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072A - 선박의 쇄빙 선수부 - Google Patents

선박의 쇄빙 선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072A
KR20100094072A KR1020090013312A KR20090013312A KR20100094072A KR 20100094072 A KR20100094072 A KR 20100094072A KR 1020090013312 A KR1020090013312 A KR 1020090013312A KR 20090013312 A KR20090013312 A KR 20090013312A KR 20100094072 A KR20100094072 A KR 20100094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bow
bow end
angle
icebre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854B1 (ko
Inventor
김성표
최영복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8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쇄빙 능력을 증가시키면서도 선박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의 쇄빙 선수부가 개시된다.
극지방을 운항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로서,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 주위의 선수 단부가, 상기 선수 단부의 중심에 상기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가 제공된다.
선수 단부, 오목부, 볼록부

Description

선박의 쇄빙 선수부 {ICE BREAKING BOW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쇄빙 선수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극지방을 운항하는 선박의 개선된 쇄빙 선수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지방을 주로 운항하는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는 쇄빙 기능을 갖는다. 쇄빙 기능을 갖는 선수부는, 선박이 일정한 두께의 빙판이 존재하는 구간을 지나갈 때 빙판을 수직 전단력에 의해 쇄빙하도록, 계획만재 흘수선 주위의 선수 단부가 경사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지 운항용 선박(1)의 계획만재 흘수선(D.L.W.L.)이 선수 단부(2)를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선수 단부(2)가 계획만재 흘수선과 이루는 각도를 선수 단부 경사각(α)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러한 선수 단부 경사각을 작게 하면 선수 단부에 의한 수직 전단력이 증가하여 쇄빙 능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선수 단부 경사각을 너무 작게하면, 선박의 운동에 따른 슬래 밍(slamming) 현상이 발생하고, 일반 항해시 저항 증가에 따른 속도 저하가 발생하는 등 선박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선수 단부 경사각은 일반적으로 15°내지 25°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극지 운항용 선박(1)의 선수 단부 경사각(α)이 21°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쇄빙 능력을 증가시키면서도 선박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의 쇄빙 선수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극지방을 운항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로서,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 주위의 선수 단부가, 상기 선수 단부의 중심에 상기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가 제공된다.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이 상기 오목부를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과 이루는 각도는 제1 선수 단부 경사각이고,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이 상기 볼록부를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과 이루는 각도는 제2 선수 단부 경사각이다.
상기 제2 선수 단부 경사각은 상기 제1 선수 단부 경사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선수 단부 경사각은 15° 내지 25°이고, 상기 제2 선수 단부 경사각은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의 쇄빙 선수부에 의하면, 선수 단부를 그 중심의 오목부와 그 양측의 볼록부로 형성하여 오목부의 선수 단부 경사각을 선박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로 형성함과 동시에 선수 단부의 양측의 2개의 볼록부의 선수 단부 경사각을 오목부의 선수 단부 경사각보다 작게 함으로써, 선수 단부에 의한 쇄빙능력을 증가시키면서도 선박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용 선박(10)의 선수부는 계획만재 흘수선(D.L.W.L.) 주위의 선수 단부가 오목부(11)와 볼록부(13)로 이루어져 있다.
오목부(11)는 선수 단부의 중심에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3)는 오목부(11)의 양측에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선박(10)의 계획만재 흘수선(D.L.W.L.)이 오목부(11)를 가로지르 는 지점에서 오목부(11)가 선박(10)의 계획만재 흘수선(D.L.W.L.)과 이루는 각도는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이고, 선박(10)의 계획만재 흘수선(D.L.W.L.)이 볼록부(13)를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볼록부(13)가 선박(10)의 계획만재 흘수선(D.L.W.L.)과 이루는 각도는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2)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선수 단부 경사각(α2)은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보다 작다.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은 15° 내지 25°이고, 제2 선수 단부 경사각(α2)은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이 15°보다 작게 되면, 선수 단부에 의한 수직 전단력이 증가하여 쇄빙 능력은 증가하지만 선박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고,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이 25°보다 크게 되면, 선박 고유의 기능은 유지되지만 선수 단부에 의한 수직 전단력이 감소하여 쇄빙 능력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선수 단부 경사각(α2)이 10°보다 작게 되면, 선수 단부에 의한 수직 전단력이 증가하여 쇄빙 능력은 증가하지만 선박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고, 제2 선수 단부 경사각(α2)이 20°보다 크게 되면, 선박 고유의 기능은 유지되지만 선수 단부에 의한 수직 전단력이 감소하여 쇄빙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이 21°이고, 제2 선수 단부 경사각(α2)이 14°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의하면, 선수 단부의 양측의 2개의 볼록부(13)에서 빙판을 분쇄하고, 선수 단부의 중심의 오목부(11)에서는 분쇄된 빙판을 선수 단부의 후방으로 배출시킨다.
선수 단부 경사각을 작게 하면 선수 단부에 의한 수직 전단력이 증가하여 쇄빙 능력이 증가하지만, 선수 단부 경사각을 너무 작게하면 선박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수 단부의 중심의 오목부(11)의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을 선박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인 15°내지 25°의 범위로 형성함과 동시에 선수 단부의 양측의 2개의 볼록부(13)의 선수 단부 경사각(α2)을 오목부(11)의 제1 선수 단부 경사각(α1)보다 작게 함으로써, 선수 단부에 의한 쇄빙능력을 증가시키면서도 선박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극지 운항용 선박의 선수부의 일부 측면도이다.

Claims (4)

  1. 극지방을 운항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로서,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 주위의 선수 단부가,
    상기 선수 단부의 중심에 상기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상기 선수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이 상기 오목부를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상기 오목부가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과 이루는 각도는 제1 선수 단부 경사각이고,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이 상기 볼록부를 가로지르는 지점에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선박의 계획만재 흘수선과 이루는 각도는 제2 선수 단부 경사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선수 단부 경사각은 상기 제1 선수 단부 경사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수 단부 경사각은 15° 내지 25°이고,
    상기 제2 선수 단부 경사각은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쇄빙 선수부.
KR1020090013312A 2009-02-18 2009-02-18 선박의 쇄빙 선수부 KR10156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12A KR101567854B1 (ko) 2009-02-18 2009-02-18 선박의 쇄빙 선수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12A KR101567854B1 (ko) 2009-02-18 2009-02-18 선박의 쇄빙 선수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72A true KR20100094072A (ko) 2010-08-26
KR101567854B1 KR101567854B1 (ko) 2015-11-10

Family

ID=4275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312A KR101567854B1 (ko) 2009-02-18 2009-02-18 선박의 쇄빙 선수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8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2555A (zh) * 2012-11-22 2014-06-04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用于破冰船的破冰型首柱结构
CN106585885A (zh) * 2017-01-25 2017-04-26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绿色节能尾破冰型多用途重吊船
CN106628027A (zh) * 2017-01-25 2017-05-10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绿色节能尾破冰型三用拖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2555A (zh) * 2012-11-22 2014-06-04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一种用于破冰船的破冰型首柱结构
CN106585885A (zh) * 2017-01-25 2017-04-26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绿色节能尾破冰型多用途重吊船
CN106628027A (zh) * 2017-01-25 2017-05-10 上海佳豪船海工程研究设计有限公司 绿色节能尾破冰型三用拖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854B1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9157C2 (ru) Способ раскалывания льда, судно с двигателе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101970049B1 (ko) 쇄빙 선박
US8875644B2 (en) Ship's fore body form
JP5986856B2 (ja) 商用貨物船
KR20100094072A (ko) 선박의 쇄빙 선수부
KR20080107070A (ko) 쇄빙 능력을 갖는 ice bulb 형상
JPS63222996A (ja) 砕氷船
CN109436181A (zh) 破冰型船舶首部及船舶
KR20130055869A (ko) 선박용 쇄빙칼날
CN112793722A (zh) 一种可双向破冰的极地科考船型
CA2095871C (en) Icebreaking ship
US20110005442A1 (en) Arctic heavy-tonnage carrier and ice-resistant pylon for connecting the ship underwater and above-water bodies
JP2008230480A (ja) 船舶
US5325803A (en) Icebreaking ship
KR20110133364A (ko)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JPS6112487A (ja) 氷海用船舶
JP4850333B2 (ja) 砕氷船及び船型改良法
KR20130123968A (ko) 빙해와 비 빙해 운항용 선박
RU2041121C1 (ru) Ледокол
JP4441637B2 (ja) 砕氷船および砕氷方法
US7712424B2 (en) Multi-hull vessel adapted for ice-breaking
JP5143510B2 (ja) 船体構造
KR20060039270A (ko) 쇄빙기능을 갖는 선박의 선수부 형상
JP2019172178A (ja) 船舶
JPH04254285A (ja) 砕氷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