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288A - 철근 받침구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288A
KR20100093288A KR1020090012408A KR20090012408A KR20100093288A KR 20100093288 A KR20100093288 A KR 20100093288A KR 1020090012408 A KR1020090012408 A KR 1020090012408A KR 20090012408 A KR20090012408 A KR 20090012408A KR 20100093288 A KR20100093288 A KR 20100093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upport
support body
binding member
ceme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772B1 (ko
Inventor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지건업
조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지건업, 조홍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지건업
Priority to KR1020090012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7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몰탈로 형성되는 철근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받침구는 시멘트몰탈로 형성되어 거푸집패널 위에 지지되는 받침몸체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몸체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결속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철근받침구, 받침몸체, 결속부재, 앵커부, 지지부, 날개부, 탄성편, 철근

Description

철근 받침구{Supporter for iron reinforcing rod}
본 발명은 철근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구축물 또는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등에 매설되는 철근을 받쳐주기 위한 철근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각층 슬라브를 구축할 때에는 슬라브 거푸집 위에 일정높이로 철근을 배설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천근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브 거푸집 위에 일정높이로 배설되는 철근을 받쳐주기 위해서는 철근받침구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철근받침구는 금속판으로 제작되었거나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이 많이 사용되어 왔었으나, 이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작 및 성형된 철근받침구는 콘크리트몰탈과는 친화력이 없을 뿐 아니라 슬라브 거푸집을 철거하였을 때 상기 슬라브 거푸집에 지지되고 있던 철근받침구의 바닥부분이 슬라브의 저부에 노출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은폐시켜야 하는 미장작업이 추가로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등록실용신안 제390405호의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는 콘크리트몰탈과 같은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몰탈과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콘크리트몰탈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겠으나, 종래 기술의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는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받침홈이 오픈(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격자상으로 배설되는 철근들을 지지할 수는 있겠으나 견고하게 붙잡아 줄 수는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몰탈의타설작업시 또는 작업자가 철근을 밟고 지나갈 때 배설된 철근이 제위치에서 벗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또한 종래 기술의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는 그 저면이 몸체의 횡단면적과 같은 단면으로 형성된 채 슬라브 거푸집의 상면에 면접촉하는 상태에서 철근을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슬라브 거푸집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한 후 슬라브 거푸집을 철거하였을 때에는 상기 슬라브 거푸집의 상면에 면접촉하였던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의 저면이 슬라브의 저부에 그대로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는 슬라브 거푸집 위에 타설된 콘크리트몰탈에 비하여 시멘트의 배합비가 크므로 슬라브의 저부에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의 저면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또는 콘크리트 구축물이나 교량의 상판을 구축하기 위하여 거푸집패널 위에 배설되는 철근을 받쳐주는 철근받침구를 받침몸체와 결속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받침몸체는 콘크리트몰탈과 친화력이 있는 시멘트몰탈로 구성함에 있어 그의 저면에는 복수의 받침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거푸집패널의 상면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슬라브의 구축 완료 후 거푸집패널을 철거하였을시 슬라브의 저부에 시멘트몰탈로 된 철근받침구의 받침몸체 저면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결속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결속부재의 앵커부는 받침몸체의 상면에서 매부로 매립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철근을 지지하는 지지부는 받침몸체의 상면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철근을 붙잡아 줄 수 있도록 하므로써 거푸집패널 위에 일정높이로 배설되는 철근들을 항시 제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붙잡아 줄 수 있는 철근받침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멘트몰탈로 형성되는 철근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받침구는 시멘트몰탈로 형성되어 거푸집패널 위에 지지되는 받침몸 체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몸체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결속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몸체의 저면에는 거푸집패널의 상면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돌기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채 상기 받침몸체의 상면에서 내부로 박힌 상태로 고정되는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의 상단에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받침몸체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지지되는 날개부와, 상기 앵커부의 상방에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철근을 삽입시킬 수 있게 상단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날개부의 상면에서 서로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개구된 상단 양측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철근을 탄력적으로 붙잡아주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패널 위에 일정높이로 배설되는 철근들을 탄력적으로 붙잡아줌과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므로써 철근을 설치하는 작업자들이 배설된 철근을 밟고 이동하면서(걸어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되더라도 기 배설된 철근들이 제위치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므로 철근을 설계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거푸집패널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슬라브 구축을 완료한 후 거푸집패널을 철거하였을 때 구축된 슬라브의 저면에 시멘트몰탈로 된 철근받침구의 지지몸체 저면이 은폐된 상태가 되어 종래와 같이 슬라브의 저부에 노출되는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의 저면을 은폐시키기 위해 추가로 미장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써 슬라브의 구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 받침구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철근받침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의 받침몸체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의 결속부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철근받침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철근받침구(1)는 시멘트몰탈로 성형되는 받침몸체(2)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 결속부재(3)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철근받침구(1)의 받침몸체(2)는 성형틀에 시멘트몰탈을 충진시켜서 경화시키는 구조로 성형되는 것이며, 상기 받침몸체(2)의 저면에는 철근받침구(1)를 거푸집패널(4)의 상면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21)가 등각도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철근받침구(1)의 결속부재(3)는 받침몸체(2)를 성형하기 위해 성형틀에 충진되는 시멘트몰탈의 상면에 일부는 박히고 일부는 돌출하도록 결합되어 철근받 침구(1)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결속부재(1)는 시멘트몰탈로 성형되는 받침몸체(2)의 상면에서 내부로 박히게 되는 앵커부(31)와, 상기 앵커부의 외면에 돌출되어 앵커부(31)를 받침몸체(2)에 견고하게 박혀있도록 하는 복수의 돌기(32)와, 상기 앵커부(31)의 상단에서 좌,우측을 향해 수평상으로 돌출하는 날개부(33)와, 상기 날개부의 저면에 돌출되어 받침몸체(2)의 상면에 박히게 되는 돌편(34)과, 상기 앵커부(31)의 상단에 철근을 지지하도록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면(35)과, 상기 지지면(35)을 기준하여 그 양측의 날개부(33)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측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휘어진 상태로 돌출되고 상단은 개구된 상태 형성되는 지지부(36)와, 상기 양측 지지부(36) 사이에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수용공간(37)과, 상기 양측 지지부(36)의 상단 각각에 내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단면(38a)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삽입단부(38)와, 상기 양측 삽입단부(38) 각각에서 수용공간(37)을 향해 연장 형성된 탄성편(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부재(3)의 양측 날개부(33) 각각은 시멘트몰탈로 된 받침몸체(2)의 상면에서 돌출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상기 받침몸체(2)를 성형하는 성형틀에 시멘트몰탈을 충진시키고 결속부재(3)의 앵커부(31)를 시멘트몰탈에 박아줄 때 양측 날개부(33)가 성형틀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므로써 상기 받침몸체(2)에 결속부재(3)를 결합시킬 때 앵커부(31)는 받침몸체(2) 속으로 삽입되고 양측 날개부(33)는 받침몸체(2)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철근받침구(1)의 받침몸체(2)는 거푸집패널(4) 위에 설치될 때 그 저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21)들에 의해 상기 철근받침구(1)는 거푸집패널(4)의 상면에 점접촉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며, 이어서 상기 거푸집패널(4) 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슬라브 등을 구축하게 될 때 상기 받침몸체(2)의 저면에 돌출된 복수의 돌기(21)들 사이사이로 콘크리트몰탈이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슬라브 등의 구축공정이 완료된 후 거푸집패널(4)을 해체 철거하였을 때 슬라브의 저부에는 거푸집패널(4)의 상면에 점접촉되어 있던 복수의 돌기(21)만 노출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한 복수의 돌기(21)들은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마치 콘크리트몰탈에 혼합되어 있는 자갈이 노출된 것처럼 보이게 될 뿐 쉽게 드러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철근받침구(1)의 결속부재(3)는 거푸집패널(4)에 지지되고 있는 받침몸체(2)의 상면에서 내부로 박혀있는 앵커부(31)에 의해 상기 받침몸체(2)와 혼연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앵커부(31의 상단 좌,우측을 향해 형성된 날개부(33)에 의해 받침몸체(2)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될 뿐 아니라 양측 지지부(36)가 상기 받침몸체(2)의 상면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바, 이에 따라 상기 결속부재(3)의 양측 지지부(36)의 상단에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양측 삽입단부(38)는 받침몸체(2)의 상면 중심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는 결속부재(3)의 양측 삽입단부(38)에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 경사단면(38a) 사이에 철근(5)을 위치시키고 하향으로 눌러주는 동작으로 철근(5)을 양측 지지부(36) 사이의 수용공간(37)으로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양측 경사단부(38a) 사이로 철근(5)이 삽입됨에 따라 양측 지지부(36)가 탄력적으로 벌어지게 되므로써 상기 철근(5)이 수용공간(37)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수용공간(37)으로 삽입된 철근(5)은 지지면(35)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되며, 또한 양측 삽입단부(38)의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양측 탄성편(39)은 도 4의 가상선부분과 같이 수용공간(37)으로 삽입되는 철근(5)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철근(5)을 탄성복원력으로 지지하고 있게 되므로 상기 철근(5)은 결속부재(3)에 견고하게 붙잡혀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거푸집패널(4) 위에 철근을 배설하는 작업시 철근받침구(1)에 고정 설치된 철근(5)을 밟고 걸어가게 되더라도 상기 철근받침구(1)에 지지되어 있는 철근(5)들은 결속부재(3)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이에 따라 슬라브에 매립되는 철근은 설계대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슬라브를 설계상의 강도가 유지되도록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철근받침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의 받침몸체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의 결속부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근받침구 2 : 받침몸체
21 : 돌기 3 : 결속부재
31 : 앵커부 32 : 돌기
33 : 날개부 35 : 지지면
36 : 지지부 37 : 수용공간
38 : 삽입단부 39 : 탄성편
4 : 거푸집패널 5 : 철근

Claims (3)

  1. 시멘트몰탈로 형성되는 철근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받침구는 시멘트몰탈로 형성되어 거푸집패널 위에 지지되는 받침몸체와,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몸체의 상면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결속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몸체의 저면에는 거푸집패널의 상면에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는 복수의 받침돌기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복수의 돌기가 돌출된 채 상기 받침몸체의 상면에서 내부로 박힌 상태로 고정되는 앵커부와, 상기 앵커부의 상단에서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어 받침몸체의 상면에 수평상으로 지지되는 날개부와, 상기 앵커부의 상방에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철근을 삽입시킬 수 있게 상단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날개부의 상면에서 서로 대칭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개구된 상단 양측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 어 삽입되는 철근을 탄력적으로 붙잡아주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구.
KR1020090012408A 2009-02-16 2009-02-16 철근 받침구 KR101127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08A KR101127772B1 (ko) 2009-02-16 2009-02-16 철근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08A KR101127772B1 (ko) 2009-02-16 2009-02-16 철근 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88A true KR20100093288A (ko) 2010-08-25
KR101127772B1 KR101127772B1 (ko) 2012-03-23

Family

ID=4275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08A KR101127772B1 (ko) 2009-02-16 2009-02-16 철근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772B1 (ko) * 2021-11-01 2022-10-28 강성부 인서트 일체형 철근 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902Y1 (ko) * 1992-08-17 1996-08-12 송유섭 철근 받침대
KR200390405Y1 (ko) * 2005-05-07 2005-07-21 조홍준 철근 받침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772B1 (ko) * 2021-11-01 2022-10-28 강성부 인서트 일체형 철근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772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KR100792161B1 (ko) 현장타설용 팽이파일
KR101127772B1 (ko) 철근 받침구
CN208762857U (zh) 一种桥梁工程用钢混减振墩柱
KR100694586B1 (ko)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지하외벽 구조
KR200238498Y1 (ko) 보강망 장치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CN210164241U (zh) 一种预设模板的预制边梁
JP3101229B2 (ja) 鉄筋スペーサ
CN108661246A (zh) 一种多功能砼预制块
KR100550469B1 (ko) 자재 반입구의 프리캐스트화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JP7382557B1 (ja) 建物の立ち上がり基礎の逆u字形捨て型枠
KR100372827B1 (ko) 콘크리트 타설면 레벨포인터
KR101128038B1 (ko) 상하근 겸용 철근조립용스페이스
KR0134427Y1 (ko)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KR100557228B1 (ko) 건축용 규격화된 타일판넬의 부착방법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KR20230075023A (ko) 거푸집과 동바리 조립체
TWM434798U (en) Water-stop wall and assembly members for forming the same
KR101825489B1 (ko) 철근 고정장치
KR200146353Y1 (ko) 천정마감용 앵커 시공장치
JPH11323955A (ja) 型枠用セパレ―タ及びこのセパレ―タを用いたコンクリ―ト打設用型枠
TWI537458B (zh) 止水墩及其製作方法
KR200184342Y1 (ko) 철근구조물의 철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