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537B1 -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537B1
KR101370537B1 KR1020120059940A KR20120059940A KR101370537B1 KR 101370537 B1 KR101370537 B1 KR 101370537B1 KR 1020120059940 A KR1020120059940 A KR 1020120059940A KR 20120059940 A KR20120059940 A KR 20120059940A KR 101370537 B1 KR101370537 B1 KR 101370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rotation
medium
adjustmen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261A (ko
Inventor
윤승찬
Original Assignee
윤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찬 filed Critical 윤승찬
Priority to KR102012005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53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4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yieldingly resisting the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종래의 작동방식인 조절손잡이를 밀어넣어 고정(Push & Lock)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상기 조절손잡이는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손잡이와 몸체 사이에 회전방지매개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한 후 이를 잡아당겨 고정(Pull & Lock)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절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최초 세팅 값이 변화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KNOB ROTATION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 벨로우즈 밸브(Bellows valve), 볼 밸브(ball valve), 니들 밸브(Needle valve) 및 가스조정기(Gas regulator) 등에는 조절손잡이(KNOB)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상기 조절손잡이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이를 작업자가 미세조정함으로써, 압력 또는 유량을 높여주거나 줄여주어서 필요 압력 또는 유량을 유지토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조절손잡이에는 압력 또는 유량을 높이거나 줄이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나 인근 사물과의 접촉 또는 가스의 유속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조절손잡이가 작동되어 최초 세팅 값이 변하는 현상, 즉 일 예로써, 밸브가 오픈(Open) 또는 크로스(Close) 되어 있는데, 의도치 않게 조절손잡이가 돌아가 가스의 흐름을 막거나 흐르게 하는 현상 또는 '1bar'의 압력으로 가스가 공급되어야 하는 공정에서 '0.9bar' 또는 '0.8bar' 등의 압력으로 가스가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상기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가스조정기와 조절손잡이 사이에 연결매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손잡이를 가스조정기에 회전과 함께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설치하여 압력의 조정시에는 조절손잡이를 후진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최초 세팅 값을 설정하고, 이와 같이 세팅 값이 설정되면 상기 가스조정기에 조절손잡이를 밀어넣어 고정(Push & Lock)함으로써, 시간의 흐름에 따라 최초 세팅 값이 서서히 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KR 146709 Y1 KR 0753280 B1 KR 1086199 B1
본 발명은 (특허문헌 3)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의 작동방식을 개선하여 조절손잡이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용이하게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풀 앤 락(Pull & Lock) 작동방식으로 조절손잡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가스를 급기 및 배기하는 포트와 연통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샤프트를 포함하는 조절기가 설치되며, 외부에 다각형의 고정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샤프트에 체결되어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외부 노출하는 입구가 형성된 조절손잡이;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통로를 통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와 조절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며, 입구를 통해 공간부에 진입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회전방지매개체; 및
상기 결합부와 수용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림 고정되는 요철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는 조절손잡이를 고정하는 캡 너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기어, 키 또는 나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매개체에는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손잡이와 몸체 사이에 회전방지매개체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회전방지매개체를 잡아당겨 고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조절손잡이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초 세팅 값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매개체에 패킹이 구비됨으로써, 조절손잡이에서 회전방지매개체가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절손잡이의 잠금 또는 풀림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의 결합상태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에 캡 너트, 니플 및 패킹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가스(GAS) 또는 유체(LIQUID)를 공급 및 차단하는 각종 밸브(Valve) 또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가스조정기(Gas regulator) 등에 설치된 조절손잡이(Knob)가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회전하여 최초 세팅 값이 변화하는 것을 개선된 작동방식으로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몸체(10)와 조절손잡이(20)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방지매개체(30) 및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와 조절손잡이(20)에 각각 형성된 요철부(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몸체(10)는 가스를 급기 및 배기하는 포트(11)(12)가 형성되고, 이와 연통하는 유로(미도시)가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에 다각형의 고정부(13)가 형성된 구성으로, 통상 밸브 또는 가스조정기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이 외에 상기 구성을 충족한다면 몸체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밸브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몸체(10)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조절기(14)는 주지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Shaft)의 회전을 통해 몸체(10)에 내장된 다이어프램(Diaphragm), 스프링(Spring) 및 메인밸브 핀(Main Valve Pin) 등을 구동하여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가스 또는 유체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압력을 조절 및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기(14)의 구성은 몸체(10)의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조절손잡이(20)는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14a)의 일단에 체결되어 몸체(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이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샤프트(14a)를 미세조정하는 방식으로 조절기(14)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손잡이(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회전방지매개체(30) 및 요철부(40)를 통해 방지하기 되는데,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는 몸체(10)의 고정부(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몸체(10)와 조절손잡이(20) 사이에 배치되며, 요철부(40)는 회전방지매개체(30)와 조절손잡이(20)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는 고정부(13)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통로(31)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통로(31)를 통해 고정부(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이때의 다각은 8각, 6각, 4각 등 모서리가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의 각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요철부(40)는 회전방지매개체(30)와 조절손잡이(20)가 상호 접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맞물림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절손잡이(20)를 통해 조절기(14)를 미세조정한 상태에서 회전방지매개체(30)를 상기 조절손잡이(20) 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풀 앤 락(Full & Lock) 작동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며, 이는 종래의 밀어넣어 고정(Push & Lock)하는 작동방식보다 조절손잡이(20)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종래의 밀어넣어 고정(Push & Lock)하는 작동방식은 조절손잡이의 흔들림이 많고 볼트가 위아래로 움직여 조절되는 방식에만 적용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풀 앤 락(Full & Lock) 작동방식은 조절손잡이(20)가 고정되어 회전하는 방식이므로, 흔들림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몸체(10)의 포트(11)(12)와 외부의 배관을 연결하는 니플(Nipple) 또는 조절손잡이(20)의 분리를 방지하는 캡 너트(Cap nu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매개체(30)에 패킹(Packing)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가 조절손잡이(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절손잡이(20)의 잠금(Lock) 또는 풀림(Unlock)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2에서 보듯이, 상기 몸체(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부에 한 쌍의 포트(11)(12)가 형성되고, 상부에 6각형의 고정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3)의 외부로 4각형의 샤프트(14a)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포트(11)(12)와 연통하는 유로(미도시)가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10)는 스테인리스(SUS)를 통한 인서트 사출성형(Insert Molding)을 통해 샤프트(14a)를 포함하는 조절기(14)를 일체화하거나, 상기 몸체(10)의 제조 후 조절기(14)를 별도 조립하는 방식으로 일체화하게 된다.
상기 조절손잡이(2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를 금형 사출하여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며, 내부에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를 외부 노출하기 위한 입구(22)가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 샤프트(14a)와의 체결을 위한 4각형의 체결공(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손잡이(20)의 외부에는 작업자의 미세조정을 용이토록 하기 위한 홈(20a)이나 돌기(2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ABS)를 금형 사출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6각형의 통로(31)가 형성되어 고정부(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방지매개체(30)는 도면상 위,아래로의 미끄럼 움직임은 가능하나 회전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회전방지매개체(30)와 조절손잡이(20)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부(40)는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에 형성된 결합부(30a)의 상부에 기어(Gear), 키(Key) 또는 나사(Screw) 형상으로 해석 가능한 요철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손잡이(20)의 공간부(21) 상에 동일형상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고정하게 되는데,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에 형성되는 요철부(40)를 제1요철부(41)로 지칭하고, 조절손잡이(20)에 형성되는 요철부(40)를 제2요철부(42)로 지칭함을 밝혀둔다.
즉 상기 제2요철부(42)는 공간부(21) 상에 내부를 향해 형성되고, 제1요철부(41)는 결합부(30a) 상에 바깥을 향해 형성되어 기어의 이빨, 키 또는 나사 산들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며, 이러한 맞물림 고정으로 인해 조절손잡이(20)가 미세진동에 의해 서서히 회전되면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니플(15)(16)은 6각 볼트형상으로 형성되어 포트(11)(12)에 나사 체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포트(11)(12)와 외부의 배관을 연결하여 가스의 급기 및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또한 캡 너트(24)는 조절손잡이(20)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14a)의 일단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샤프트(14a)에서 조절손잡이(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샤프트(14a)의 외부노출을 차단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패킹(32)은 공차범위(±)로 가공된 조절손잡이(20)와 회전방지매개체(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가 조절손잡이(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패킹(32)은 일 예로써, 제1요철부(41)의 하부에 오-링(O-Ring)을 체결하여 실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의 결합부(30a)에 체결용 홈(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에는 적색 등의 색깔을 도포하거나 색이 있는 재료로 형성하여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5에서 보듯이, 작업자가 조절손잡이(20)를 통해 조절기(14)를 미세조정한 후 육각형의 고정부(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방지매개체(30)를 상기 조절손잡이(20)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1요철부(41)가 입구(22)를 통과하여 공간부(21) 상에 형성된 제2요철부(42)와 서로 맞물려 고정되며, 이때의 상기 회전방지매개체(30)는 고정부(13)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조절손잡이(20)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몸체 11, 12 - 포트
13 - 고정부 14 - 조절기
14a - 샤프트 15, 16 - 니플
20 - 조절손잡이 21 - 공간부
22 - 입구 23 - 체결공
24 - 캡 너트 30 - 회전방지매개체
30a - 결합부 31 - 통로
32 - 패킹 40 - 요철부
41 - 제1요철부 42 - 제2요철부

Claims (4)

  1. 가스를 급기 및 배기하는 포트가 형성되고, 이와 연통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샤프트를 포함하는 조절기가 설치되고, 외부에 다각형의 고정부가 형성된 몸체(Body);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에 체결되어 몸체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의 선단에 체결된 캡 너트(Cap nut)를 통해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외부 노출하는 입구가 형성된 조절손잡이(Knob);
    상기 고정부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로를 통해 고정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와 조절손잡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조절손잡이 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입구를 통해 공간부에 진입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회전방지매개체;
    상기 회전방지매개체에 형성된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요철부;
    상기 제1요철부와 서로 맞물림 고정되도록 회전방지매개체와 접하는 조절손잡이의 공간부에 형성된 제2요철부; 및
    상기 제1요철부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용 홈에 체결되어 조절손잡이와 회전방지매개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조절손잡이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표시하도록 색이 형성된 오-링(O-Ring);
    를 포함하는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요철부는 기어(Gear), 키(Key) 또는 나사(Screw)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4. 삭제
KR1020120059940A 2012-06-04 2012-06-04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KR101370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40A KR101370537B1 (ko) 2012-06-04 2012-06-04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940A KR101370537B1 (ko) 2012-06-04 2012-06-04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61A KR20130136261A (ko) 2013-12-12
KR101370537B1 true KR101370537B1 (ko) 2014-03-06

Family

ID=4998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940A KR101370537B1 (ko) 2012-06-04 2012-06-04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5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7019A (ja) * 2018-05-30 2019-12-05 東京瓦斯株式会社 管路工事用治具および管路工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87B1 (ko) * 2014-03-17 2015-04-09 윤승찬 압력밸브
KR102153419B1 (ko) * 2019-09-20 2020-09-08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록킹 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846A (ko) * 2009-02-17 2010-08-26 윤승찬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JP2011117483A (ja) * 2009-12-01 2011-06-16 Sankoo:Kk ガス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846A (ko) * 2009-02-17 2010-08-26 윤승찬 슬라이드 락킹방식을 이용한 가스압력조정기의 조절손잡이 회전방지구조
JP2011117483A (ja) * 2009-12-01 2011-06-16 Sankoo:Kk ガス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7019A (ja) * 2018-05-30 2019-12-05 東京瓦斯株式会社 管路工事用治具および管路工事方法
JP6994432B2 (ja) 2018-05-30 2022-01-14 東京瓦斯株式会社 管路工事用治具および管路工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61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8335A (en) Ball valve with lockable security device
US8118057B2 (en) Temperature rotational limit stop for a mixing valve
KR101370537B1 (ko) 조절손잡이 회전방지장치
US10436335B2 (en) Valves with multi-directional ball check
RU2634340C2 (ru) Клапан разности давления с промыванием
CA2926337A1 (en) Valve handle lock
JP6462898B2 (ja) リミット調節可能な機械的ロック装置を適用した油圧アクチュエータ
KR20140137298A (ko) 유량 조절 장치
TW201937088A (zh)
US20230160496A1 (en) Lockout tagout device and valve
EP3022620A2 (en) Encapsulated valve with lever action
US7559528B2 (en) Manual lock pin with lanyard
US1275135A (en) Lock-valve.
JP3950094B2 (ja) 流路切替弁とその操作ハンドル
EP1178250B1 (en) Self-closing valve
WO2015008258A2 (en) Gas pressure regulator
RU2659601C2 (ru) Клапан со съемным регулирующим узлом
CN202646896U (zh) 一种煤气阀
EP1808626B1 (en) Valve with locking mechanism
KR101167725B1 (ko) 밸브의 개폐핸들 잠금기구
KR200342572Y1 (ko) 볼밸브의 잠금장치
KR200476141Y1 (ko) 개폐밸브의 잠금상태 봉인장치
ITMI20090701A1 (it) Valvola di comando con meccanismo di bloccaggio a chiave
EP1726856A2 (en) Control valve
SE0201246D0 (sv) Anordning vid en reglervent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