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846A -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846A
KR20100093846A KR1020090012957A KR20090012957A KR20100093846A KR 20100093846 A KR20100093846 A KR 20100093846A KR 1020090012957 A KR1020090012957 A KR 1020090012957A KR 20090012957 A KR20090012957 A KR 20090012957A KR 20100093846 A KR20100093846 A KR 2010009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tor
pressure
gas
knob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199B1 (ko
Inventor
윤승찬
Original Assignee
윤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찬 filed Critical 윤승찬
Priority to KR102009001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1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1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with locking caps or locking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GAS)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가스압력조정기에 있어서, 가스배관라인을 타고 흐르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공지의 조정기-몸체, 조정기-뚜껑, 압력유지수단 및 조절손잡이(KNOB)를 포함하고,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단속수단 및 이 단속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조절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매개체를 더 포함하고 있어 장기간 진동발생 등에 의해 최초 세팅 값이 서서히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스 압력조정기, 조절손잡이, 회전방지, 가스배관라인, 슬라이드

Description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KNOB ROTATION PREVENTING STRUCTURE FOR GAS PRESSURE REGULATOR BY SLIDE LOCKING TYPE}
본 발명은 가스압력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배관라인을 타고 흐르는 가스의 압력을 각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필요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가스압력조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압력조정기는 필요에 따라 화학반응 등을 유도하기도 하며 제품을 생산하기도 하는 일반산업 또는 반도체 공정과 같이, 가스(GAS)가 필요한 공정에 공급되는 가스를 필요압력으로 계속 유지하고 미세조정(Regulation)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각 공정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배관라인에 가스압력조정기를 설치하여 조절손잡이를 미세조정함으로써, 가스가 흐르는 압력을 높여주거나 줄여주어서 가스의 압력을 각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필요압력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압력조정기는 [문헌 1], [문헌 2]에 기술적 구성이 게재되어 있는바,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가스배관라인에 연결되는 조정기-몸체(Body)와, 이 조정기-몸체를 기밀하는 조정기-뚜껑과, 상기 조정기-몸체를 통과하는 가스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유지수단과, 이 압력유지수단을 미세조정하는 조절손잡이(KNOB)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손잡이를 시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압력유지수단에 포함되어 있는 조정기-뚜껑의 스프링과 조정기-몸체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압력을 미세 조정하고, 이를 통해 각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가스를 필요압력으로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1], [문헌 2]를 포함하여 종래의 가스압력조정기는 조절손잡이를 이용한 세팅 값이 가스배관라인의 진동과 가스가 흐를 때 발생하는 미세진동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압력이 변하게 되어 각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필요압력을 유지하기에 곤란함을 겪고 있다.
이는, 가스의 압력을 유지하는 압력유지수단과 이를 미세조정하는 조절손잡이가 단순히 나사방식으로만 되어 있기 때문으로, 가스압력조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가스배관라인이 중력에 의한 자체진동 또는 가스의 유속에 의해 발생하는 미세진동에 의해 미세하게나마 조금이라도 움직일 경우 단순히 나사방식으로 되어 있는 조절손잡이가 서서히 회전하면서 풀리게 된다.
이로 인해 각 공정에 최적화되어 있는 최초 세팅 값이 조금씩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예로, '1Bar'의 압력으로 가스가 공급되어야 하는 공정에 '0.9Bar 또는 0.8Bar' 등의 압력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현상이 자주 또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세팅 값이 변하게 되면 가스공급의 불안정성을 야기하게 되고, 이 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나아가 제품의 불량으로 이어지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KR 20-1997-0055392, 1997.10.13
[문헌 2] KR 10-0753280, 2007.08.22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배관라인 등의 진동 및 기타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조절손잡이(KNOB)가 서서히 회전하면서 풀려 각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필요압력으로 조정된 세팅 값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절손잡이를 자유롭게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조건의 압력에 대한 최초 세팅 값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배관라인에 연결되어 가스를 급기하고 배기할 수 있도록 급기-포트 및 배기-포트가 형성된 조정기-몸체와;
이 조정기-몸체에 조립되어 기밀하는 조정기-뚜껑과;
상기 조정기-몸체 및 조정기-뚜껑에 내장되어 가스의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조정기-뚜껑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압력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압력유지수단과;
상기 압력조절나사를 회전시키면서 압력을 조정하며, 내부 중앙에 상호 연통하는 제1수용공간 및 고정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보다 지름이 작은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조절손잡이와;
이 조절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단속수단과;
상기 조절손잡이가 압력조절나사를 따라 회전하면서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조절나사에 체결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어 1,2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단속수단이 서로 맞물려 조절손잡이를 단속할 수 있도록 제1,2수용공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매개체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단속수단 및 상기 단속수단을 이용하여 조절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연결매개체를 더 포함하고 있어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조절손잡이에 의해 최초 설정된 세팅 값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조절손잡이에 의해 설정된 세팅 값을 기초로 일정하게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가스를 이용하는 제품의 안정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고, 불량률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매개체는 다각형의 상부조립부 및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너트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있어 조절손잡이와의 연결성 및 사용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성은 오-링을 더 포함하고 있어 가스배관라인 등의 미세진동을 흡수하여 단속수단 및 연결매개체를 이용한 조절손잡이의 회전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압력조정기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를 포함하는 가스압력조정기를 분해하여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압력조정기의 결합상태를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를 포함하는 가스압력조정기를 결합하여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속수단을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각각 조절손잡이와 조정기-뚜껑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구조에 의해 조절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것을 일부 확대하여 사용상태도로 보인 것으로, 연결매개체를 이용한 미끄럼 움직임을 통해 제1기어 및 제2기어가 서로 맞물려 조절손잡이가 조정기-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본 발명은 가스(GAS)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스압력조정기(1)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스배관라인(2)의 자체 진동 및 가스의 유속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조절손잡이(40)가 서서히 회전하면서 풀려 최초 설정한 세팅 값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정기(1)는 가스배관라인(2)에 연결되는 조정기-몸체(10)와, 이 조정기-몸체(10)를 기밀하는 조정기-뚜껑(20)과,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압력유지수단(30)과,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조절손잡이(40)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에 맞물림 고정을 통해 상기 조절손잡이(40)의 회전을 방지하는 단속수단(50) 및 연결매개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공지의 조정기-몸체(10)를 포함하며, 이러한 조정기-몸체(10)를 이용하여 가스배관라인(2)에 연결되어 급기-포트(11)를 통해 가스가 공급받아 배기-포트(12)를 통해 배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정기(1)는 상기 조정기-몸체(10)와 공지의 조정기-뚜껑(20)을 포함하며, 이 조정기-뚜껑(20)을 이용하여 조정기-몸체(10)를 기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가스가 가스압력조정기(1)의 외부로 가스가 유출되어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정기-몸체(10) 및 조정기-뚜껑(20)에는 공지의 압력유지수단(30)이 내장되어 가스의 압력을 유지하게 되는데,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유지수단(30)은 락킹플레이트(31) 및 압축스프링(32)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압력의 정도를 결정하는 메인밸브-핀(Pin)을 통해 가스의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유지수단(3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40)를 통한 메인밸브-핀(33)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조정기-뚜껑(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압력조절나사(34)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조절손잡이(40)가 압력조절나사(34)를 회전시켜 압축스프링(32)을 압축하고, 이를 따라 상기 메인밸브-핀(33)이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가스의 배기압력을 조정하게 되는데, 이는 가스압력조정 기(1)의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KNO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조절나사(34)를 회전시켜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손잡이(40)는 기존방식과는 달리 상기 압력조절나사(34)와 직접 체결되지 않고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는 연결매개체(60)를 이용하여 압력조절나사(34)에 간접 체결될 수 있도록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내부 중앙에 상호 연통하는 제1수용공간(41) 및 제2수용공간(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용공간(41)은 연결매개체(6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과 아울러 이를 이용하여 조절손잡이(40)가 일 방향(도면상 하부방향으로)으로 미끄럼 움직일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며, 제2수용공간(42)은 상기 제1수용공간(41)에 고정턱(43)이 형성되어 너트(44)를 통한 조임이 가능하도록 제1수용공간(41)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40)는 상기 제1수용공간(41), 제2수용공간(42)을 포함하고 있어 연결매개체(60)를 이용한 압력조절나사(34)와의 간접체결이 가능하며, 상기 제2수용공간(42)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턱(43)을 더 포함하고 있어 공지의 너트(44)를 통한 조임 고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조절손잡이(40)는 압력조절나사(34)와의 체결 및 너트(44)를 이용한 조임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제1수용공간(41) 및 제2수용공간(42)을 포함하여 중앙부분이 상하에 걸쳐 전체적으로 중공(中孔)되어 있는 것을 도 2에서 단면으로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속수단(50)은 상기 조절손잡이(40)가 중력에 의한 가스배관라인(2)의 자체진동이나 가스의 유속에 의한 진동에 의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미세하게 회전되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려 고정된다.
이러한 단속수단(50)을 본 발명에서는 기어방식을 이용하게 되는데, 일 실시 예로 조절손잡이(40)의 하부 안쪽에 제1기어(51)가 내부를 향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51)가 맞물려 고정되는 제2기어(52)가 조정기-뚜껑(20)에 바깥을 향해 형성된 것을 도 3에서 보이고 있다.
즉, 상기 제1기어(51)가 내부를 향해 형성되고, 제2기어(52)가 바깥을 향해 형성됨에 따라 각 기어의 이빨들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맞물림 고정으로 인해 조절손잡이(40)가 미세진동에 의해 서서히 회전되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기어(51) 및 제2기어(52)는 단속수단(50)의 주요 기능인 맞물림 방식을 통한 조절손잡이(4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사전에 밝혀두며, 상기 제1기어(51) 및 제2기어(52)가 형성되는 위치 역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곳이라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매개체(60)는 조절손잡이(40)가 압력조절나사(34)를 회전시키면서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도 2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압력조절나사(34)에 체결되는 나사결합부(61)가 내부에 형성되어 제1,2수용공간(41)(42)에 설치되며, 상술한 단속수단(50)을 서로 맞물림 고정시켜 조절손잡이(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수용공간(41)(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다.
이러한 연결매개체(60)는 주로 합성수지, 알루미늄 또는 황동(Brass)을 주소재로 하여 형성되며, 이를 제1,2수용공간(41)(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내부 중앙에 형성된 나사결합부(61)를 이용하여 압력조절나사(34)와 조절손잡이(40)를 상호 체결하여 상기 조절손잡이(40)를 통한 압력을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나아가 압력을 조정한 조절손잡이(40)를 도면상 하부방향으로 밀어 단속수단(50)을 통한 슬라이드 락킹(Slide Locking)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매개체(60)의 실시 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2 또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제1수용공간(41)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되는 상부조립부(62)와, 안쪽에 나사결합부(61)가 형성된 상태로 제2수용공간(42)에 수용되는 하부조립부(63)를 포함하며, 이때의 상기 상부조립부(62)와 하부조립부(63)는 일체 또는 분리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매개체(60)는 상기 상부조립부(62)와 하부조립부(63)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조립부(62)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고, 상부조립부(62)의 내부에는 너트수용공간(64)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각형의 상부조립부(62)가 제1수용공간(41)에 수용됨에 따라 조절손잡이(40)를 이용하여 압력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절손잡이(40)와 연결매개체(60)가 서로 겉돌아 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너트수용공간(64)을 통해 압력조절나사(3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하게 되는 너트(44)를 수용하여 상기 너트(44)를 풀 수 있는 전용도구가 있는 작업자 이외에 일반도구를 이용하여 조절손잡이(40)를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매개체(60)는 상기 실시 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되, 도 4 내지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하부조립부(63)에 오-링(O-RING)이 체결된 것을 더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오-링(65)은 공차범위(±)로 가공된 조절손잡이(40)와 연결매개체(60)의 기밀을 유지하고, 조절손잡이(40)의 부드러운 미끄럼 움직임을 유도하며, 가스배관라인(2)으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단속수단(50)을 이용하여 맞물림 고정되어 있는 상기 조절손잡이(40)가 서서히 밀려나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링(65)이 하부조립부(63)에 체결된 연결매개체(60)가 제1,2수용공간(41)(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됨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압력조절나사(34)를 회전시키면서 압력을 조정한 조절손잡이(40)를 도 4 내지 도 5의 가상선에서 보인 것과 같이, 도면상 하부방향으로 부드럽게 밀어 단속수단(50)에 포함된 제1기어(51)와 제2기어(52)를 서로 맞물림 고정하게 되고, 이러한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압력조정기(1)의 조절손잡이(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압력조정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압력조정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속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구조에 의해 조절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것을 일부 확대하여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스압력조정기 2 - 가스배관라인
10 - 조정기-몸체 20 - 조정기-뚜껑
30 - 압력유지수단 34 - 압력조절나사
40 - 조절손잡이 41 - 제1수용공간
42 - 제2수용공간 43 - 고정턱
50 - 단속수단 51 - 제1기어
52 - 제2기어 60 - 연결매개체
65 - 오-링

Claims (4)

  1. 가스배관라인에 연결되어 가스를 급기하고 배기할 수 있도록 급기-포트 및 배기-포트가 형성된 조정기-몸체와;
    이 조정기-몸체에 조립되어 기밀하는 조정기-뚜껑과;
    상기 조정기-몸체 및 조정기-뚜껑에 내장되어 가스의 압력을 유지하며, 상기 조정기-뚜껑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압력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압력유지수단과;
    상기 압력조절나사를 회전시키면서 압력을 조정하며, 내부 중앙에 상호 연통하는 제1수용공간 및 고정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보다 지름이 작은 제2수용공간이 형성된 조절손잡이와;
    이 조절손잡이가 회전되지 않도록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단속수단과;
    상기 조절손잡이가 압력조절나사를 따라 회전하면서 압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조절나사에 체결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어 1,2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단속수단이 서로 맞물려 조절손잡이를 단속할 수 있도록 제1,2수용공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매개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조절손잡이의 하부 안쪽에 형성되는 제1기어와, 상기 조정기-뚜껑에 형성되는 제2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매개체는 제1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되는 상부조립부와, 안쪽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상태로 제2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하부조립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조립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너트수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조립부에 오-링(O-RING)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KR1020090012957A 2009-02-17 2009-02-17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KR10108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57A KR101086199B1 (ko) 2009-02-17 2009-02-17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57A KR101086199B1 (ko) 2009-02-17 2009-02-17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846A true KR20100093846A (ko) 2010-08-26
KR101086199B1 KR101086199B1 (ko) 2011-11-25

Family

ID=4275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957A KR101086199B1 (ko) 2009-02-17 2009-02-17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1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37B1 (ko) * 2012-06-04 2014-03-06 윤승찬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CN105138067A (zh) * 2015-07-02 2015-12-09 于浩 一种制氮机气压微调器
KR20180115509A (ko) *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동양에프앤씨 위어 타입 다이어프램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723A (ja) 1999-08-30 2001-03-16 Maruyama Mfg Co Ltd 調圧弁
JP4590139B2 (ja) 2001-09-10 2010-12-01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流体コントロール弁
JP4184318B2 (ja) 2004-06-07 2008-11-1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手動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37B1 (ko) * 2012-06-04 2014-03-06 윤승찬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CN105138067A (zh) * 2015-07-02 2015-12-09 于浩 一种制氮机气压微调器
KR20180115509A (ko) *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동양에프앤씨 위어 타입 다이어프램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199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537E1 (en) Dual gas pressure regulator for a household appliance
US9835195B2 (en) Bolt-locking apparatus, mounting method thereof and mounting jig
KR101086199B1 (ko)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CN103867893B (zh) 减压阀
KR20100072178A (ko) 인-라인 조절식 조정기
US9353884B2 (en) Flow regulating apparatus
WO2018047907A1 (ja) 流体制御装置、これに用いるベースブロックおよび流体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2008119793A (ja) インデックステーブル
KR20120048566A (ko) 백래시 방지 장치를 갖는 조절기 밸브 조립체
KR20140115026A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JP2007170484A (ja) 流量制御機器の取付構造
KR20130136261A (ko)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WO2021019922A1 (ja) バルブ装置、流体制御装置及びバルブ装置の製造方法
KR101381777B1 (ko) 가스 압력 조절기
KR20170003116A (ko) 스크류형 에어 브리더
JP5543000B1 (ja) Lpg用低圧調整器
JP5304768B2 (ja) 増し締め機構付き密閉ハンドル
CN103874861B (zh) 用于具有阀门和调节器的组件的适配器
JP5936029B2 (ja) 流量調整弁
KR20090013138U (ko)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샤워기
KR101664717B1 (ko) 퀵 릴리스형 에어 브리더
KR20170106601A (ko) 유량교정이 가능한 레귤레이터
JP2021055783A (ja) バルブ装置及び流体供給ユニット
JP2000097368A (ja) 手動操作式流体制御器のロック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流体制御器
KR200206575Y1 (ko) 밸브 닫힘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