 봉에 2개의 힌지를 달아 높낮이와 길이 및 위치를 바꾸어 고정할 수 있는 격투기 연습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습기구는 강한 타격을 가했을 경우, 쿠션 백이 원위치 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원위치시킨 후 재타격을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서, 타격을 연속적으로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타격훈련의 타점을 변경함에 따라 높낮이를 매번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특2001-0105459호에는 '권투연습용 타격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타격장치는 3차원 입체상태의 인체모형을 가격하는 것으로 종래 2차원 평면상태에서는 돌출되는 타격수단을 가격하는 직선적인 가격 연습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제 권투에서 필요한 다양한 펀치를 실제와 동일함 감각으로 연습하 수 있는 권투연습용 타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격장치는 실제 사람 모형을 제공함에 따라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그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발차기 등의 강한 타격을 가하는 경우 쉽게 부서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실1999-0022787호에는 '격투기연습용 타겟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타켓트는 손이나 발등으로 타겟트를 가격하면 이에 의한 충격력으로 타겟트가 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이 충격력을 균등분배 되어지게 하고 최상의 탄력을 갖게 하여 부러질 염려없이 충격을 최대한 완화 흡수할 수 있도록 스폰지대의 내측으로 심재를 부착하고 외면을 감싸는 인조피혁 또는 그와 유사한 재질로 된 카바지를 씌워 격투기 연습용 타겟트를 형성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종래의 일체로 되어진 심재를 같은 두께 내에서 심재를 여러 개로 나누어 겹쳐지게 형성하는 격투기연습용 타겟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켓트는 단순히 탄력에 의해 타격시 휘어지게 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것으로서, 강한 타격 또는 반복되는 타격에 의해 그 탄력이 약화되어 훈련기구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실1998-014292호에서는 '격투기 운동용 훈련용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훈련용구는 설치장소의 높이에 맞추어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식으로 설치 가능케 하는 리프트(LIFT)장치를 갖춘 대략 중공의 각형으로 형성되는 기둥과, 이 기둥의 외면을 상하 방향으로 습동하여 표적 미트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케 하는 조절구 장치와 이를 임의 위치로 조절 후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이 조절구의 측면에 표적 미트를 장착한 연결대를 원주 상 임의각도에 체결이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기둥으로부터 표적 미트의 높이 조절시 표적 미트와, 연결대와, 조절구장치의 낙하하중을 상쇄 가능케 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훈련용구는 표적 미트에 강한 타격을 가하는 경우, 그 힘에 의하여 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특히 수없이 반복되는 타격연습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수명이 짧아지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 세계의 다양한 무술 중에서 차기에 관한 한 태권도가 독보적으로 앞선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차기에 대한 심도 있는 이론은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고 단지 수 없는 반복동작을 통해서 체득하는 것만이 최선의 수련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일반 도장의 수련생들을 위한 교육 내용에는 반드시 차기에 관한 이론과 점진적인 수련 단계를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고 무리하게 차는 동작만 강요할 경우 무릎의 십자인대 또는 발목에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7050(200.09.1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105459(2001.11.29.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9-0022787(1999.07.05.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8-0014292(1998.06.05.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3939(2011.04.21.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태권도를 포함한 발차기를 동반하는 무예나 운동에서 앞차기 및 옆차기 등의 발차기를 위한 단계적이고 무리 없는 수련을 가능하게 하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발차기 자세를 갖도록 수련할 수 있는 발차기용 수련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바닥 또는 벽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차기 수련 수단; 및 일단부는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종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소정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을 그 발차기 수련 수단의 상단을 축으로 회동시켜 소정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수련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의 복수 개소에 구비되어 종방향 프레임을 지지 유지시키는 횡방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 및 횡방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각각에 구비되어 수련자가 손으로 잡고 이용할 수 있는 띠형 파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 측 횡방향 프레임에 회동축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 상기 회동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롤러 지지 프레임; 및 양단부가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롤러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 측 횡방향 프레임에 회동축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 및 양단부가 상기 회동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회동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을 따라 소정 위치에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 고정 수단; 및 일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회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일단부 각각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회동프레임; 및 상기 각도조절 회동프레임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대해 소정 이동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이동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용 수련 기구에 의하면, 태권도, 택견, 격투기, 주짓수 등의 무예나 운동에서 수련하는 앞차기 및 옆차기 등의 발차기를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며 무리없이 수련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발차기 자세를 갖게 수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발차기 수련 수단이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발차기 수련 수단이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발차기 수련 수단이 소정 각도로 조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의 상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의 발차기 수련 수단의 하측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구성하는 각도 조절 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이용한 앞차기 수련 동작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이용한 옆차기 수련 동작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발차기 수련 수단이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발차기 수련 수단이 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발차기 수련 수단이 소정 각도로 조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의 상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의 발차기 수련 수단의 하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구성하는 각도 조절 수단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이용한 앞차기 수련 동작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를 이용한 옆차기 수련 동작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 수련 기구는,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또는 벽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00);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차기 수련 수단; 및 일단부는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종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소정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을 그 발차기 수련 수단의 상단을 축으로 소정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일 예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110)과,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110)의 복수 개소에 구비되는 횡방향 프레임(120), 및 상기 종방향 프레임(110) 및/또는 횡방향 프레임(120)을 벽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횡방향 프레임(120)은 기본적으로 종방향 프레임(110)의 상단(상단부) 및 하단(하단부)에 구성된다.
상기 고정 수단(130)은 종방향 프레임(110) 및/또는 횡방향 프레임(1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프레임(110, 120)을 감싸는 C자형 또는 U자형 클립과 이를 고정시키는 나사 등의 고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후술하는 발차기 수련 수단 및 각도 조절 수단이 결합되고, 바닥 또는 벽체 등에 지지 고정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고정 프레임(100)은 고정 수단의 고정없이도 프레임 자체의 구성에 의해 유지 고정될 수 있는 다수의 골격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110) 각각에 구비되어 발차기 자세 수련 시 수련자가 손으로 잡고 이용할 수 있는 띠형 파지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2 참조).
다음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차기 수련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은, 일 실시 형태로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110)의 상단 측 횡방향 프레임(120)에 회동축(21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210)과, 상기 회동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롤러 지지 프레임(220), 및 양단부가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2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롤러 지지 프레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롤러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에서 회동 프레임(210)과 롤러 지지 프레임(22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220)은 생략되고 회동 프레임(210)에 복수의 롤러 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차기 수련 수단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차기와 같은 발차기 자세 수련이나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옆차기와 같은 발차기 자세 수련 시, 발바닥이나 발 내측이 롤러 부재(230)를 타고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발차기 자세 수련에서 롤러 부재(230)는 후술하는 각도 조절 수단에 의해 그 각도가 조절되어 발차기 자세 각도를 변경하면서 수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을 상단을 축으로 소정 각도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은, 일 실시 형태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110)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310)과, 상기 이동 프레임(31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310)이 종방향 프레임(110)을 따라 소정 위치에 이동된 상태에서 종방향 프레임(110)에 대하여 이동 프레임(3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 고정 수단(320), 및 일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210)의 하단부 양측에 회전축(331)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회동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고정 수단(320)은 풀어서 해제할 시 이동 프레임(310)이 종방향 프레임(1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고정 시에는 이동 프레임(310)이 종방향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 고정 수단(320)은 종방향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 프레임(310)의 양단부를 구성하는 원통형 결합구(321)에 나사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 결합 구멍으로 나사 결합되는 노브 구비 볼트 부재(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이동 프레임(310)이 생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각도조절 회동 프레임(330)의 일단부 각각이 종방향 프레임(1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소정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고정 수단(3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도조절 회동 프레임(330)의 일단부는 종방향 프레임(1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원통형 결합구에 힌지 결합된 헝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결합구에는 이동 고정 수단(320), 즉 나사 결합 구멍과 노브 구비 볼트 부재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중에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부 간 및 상기 원통형 결합구의 내측에는 원활한 회전과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용 수련 기구는 각도 조절 수단을 통해 발차기 수련 수단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발차기 자세를 수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차기용 수련 기구에 의하면, 태권도, 택견, 격투기, 주짓수 등의 무예나 운동에서 수련하는 앞차기 및 옆차기 등의 발차기를 단계적이고 체계적이며 무리없이 수련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발차기 자세를 갖게 수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정 프레임
110: 종방향 프레임
120: 횡방향 프레임
130: 고정 수단
140: 띠형 파지 부재
210: 회동 프레임
220: 롤러 지지 프레임
230: 롤러 부재
310: 이동 프레임
311: 원통형 결합구
312: 노브 구비 볼트 부재
320: 이동 고정 수단
330: 각도조절 회동프레임

Claims (7)

  1. 바닥 또는 벽체에 지지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차기 수련 수단;
    일단부는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종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소정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어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을 그 발차기 수련 수단의 상단을 축으로 회동시켜 소정 각도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
    종방향 프레임 및 횡방향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 및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각각에 구비되어 수련자가 손으로 잡고 이용할 수 있는 띠형 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의 복수 개소에 구비되어 종방향 프레임을 지지 유지시키는 횡방향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발차기 수련 수단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 측 횡방향 프레임에 회동축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프레임과, 상기 회동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롤러 지지 프레임, 및 양단부가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롤러 지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수련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을 따라 소정 위치에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 고정 수단; 및
    일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동 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회전축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회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수련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일단부 각각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 회동프레임; 및
    상기 각도조절 회동프레임이 상기 종방향 프레임에 대해 소정 이동된 위치에고정시키기 위한 이동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차기 수련 기구
KR1020190022172A 2019-02-26 2019-02-26 발차기용 수련 기구 KR10217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72A KR102171477B1 (ko) 2019-02-26 2019-02-26 발차기용 수련 기구
US16/799,979 US20200273368A1 (en) 2019-02-26 2020-02-25 Kicking Trai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72A KR102171477B1 (ko) 2019-02-26 2019-02-26 발차기용 수련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948A KR20200103948A (ko) 2020-09-03
KR102171477B1 true KR102171477B1 (ko) 2020-10-29

Family

ID=7214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172A KR102171477B1 (ko) 2019-02-26 2019-02-26 발차기용 수련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273368A1 (ko)
KR (1) KR102171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7595B (zh) * 2021-12-31 2023-01-06 湖南文理学院 一种弧形球的辅助训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158A (en) * 1988-02-01 1989-05-02 Fields Jr Thomas H Body stretching and exercising device
US5662592A (en) * 1995-07-21 1997-09-02 Brady; Thomas L. Vertical leg stretching apparatus
KR19980014292U (ko) 1998-03-04 1998-06-05 심종성 격투기 운동용 훈련용구
KR19990022787U (ko) 1999-04-16 1999-07-05 심종성 격투기연습용타겟트
KR200197050Y1 (ko) 2000-03-29 2000-09-15 남건우 펀치백의 높이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격투기 연습기구
KR20010105459A (ko) 2000-05-09 2001-11-29 이상길 권투연습용 타격장치
KR20110003939U (ko) 2009-10-15 2011-04-21 성수민 높이 조절 수단이 구비된 발차기용 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3368A1 (en) 2020-08-27
KR20200103948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517B2 (en) Interactive martial arts training apparatus
US9504893B2 (en) Body hardening machine that simulates martial arts sparring
JP4912403B2 (ja) ツイスト・アンド・ホッピング運動器具
US6475108B1 (en) Soccer kicking training device
US3756595A (en) Leg exercising device for simulating ice skating
US8202203B2 (en) Portable acrobatic trainer apparatus
US20120053023A1 (en) Martial Arts Striking Device with Flexible, Non-Force Impact, Relatively Non-Resistant Contact, Striking Targets, and Method of Use
JP5469317B2 (ja) トレーニング及びフィットネス用装置
US5435572A (en) Ball kick-training device
US9039577B2 (en) Elliptical trainer
JP2000051423A (ja) ゴルフスイング補助器及び練習装置
JP4072182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US20140213418A1 (en) Fencing trainer
KR102171477B1 (ko) 발차기용 수련 기구
US4516769A (en) Rebound sports training apparatus
KR20110003783U (ko) 휴대용 당구연습장치
KR20200142656A (ko) 발차기용 수련 도구 키트
KR101498249B1 (ko) 발차기 연속 타격기
KR200397878Y1 (ko) 직립형 격투기구
US9295891B1 (en) Practice system for martial arts and similar disciplines
RU24988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приемов единоборств
KR102576325B1 (ko) 태권도 멀티 수련 기구
KR102049181B1 (ko) 차기와 치기 및 막기 수련이 가능한 멀티 수련 기구
AU2021273590B2 (en) A Sports Training Apparatus
US20060199705A1 (en) Apparatus for guiding athletic ki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