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364A -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3364A KR20110133364A KR1020100053049A KR20100053049A KR20110133364A KR 20110133364 A KR20110133364 A KR 20110133364A KR 1020100053049 A KR1020100053049 A KR 1020100053049A KR 20100053049 A KR20100053049 A KR 20100053049A KR 20110133364 A KR20110133364 A KR 201101333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w
- freezing
- tank
- ice
- sh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수트림조절탱크에 의해 결빙해 또는 비결빙해별 운항 조건에 부응한 결빙해 흘수(ice draft) 또는 비결빙해 흘수(open draft)를 선체에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기존 선박 종류별 선수선형에 따른 성능 제한을 적극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유입시켜 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고, 비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배출시켜 비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는 선수트림조절탱크(100)와; 상기 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에서 쇄빙성능을 발휘하게 스푼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1 선수선형부(D1H)와; 상기 제1 선수선형부의 하부의 상기 비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 아래에서 상기 제1 선수선형부(D1H)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수각 및 선측각 각도 크기를 증가시킨 유선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2 선수선형부(D2H)를 포함한다.
이런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유입시켜 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고, 비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배출시켜 비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는 선수트림조절탱크(100)와; 상기 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에서 쇄빙성능을 발휘하게 스푼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1 선수선형부(D1H)와; 상기 제1 선수선형부의 하부의 상기 비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 아래에서 상기 제1 선수선형부(D1H)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수각 및 선측각 각도 크기를 증가시킨 유선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2 선수선형부(D2H)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쉽, 부유식 원유생산저장 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PSO), 부유식 액화가스저장선(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LNG FPS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해저 파이프 부설선(Pipelaying Vessel), 해양시추 지원선(Anchor Handling Supply Vessel), 각종 해양플랜트 지원선(Offshore Supply Vessels) 등의 선박에 사용 가능한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비결빙해를 운항하기 위한 일반 선수선형과, 결빙해를 운항하기 위한 쇄빙 선수선형을 갖는다.
비결빙해 운항용 선박은 단독 쇄빙 등의 결빙해 이동 성능이 없는 선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비결빙해 운항용 선박은 수선면 하부에서 조파저항의 감소를 위해 구상선수(bulbous bow)를 구비한다.
또한, 비결빙해 운항용 선박 중에는 구상선수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의 선박은 비결빙해 항해시 추진효율을 도모하기 위해서, 수선하부의 선형을 칼같이 날렵하게 만들어 물속을 가르며 헤쳐 나가도록 유선형으로 설계되거나, 침수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는 선형으로 설계된다.
즉, 종래 비결빙해 운항용 선박에서 비결빙해용 운항 조건이란, 단독쇄빙이 불가, 구상선수 구비, 조파저항 감소형 선수선형 구비, 최소화된 침수표면적의 선수선형 구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동속도, 세워진 선수각(stem angle) 또는 선측각(flare angle) 등을 의미한다.
반면, 결빙해 운항용 선박은 쇄빙 성능만을 고려한 쇄빙선형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결빙해 운항용 선박에서는 빙판에 올라탈 때 오히려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상선수를 채택하지 않고 있다.
즉, 종래 결빙해 운항용 선박에서 결빙해용 운항 조건이란, 단독쇄빙 가능, 구상선수 없음, 조파저항 보다는 쇄빙 성능을 증가시키는 선수선형 구비, 최대화된 침수표면적의 선수선형 구비, 선수각 또는 선측각이 눕혀져 있는 선수선형의 특징 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박에서는 비결빙해용 운항 조건과 결빙해용 운항 조건에 따른 선수각 또는 선측각의 형태가 상호 대립되는 모순을 갖고 있어서, 양측 운항 조건을 모두 만족하기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쇄빙선(1)은 전방 선체(2)에서 쇄빙 수선의 폭이 최대인 선체를 가지며, 전진 및 후진 모두에서 쇄빙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선박이다.
특히, 종래의 쇄빙선은 얼음을 밀어 내는데 사용하기 위한 쇄빙 견부(7)를 구비한다. 쇄빙 견부(7)는 쇄빙 수선(5, 6, 6a) 위에 위치된 후방 선체(4)에 구비된다. 쇄빙 견부(7)는 후방 선체(4)를 하강시킨 상태로 후진할 때 전방 선체(2)에 비해 넓게 쇄빙 하는 넓은 폭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쇄빙선(1)은 전진시에 쇄빙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통상적인 선수(3)를 가지고 있을 뿐,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할 때 모두 최적의 쇄빙성능과 이동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형상적 또는 구조적 특징을 동시에 모두 가지고 있지 않는다.
종래 기술의 쇄빙선(1)은 전진 시에 사용하는 정규 쇄빙 수선(5)과, 후진시에 사용되는 트림된 때의 쇄빙 수선(6)과, 하강된 때의 쇄빙 수선(6a)을 가지고 있을 뿐, 비결빙해에서 고속 주행하기 위한 수선 및 그에 대응한 선수수형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
즉, 종래 기술의 쇄빙선은 전진 또는 후진시 쇄빙을 할 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배수량을 쇄빙시에 증가시켜 선체 이동시 관성(inertia) 증가를 도모하여 쇄빙력을 향상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쇄빙선은 정규 쇄빙 수선(5)에 대응한 선수선형만을 제시함에 따라, 비결빙해 항해시 추진효율을 증가시킬 수 없는 종전 쇄빙선의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쇄빙선은 결빙해 또는 비결빙해별 운항 조건별로 흘수(draft)를 서로 분리하여 다르게 형성시킬 수 없고, 또한 해당 흘수에 맞게 최적화된 형상의 선수선형이 전방 선체에 구비되어 있지 못하여, 결빙해와 비결빙해 모두에서 최고의 쇄빙성능 또는 이동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수트림조절탱크에 의해 결빙해 또는 비결빙해별 운항 조건에 부응한 결빙해 흘수(ice draft) 또는 비결빙해 흘수(open draft)를 선체에 형성시킬 수 있음에 따라, 기존 선박 종류별 선수선형에 따른 성능 제한을 적극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결빙해 흘수에 대응하여 쇄빙성능 확보가 가능한 제1 선수선형부와, 비결빙해 흘수에 대응하여 이동성능 확보가 가능한 제2 선수선형부를 선체의 선수부에서 구분되게 형성시킴에 따라, 쇄빙력 향상 또는 이동성능 증가를 선택 사용할 수 있고, 해당 결빙해용 운항 조건과 비결빙해용 운항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유입시켜 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고, 비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배출시켜 비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는 선수트림조절탱크와; 상기 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에서 쇄빙성능을 발휘하도록 스푼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1 선수선형부와; 상기 제1 선수선형부의 하부의 상기 비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 아래에서 상기 제1 선수선형부에 비해 선수각 및 선측각을 증가시킨 유선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2 선수선형부를 포함하는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수트림조절탱크는 선수부에 배치된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 또는 제2 탱크를 각각 단독 사용하거나,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병용 사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선수트림조절탱크를 선체의 선수부에 설치하여, 선수트림조절탱크에 채워질 물, 예컨대 해수의 중량에 따른 관성(inertia)을 이용하여 쇄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선수트림조절탱크에 물, 즉 해수를 채우는 선수트림과, 또는 선수트림조절탱크에 해수를 비우는 선미트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결빙해 또는 비결빙해별 운항 조건에 부응한 결빙해 흘수 또는 비결빙해 흘수를 선체에 선택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이 적용될 선박으로 하여금 기존 선박 종류별 선수선형에 따른 성능 제한을 모두 극복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선수부에 형성된 제1 선수선형부 또는 제2 선수선형부를 이용하여 해당 결빙해용 운항 조건과 비결빙해용 운항 조건을 모두 만족시킴에 따라, 결과적으로 고성능 및 다용도의 선박을 양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선수트림시 결빙해 흘수가 제1 선수선형부에 위치되며, 제1 선수선형부의 형상적 특징을 이용하여 선박 운항시 얼음을 눌러 단독 쇄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결빙해 흘수가 제1 선수선형부에 위치될 때, 선박의 운항시 배수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쇄빙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선미트림시 비결빙해 흘수가 제2 선수선형부에 위치됨에 따라, 제2 선수선형부의 형상적 특징을 이용하여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이동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쇄빙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을 구비한 선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체에서 결빙해 흘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체에서 비결빙해 흘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수부를 확대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수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을 구비한 선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체에서 결빙해 흘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체에서 비결빙해 흘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수부를 확대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수부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은 드릴쉽, FPSO, LNG FPS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해저 파이프 부설선, 해양시추 지원선, 해양플랜트 지원선 등에 적용 가능한 선체(10)를 갖는다.
선체(10)는 거주구가 선미에 위치하고 그 거주구 밑에 기관실(machinery space)이 위치한 선미 거주구(11)용 선체 타입이나, 또는 반대로 거주구와 해당 기관실이 선수에 위치한 선수 거주구(12)용 선체 타입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본 발명의 선수부(Lf)의 특징을 제외하고, 선체(10)는 결빙해(ice sea)와 비결빙해(open sea)를 운항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선체 기술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선체(10)에는 비결빙해에서 예컨대, 속력 16 ~ 20노트, 결빙해에서 3노트(초당 1.7m 쇄빙 속력)를 발휘하기 위한 추진장치와, 외기차단 밀폐형 항해 선교와, 극지용 거주구와, 해빙 및 방빙 갑판 시스템과, 쇄빙 선체용 보강 구조와, 밸러스트 수 방빙 설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선체(10)는 계획 만재흘수(L) 상에서 선수수선(F)으로부터 선미수선(A)까지의 수평거리에 해당하는 선박길이, 즉 수선간장(LBP)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수부(Lf)는 선수수선(F) 주변의 구조물로서, 갑판장 창고(13)와, 선수트림조절탱크(1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에서는 선수트림조절탱크(100)에 물을 채우도록 유입시키거나, 물을 비우도록 배출시키기 위한 선수트림 제어수단이 더 제공된다. 선수트림 제어수단은 기존의 밸러스트 수를 조절하기 위한 것과 유사하게 선수트림조절탱크(100)에 해수 유입장치, 배수장치, 각종 수위조절 센서 등을 결합시켜 구성될 수 있다.
선수트림조절탱크(100)는 제1 탱크(110)를 단독 사용하거나, 제2 탱크(120)를 단독 사용하거나, 제1 탱크(110)와 제2 탱크(120)를 병용 사용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탱크 사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탱크(110)는 선수탱크(F.P.T. : Fore Peak Tank)일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120)는 선체(10)에 기 구비된 선수쪽 밸러스트 탱크(14)와 상기 제1탱크(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선수트림탱크(Fwd. TRIM. T. : Forward Trimming Tank)에 해당 될 수 있다.
또한, 제2 탱크(120)는 거주구와 기관실이 선수에 위치한 선수 거주구(12)용 선체 타입의 경우, 선수 거주구(12)의 기관실 양쪽으로 각각 선측에 형성될 선수 기관실 사이드 밸러스트 탱크(Fwd. Machinery Space Side Ballast Tank)에 해당 될 수 있다.
선수부(Lf)에서 수면 또는 얼음과 접촉될 외표면에는 제1 선수선형부(D1H)와, 제2 선수선형부(D2H)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에서, 선수트림조절탱크(100)에 의해 결빙해 또는 비결빙해별 운항 조건에 부응한 결빙해 흘수(ice draft) 또는 비결빙해 흘수(open draft)가 선체(10)에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제1 탱크(110)와 제2 탱크(120)를 병용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를 통해서 제1 탱크(110) 또는 제2 탱크(120)의 단독 사용하는 방법도 운항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수트림은 결빙해 운항을 위해 앞서 언급한 선수부(Lf)의 선수트림조절탱크(100)와 선수트림 제어수단을 이용하되, 제1 탱크(110) 또는 제2 탱크(120)를 포함한 선수트림조절탱크(100)에 해수를 미리 정해진 중량만큼 채워 넣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결빙해 흘수(D1)가 선체(10)에 형성됨과 함께, 선수트림(선수가 더 깊게 잠긴 상태)이 될 수 있다. 이때, 결빙해 흘수(D1)의 선수측 부위 또는 평균흘수(E)(mean draft)는 더 깊게 잠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배수량 증가를 가져와 선체(10)의 전진시 관성 증가가 유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미트림은 비결빙해 운항을 위해 역시 선수부(Lf)의 선수트림조절탱크(100)와 선수트림 제어수단을 이용하되, 제1 탱크(110) 또는 제2 탱크(120)를 포함한 선수트림조절탱크(100)에 채워진 해수를 미리 정해진 수치만큼 비워 내어 유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비결빙해 흘수(D2)가 선체(10)에 형성됨과 함께, 선미트림(선미가 더 깊게 잠긴 상태)이 될 수 있다. 이때, 평균흘수(E)(mean draft)는 덜 깊게 잠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최소화된 침수표면적에 의해 선체(10)의 전진시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통상적인 구상선수를 채택한 선형과 대등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선수트림조절탱크(100)의 도움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1 선수선형부(D1H)와, 제2 선수선형부(D2H)를 분리하여 설계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선수선형부(D1H)는 결빙해 흘수(D1)와 선수가 만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선수선형부(D1H)는 일종의 아이스벨트존(ice belt zone)으로서, 그의 제1 선수각(a1)과 제1 선측각(a3)을 눕힌 스푼형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선수각(a1)과 제1 선측각(a3)이 누워있는 스푼형 타입의 제1 선수선형부(D1H)는 빙판을 올라타 눌러서 깨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1 선수선형부(D1H)는 선수트림조절탱크의 선수트림시 결빙해 흘수(D1)가 형성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선수선형부(D1H)의 위치는 설계기점을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설계기점은 선박마다 미리 정해져 있는 하기만재흘수선과 선수가 만나는 점으로 수면상 선수 끝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선박 깊이는 킬 플레이트(Keel Plate)에서 상갑판까지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선수선형부(D1H)의 위치는 선박의 경하중량(Lightship weight)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제1 선수선형부(D1H)는 결빙해 흘수(D1)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제1 선수각(a1)과, 선박길이(예 : LBP)의 선수부(Lf) 구간(N) 내에서 결빙해 흘수(D1)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제1 선측각(a3)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선수각(a1)과 제1 선측각(a3)의 수치는 결빙해의 운항에 적합한 각도 수치 범위 중에서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선수선형부(D1H)와 제2 선수선형부(D2H)의 사이에는 선형 변곡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수선형부(D2H)는 제1 선수선형부(D1H)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수각 및 선측각 각도 크기를 증가하여 세운 유선형 타입으로 설계할 수 있다.
제2 선수선형부(D2H)의 아래쪽 선체선형도 제2 선수선형부(D2H)의 유선형과 매끈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선저쪽의 유선형과 매끄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수선형부(D2H)는 선수트림조절탱크의 선미트림시 비결빙해 흘수(D2)가 형성되는 아래쪽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선수선형부(D2H)의 위치는 설계기점을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되, 예컨대 제1 선수선형부(D1H)의 선형 변곡 부분의 아래쪽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선수선형부(D2H)의 위치도 선박의 경하중량(Lightship weight)에 따라 변동 가능할 수 있다.
제2 선수선형부(D2H)는 비결빙해 흘수(D2)를 기준으로 기울어져서 제1 선수각보다 큰 각도의 제2 선수각(a2)과, 선박길이(예 : LBP)의 선수부(Lf) 구간(N) 내에서 비결빙해 흘수(D2)를 기준으로 제2 선수선형부(D2H)의 아래쪽 선체하부의 유선형과 매끈한 곡선을 유지할 수 있는 각도 크기의 제2 선측각(a4)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선측각(a4)의 각도 크기는 제2 선수선형부(D2H)의 아래쪽 선체하부의 유선형을 따라 형성됨에 따라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선수선형부(D1H, D2H)에 언급된 수치들은 유한요소 해석(예 : 수 천에서 수 만 톤 빙산충돌 해석 기법)을 통해 구조 해석하고, 시뮬레이션 계산을 통해 빙하중을 계산한 후, 실험선에서 빙하중 계측을 검증하여, 실선 상관계수(correlation factor)획득하여 얻어낸 최적화된 수치에 해당하므로, 임계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제1, 제2 선수선형부(D1H, D2H) 관련하여 언급된 수치를 벗어난 수치를 상기 구조 해석과, 시뮬레이션 계산에 적용한 후 실험선에서 빙하중 계측을 검증한 결과, 결빙해에서 오히려 쇄빙력 감소를 가져왔고, 또한, 비결빙해에서 침수표면적 증가로 인해 마찰저항을 줄일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선박은 결빙해 항해시 결빙해 흘수(D1)에 대응한 제1 선수선형부(D1H)에 의해 쇄빙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선수트림조절탱크(100)를 채움으로써 결빙해 흘수(D1)의 선수측 부위 또는 평균흘수(E)(도 3 참조)가 깊게 잠긴 상태로 배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런 본 발명의 선박은 전진시 관성 증가에 따른 향상된 쇄빙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은 비결빙해 항해시 최소화된 침수표면적으로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어 통상적인 비결빙해 항해 전용 선박과 대등한 이동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선체 11 : 선미 거주구
12 : 선수 거주구 13 : 갑판장 창고
14 : 선수쪽 밸러스트 탱크 100 : 선수트림조절탱크
110 : 제1 탱크 120 : 제2 탱크
D1 : 결빙해 흘수 D2 : 비결빙해 흘수
D1H : 제1 선수선형부 D2H : 제2 선수선형부
12 : 선수 거주구 13 : 갑판장 창고
14 : 선수쪽 밸러스트 탱크 100 : 선수트림조절탱크
110 : 제1 탱크 120 : 제2 탱크
D1 : 결빙해 흘수 D2 : 비결빙해 흘수
D1H : 제1 선수선형부 D2H : 제2 선수선형부
Claims (4)
- 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유입시켜 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고, 비결빙해에 대응하게 물을 배출시켜 비결빙해 흘수를 형성시키는 선수트림조절탱크와;
상기 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에서 쇄빙성능을 발휘하도록 스푼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1 선수선형부와;
상기 제1 선수선형부의 하부의 상기 비결빙해 흘수와 선수가 만나는 위치 아래에서 상기 제1 선수선형부에 비해 선수각 및 선측각을 증가시킨 유선형 타입으로 형성된 제2 선수선형부;
를 포함하는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트림조절탱크는,
선수부에 배치된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탱크 또는 제2 탱크를 각각 단독 사용하거나,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병용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는,
선수탱크(F.P.T. : Fore Peak Tank)인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는,
선수쪽 밸러스트 탱크와 상기 제1탱크의 사이에 배치되는 선수트림탱크(Fwd. TRIM. T. : Forward Trimming Tank)이거나,
거주구와 기관실이 선수에 위치한 선수 거주구용 선체 타입의 경우, 선수 거주구의 기관실 양쪽으로 각각 선측에 형성되는 선수 기관실 사이드 밸러스트 탱크(Fwd. Machinery Space Side Ballast Tank)인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049A KR20110133364A (ko) | 2010-06-04 | 2010-06-04 |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049A KR20110133364A (ko) | 2010-06-04 | 2010-06-04 |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3364A true KR20110133364A (ko) | 2011-12-12 |
Family
ID=4550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3049A KR20110133364A (ko) | 2010-06-04 | 2010-06-04 |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33364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32569A (zh) * | 2012-11-22 | 2014-06-04 |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 一种船用抗冰型舵装置保护结构 |
CN109436181A (zh) * | 2018-10-24 | 2019-03-08 |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 破冰型船舶首部及船舶 |
WO2019187699A1 (ja) * | 2018-03-29 | 2019-10-03 |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 船舶 |
-
2010
- 2010-06-04 KR KR1020100053049A patent/KR2011013336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32569A (zh) * | 2012-11-22 | 2014-06-04 |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 一种船用抗冰型舵装置保护结构 |
WO2019187699A1 (ja) * | 2018-03-29 | 2019-10-03 |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 船舶 |
JP2019172178A (ja) * | 2018-03-29 | 2019-10-10 |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 船舶 |
CN111936381A (zh) * | 2018-03-29 | 2020-11-13 | 日本日联海洋株式会社 | 船舶 |
CN109436181A (zh) * | 2018-10-24 | 2019-03-08 |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 破冰型船舶首部及船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84772C (en) | Automatic ice-vaning ship | |
FI125245B (fi) | Jääpeitteisissä vesissä toimiva alus tai kelluva rakenne ja sen käyttömenetelmä | |
DK178528B1 (da) | System til lastning og losning af kulbrinter i farvande, hvor is har tendens til at være til stede | |
CN105916763A (zh) | 破冰船舶 | |
KR20100038209A (ko) | 선박의 쇄빙특성 개선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구성된 선박 | |
CA2900477C (en) | Appa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 |
KR101144712B1 (ko) | 액화천연가스 생산용 부유식 해양 구조물 | |
WO2007089152A1 (en) | Method and device to operate a vessel in frozen waters, and uses thereof. | |
KR20110133364A (ko) | 결빙해와 비결빙해를 이동하는 선박 | |
RU2483967C2 (ru) | Ледоко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лавающих тел | |
CN106400737B (zh) | 用于存储和卸载油气的设施 | |
BRPI1001329A2 (pt) | estrutura naval com dispositivos de propulsão azimutal | |
KR200406760Y1 (ko) | 유빙으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 |
CN109436181A (zh) | 破冰型船舶首部及船舶 | |
KR20120139268A (ko) | 부력 쇄빙을 이용한 선수 선형을 갖는 쇄빙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 | |
KR101170388B1 (ko) | 문풀의 조파저항 저감 및 쇄파 장치 | |
JP4625888B2 (ja) | 舶用ビルジキール | |
KR101687857B1 (ko) | 쇄빙선 및 쇄빙 방법 | |
US20110005442A1 (en) | Arctic heavy-tonnage carrier and ice-resistant pylon for connecting the ship underwater and above-water bodies | |
RU2612343C9 (ru) | Полупогружной ледокол | |
KR20130070174A (ko) | 계류시설 | |
KR20140072376A (ko) | 극한지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내빙 구조 및 그 내빙 구조를 갖는 구조체 | |
KR20100094072A (ko) | 선박의 쇄빙 선수부 | |
RU2475407C1 (ru) | Морская полупогружная вертолетная платформа | |
KR101902633B1 (ko) | 쇄빙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