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857B1 - 쇄빙선 및 쇄빙 방법 - Google Patents

쇄빙선 및 쇄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857B1
KR101687857B1 KR1020127027894A KR20127027894A KR101687857B1 KR 101687857 B1 KR101687857 B1 KR 101687857B1 KR 1020127027894 A KR1020127027894 A KR 1020127027894A KR 20127027894 A KR20127027894 A KR 20127027894A KR 101687857 B1 KR101687857 B1 KR 10168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anchor
vessel
opening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643A (ko
Inventor
니엘스 피터 엘름보
Original Assignee
메르스크 서플라이 서비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K201070136A external-priority patent/DK177707B1/da
Application filed by 메르스크 서플라이 서비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메르스크 서플라이 서비스 에이/에스
Priority claimed from PCT/DK2011/05010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120527A2/en
Publication of KR2013008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8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operation in ice-infested waters; Ice-breakers, or other 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having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5/083Ice-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4Hawse-holes; Hawse-pipes; Hawse-ho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2Handling or lashing of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연안 시설(1) 주위의 해수를 유해한 얼음의 충돌이 없도록 유지하기 위해, 연안 시설(1)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그리고 연안 시설(1)에서 볼 때 얼음의 이동 방향(P)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닻(6)을 설치하기 위해 선박(5)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아지무스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선박의 장비에 의해, 얼음의 압력에 맞서 선박을 지탱하기 위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서 프로펠러가 얼음을 분쇄하고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닻줄의 방향이 조절되고 따라서 닻줄에 대한 선박의 배향이 조절된다.

Description

쇄빙선 및 쇄빙 방법{ICEBREAKING VESSEL AND METHOD OF BREAKING IC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도입부에 개진된 바와 같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선박은 예컨대 시추선과 같은 연안 시설에 대해 우세방향으로 표류하는 얼음을 분쇄하기 위한 것이다. 얼음은 해류와 함께 표류하지만 바람의 영향도 받는다.
얼음으로 덮인 바다의 연안 시설을 얼음의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석유 또는 가스 굴착용 플랫폼이 우려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시추선이 연안 시설의 일례로서 사용될 것이다. 충격이 가해질 때, 시추선이 대개 수심의 약 2%를 초과하여 변위된다면 시추 작업이 중단되어야 하고, 약 5%를 초과하여 변위된다면 대개 굴착파이프의 연결을 해제해야 한다. 그러므로 얼음으로부터의 충격, 특히 천해에서의 충격은 극히 위태로운 것이라 하겠다. 어떤 상황에서도 대형 얼음덩어리가 시추선을 타격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대형 얼음덩어리가 플랫폼을 향해 표류하거나 그 주위로 몰리지 못하도록 (얼음 처리를 위해) 협력하는 여러 척, 일반적으로는 세 척의 강력한 쇄빙선을 사용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총빙(pack ice)과 능얼음(ridged ice)은 그 방비를 위해 막대한 에너지가 소요되는 얼음 유형이다. 종래의 쇄빙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얼음이 두껍고 해류가 거셀 경우 60 내지 70 메가와트 이상의 기계 동력이 필요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규모의 기계 동력은 원자력 선박에 필적하는 것이어서, 보통 세 척의 선박이 사용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얼음의 충돌로부터 시추선을 보호하는 것은 극히 자원 소모적이고 비용 집약적이라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비해 현저히 자원 절약적인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닻줄이 이동하는 통로인 개구를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아래에 (보다 깊이)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닻줄이 밖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개구를 해수면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닻줄은 얼음에 의한 충격을 받지않으며, 따라서 그렇지 않은 경우 얼음이 닻줄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는 선박에 대한 토크가 방지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정박시에 선박의 자연 피봇점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닻줄을 선박에 고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부착 지점과 피봇점 사이에 생성되는 모멘텀으로 인해, 선박에 영향을 주는 얼음/해류 또는 바람에 대해 선박이 고정된 배향을 유지하려고 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개구를 선박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닻줄은 선박의 자연 피봇점에 보다 더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위에 언급한 모멘텀이 최소화되어 선박의 적절한 배향을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이 보다 쉬워지는 한편, 닻줄로부터의 힘의 영향 하에서, 선박이 얼음의 이동 방향의 횡방향으로 얼음의 영향을 받는 해저를 가로질러 얼음을 헤치고 이동하게 된다.
선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닻줄이 해수 속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개구는 선박의 중간지점(즉, 선박의 종방향으로 선박의 중간지점으로, 선박 중앙부(midship) 지점으로도 지칭된다)과 선박의 선미 사이의 (실질적으로) 가운데에 배열된다.
해당 장소에 개구를 배치하는 것은 선박 조종에 드는 연료를 덜 필요로 하게 됨과 동시에 충분한 자세교정(straightening) 모멘텀이 개구와 선박의 자연 피봇점 사이에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은 닻줄에 대한 얼음의 충격 없이, 그리고 쇄빙에 유리한 항로/배향을 유지하기 위해 부당하게 과도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해수면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다.
실제로 얼음은 방향을 바꾸기도 하는데, 보통 얼음이 어디로 방향을 바꿀지 미리 알 수는 없다. 그러므로 선박은 두 개 이상의 닻을 설치하기 위한 설비를 갖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박은 쇄빙을 위해 어느 한쪽의 닻줄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런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은 쇄빙을 위해 두 개 이상의 닻줄로부터의 견인력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여러 개의 닻을 적절히 설치함으로써, 닻 조종 윈치(anchor handling winch)가 얼음의 이동 방향의 횡방향으로 선박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은 흘수선(water line) 아래 배열되는 두 개의 개구를 가지는데, 두 개구 모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의 중앙인) 선박의 중앙부 지점과 선미 사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은 흘수선 아래 배열되고 둘 다 선박의 중앙부 지점과 선수 사이에 배열되는 두 개의 개구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또는 두 개의 아지무스(azimuth) 프로펠러, 즉 실질적인 수직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할 수 있는 프로펠러를 갖춘 쇄빙보급선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측방 프로펠러도 갖추고 있지만 이들은 특히 배의 후미(heel)가 얼음쪽을 대면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지무스 프로펠러에 비해 경미한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아지무스 프로펠러는 한편으로는 얼음을 분쇄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론 프로펠러 수(propeller water)와 더불어 얼음덩어리를 밀어낼 수 있다.
후미가 얼음과 맞닿게 배치될 때, 얼음을 분쇄하고 시추선 주위의 얼음을 밀어내는 데에만 기계 동력을 사용한다는 취지에서 닻 조종 윈치는 얼음의 이동에 맞서 선박을 상향으로 견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선박이 정박할 수 있으며 뒤따르는 충돌 위험 없이 굴착 플랫폼에 상당히 가까운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추선 주위의 해수가 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얼음이 없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시추선의 대빙이중외판(ice-doubling)에 드는 많은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서 개진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8항에 개진된 바와 같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아지무스 프로펠러의 사용을 언급하고 있지만, 물론 이것은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원동력/추진기/프로펠러를 제공하는 다른 수단일 수도 있다.
문구 "선박의 광역부(expanse)"는 선박의 최대 길이와 선박의 최대 너비로 구비되는 영역을 가리키는 것이다.
선박의 최대 길이와 최대 너비는 L.O.A로도 표기된다.
본 발명은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다수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다.
도 2는 얼음 처리를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소정 영역 내에서의 쇄빙을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세 척의 선박을 이용한 얼음 처리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이른바 "스케그(skeg)"를 포함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위에서 바라본 도 6의 선박을 도시한다.
도 1은 북극해의 시추선(1)을 도시한다. 시추선은 예컨대 여덟 개의 닻에 의해 유지된다. 관련 닻줄은 도면에서 여덟 개의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또한, 얼음이 도시된 화살표(P)의 방향으로 표류하므로 비교적 적고 작은 얼음덩어리(K1, K2, K3)만이 시추선을 따라 지나가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쇄빙선(2, 3, 4)에 의해 분쇄되는 다수의 대형 유빙(F1,F2,F3)을 도시한다. 만일 F1, F2, 또는 F3 크기의 유빙이 시추선을 타격한다면 닻은 요구되는 정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없다.
쇄빙선(2, 3, 4)은 가능한 가장 효율적인 쇄빙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통신한다. 그러나 서두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이는 세 척의 선박의 자체적인 에너지 소비가 상승하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충분한 쇄빙에 필요한 자원의 소비를 상당히 저감시킨다.
도 2는 닻줄의 설치시 선박(5)이 시추선(1)의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선박(5), 예컨대 쇄빙보급선이 출항하여 닻(6)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닻줄은 일반적으로 1000 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수심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수심의 세 배이다). 얼음은 실질적으로 화살표(P)의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개관의 목적상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아직 작동중인 원동기는 없지만 선박(5)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시추선(1)을 향해 이동하는 얼음이 분쇄되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에는 선박이 얼음쪽으로 후미의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한 쌍의 고정식 프로펠러를 사용하면 얼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선박의 방향을 틀고(하단부 참조) 이로써 얼음의 이동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선박(5)을 이동시키기 위해 얼음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유리하게 이용하기가 용이해진다. 특정 조건에서는 이런 방식으로 작동하는 단 하나의 선박으로도 시추선(1)을 보호하기에 충분하다.
도 3은 얼음이 무해하게 되는 충분히 넓은 벨트가 마련되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선박(7)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대안적 또는 보충적 방법을 도시한다. 이는 두 개의 닻(8, 9)을 설치함으로써, 그리고 이런 조치가 선박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 기여하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닻줄의 힘과 닻줄의 길이 간에 균형을 잡기 위해 각각의 닻줄의 닻 조종 윈치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프로펠러의 동시 사용에 의해 선장은 최적의 쇄빙을 위한 다수의 옵션을 가지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선미의 양 측면에 아지무스 프로펠러를 구비한 하나(또는 그 이상)의 쇄빙선(들)이 사용된다. 360° 회전할 수 있는 프로펠러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행에 사용하기에 특히 효율적이다. 닻줄이 얼음의 압력에 맞서 선박을 지탱할 때, 양쪽 프로펠러 모두가 선박의 일 측면을 얼음쪽으로 압박하고 얼음 가까이에 있는 프로펠러는 얼음을 분쇄하고 다른 프로펠러는 프로펠러 수(propeller water)로 얼음을 처리하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프로펠러가 횡방향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각각의 닻(12, 13)에 의해 각각 정박되는 두 척의 보급선(10, 11)이 사용되는 추가적인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런 식으로, 얼음이 무해하게 된 벨트의 너비가 확장되는데, 주목할 점은 얼음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매우 큰 힘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각각의 닻줄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뒤따르는 충돌 위험 없이 시추선(1)에 상당히 가깝게 선박(10, 11)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5는 한 방법에 의한 얼음의 처리를 도시한다.
시추선은 여전히 참조번호 1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각각의 닻줄(17, 18, 19)에 의해 각각 정박된 세 척의 쇄빙보급선(14, 15, 16)이 사용된다. 본 도면은 또한 세 개의 대형 유빙(20, 21, 22)을 도시한다. 소형 얼음덩어리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들은 세 척의 선박의 여섯 대의 아지무스 프로펠러에 의해 시추선(1)에 무해한 크기로 분쇄되었다.
중앙의 선박은 닻줄(18)에 의해 유지되고, 유빙(22)을 잘게 부수어 프로펠러 수에 의해 밀어낸다. 최외측의 선박(14, 16) 또한 시추선(1) 주위에 있는 각각의 선박 옆으로 밀려난 유빙(20, 21)과 더불어 유빙(22)을 동시에 분쇄한다. 이런 방식으로 시추선 주위의 해수는 시추선에 대빙이중외판을 설치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현저히 얼음이 없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료 면에서 얻어지는 큰 절약 및 그에 따른 오염의 저감에 더하여 추가적인 절약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물론 해류/얼음의 방향은 자주 바뀐다. 그러므로 연안 시설 주위의 얼음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고/하거나 얼음을 무해하게 만들기 위해 닻과 선박을 이동시키는 것 또한 필요할 수 있다. 얼음의 이동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연안 시설 주위 영역에서, 원래 공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GPS 장치(로거(logger))를 얼음에 설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GPS 장치를 사용하여 연안 시설 주위의 얼음의 이동을 모니터하여 얼음의 이동 방향의 상당한 변화에 대한 (조기) 경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연안 시설 주위의 얼음을 지속적으로 무해하게 만든다는 취지에서(또는 바다를 얼음이 없는 상태로 유지한다는 취지에서) 경보를 발령하여 닻의 이동을 실행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이다.
선박은 선수(51)와 선미(52)를 포함하는데, 양쪽 모두 쇄빙부(54, 55)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들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른바 평저부(flat bottom)(53)로 불리는 것으로 수평면의 선박의 최하단부에 의해 분리되고 해당 부분보다 위에 위치한다.
선박의 선미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닻줄(61)을 수용하는 내부 통로(60)가 도시되어 있다. 해당 통로의 일측 단부에서 닻줄은 닻 조종 윈치/휠(62) 둘레에 권취되며, 타측 단부에서는 닻(미도시)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닻줄이 해수 속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개구는 선박의 평저부에서 가능한 선미 쪽을 향하여 배치된다. 가능한 선미 쪽을 향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로 인해 개구가 평저부의 수평면보다 더 위에 위치할 정도로 선미 쪽을 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대개 종래의 양묘기(capstan)보다 훨씬 큰 힘을 내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종래의 양묘기와 상이한 닻 조종 윈치/휠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닻 조종 윈치는 (약 6,000,000 내지 10,000,000 N에 대응하는) 600 내지 1000 톤의 견인력을 작용시킬 수 있고 (약 10,000,000 내지 15,000,000 N에 대응하는) 1,000 내지 1500 톤의 제동력을 가질 수 있다.
선박은 선박(52)의 선미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추진기(들)(5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진기는 축(9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물론 선박 및 추진기(들) 중 하나 이상의 추진기(들)는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안정성 및 성능을 위해 선박의 추진기는 프로펠러가 평저부의 수평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닻줄은 선박의 선미 프로펠러(추진기)과 접촉하지 않고도 선박의 프로펠러(추진기) 아래에 있는 저부의 일부를 통해 밖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7은 그 기능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이른바 "스케그(skeg)"(70)를 포함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실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먼저 도 7에 묘사된 선박은 실제로는 쇄빙선이 아니며 해당 묘사는 "스케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언급해 둔다.
쇄빙선의 선미 프로펠러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이들 프로펠러는 때로는 프로펠러의 일부 또는 블레이드가 선박의 평저부(53)보다 더 깊이 해수 속으로 들어가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흔히 이런 선박은 스케그로 불리는 하측 저부를 갖추도록 제작된다. 스케그는 (선박의 정상 항해 방향을 기준으로) 전면에 위치한다. 스케그의 목적은 천해에서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것으로, "스케그"는 만일의 경우 선박이 좌초될 때 프로펠러가 저부를 타격하는 것을 막게 된다.
따라서 실제의 쇄빙선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케그"를 구비하여 제작되며, 이런 선박에서 본 발명은 선박의 프로펠러(추진기) 아래에 (보다 깊이) 위치한 "스케그" 내의 한 지점으로부터 닻줄이 해수 속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쇄빙 선체를 갖춘 선박에 스케그가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스케그를 닻줄의 통로로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여기서 닻줄을 해수 속으로 운반하는 개구는 "스케그" 내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 쪽을 향하여) 스케그의 후면에 배열된다.
이에 대한 변경 또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보유한 보통의 기술의 범위 내에 있다.
도 8은 위에서 바라본 도 6의 선박을 도시한다. 선박의 중앙에는, (깔때기(funnel) 뒤쪽에 윤곽이 그려진) 내부 통로를 통해 연장되어 선박 저부의 개구(미도시)를 통해 밖으로 더 연장되는 닻줄(61)에 의해 닻(미도시)에 결합되는 닻 조종 윈치(62)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닻줄은 닻 조종 윈치로부터 깔때기형 부분(80) 내로 연장된다. 해당 부분(80)의 목적은 선박을 통해 연장되고 선박의 저부를 통해 밖으로 연장되는 (점선으로 표시된) 내부 통로 내로 닻줄을 윈치로부터 운반하는 것이다. 물론 깔때기형 부분의 형상은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보유한 보통의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는데, 그 본질적인 양태는 깔때기형 부분이 닻 조종 윈치의 전체 너비로부터 닻줄을 포획할 수 있고 그것을 선박의 내부 통로 내로 운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연안 시설에 대해 우세방향으로 표류하는 얼음을 분쇄하는 방법으로서, 선박에 의해 닻이 연안 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연안 시설에서 볼 때 얼음의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선박의 장비는 닻줄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서, 해당 장비가 하나 이상의 아지무스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선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양태와 같은 방법으로서, 해당 장비가 측면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선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양태에서와 같은 방법으로서, 해당 기계류가 닻줄의 방향에 대해 선박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양태와 같은 방법으로서, 후미가 얼음쪽을 대면하도록 선박이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제5 양태와 같은 방법으로서, 닻 조종 윈치가 얼음에 맞서 선박의 후미를 상향으로 견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와 같은 방법으로서, 여러 개의 닻이 연안 시설에 대해 상이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제1 내지 제7 양태와 같은 방법이되, 다수의 GPS 장치가 연안 시설의 상류에 멀리 떨어져 있는 얼음에 설치되는 방법으로서, GPS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얼음의 이동 방향의 변화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 정보는 하나 이상의 닻이 이동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양태 중 어떤 것이든 특허청구범위의 임의의 청구항에 따라 개진된 본 발명과 조합될 수 있다.

Claims (18)

  1. 연안 시설(1)에 인접한 해수면에서 얼음을 제거하거나 얼음을 무해하게 만들기 위한 쇄빙 선체를 갖는 선박(5)으로서,
    선박(5)에서 떨어진 닻줄(61)에 설치되도록 배치되는 닻(6);
    정박되어 있는 동안 선박을 이동시키기 위한 파워를 제공하는 원동력 수단;
    선박의 원동력 수단 아래에 그리고 선박의 중앙부와 선박의 선수(51)와 선미(52) 중 하나 사이에 배열되는 선박의 제1 개구로부터 선박의 최상부 갑판(top most deck)에 배열되는 제2 개구까지 연장되는 직선형인 내부 통로를 통하여 닻줄(61)을 권취 또는 권출하도록 배치되되, 선체는 단일 선체이고 제1 개구는 선체의 바닥 상에 정의되는 평평한 부분에 배열되는 닻 조종 윈치(62)를 포함하되,
    선박의 선수(51) 및 선미(52)는 선박이 정박되어 있는 동안 선박이 쇄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촉하여 얼음을 분쇄하도록 배치되는 부분을 갖추고 있고, 상기 선박은 정박되어 있는 한편, 원동력 수단 또는 닻 조종 윈치(62)에 의해, 해당 선박의 광역부보다 큰 광역부를 가지는 해저면을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고, 이로써 선박이 해수면의 얼음을 제거하거나 무해하게 만들 수 있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선박의 피봇 중심점에 근접하게 배열되는,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개구가 선박 저부의 수평면보다 높이 올라오지 않게 상기 제1 개구는 선박 저부의 선미(52) 쪽으로 배열되는,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가 프로펠러 주변부의 최하단부보다 높이 올라오지 않게 상기 제1 개구는 선박의 선미(52) 쪽으로 배열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선박 평저부(53)의 선미(52) 쪽으로 배열되는,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선박의 스케그(70) 내에 배열되는,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선박의 스케그(70)의 선미(52) 쪽으로 배열되는, 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가 프로펠러 주변부의 최하단부보다 위로 올라오지 않게 상기 제1 개구는 선박 스케그(70)의 선미(52) 쪽으로 배열되는, 선박.
  9. 제1항에 있어서,
    닻줄(61)이 해수 속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상기 제1 개구는 선박의 중간지점과 선박의 선미(52) 사이의 가운데에 배열되는, 선박.
  10. 제1항에 있어서,
    닻줄(61)이 해수 속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상기 제1 개구는 선박의 중간지점과 선박의 선수(51) 사이의 가운데에 배열되는, 선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닻줄(61)이 해수 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두 개의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개구는 모두 선박의 흘수선 아래에 그리고 선박 중앙부 지점과 선미(52) 사이에 배열되는,선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닻줄(61)이 해수 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두 개의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개구는 모두 선박의 흘수선 아래에 그리고 선박 중앙부 지점과 선수(51) 사이에 배열되는, 선박.
  13. 연안 시설(1)에 근접하여 쇄빙하는 방법으로서,
    선박에서 떨어진 닻줄(61)에 설치될 수 있는 닻(6)과, 선박의 원동력 수단 아래에 그리고 선박의 중앙부와 선박의 선수(51)와 선미(52) 중 하나 사이에 배열되는 선박의 제1 개구로부터 선박의 최상부 갑판에 배열되는 제2 개구까지 연장되는 직선형인 내부 통로를 통하여 닻줄(61)을 권취 또는 권출하도록 배치되되, 선체는 단일 선체이고 제1 개구는 선체의 바닥 상에 정의되는 평평한 부분에 배열되는 닻 조종 윈치(62)와, 정박되어 있는 동안 선박을 이동시키기 위한 파워를 제공하는 원동력 수단을 포함하고, 선박의 선수(51) 및 선미(52)는 선박이 정박되어 있는 동안 선박이 쇄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촉하여 얼음을 분쇄하도록 배치되는 부분을 갖추고 있고, 상기 선박은 정박되어 있는 한편, 원동력 수단 또는 닻 조종 윈치(62)에 의해, 해당 선박의 광역부보다 큰 광역부를 가지는 해저면을 가로질러 이동 가능하고, 이로써 선박이 해수면의 얼음을 제거하거나 무해하게 만들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단계;
    선박이 연안 시설(1)을 향해 표류하는 얼음을 분쇄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에서, 연안 시설(1)로부터 떨어지게 그리고 연안 시설(1)에서 보여질 때 얼음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선박을 위치시키는 단계;
    선박의 내부 통로를 통해 운반되고 해수면 아래 배열되는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닻줄(61)에 닻(6)을 설치하는 단계;
    닻(6)의 유지력이 닻줄(61)과 닻 조종 위치(62)에 의해 닻(6)에서 선박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선박의 위치를 정하는 단계;
    선박의 광역부보다 큰 광역부를 가지는 해저면을 가로질러 선박이 이동될 수 있고 이로써 선박이 해수면의 얼음을 제거하거나 얼음을 무해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취지에서, 선박의 기계류 또는 닻 조종 윈치(62)를 통하여 닻줄(61)의 방향 또는 닻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쇄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선박의 피봇 중심점에 근접하게 배열되는, 쇄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 개구가 선박 저부의 수평면보다 높이 올라오지 않게 상기 제1 개구는 선박 저부의 선미(52) 쪽으로 배열되는, 쇄빙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27027894A 2010-03-31 2011-03-31 쇄빙선 및 쇄빙 방법 KR101687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947410P 2010-03-31 2010-03-31
DKPA201070136 2010-03-31
US61/319,474 2010-03-31
DK201070136A DK177707B1 (da) 2010-03-31 2010-03-31 Fremgangsmåde til brydning af is
DKPA201070465 2010-10-29
DKPA201070465 DK178596B1 (en) 2010-03-31 2010-10-29 Ice breaking ship
US40967710P 2010-11-03 2010-11-03
US61/409,677 2010-11-03
PCT/DK2011/050104 WO2011120527A2 (en) 2010-03-31 2011-03-31 An icebreaking ve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643A KR20130081643A (ko) 2013-07-17
KR101687857B1 true KR101687857B1 (ko) 2016-12-28

Family

ID=4899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894A KR101687857B1 (ko) 2010-03-31 2011-03-31 쇄빙선 및 쇄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2047B2 (en) 2014-09-19 2018-08-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ppler-based segmentation and optical flow in radar images
US10215851B2 (en) * 2014-09-19 2019-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ppler-based segmentation and optical flow in radar images
RU2718464C1 (ru) * 2019-09-17 2020-04-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ктические Морские технологи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мещения и разрушения мор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вследствие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него поля дрейфующих льди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814A (en) * 1973-09-24 1975-03-25 Global Marine Inc Twin-hull ship for drilling in ice-covered waters
WO2007136273A1 (en) * 2006-05-22 2007-11-29 Statoil Asa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hydrocarbons in ice prone waters
FR2924677A1 (fr) * 2007-12-10 2009-06-12 Saipem S A Sa Support flottant equipe de dispositifs de destruction de banquise.
WO2009099337A1 (en) * 2008-02-05 2009-08-13 Moss Maritime As Ship for drilling and production in icy wat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2814A (en) * 1973-09-24 1975-03-25 Global Marine Inc Twin-hull ship for drilling in ice-covered waters
WO2007136273A1 (en) * 2006-05-22 2007-11-29 Statoil Asa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hydrocarbons in ice prone waters
FR2924677A1 (fr) * 2007-12-10 2009-06-12 Saipem S A Sa Support flottant equipe de dispositifs de destruction de banquise.
WO2009099337A1 (en) * 2008-02-05 2009-08-13 Moss Maritime As Ship for drilling and production in icy wa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643A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858B1 (ko) 쇄빙선 및 쇄빙 방법
JP5883292B2 (ja) 氷で覆われた水域で動作する船又は浮体構造物、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ES2865185T3 (es) Sistema de amarre de turbina eólica
RU242232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углеводородов в водах, предрасположенных к образованию льда
WO2008140654A1 (en) Automatic ice-vaning ship
JP2009533258A (ja) 深海設置船
CN106218824A (zh) 一种锯刀式可潜极地科考船
KR20150018818A (ko) 아지무스 무마찰 예인 포인트
US9056658B2 (en) Icebreaking vessel
EP2864188B1 (en) Improved hull of a tugboat and tugboat comprising said improved hull
KR101687857B1 (ko) 쇄빙선 및 쇄빙 방법
US9255374B2 (en) Icebreaking vessel and method of breaking ice
EP1533224B1 (en) Ice breaker (variants), method and system for single-support mooring and servicing ships
CA2794933C (en) An icebreaking vessel
US20160160463A1 (en) Protecting a Stationary Vessel from Encroaching Ice
Hovilainen et al. Next Generation to Break the Ice-The Oblique Icebreaker
Simões Ré et al. Lifeboat operational performance in cold environments
Snyder et al. ICEATER I-The Air Cushion Icebreaker
Rpsandhaug Development of a supply vessel for Arctic oil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