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4062A -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 Google Patents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4062A
KR20100094062A KR1020090013300A KR20090013300A KR20100094062A KR 20100094062 A KR20100094062 A KR 20100094062A KR 1020090013300 A KR1020090013300 A KR 1020090013300A KR 20090013300 A KR20090013300 A KR 20090013300A KR 20100094062 A KR20100094062 A KR 2010009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vinyl monomer
containing vinyl
group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순
이상훈
문기정
전해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4062A/ko
Publication of KR2010009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7/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수지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를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시켜 종래의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질함으로써, 점착제의 겔 함량이 40중량% 이상이고, 저장탄성율이(G')이 3×104 내지 5×106 인 PDP용 점착제 수지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가혹한 가공조건 하에서도 기재필름이 벗겨지지 않고, 재작업시 유리판상에 점착제가 잔류하지 않으며 나아가, 재단특성도 우수한 무기재 점착시트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PDP), 아크릴계 공중합체,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아크릴산, 겔함량, 저장 탄성율, 무기재 점착시트, 재단성

Description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COMPOSITION FOR ADHESIVES COMPRISING ACRYLATE COPOLYMERS MODIFIED BY VINYLIC-MONOMER HAVING FUNCTIONAL GROUP AND NON CARRIER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nel, 이하, `PDP`라 함)에 사용되는 광학필터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르복시산 등의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아크릴산 유도체와 공중합시켜 제조함으로써 얻어지는, PDP 제조시 요구되는 특성인 유리판과의 점착성, 재단특성 등이 현저히 개선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TV를 비롯한 고품질 및 대화면의 TV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음극선관, 액정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같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분야별로 대형화에 관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FPD의 제조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광학 필름을 점착제를 통해 기판 등에 적층시키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광학필름을 유리판 상에 적층시 점착제를 통해 부착이 되는데, 이때 부착 표면이 이물로 오염이 되는 경우 또는 광학필름이 잘못된 부착으로 인해 위치를 이탈했을 경우, 광학필름은 유리판으로부터 박리되어 재사용된다. 광학필름이 유리판으로부 터 박리되는 경우, 유리판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광학필름을 용이하게 박리하기 위한 점착제의 재박리성이 필요하다.
종래는 한국특허공개 제2003-49143호, 제2004-099792호에서는 점착제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예컨대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낮은 주제의 사용,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저분자량 폴리머의 첨가, 가소제(액체성분)의 첨가, 가교제의 함유량의 저감 등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한국특허 제0385720호에서는 광학용 아크릴계 감압 점착제에 실록산계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초기 점착력을 낮추어 우수한 재박리성을 획득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대형화 및 고성능화된 PDP에 적용하기에는 여전히 박리강도가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1989-178567호의 개시에 따르면, 분자량을 적당히 조정한 아크릴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제는 점착성, 투명성,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 다른 점착제의 예로서 점착성 부여제(tackifier) 등과 같은 여러가지 첨가제를 첨가하여 내발포, 박리성을 개선하여 플라스틱 기판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킨 점착제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등을 들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3516035호에서는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중합체와,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점착제가 상온 및 고온에서 플라스틱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성, 내발포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올리고머를 사용함으로써, 올리고머의 표면으로의 이행으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89731호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만 내지 250만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와, 중량평균 분자량 5000 내지 50만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중량비 100:1 내지 100:50의 비율로 포함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에 질소 함유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나, 저분자량체를 첨가함으로써, 내구성 저하 및 박리력 저하의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PDP에 있어서 광학필터용 점착제로 사용되던 아크릴계 수지에, 카르복시산 등의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추가하여 공중합시킴으로써, 가혹한 가공조건 하에서도 기재필름이 벗겨지지 않고, 재작업시 유리판상에 점착제가 잔류하지 않으며, 나아가 광학필름 재단시 재단특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광학필터용 무기재 점착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PDP용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때,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통상의 아크릴산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는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 술폰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및 인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및 크로톤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산이고;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무수물은 무수말레산, 무수푸마르산 및 무수이타콘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무수물이 사용되며, 술폰산기 함유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술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및 메타아크리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인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인산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PDP용 점착제 조성물에 의할 경우, 단량체의 설계를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 저장탄성율, 겔 분율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재작업성, 내구신뢰성 및 우수한 재단성을 가지는 점착제 및 점착시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가운데에 기재가 없는 무기재 양면 점착제를 구현하여 박형화가 기능해지고, 다양한 광학성능을 가지는 필름을 여러 장 접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PDP용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의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제조한다.
상기의 점착제 수지 및 무기재 점착시트는 PDP 유리판 접합용 또는 광학성 필름과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용도로, 시각적으로 헤이즈나 색상이 없는 광학적으로 뛰어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다. 이때,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업계에서 통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족하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 탄소수 1 내지 12의 탄화수소를 갖는 알코올과 탈수반응을 거쳐 형성될 수 있는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알코올의 탄화수소 부분이 장쇄 형태로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고온하에서 응집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소수 1 내지 12인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8인 알킬 에스테르 단량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펜틸 메타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에폭시계 가교제 또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여 승온시 점착제의 응집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을 부여하는 성분이다.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단량체로서는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또는 그의 무수물, 술폰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및 인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및 크로톤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이고;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 단량체의 무수물은 무수말레산, 무수푸마르산 및 무수이타콘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수물이며; 술폰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술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및 메타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 용될 수 있고; 인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인산염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가 주성분인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로서 넓게 사용되고 있고, 특별히 금속면에 대한 점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질용 모노머로서 넓게 사용된다.
이 경우,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60 내지 99.9중량%이고,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0.1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요구하는 물성을 발현하지 못한다.
한편, 본발명의 PDP용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0 내지 1,000,000g/mo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0 미만이면 얻어지는 점착제가 충분한 점착력 및 응집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1,000,000보다 크면 얻어지는 점착제가 고점도를 나타내어 가공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모두 부적당하다.
본 발명의 PDP용 점착제 조성물에는 에폭시계 가교제 및/또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가공시 가교구조의 형성을 통하여 승온시 점착제의 응집력을 유지시켜 부착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점착층 형성시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의 가교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균일한 코팅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코팅작업이 끝나고 건조 및 숙성과정을 거치면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응집력이 향상된 점착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 및/또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각각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함량이 적어 가교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교반응이 과량으로 진행되어 내구성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등 오히려 내구성이 저하된다.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비스페놀A-에피클로로히드린 형의 에폭시계 수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DP용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제 외에도 실란계 커플링제 및 점착성 부여수지 등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중량평균분자량, 유리전이온도, 경화가능한 관능기를 조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단량체들을 공중합시켜서 고분자로 만드는데, 이렇게 공중합시킨 고분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점착수지와 가교제간의 화학적 반응이나 물리적 응집에 의해서 가교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가교가 일어난 부분은 겔(gel)화 되어서 용매에 의해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이 겔 분율을 통해서 가 교반응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겔 분율 = m/M×100 (m = m'- F)
상기 식에서, M = 점착제 전체의 무게
m =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부분의 무게
m' = 필터에 걸러진 점착제와 필터 전체의 무게
F = 필터의 무게
PDP용 점착제 조성물의 겔 분율이 40%이하가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약해 재작업시 점착제가 전사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재단시 점착제 버(burr)가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정 저장 탄성율을 가지는 점착제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23℃에서의 저장탄성율(G`)이 3×104에서 5×106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저장탄성율이 3×104 미만이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 재박리시 점착제가 글라스에 전사되고, 5×106을 초과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강해 기재에 대한 밀착력이 저하되어 재박리시 점착제가 글라스에 전사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공중합체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000cc 반응기에 각각 표 1에 나타낸 비율의 비닐 모노머와 아세트산 에틸을 주입하고,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중량부 가한 다음, 반응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가스로 치환하였다. 혼합물을 8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아세트산 에틸을 주입하여 희석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2. 아크릴계 점착제 배합 및 코팅
상기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가교제로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를 표 2에 나타낸 비율로 투입한 후, 적정한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중박리 시트(상품명 RPC-101, (주)도레이새한)의 실리콘 이형코팅면에 코팅하여 건조하여, 25㎛의 균일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후에 점착제층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경박리 시트(상품명 RPS-101, (주)도레이새한)로 합지를 하고, 충분한 숙성과정을 위하여 상온에서 7일간 보관하였다.
3. GPC 측정 조건
측정 장치: HLC-8120GPC(도소(주) 제조)
GPC 칼럼 구성: 이하의 5련 칼럼(모두, 도소(주) 제조)
(1)TSK-GEL HXL-H(가드 칼럼)
(2)TSK-GEL G7000HXL
(3)TSK-GEL GMHXL
(4)TSK-GEL GMHL
(5)TSK-GEL G2500HXL
샘플 농도: 1.0mg/cm3 가 되도록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으로 희석함.
이동상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유량: 1.0cm3 /min.
4. 저장 탄성율 (G')의 측정 방법
저장 탄성율 (G') 은 두께 30㎛의 점착제를 적층해, 8㎜φ × 3㎜ 두께의 원주상의 시험편을 제작해, 비틀림 전단법에 의해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 TA 인스트루먼트사의 레오미터(ARES)
주파수: 0.1~1Hz
온도: 23℃, 60℃
5. 겔 함량 측정
상기에서 제조한 무기재 점착시트 시험편을 약 0.2g 벗겨내어 200메쉬 스테인레스 스틸 망에 보관 후 에틸아세테이트(EtOAc) 50g을 첨가하고 3일 동안 방치한 다음, 녹지 않고 겔 상태로 남아 있는 성분을 걸러낸다. 그리고 100℃ 오븐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고 난 후 잔류하는 질량을 측정한 다음, 초기의 질량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구하였다.
겔분율 = m/M×100 (m = m'- F)
상기 식에서, M=점착제 전체의 무게이고,
m=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되지 않는 부분의 무게이며,
m'=필터에 걸러진 점착제와 필터 전체의 무게이고,
F=사용한 필터의 무게이다.
6. 내구성의 평가 방법
숙성이 완료된 무기재 점착시트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한 후, 100㎛ PET 필름에 접합하여 상온에서 1일간 방치한 다음 각각 150mm×150mm×5EA 크기로 재단하고, 무알칼리 유리판의 한쪽 면에 라미네이터 롤을 이용하여 펴붙이고, 이어서, 50℃, 5기압에 조정된 오토클레이브에 20분간 유지하여 시험판을 만들었다.
동일한 시험판을 3장 만들고, 각각, 온도 60℃, 습도 95% RH의 조건하에서 500시간 방치 및 온도 85℃의 조건하에서 500시간 방치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발포, 벗겨짐, 균열의 발생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 발포, 벗겨짐, 균열 등의 외관 불량이 관찰되지 않았음
△: 발포, 벗겨짐, 균열 등의 외관 불량이 약간 관찰되었음
×: 발포, 벗겨짐, 균열 등의 외관 불량이 명백하게 관찰되었음
7. 재박리성 시험
숙성이 완료된 무기재 점착시트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한 후, 100㎛ PET 필름에 접합하고, 상온에서 1일간 방치한 다음, 가로×세로 150mm×150mm로 절단했다. 이어서 무알칼리성 유리판에 2kg 롤로 1회 왕복하여 부착시킨 후 50℃, 0.5MPa에서 3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정치한 광학부재를 유리판으로부터 180도 박리한 다음, 유리판 표면을 육안에 의해 관찰하였다.
○: 유리판 표면에 오염, 점착제의 잔존은 보이지 않았음
△: 유리판 표면에 오염, 점착제의 잔존이 약간 보였음
×: 유리판 표면에 오염, 점착제의 잔존이 명백하게 보였음
8. 재단성
숙성이 완료된 무기재 점착시트를 폭 25mm 간격으로 시어나이프(shear knife)를 사용하여 절단하였다. 그 후, 경박리 시트를 제거하면서 양쪽 단면에서 점착제가 경박리 시트를 따라 딸려나가는 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 경박리 시트 제거시 점착제가 딸려나가는 현상 없음
△: 경박리 시트 제거시 점착제가 딸려나가는 현상 일부 발생함
×: 경박리 시트 제거시 점착제가 딸려나가는 현상 명백히 발생
Figure 112009009959881-PAT00001
상기 표 1에서, BA: 부틸아크릴레이트
2-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MMA: 메타크릴산
AA: 아크릴산
2-HEA: 2-하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Figure 112009009959881-PAT00002
상기 표 2 에서,
에폭시 경화제 :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프리폴리머(HDI)
표 1 및 2에 보여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하여 공중합하여 수지조성물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기재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겔함량이 모도 40%이상이고, 재박리성, 내구성, 재단성이 양호한 무기재 점착시트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무수물, 술폰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및 인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 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및 크로톤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이고; 카르복시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의 무수물은 무수말레산, 무수푸마르산 및 무수이타콘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수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술폰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2-메타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메타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술포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및 메타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인산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리로일 인산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조성비는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60 내지 99.9중량%,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 0.1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0 내지 1,000,000g/m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DP용 점착제 조성물 100중량부에, 에폭시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제 0.01 내지 1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3℃에서의 저장탄성율(G')이 3×104 내지 5×1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겔 분율이 40% 이상이고 9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수학식 1]
    겔 분율 = m/M×100 (m = m'- F)
    상기 식에서, M = 점착제 전체의 무게이고,
    m = 유기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부분의 무게이며,
    m' = 필터에 걸러진 점착제와 필터 전체의 무게이고,
    F = 필터의 무게이다.
  10.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KR1020090013300A 2009-02-18 2009-02-18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KR20100094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00A KR20100094062A (ko) 2009-02-18 2009-02-18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00A KR20100094062A (ko) 2009-02-18 2009-02-18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62A true KR20100094062A (ko) 2010-08-26

Family

ID=4275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300A KR20100094062A (ko) 2009-02-18 2009-02-18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40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7568A1 (en) * 2012-07-16 2014-01-22 Samsung Display Co., Ltd. Adhesive, adhesive tape, and display device
CN113228397A (zh) * 2018-12-28 2021-08-06 三星Sdi株式会社 用于锂二次电池的隔板和包括其的锂二次电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7568A1 (en) * 2012-07-16 2014-01-22 Samsung Display Co., Ltd. Adhesive, adhesive tape, and display device
US9453149B2 (en) 2012-07-16 2016-09-27 Samsung Display Co., Ltd. Adhesive, adhesive tape, and display device
CN113228397A (zh) * 2018-12-28 2021-08-06 三星Sdi株式会社 用于锂二次电池的隔板和包括其的锂二次电池
CN113228397B (zh) * 2018-12-28 2023-12-01 三星Sdi株式会社 用于锂二次电池的隔板和包括其的锂二次电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4036B (zh) Adhesive, both sides of the adhesive film and display device
KR101796142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101281643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광학 부재
KR101552741B1 (ko) 터치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 패널
TWI478997B (zh) Adhesive tape, laminated body and image display device
JP4527773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JP5604662B2 (ja)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KR101591105B1 (ko) 터치 패널용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62522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터치 패널
JP5347810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フィルム
JP6064937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397697B1 (ko) 광학 점착제,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144950B1 (ko) 점착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20023908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8877883B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including adhesive layer formed using the same
JP2012041454A (ja)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TWI638020B (zh) 接著劑組成物、附設接著劑之偏光板及顯示裝置
KR20080073883A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120038633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80092898A (ko) 무기재 전사 테이프
KR20100094062A (ko) 관능기 함유 비닐계 단량체를 이용하여 개질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pdp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기재 점착시트
KR20130101781A (ko) 점착제 조성물
US20140349055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US20140329083A1 (en) Adhesive film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KR102103504B1 (ko) 무기재 전사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