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372A - 세탁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372A
KR20100094372A KR1020100013343A KR20100013343A KR20100094372A KR 20100094372 A KR20100094372 A KR 20100094372A KR 1020100013343 A KR1020100013343 A KR 1020100013343A KR 20100013343 A KR20100013343 A KR 20100013343A KR 20100094372 A KR20100094372 A KR 2010009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ir passage
filter
heat exchanger
circul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486B1 (ko
Inventor
히로키 하야시
다츠야 오야부
고에이 홋타
히로시 니시무라
히로키 무라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339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92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3930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064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40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233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9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조(8)의 외부에 설치된 건조용 순환 풍로(20)는 일단부를 수조(8) 전부 상면의 취출구(10)에 접속하고, 타단부를 수조(8)의 배면 상부의 취입구(11)에 연통시키며, 수냉식 열교환기(43)는 순환 풍로(20) 중 수조(8)의 배면(8b)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상부(42)에 배치하고, 순환 풍로(20)의 수하부(40)와 입상부(42)는 하부가 접힘부(41)로 연결되고, 상부가 수조(8)의 상면(8a)에서 팬케이싱(45) 및 장착자리(29)를 통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수하부(40)와 입상부(42)의 강성을 올릴 수 있어 배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수냉식 열교환기의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순환 풍로의 강성을 높게 하여 강도의 향상을 도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건조기{WASHING AND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순환 풍로중에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한 드럼식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드럼식 세탁건조기에서는 드럼을 수용하는 수조(외부조)의 외부에 건조용 순환 풍로를 설치하고, 수조 내의 공기를 전부(前部)로부터 순환 풍로측으로 취출하고, 또한 순환 풍로 내의 공기를 수조의 후부(後部)로부터 수조 내로 불어넣는 구성으로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43290호 참조). 상기 순환 풍로 중에는 송풍기, 제습기(흡열기) 및 가열용 히터를 설치하고 있다. 이 중, 송풍기 및 제습기는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고, 히터는 수조의 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송풍기가 구동됨에 따라 그 송풍 작용에 의해 수조 내 및 드럼 내의 공기가 순환 풍로를 통해 순환된다. 이 때 히터에 의해 가열된 건조용 온풍이 수조의 후부로부터 수조 내 및 드럼 내로 공급되고, 상기 온풍에 의해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물이 가열된다.
그리고, 세탁물로부터 습기를 빼앗은 공기가 수조의 전부로부터 순환 풍로측으로 취출되고, 그 습기를 포함한 공기가 제습기에서 냉각되어 습기가 제거된다.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드럼 내로 공급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드럼 내의 세탁물이 건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온풍을 순환 풍로를 통해 순환하는 타입에서는 온풍을 기외로 배기하지 않고 폐쇄 루프의 순환 풍로에서 건조 운전이 실시되고, 세탁건조기를 설치한 거주 환경에 배기에 의한 온도나 습도의 영향을 주지 않고 쾌적하게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세탁 공정이나 건조 공정에서 의류 등으로부터 실밥 등 린트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 린트가 가열 수단 등에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가열 수단의 상류측에 필터 장치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수시로 기외로부터 점검 청소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00395호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수조 상방을 경유하는 순환 풍로를 이용하여 필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세탁건조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본체 천정면으로부터 착탈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43290호에서는 제습기가 수조의 상면을 따르도록 거의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습기로서 특히 풍로 내를 통과하는 공기를 물로 냉각하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경우,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냉각 효율이 나쁘고, 또한 제습하기 위한 풍로 길이를 길게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며, 제습 효율이 나쁜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00395호에 기재된 것에서는 린트는 가열 수단에 도달하는 전단계에서 필터 장치에 포획되어 안전하고, 또한 기외로부터 수시로 점검 청소가 가능하여 필터의 막힘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등 편리하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에 의해 린트가 상기 필터 장치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내에 잔류하여 축적되어 열교환 기능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즉, 수냉식 열교환기에서는 침입해 온 린트의 대부분을 상방으로부터의 산수(散水)에 의해 하방으로 흐르게 하여 기외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불균형이 없는 산수를 필요로 하거나 비교적 많은 물이 필요하게 되는 등 외에 냉수에 의한 열교환 작용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용기 형상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도 린트의 배출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 원하는 열교환 성능을 얻기 어려운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냉식 열교환기의 제습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순환 풍로의 강성을 높여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외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는 필터 장치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열교환기 내의 린트 막힘을 방지하여 소기의 열교환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건조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세탁건조기는 외부 상자, 상기 외부 상자 내에 배치되어 전부의 상방에 취출구를 구비하고, 또한 후부에 취입구를 구비한 수조, 및 통수 및 통기가 가능한 구멍을 구비하고 축 방향이 전후 방향의 횡축 상태로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드럼과, 상기 외부 상자 내에 있고 일 단부가 상기 취출구에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취입구에 접속되어 상기 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외부 상자 사이에 설치된 순환 풍로, 및 상기 수조 내의 공기를 상기 취출구로부터 상기 순환 풍로측으로 취출함과 동시에 상기 순환 풍로 내의 공기를 상기 취입구로부터 상기 수조 내로 취입함으로써 상기 수조 내의 공기를 상기 순환 풍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송풍 수단과, 상기 순환 풍로 중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풍로를 흐르는 공기에 포함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풍로는 상기 취출구로부터 상기 수조의 상면을 따라서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 상기 수조의 후부 부근에서 상기 수조의 배면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방향을 바꿔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의 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방향을 바꿔 상기 수조의 배면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조의 상면으로 복귀한 후, 상기 취입구에 접속하도록 배관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순환 풍로 중 상기 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 풍로에서 상기 수조의 상면을 따르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접힘부로 향하는 수하부(垂下部)와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상기 입상부는 하부가 상기 접힘부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부가 상기 수조의 상면에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 송풍 수단의 송풍 작용에 의해 회전 드럼 내 및 수조 내의 공기가 취출구로부터 순환 풍로측으로 취출된다. 이 공기는 수조의 상면을 후방을 향하게 하여 흐른 후, 수조의 후부 부근에서 하방으로 방향을 바꿔 수조의 배면을 따라서 배치된 수하부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흐르고, 하부의 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방향을 바꿔 수조의 배면을 따라서 배치된 입상부를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흘러 수조의 상면으로 복귀한 후, 흡기구로부터 수조 내 및 회전 드럼 내에 복귀되도록 흐른다. 이 때, 순환 풍로 내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입상부에 배치된 수냉식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냉각되어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된다.
본 발명에서는 순환 풍로 중, 수조의 배면을 따라서 배치된 입상부에 수냉식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열교환기에 있어서 아래에서 위로 향해 흐르는 공기에 대해 위에서 산수하여 입상부(열교환기 내)를 흐르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수조의 배면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습을 위한 풍로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대체로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풍로의 수하부와 입상부는 수조의 배면을 따라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배치된 형태로 되어 있지만, 이들 수하부와 입상부는 하부가 접힘부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부가 수조의 상면에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 수하부와 입상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배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순환 풍로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풍로는 상부가 수조의 상면을 따라서 있고, 후부가 수조의 배면을 따르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풍로의 길이를 길게 하면서도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장치를 기외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열교환기 내의 린트 막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기의 열교환 성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열교환기의 용기의 형상 등에 관계없이 냉수와의 열교환 작용에서 효율적인 구성으로 하는 설계적 자유도가 높아지고,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건조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부 상자를 제외한 상태로 도시한 수조 및 순환 풍로 부분의 우측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2는 문을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세탁건조기 전체의 전방으로부의 사시도,
도 3은 순환 풍로의 상부 풍로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부 풍로 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도 4중 X1-X1선을 따르는 종단측면도,
도 6은 상부 풍로의 상부 덕트를 아래에서 본 상태의 저면도,
도 7은 린트 필터 유닛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덮개를 폐쇄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8의 (a)는 린트 필터 유닛의 정면도, (b)는 (a)중 X2-X2선을 따르는 종단측면도,
도 9는 필터 장치의 착탈 조작 순서 (a), (b), (c)를 나타내는 작용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세탁건조기의 본체부와 외부 상자의 관계를 설명하는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의 확대도, 및
도 12는 응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순환 풍로의 일부를 히트펌프 장치를 구비한 것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세탁건조기를 도시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 1~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전체의 외관을 도시한 도 2에서 드럼식 세탁건조기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부 상자(1)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저부에 대판(2)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 상자(1)의 전면부(1a)는 전방이 기울어진 경사 상태를 이루고 있고, 그 거의 중앙부에 원형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세탁물 출입구(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부(1a)에는 문(4)이 힌지(5)를 통해 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문(4)에 의해 세탁물 출입구(3)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전면부(1a)에서 세탁물 출입구(3)의 상방에 위치시켜 조작 패널(6)이 설치되고, 좌측 상부에 서랍식 세제 케이스(7)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상자(1) 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이 폐쇄된 거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수조(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조(8)는 축방향이 전후 방향의 횡축 상태이고, 또한 후방이 기울어진 약간 경사진 상태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으로 비교적 두껍게 형성한 접시 형상의 대판(2)상의 좌우에 설치된 한쌍의 탄성 지지 기구(9)를 통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부의 복수 부분을 코일 스프링으로 매달아 외부 상자(1) 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수조(8)의 전면의 개구부는 상기 세탁물 출입구(3)에 연통되어 있다. 수조(8)는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부의 상면(8a)에 취출구(10)를 구비하고, 또한 후부의 배면(8b)의 상부에 취입구(11)를 구비하고 있다.
수조(8) 내에는 회전 드럼(14)(도 2 참조)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드럼(14)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조(8)와 마찬가지로 후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이 축방향이 전후 방향의 횡축 상태이고, 또한 후방이 기울어진 약간 경사진 상태로 수조(8) 내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14)의 주벽부(周壁部)에는 통수 및 통풍이 가능한 구멍(15)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회전 드럼(14)의 주벽부의 내부에는 배플(16)이 복수(도 2에는 1개만을 도시함) 설치되어 있다. 회전 드럼(14)의 전면 개구부도 상기 세탁물 출입구(3)에 연통되어 있고, 회전 드럼(14)은 세탁물 출입구(3)로부터 투입되는 세탁물(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한다.
회전 드럼(14)은 수조(8)의 배면(8b)에 설치된 구동 수단으로서의 예를 들면 아우터로터형 DC 브러시리스 모터로 이루어진 모터(17)에 의해 다이렉트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드럼(14)은 세탁 시에는 세탁조로서, 탈수 시에는 탈수조로서, 또 건조 시에는 건조조로서 기능한다.
또한, 수조(8)의 최저 부위에는 내부 배수관이 접속되고, 도시하지 않지만 대판(2)에 고정된 배수 밸브를 거쳐 외부 배수관이 기외로 연통되어 있고, 또한 배수 밸브의 전단(상류측)에는 배수중에 실밥 등의 린트를 포획하기 위한 필터 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 필터 장치는 외부 상자(1)의 하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여 점검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조(8)의 외부에는 건조용 순환 풍로(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순환 풍로(20)는 외부 상자(1)로 덮여 있다. 이하, 이 순환 풍로(20)에 대해 설명한다.
순환 풍로(20)는 일 단부가 수조(8)의 상기 취출구(10)에 접속된 상부 풍로(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부 풍로(21)는 도 3~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덕트(22)와 이에 조립되는 하부 덕트(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상부 덕트(22)는 상하 양면이 개구된 직사각형 통형상의 필터 수용부(25), 상기 필터 수용부(25)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된 후연장부(26)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후연장부(26)의 하면도 개구되어 있다.
필터 수용부(25)의 전부에는 쟈바라 형상의 가요부(可撓部)(27)를 구비한 수지제 관체로 이루어진 가요성 덕트(28)가 접속되어 있다. 이 가요성 덕트(28)의 일 단부(28a)가 상기 취출구(10)에 접속되어 있다. 후연장부(26)의 외면, 이 경우 상면에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장착자리(29)가 2군데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후연장부(26)의 내면의 대향하는 좌우 양측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리브(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의 장착 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홈(31)은 상기 2개의 장착자리(29) 중 전부측(필터 수용부(25)측)의 장착자리(29)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필터 수용부(25)에는 후술하는 린트 필터 유닛(32)이 상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린트 필터 유닛(32)을 가요부(27)를 구비한 가요성 덕트(28)의 직후에 설치하는 것은 회전 드럼(14) 내에서 발생한 린트가 부착되는 부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이다.
상기 하부 덕트(23)는 상부 덕트(22)의 필터 수용부(25)의 하면 개구부 및 후연장부(26)의 하면 개구부를 덮도록 상부 덕트(22)의 하면에 조립된다. 이 하부 덕트(23)의 내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장착홈(31)과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시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리브(3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의 장착 홈(36)(도 3 및 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덕트(22)와 하부 덕트(23)의 사이에는 고정 린트 필터(37)를 설치하고 있다.
이 고정 린트 필터(37)는 통기성을 가진 그물 형상의 린트 필터를 유지하는 프레임부(38)를 구비하고, 이 프레임부(38)의 좌우 양측부를 볼록부로서 상기 상부 덕트(22))의 장착 홈(31)과 하부 덕트(23)의 장착 홈(36)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부 덕트(22)와 하부 덕트(23)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덕트(22)와 하부 덕트(23) 사이에 고정 린트 필터(37)를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하부 덕트(23)의 후부측 하면에는 하부 방향의 접속구(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풍로(21)는 가요성 덕트(28)의 일단부(28a)를 상기 취출구(10)에 접속한 상태로 수조(8)의 우측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수조(8)의 상면(8a)을 따라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덕트(23)의 내저면(23a)은 후방(접속구(39)측)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상부 풍로(21)는 앞에서 봐서 우측부가 상기 외부 상자(1)의 우측판에 지지되게 된다.
상기 접속구(39)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수하부(4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수하부(40)는 수조(8)의 후부에서 상기 수조(8)의 배면(8b)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하부(40)의 하단부(40a)는 접힘부(41)를 통해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입상부(42)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입상부(42)는 수냉식 열교환기(43)를 구비하고 있다. 입상부(42)의 통기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을 이루고, 수조(8)의 후부에서 상기 수조(8)의 배면(8b)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하부(40)의 하단부(40a)와 입상부(42)의 하단부 및 접힘부(41)는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열교환기(43)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보다 하부측에는 산수구(散水口)(43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산수구(43a)에 산수용 호스(43b)의 일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건조 공정에서 화살표(A)로 나타내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는 배기풍(온풍)을 물로 냉각하여 배기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결로하여 제습수로서 적하시킨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43)는 제습 기능을 갖고 제습하여 건조한 공기를 하류측인 상방으로 보내는 작용을 한다.
호스(43b)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급수 밸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급수 밸브로부터 호스(43b)를 통해 산수구(43a)로부터 열교환기(43) 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열교환기(43) 내에는 상기 열교환기(43) 내에서 말려 올라간 물이 그대로 후술하는 송풍기(44)의 팬으로 빨려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리브(43c)를 서로 다르게 이른바 러비린스 구조로 설치하고 있다. 입상부(42)의 하단부에는 배수구(4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수구(42a)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수용 호스의 일 단부가 접속되고, 이 호스의 타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배수 호스에 접속된다.
수조(8)의 상면(8a)에는 송풍 수단을 구성하는 송풍기(4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송풍기(44)의 팬케이싱(45)의 취입구에 상기 입상부(42)의 상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송풍기(44)는 팬케이싱(45) 내에 설치된 팬(도시하지 않음)을 팬 모터(46)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 팬 케이싱(45)의 장착부(45a)가 상기 상부 풍로(21)의 상기 장착자리(29)에 예를 들면 나사 고정에 의해 장착 고정되어 있다.
수조(8)의 상면(8a)에서 팬 케이싱(45)의 토출구에 히터 케이스(47)의 일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히터 케이스(47) 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가열 수단을 구성하는 시즈히터와 같은 전기 히터가 배치되어 있다.
히터 케이스(47)의 하류측인 타단부에는 수지제 관체로 이루어진 가요성 덕트(48)의 일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가요성 덕트(48)는 쟈바라 형상의 가요부(48a)를 구비하고 있다. 가요성 덕트(48)는 타단부를 아래로 향하게 하고, 거의 L자형을 이루고 있다.
가요성 덕트(48)의 타단부는 수조(8)의 배면(8b)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후부 풍로(49)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후부 풍로(49)가 수조(8)의 상기 취입구(11)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취출구(10)에 가요성 덕트(38)를 통해 접속된 상부 풍로(21), 수하부(40), 접힘부(41), 열교환기(43)를 구비한 입상부(42), 송풍기(44)의 팬케이싱(45), 히터 케이스(47), 가요성 덕트(48) 및 취입구(11)에 연통된 후부 풍로(49)에 의해 상기 순환 풍로(20)를 구성하고 있다.
이 순환 풍로(20)는 취출구(10)에 접속된 상부 풍로(21)가 수조(8)의 상면(8a)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수조(8)의 후부 부근에서 수하부(40)가 수조(8)의 배면(8b)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의 접힘부(41)로부터 입상부(42)(열교환기(43))가 상방으로 방향을 바꿔 수조(8)의 배면(8b)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수조(8)의 상면(8a)으로 복귀하여 팬케이싱(45), 히터 케이스(47), 가요성 덕트(48) 및 후부 풍로(49)를 통해 취입구(11)에 접속하도록 배관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린트 필터 유닛(32)에 대해 설명한다. 이 린트 필터 유닛(3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촘촘한 코의 메쉬 형상의 린트 필터(51)를 용착 등에 의해 프레임부(51a)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필터 케이스(52), 상기 필터 케이스(52)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부(53) 및 필터 케이스(52)의 상부에 고정 상태로 설치된 커버(5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린트 필터 유닛(32)을 필터 수용부(25)에 수용함으로써 필터 장치가 구성된다.
이 중 필터 케이스(52)는 전면이 개구된 거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과 후면에 상당하는 부위에 린트 필터(51)가 배치되어 있다. 린트 필터(51)는 통기성을 가진 그물 형상을 이루고 있고, 거의 L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필터 케이스(52)의 내측의 외각을 형성하는 프레임부는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진 사면 형상을 이루고, 따라서 필터 케이스(52)의 외관 형상으로서 린트 필터(51)를 구비한 내측의 배면에는 경사면을 가진 사면 형상을 이루고있다.
이 때문에 특히 도 5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린트 필터 유닛(32)이 용기 형상 케이스(25)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린트 필터(51)는 용기 형상 케이스(25)의 통기 경로와 통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특히 배면이 경사져 있어 용기 형상 케이스(25)의 측벽 사이에 유효한 틈이 형성된다.
덮개부(53)는 복수개의 리브(55)에 의해 간막이된 복수의 개구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부(53)는 하단부가 좌우 양측의 축부(57)를 통해 필터 케이스(52)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 케이스(52)와 덮개부(53)에 형성된 걸어 맞춤 돌출부(52a)와 걸어맞춤 부재(53a)가 탄성적으로 계탈(係脫)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지지되고, 폐쇄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커버(54)는 필터 케이스(52) 보다도 큰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거의 중앙부에 손걸이용 개구부(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구부(58)에는 부세 수단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폐쇄판(59)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외부 상자(1)의 천정부(1b)에는 상기 커버(54)의 외형에 대응한 개구부(60)(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린트 필터 유닛(32)은 그 개구부(60)를 통해 상기 상부 풍로(21)의 필터 수용부(25)에 대해 외부 상자(1)의 상방으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에서 회전 드럼(14) 내에 수용된 세탁물(도시하지 않음)을 건조시킬 경우에는 모터(17)에 의해 회전 드럼(14)을 정역 양방향으로 저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송풍기(44)를 구동하고, 또한 히터 케이스(47) 내의 전기 히터를 발열시키고, 또한 급수 밸브로부터 호스(43b)를 통해 열교환기(43)의 산수구(43a)에 물을 공급하여 열교환기(43) 내에 산수한다.
이 중, 송풍기(44)의 팬의 송풍 작용에 의해 순환 풍로(20) 내의 공기가 취입구(11)로부터 수조(8) 내 및 회전 드럼(14) 내로 취입되고, 또한 회전 드럼(14) 내 및 수조(8) 내의 공기가 수조(8)의 취출구(10)로부터 순환 풍로(20)측으로 취출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수조(8) 내(회전 드럼(14) 내)의 공기가 순환 풍로(20)를 통해 순환된다(도 1의 화살표(A) 참조).
이 때의 바람의 흐름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순환 풍로(20) 내의 공기는 히터 케이스(47) 내의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고, 그 가열된 공기(온풍)가 가요성 덕트(48) 및 후부 풍로(49)를 통해 취입구(11)로부터 수조(8) 내 및 회전 드럼(14) 내로 공급된다.
회전 드럼(14) 내에 공급된 온풍은 회전 드럼(14) 내의 세탁물을 가열하고, 또한 그 세탁물의 습기를 빼앗는다. 습기를 빼앗은 온풍은 전부의 취출구(10)로부터 순환 풍로(20)로 나가 가요성 덕트(28) 및 상부 풍로(21)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흐른다.
이 상부 풍로(21)를 흐르는 공기에 린트가 포함되어 있으면 그 린트는 대부분이 린트 필터(51)에 의해 포획되고, 그곳을 통과한 린트도 고정 린트 필터(37)로 포획된다.
상부 풍로(21)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흐른 온풍은 수하부(40)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흐른 후, 하단부의 접힘부(41)에서 상방으로 방향을 바꿔 입상부(42)의 열교환기(43) 내를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흐른다. 이 때 산수구(43a)로부터 열교환기(43) 내에 물이 산수되고, 이 물에 의해 온풍이 냉각되어 제습된다. 또한, 열교환기(43) 내에 산수된 물 및 제습된 물은 배수구(42a)로부터 호스를 통해 기외로 배출된다.
열교환기(43) 내의 공기는 복수의 리브(43b)에 방해가 됨으로써 사행하면서 상승하고, 송풍기(44)의 팬케이싱(45) 내에 흡입된 후, 히터 케이스(47)측으로 토출되고, 그곳에서 다시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가요성 덕트(48), 후부 풍로(49)를 통과하고, 취입구(11)로부터 수조(8) 내 및 회전 드럼(14) 내로 복귀되도록 흐른다. 이와 같이 공기가 순환되어 회전 드럼(14) 내의 세탁물이 건조된다.
한편, 린트 필터 유닛(32)의 린트 필터(51)를 점검 또는 청소할 경우에는 우선 사용자는 외부 상자(1)의 외부로부터 린트 필터 유닛(32)의 커버(54)의 폐쇄판(59)을 손가락으로 눌러 회동시키고, 그 손가락을 개구부(58)에 삽입하여 상기 개구부(58)의 테두리부에 손가락을 건다.
그리고, 커버(54)마다 린트 필터 유닛(32)을 들어올려 필터 수용부(25) 및 외부 상자(1)의 개구부(60)로부터 꺼낸다. 그 후, 린트 필터 유닛(32)의 덮개부(53)를 개방하여 린트 필터(51)의 점검, 청소를 실시한다.
점검, 청소의 종료 후, 덮개부(53)를 폐쇄하고, 사용자는 커버(54)의 폐쇄판(59)을 손가락으로 눌러 회동시키고, 그 손락을 개구부(58)에 삽입하여 상기 개구부(58)의 테두리부에 손가락을 걸은 상태로 린트 필터 유닛(32)을 손으로 든다.
그리고, 외부 상자(1)의 외부로부터 그 린트 필터 유닛(32)의 필터 케이스(52) 부분을 외부 상자(1)의 개구부(60)를 통과하게 하고, 외부 상자(1) 내의 필터 수용부(25) 내에 삽입하여 린트 필터 유닛(32)을 필터 수용부(25)에 장착한다. 이 때, 외부 상자(1)의 개구부(60)는 커버(54)로 폐쇄된다.
계속해서 필터 장치의 린트 필터(51)를 외부로 꺼내는 경우의 조작 순서에 대해 특히 도 9의 작용 설명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9의 (a)에서는 린트 필터 유닛(32)을 외부 상자(1)의 천정부(1b)로부터 바로 위 방향(화살표(C)로 나타냄)으로 약간(전체 높이의 1/3 정도)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판(59)을 화살표(B) 방향으로 눌러 손걸이용 개구부(58)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그 개구 테두리의 전부(前部)에 손가락을 걸어 상방으로 잡아 당겨 바로 위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인출한 필터 케이스(52)의 배면의 경사면의 시점이 필터 수용부(25)의 상단 개구부 부근(또는 천정부의 개구부 부근)에 도달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린트 필터 유닛(32)을 상방으로 올리면서 바로 앞측으로 회동하여 인출하도록 한다(화살표(D) 방향).
이 바로 앞측으로 인출하는 조작은 그대로 바로 위로 올리는 조작에 비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즉 사용자가 천정부(1b)의 높은 곳에서 더 상방으로 올리는 조작은 점점 곤란해지는 것에 대해 린트 필터 유닛(32)의 배면의 경사면을 이용하여 바로 앞측으로 회동하도록 인출하는 조작은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9의 (c)는 린트 필터 유닛(32)을 바로 앞 상방으로 인출하고(화살표(E) 방향), 외부 상자(1)로부터 완전히 취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세탁건조기로부터 취출한 상태의 린트 필터 유닛(32)(예를 들면, 도 7의 (a) 참조)을 소정 장소로 옮기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53)를 개방하고, 필터 케이스(52) 내에 포획된 린트를 제거하여 린트 필터(51)를 청소한다.
또한, 청소를 마친 린트 필터 유닛(32)을 세탁건조기의 원 위치에 장착할 경우에는 상기 취출 조작 순서와 역 순서로 실시하여 상부 풍로(21)의 소정 위치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된다. 도 9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린트 필터 유닛(32) 바로 앞 상방으로 회동하여 인출하지 않고, 도 9의 (a)에 도시한 조작에 계속하여 그대로 바로 위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1에 도시한 세탁건조기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수납하는 외부 상자(1)의 장착 고정 수단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린트 필터 수용부(25), 순환 풍로(2)의 상부 덕트(22)와 수하부(40), 입상부(42), 열교환기(43), 송풍기(44) 및 히터 케이스(47)의 각 부재는 본체부의 외각을 형성하는 외부 상자(1)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25)는 후크 부재(251)에 의한 걸어맞춤과 나사(252)에 의해 외부 상자(1)의 천정부(1b)에 설치된 보강 프레임(253)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253)은 외부 상자(1)의 양측판(1c)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 가설(架設)되어 있고, 외부 상자(1)를 보강하는 데에 충분한 강도에 의해 필터 수용부(25)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하부(40)의 상부 개구는 상기 하부 덕트(23)의 접속구(39)에 끼워맞춰 나사로 고착하여 상부 풍로(21)에 결합되어 있고, 상부 덕트(22)에 설치된 고정 보스(231)를 측판(1c)의 상부 테두리부에 전후 방향에 걸쳐 형성한 고리의 내면에 걸어 맞춰 나사(232)로 고정하여 외부 상자(1)측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44)는 상기 필터 수용부(25)의 상부 덕트(22) 상면에 설치된 고정 보스(221)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 송풍기(44)에 팬 케이싱(45)을 일 부품으로서 일체화시킨 히터 케이스(47)를 본체의 배면 개구에서 상기 외부 상자(1)의 배판(背板)(1d)의 상부에서 양측판(1c) 사이에 가설하여 외부 상자(1)를 보강하는 보강판(220)에 나사(254)로 고착하고 있다.
상기에 의해 상기 필터 수납부(25), 수하부(40), 입상부(42) 및 팬케이싱(45)과 히터 케이스(47)의 각 부재로 구성되는 순환 풍로(20)는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상태로 그 전방부를 보강 프레임(253)에 고정하고, 후부는 보강판(220)에 또 측부는 측판(1C)의 고리부에 고정하도록 하여 외부 상자(1)측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수조(8) 자체는 그 중량이 가벼워지므로 진동이 저감되고, 또한 이제까지 중량물이었던 순환 풍로(20)를 형성하는 대부분의 부재를 수조(8)가 아니라 강성이 큰 외부 상자(1)에 고정했으므로 수조(8)의 편심 하중도 감소하고, 상기 탄성 지지 기구로의 부하가 경감하여 충분한 제진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세탁건조기 본체의 저진동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 풍로(20)와 탄성 지지 기구(9) 및 상부 복수 부분에 설치된 매달림용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수조(8)는 각각 쟈바라부를 구비한 가요성 덕트(48, 28)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유연성에 의해 세탁 시나 탈수 시의 수조(8)로부터의 진동이 순환 풍로(20)에 전도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8)의 취출구(10)에 연결되어 있는 가요성 덕트(28)와 필터 수납부(25)의 접속이나 취입구(11)에 연결되어 있는 가요성 덕트(48)와 히터 케이스(47)의 끼워맞춤 접합 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케이싱(47) 및 상부 풍로(21)는 수조(8)의 상면측에서 세탁건조기 본체부의 전후 방향에 걸쳐 설치되고, 외부 상자(1)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부 상자(1)의 전후 방향의 강성이 향상되고, 세탁건조기로서의 비틀림 강도가 높아져 세탁물의 기울어짐에 의한 진동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순환 풍로(20) 중 수조(8)의 배면(8b)을 따라서 배치된 입상부(42)에 수냉식 열교환기(43)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열교환기(43)에서 아래에서 위로 향해 흐르는 공기에 대해 위에서 산수하여 열교환기(43) 내를 흐르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43)는 수조(8)의 배면(8b)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습을 위한 풍로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고, 대체로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풍로(20)의 수하부(40)와 입상부(42)는 수조(8)의 배면(8b)을 따라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배치된 형태로 되어 있지만, 이들 수하부(40)와 입상부(42)는 하부가 접힘부(41)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부가 수조(8)의 상면(8a)에서 팬케이싱(45) 및 장착자리(29)를 통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들 수하부(40)와 입상부(42)의 강성을 올릴 수 있어 배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순환 풍로(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 풍로(20)는 상부가 수조(8)의 상면(8a)을 따르고, 후부가 수조(8)의 배면(8b)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풍로의 길이를 길게 하면서도 콤팩트하고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순환 풍로(20)의 상부 풍로(21)의 내저면을 구성하는 하부 덕트(23)의 내저면(23a)은 후방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으므로 상부 풍로(21)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상부 풍로(21) 내에서 결로했다고 해도 그 결로수는 하부 덕트(23)의 내저면(23a)을 따라서 후방으로 흐르고, 접속구(39), 수하부(40)를 통해 접힘부(41)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접힘부(41)의 최하단에 접속된 배출구(42a)로부터 외부로 배수 처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부 풍로(21) 내에서 결로했다고 해도 그 물이 회전 드럼(14)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로수로 회전 드럼(14) 내의 세탁물을 젖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린트 필터 유닛(32)과 필터 수용부(25)에 의해 구성된 필터 장치를 수냉식 열교환기(43)의 상류측에 배치했으므로 열교환기(43)의 용기 형상의 내부에 린트가 침입하여 막히는 문제점은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산수구(43a)로부터의 주수량을 냉각 작용에 필요로 하는 적정한 수량으로 할 수 있고, 또는 열교환 작용에 효율적인 열교환기 형상 등의 설계적 자유도가 높아지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상기한 종래 구성에서는 배수풍이 열교환기로 유입될 때, 그 풍압이 높을 때 순간적으로 냉수를 말아올려 상방에 위치하는 송풍기에 물보라가 비산될 우려가 있었다. 이는 드럼 내에서의 의류를 교반 동작에 따라 파동적인 압력의 변동이 생기고, 그 중 높은 풍압이 열교환기에 가해질 때, 그 순간적인 풍압이 상기와 같이 냉수를 말아올린만큼의 세기를 가진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파동적인 배기풍이 발생해도 열교환기(43) 내에서 복수의 리브(43c)가 그 세기를 완화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필터 장치의 저항에 의해 냉각수의 물보라가 상방으로 말아올려지지 않고, 송풍기(44)에 비산된 물이 가해지는 문제점은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장치는 필터 케이스(52) 내에 메쉬 형상의 린트 필터(5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52)의 내측의 배면은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진 사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특히 도 9에 기초하여 린트 필터 유닛(32)을 취출하는 경우의 조작 순선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즉 상방 일직선에 린트 필터 유닛(32)을 인출하는 것에 비해 그 도중에 바로 앞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인출할 수 있고, 천정부(1b) 상방에서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린트 필터 유닛(32)을 원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장착하는 경우)의 조작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린트 필터 유닛(32)을 취출하는 경우에 상기 기울어진 상태로 취급해도 린트 필터(51)는 필터 케이스(52)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포획한 린트나 먼지 등이 필터 케이스(52)외에 흘러 떨어지지 않아 조작성을 더 좋게 하고 있다.
또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필터 케이스(52)와 덮개부(53)로 구성된 필터 케이스(52)측에 린트 필터(51)를 설치하고, 또한 덮개부(53)측이 순환 풍로(20)의 상류측에 위치하며, 필터 케이스(52)측이 순환 풍로(2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치 구성으로 했으므로 대부분의 린트를 필터 케이스(52) 내에 포획 축적할 수 있고, 또한 린트의 청소 시에 덮개부(53)를 개방할 때, 린트나 먼지 등이 흘러 떨어지지 않아 주변을 더럽히지 않고 사용하기 좋게 하고 있다.
또한, 상부 풍로(21)는 상부 덕트(22)와 이에 조립되는 하부 덕트(23)를 구비하고, 린트 포획용 고정 린트 필터(37)를 상부 덕트(22)와 하부 덕트(23) 사이에 또 연결용 장착자리(29) 근방에 위치시켜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의해 상부 풍로(21)의 장착자리(29) 부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고정 린트 필터(37)를 나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장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린트 필터(37)는 상부 풍로(21)의 필터 수용부(25)의 하류측 근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만약에 필터 수용부(25)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물질이 필터 수용부(25) 내에 떨어졌다고 해도 그 이물질은 고정 린트 필터(37)에서 정지된다.
이 때문에 필터 수용부(25)의 상면 개구부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그 이물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고, 또한 이물질이 고정 린트 필터(37)보다 먼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수용부(25)의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그 개구부로부터 필터 수용부(25) 내로 물이 침입해도 그 물은 하부 덕트(23)의 내저면(23a)을 따라서 후방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린트 필터(37)를 고정하는 구조로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덕트(22)와 하부 덕트(23) 사이의 내면측에 각각 2개의 리브(30, 35)에 의해 오목 형상의 장착 홈(31, 35)을 형성하고, 고정 린트 필터(37)의 프레임부(38)의 좌우 양 측부를 볼록부로 하여 상기 장착 홈(31, 35)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로 해도 좋다.
즉, 상부 덕트(22) 및 하부 덕트(23)의 좌우 양측의 내면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씩의 리브를 설치하고, 고정 린트 필터(37)의 프레임부(38)의 좌우 양측에 2개의 리브에 의해 오목 형상의 장착 홈을 설치하며, 고정 린트 필터(37)의 오목 형상의 장착 홈을 상부 덕트(22) 및 하부 덕트(23)의 1개의 리브에 대해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필터 수납부(25), 수하부(40), 입상부(42) 및 팬케이싱(45)과 히터 케이스(47)의 각 부재로 구성되는 순환 풍로(20)는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상태로 그 전방부를 보강 프레임(253)에 고정하고, 후부는 보강판(220)에 또 측부는 측판(1c)의 고리부에 고정하도록 하여 외부 상자(1)측에 유지하고 있으므로 수조(8) 자체는 그 중량이 가벼워져 진동이 저감된다.
따라서 이제까지 중량물인 순환 풍로(20)를 형성하는 대부분의 부재를 수조(8)가 아니라 강성이 큰 외부 상자(1)에 고정했기 때문에 수조(8)의 편심 하중도 감소하고, 상기 탄성 지지 기구로의 부하가 경감하여 충분한 제진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세탁건조기의 저진동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 풍로(20)와 탄성 지지 기구(9) 및 상부의 복수 부분에 설치된 매달림용 코일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수조(8)는 각각 쟈바라부를 가진 가요성 덕트(48, 28)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유연성에 의해 세탁 시나 탈수 시의 수조(8)로부터의 진동이 순환 풍로(20)에 전도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8)의 취출구(10)에 연결되어 있는 가요성 덕트(28)와 필터 수납부(25)의 접속이나 취입구(11)에 연결되어 있는 가요성 덕트(48)와 히터 케이스(47)의 끼워맞춤 접합 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해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케이싱(47) 및 상부 풍로(21)는 수조(8)의 상면측에서 세탁건조기 본체부의 전후 방향에 걸쳐 설치되고, 외부 상자(1) 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외부 상자(1)의 전후 방향의 강성이 향상되고, 세탁건조기로서의 비틀림 강도가 높아지고 세탁물의 기울어짐에 의한 진동도 억제할 수 있다.
(응용예)
도 12는 응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응용예는 상기 실시형태와는 특히 순환 경로의 구성과 건조 수단이 다르다. 건조 수단으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수냉식 열교환기(42)와 전기 히터를 대신하여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히트 펌프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수조(8)의 외부에 설치된 순환 풍로(65) 중 가요성 덕트(28), 상부 풍로(21) 및 수하부(40)는 상기 실시형태의 순환 풍로(20)와 동일한 부품을 이용하여 공통화되어 있다. 그리고, 수하부(40)의 하단부(40a)는 연결 풍로(66)를 통해 히트 펌프용 케이스(67)의 입구(67a)에 접속되어 있다. 히트 펌프용 케이스(67)는 대판(2)상에 설치되어 있다.
히트펌프 장치는 상세하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방열시켜 액화하는 응축기,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를 냉각하는 증발기를 냉매관에 의해 접속하여 구성한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주지 구성의 것이다.
히트 펌프 장치의 상기 증발기와 상기 응축기를 상기 히트펌프용 케이스(67) 내에 설치하고, 상기 압축기는 대판(2)상에 설치되어 있다. 히트펌프용 케이스(67)의 출구는 대판(2)상에 설치된 송풍기(68)의 팬케이싱(69)의 취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팬케이싱(69)의 토출구(69a)는 위로 향해져 있고, 이 토출구(69a)는 쟈바라형상의 가요부(70a)를 구비한 가요성 덕트(70)를 통해 후부 풍로(71)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후부 풍로(71)는 수조(8)의 배면(8b)에 모터(17)를 피하도록 만곡하여 배치되고, 그 상부가 수조(8)의 취입구(11)에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가요성 덕트(28), 상부 풍로(21), 수하부(40), 연결 풍로(66), 히트펌프용 케이스(67), 팬케이싱(69), 가요성 덕트(70) 및 후부 풍로(71)에 의해 수조(8) 내 및 회전 드럼(14)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65)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 송풍기(68)가 구동되면 히트 펌프용 케이스(67)의 응축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도 12의 화살표(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케이싱(69)의 토출구(69a)로부터 가요성 덕트(70), 후부 풍로(71)를 통해 취입구(11)로부터 수조(8) 내 및 회전 드럼(14) 내로 공급된다.
회전 드럼(14) 내로 공급된 온풍은 세탁물을 가열하고, 또한 세탁물의 습기를 빼앗아 취출구(10)로부터 순환 풍로(20)측으로 취출된다. 취출구(10)로부터 순환 풍로(20)측으로 취출된 공기는 상부 풍로(21)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흐르고, 수하부(40)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흐르게 한 후, 히트펌프용 케이스(67) 내에 들어간다.
히트펌프용 케이스(67) 내에 들어간 공기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어 제습된 후, 응축기에 의해 다시 가열되게 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이 건조된다.
상기한 응용예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와는 건조 수단이 다르지만, 순환 풍로(65) 중 가요성 덕트(28), 상부 풍로(21) 및 수하부(40)를 상기 실시형태와 공통해서 사용할 수 있고,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 외부 상자 1b : 천정부
1c : 측판 1d : 배판
3 : 세탁물 출입구 8 : 수조
8a : 상면 8b : 배면
10 : 취출구 11 : 취입구
14 : 회전 드럼 15 : 구멍
17 : 모터(구동 수단) 20 : 순환 풍로
21 : 상부 풍로 22 : 상부 덕트
23 : 하부 덕트 23a : 내저면
25 : 필터 수용부 29 : 장착자리(연결부)
31 : 장착 홈 32 : 린트 필터 유닛
36 : 장착 홈 37 : 고정 린트 필터(린트 필터)
40 : 수하부 41 : 접힘부
42 : 입상부 43 : 열교환기
44 : 송풍기(송풍 수단) 47 : 히터 케이스
51 : 린트 필터 52 : 필터 케이스
53 : 덮개부 54 : 커버 65 : 순환 풍로
67 : 히트펌프용 케이스 220 : 보강판 253 : 보강 프레임

Claims (8)

  1. 외부 상자,
    상기 외부 상자 내에 설치되어 전부의 상방부에 취출구를 구비하고, 또한 후부에 취입구를 구비한 수조,
    통수 및 통기가 가능한 구멍을 구비하고, 축방향이 전후 방향의 횡축 상태로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드럼,
    상기 외부 상자 내에 있고 일단부가 상기 취출구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취출구에 접속되어 상기 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외부 상자 사이에 설치된 순환 풍로,
    상기 수조 내의 공기를 상기 취출구로부터 상기 순환 풍로측으로 취출하고, 또한 상기 순환 풍로 내의 공기를 상기 취입구로부터 상기 수조 내로 취입함으로써 상기 수조 내의 공기를 상기 순환 풍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송풍 수단, 및
    상기 순환 풍로 중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 풍로를 흐르는 공기에 포함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풍로는 상기 취출구로부터 상기 수조의 상면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게 하여 연장된 후, 상기 수조의 후부 부근에서 상기 수조의 배면을 따르도록 하방으로 방향을 바꿔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부의 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방향을 바꿔 상기 수조의 배면을 따르도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조의 상면으로 복귀한 후, 상기 취입구에 접속하도록 배관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순환 풍로 중 상기 접힘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순환 풍로에서 상기 수조의 상면을 따르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접힘부로 향하는 수하부와 상기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상기 입상부는 하부가 상기 접힘부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부가 상기 수조의 상면에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풍로에서 상기 수조의 전부 상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풍로의 내저면은 후방을 향해 하강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풍로에서 상기 수조의 전부 상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풍로는 외면에 상기 연결부를 구비한 상부 덕트와, 이에 조립되는 하부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덕트와 하부 덕트 사이에 또한 상기 연결부의 근방에 위치시켜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제 1 린트 필터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풍로중에 상기 순환 풍로를 순환하는 공기중에서 실밥 등을 포획하는 필터 수납부 내에 착탈 가능한 필터 유닛을 구비하여 구성한 필터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순환 풍로의 상기 수조 상방을 경유하는 부위에 설치하고, 상기 외부 상자 외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필터 장치를 상기 열교환기의 상류측의 상기 수조와 상기 외부 상자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필터 케이스 내에 그물 형상의 제 2 린트 필터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측의 배면은 하부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지는 사면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린트 필터를 수납하는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와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린트 필터는 상기 필터 케이스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부측이 상기 순환 풍로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측이 상기 순환 풍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의 하류측에 상기 송풍 수단으로부터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에서 제습되어 상기 가열 장치에서 생성한 온풍을 상기 수조 내에 배치한 드럼 내에 도입하도록 하고,
    상기 열교환기, 송풍 수단 및 가열 장치를 상기 외부 상자측에 장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취출구측에 접속한 쟈바라부를 가진 가요성 덕트를 상기 수조 측에 형성한 취출구에 접속하고, 또한 취입구측에 접속한 쟈바라부를 가진 가요성 덕트를 상기 수조측에 형성한 취입구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장치를 상기 수조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상자측에 고정하고, 또한 상기 송풍 수단과 상기 가열 장치의 케이싱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KR1020100013343A 2009-02-17 2010-02-12 세탁건조기 KR1011714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33934 2009-02-17
JP2009033934A JP4929298B2 (ja) 2009-02-17 2009-02-17 洗濯乾燥機
JP2009039301A JP5106443B2 (ja) 2009-02-23 2009-02-23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JP-P-2009-039301 2009-02-23
JPJP-P-2009-074053 2009-03-25
JP2009074053A JP4922330B2 (ja) 2009-03-25 2009-03-25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72A true KR20100094372A (ko) 2010-08-26
KR101171486B1 KR101171486B1 (ko) 2012-08-07

Family

ID=4260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343A KR101171486B1 (ko) 2009-02-17 2010-02-12 세탁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1486B1 (ko)
CN (1) CN10180597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8583A4 (en) * 2013-01-25 2016-09-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CN109385861A (zh) * 2017-08-11 2019-02-26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洗干一体机
CN112342727A (zh) * 2019-08-07 2021-02-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EP4206375A1 (en) * 2021-12-28 2023-07-0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er accessible lint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9483B2 (ja) * 2011-03-03 2015-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去装置及び乾燥装置
JP5756389B2 (ja) * 2011-10-21 2015-07-2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L2843123T3 (pl) * 2013-08-30 2022-10-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rządzenie do suszenia prania z pomocniczym filtrem kłaczków
CN110670298B (zh) * 2018-07-02 2022-06-28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洗衣机
EP3887592B1 (en) 2018-11-28 2023-07-12 Arç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dryer with a water-cooled condenser
JP2022098680A (ja) * 2020-12-22 2022-07-0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洗濯乾燥機
CN113089273B (zh) * 2021-03-01 2022-09-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3114B2 (ja) * 2004-11-09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190042A (ja) * 2006-01-17 2007-08-02 Sanyo Electric Co Ltd 乾燥装置
JP2007117761A (ja) * 2006-12-28 2007-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の給水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8583A4 (en) * 2013-01-25 2016-09-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EP4310242A3 (en) * 2013-01-25 2024-02-2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9385861A (zh) * 2017-08-11 2019-02-26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洗干一体机
CN112342727A (zh) * 2019-08-07 2021-02-0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12342727B (zh) * 2019-08-07 2024-04-09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EP4206375A1 (en) * 2021-12-28 2023-07-0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er accessible lint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486B1 (ko) 2012-08-07
CN101805974B (zh) 2012-03-21
CN101805974A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486B1 (ko) 세탁건조기
KR100735964B1 (ko) 건조 장치
JP5897390B2 (ja) 洗濯乾燥機
TWI316574B (ko)
JP5756389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6037500B2 (ja) 洗濯乾燥機
JP3920302B1 (ja) 衣類乾燥装置
JP628219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135958A (ja) 衣類乾燥装置
KR20060036267A (ko) 의류건조기
JP6353005B2 (ja) 洗濯乾燥機
JP4270215B2 (ja) 洗濯乾燥機
JP5010626B2 (ja) 洗濯乾燥機
EP1584732A1 (en) Clothes dryer
JP4728834B2 (ja) 洗濯乾燥機
JP2014033841A (ja) 衣類乾燥機
JP4996636B2 (ja) 洗濯乾燥機
JP5010136B2 (ja) 洗濯乾燥機及びその組立方法
WO2014024346A1 (ja) 洗濯乾燥機
JP4286847B2 (ja) 洗濯乾燥機
KR101094548B1 (ko) 건조기의 필터 구조
JP4929298B2 (ja) 洗濯乾燥機
JP6043956B2 (ja) 洗濯乾燥機
JP2015054109A (ja) 衣類乾燥機
JP2008301941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