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954A -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접촉 센서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 Google Patents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접촉 센서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954A
KR20100092954A KR1020107012937A KR20107012937A KR20100092954A KR 20100092954 A KR20100092954 A KR 20100092954A KR 1020107012937 A KR1020107012937 A KR 1020107012937A KR 20107012937 A KR20107012937 A KR 20107012937A KR 20100092954 A KR20100092954 A KR 2010009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lade
stripping device
output signal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휘타커
하랄트 비흘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9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5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wire-insulation st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4Electrical device making including measuring or testing of device or component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274Means to disassemble electric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절연체를 컷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블레이드(100)를 포함하는 케이블 절연체의 부분적인 제거를 위한 절연 스트립핑 장치, 및 이러한 타입의 절연 스트립핑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조절 수단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들을 마감하기 위한 방법 및 절연 스트립핑 장치에서 블레이드(100)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절연 스트립핑 장치는 용량성 센서 유닛을 포함하며, 용량성 센서 유닛은 전도성 블레이드(100)에 연결되고 전도성 블레이드(100)가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에 접촉하는 경우 출력 신호를 방출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접촉 센서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INSULATION STRIPPING DEVICE COMPRISING A CONTACT SENSOR AND ADJUSTMENT MEANS FOR AN INSULATION STRIPP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절연체를 컷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케이블 절연체의 부분적인 제거를 위한 절연 스트립핑 장치(insulation stripping device), 및 절연 스트립핑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조절 수단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케이블들을 마감(finish)하기 위한 방법, 및 절연 스트립핑 장치에서 블레이드 위치를 변경 및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된 케이블들이 마감될 때, 케이블들을 둘러싸는 절연 코팅은 제거되어, 케이블의 전기 도선(electrical conductor)을 노출시킨다. 이러한 "절연-스트립핑(insulation-stripping)"은 통상적으로 종종 크림핑 콘택(crimping contact)들 같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합(complex) 케이블 마감 스테이션들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작동되는 수공구(hand tool)들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타입들의 수공구들은 미국특허 제6,324,945호 B1 또는 미국특허 제6,505,399호 B2에 명시된 것처럼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절연 스트립핑 장치들에서, 컷팅 수단의 위치, 즉 블레이드 위치설정이 케이블 치수들에 대하여 부정확하게 적응(adapt)되는 경우, 전체 케이블 및 전기 도선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가 너무 깊이 컷팅하여 케이블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는 케이블에 인접하여 사실상 인지되지 않는 약한 스폿들이 생기고 케이블에 틈들(fractures)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을 나타낸다. 심지어 손상은 케이블이 연결되는 컴포넌트들의 결함을 유발하여, 발견(locate) 및 수리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 결함들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에 대한 선재하는(pre-existing) 손상을 효율적으로 발견하고 마감된 케이블 단부들의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그러한 방식으로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존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들의 견실성(consistency)을 증가시키는 것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청구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점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청구대상이다.
본 발명은 전도성 블레이드가 케이블의 도선에 접촉할 때 전기 출력 신호를 방출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의 전기 전도성 블레이드들 중 하나에 연결된 용량성 센서(capacitive sensor)를 포함한다.
국제 특허출원 WO 2007/106628 A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접촉을 검출(detect)하기 위한 E-필드 센서의 개념이 인식된다.
본 발명에 따라, AC 전압 소스는 AC 전압을 절연 스트립핑 장치의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들에 인가하고, 검출기 유닛(detector unit)은 접지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의 커패시턴스를 검출한다. 절연체에서 스트립되는(stripped) 케이블은 가상 접지를 나타내고, 측정된 커패시턴스는 블레이드들이 케이블의 전기 도선과 전도성 접속될 때 변경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후속적인 제조 프로세스들을 중단하기 위해 또는 경보(warning)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는 출력 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점들은 바람직하게는 폐기물(waste)의 감소 뿐만 아니라 신뢰성 증가 및 비용 절약들을 유발한다. 또한, 절연 스트립핑 장치와 조절 수단을 통합하면 크림핑 프로세스와 같은 임의의 후속적인 단계들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다한 제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학적 또는 음향학적 경보 수단으로서 작동하는 수공구와 통합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경보 기능은 컷팅 장치들, 즉 블레이드들이 케이블의 도선과 접촉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즉시 경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또한 크림핑 콘택들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합 케이블 마감 장치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른 기능들은 케이블들의 컷팅 및 절연 스트립핑과 더불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는 용량성 센서 유닛이 블레이드 및 전기 도선 사이의 접촉을 검출했을 때 임의의 후속적인 프로세스들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또한 광학적 및/또는 음향학적 경보 기능과 같은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대안으로서의 기능 또는 조합된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가 재교정(re-calibration)을 요구한다는 것이 적절한 시간에 결정될 수 있다. 에러가 통지되면, 사용자는 즉시 재교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더 이상 개조가능(retrofittable)할 수 없는 현존하는 케이블 장치의 교정에 있어서 별도의 조절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는 조절 수단을 마감되는 케이블 도선의 짧은 부분(short piece)에 연결하고, 조절되는 장치의 블레이드들로 절연 스트립핑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블레이드가 깊이 컷팅하는 경우, 케이블의 도선이 손상되고, 조절 수단은 다이얼링 톤(dialling tone)과 같은 경보 신호를 제공한다. 이 때, 사용자는 경보 신호 없이(absence) 컷팅 블레이드들의 적절한 교정을 나타낼 때까지 블레이드를 조절할 수 있어서, 더 이상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 존재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의 블레이드 위치의 조절은 간략화될 수 있고 보다 정확할 수 있다.
회로와 같은 조절 수단은 크림핑 도구(crimping tool)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는 소형(hand-held)의 휴대가능한 배터리-동작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조절 수단은 블레이드들에 부착되지 않는다. 오히려, 제공된 케이블 도선의 짧은 부분이 클램프에 의해 테스트 장치에 연결된다. 이 때, 케이블 도선의 이러한 부분은 컷팅 장치에 가이드된 다음, 절연체가 스트립된다. 블레이드들 중 하나가 케이블에 접촉하는 경우, 경보 신호가 생성된다.
감도(sensitivity) 제어기들은 사용자가 센서 유닛을 측정 환경의 각 상황들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제 이하의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걸쳐서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들 및 동일한 컴포넌트 인용들이 제공된다. 더욱이, 도시되고 설명되는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특징들 또는 특징 조합들은 또한 본 발명 내에 포함되는 솔루션들 또는 진보적인 솔루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그 사용 환경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E-필드 센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회로 배선도이다.
도 3은 크림핑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출력 단자의 회로 배선도이다.
도 4는 블레이드들에 연결될 수 있는 단자의 회로 배선도이다.
도 5는 접지의 회로 배선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회로가 장착될 수 있는 회로 보드의 레이아웃 스케치(layout sketch)이다.
도 7은 도 6의 회로 보드의 후방 측면도이다.
도 8은 크림핑 도구에 통합될 수 있는 용량성 센서 유닛의 제 2 실시예의 회로 배선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로 이하의 문단들에서 보다 정확히 설명된다.
도 1은 블록도 형태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절연 스트립핑 장치의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들(100)은 부하 저항기(RL)를 통해 AC 전압 생성기(102)에 연결된다. 스트레이(stray) 커패시턴스(CS)는 점선으로 나타낸다.
블레이드(100) 상의 정현 전압(sinusoidal voltage)의 진폭 및 위상은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블레이드(100)에 인접하는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과 같은 전기 전도성 물체들에 의해 영항을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물체들은 절연체가 스트립되는 케이블의 전기 전도성 코어이다. 일 형태의 커패시터는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 및 블레이드(100) 사이에 형성되며, 여기서 2개의 컴포넌트들은 전하를 운반하는 커패시터 플레이트로서 작용한다.
노드(106)에서 검출될 수 있는 전압은 측정이 이루어지는 블레이드, 및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 사이의 커패시턴스에 반비례한다. 검출기(108) 및 저역 통과 필터(110)는 신호를 평가 유닛(112)에 가이드한다. 평가 유닛(112)은 예를 들어, 측정된 전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 및 측정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출력 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평가 유닛은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에 블레이드(100)가 접촉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용량성 센서 유닛의 제 1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회로는 절연 스트립핑 및 후속적인 크림핑을 수행하는 복합 케이블 마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적합하다. 또한, 크림핑 대신에, 납땜, 플러그 커넥터 장착 또는 억지 끼움(force fitting)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처리 단계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C 전압 생성기로서 기능하는 오실레이터, R1, R2, R3, C1, IC1A에 의해 베이스 신호로서 57 kHz의 주파수를 갖는 정현 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PR로 나타낸 단자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의 2개의 블레이드들에 부착된다. 실제 측정이 수행되기 이전에, 전위차계 POT_A에서 기본 커패시턴스가 조절된다. 프로세스에서, 접지에 대한 측정 지점 TP_A에서 특정한 전압값이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회로에서, 전위차계 A의 저항값은 22.0 V의 전압값이 정지 상태(resting state)의 측정 지점 TP_A에서 측정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정된다.
더욱이, 감도는 테스트 지점 TP_B의 전압은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되도록 전위차계 POT_B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2개의 기능들은 또한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는 휴대가능한 크림핑 도구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바람직하다.
증폭기 IC1B는 노드 지점(106)에서 측정될 수 있는 측정을 위한 신호를 증폭하고, 비교기 IC2B는 측정된 커패시턴스를 기준값(reference)과 비교한다. 결과적인 차이가 저항기들 R9 및 R8에 의해 규정된 임계값들을 초과하는 경우, 노드 지점(114)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2개의 방식들로 본 회로에 의해 사용되는 출력 신호를 방출한다. 한편, 도선을 갖는 블레이드의 접촉이 검출되는 경우, 출력 SIG에서 정지(stop) 신호가 방출되고 후속적인 크림핑 프로세스를 정지시킨다. 더욱이, 사용자가 결함을 즉시 인식할 수 있고 카운터 측정값들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LED(LED1)가 동작된다. 또한, 수행되는 각 기능들을 위해 충분히 오래 신호를 버퍼링(buffer)하는 홀딩(holding) 회로들은 노드(114) 및 각 출력 엘리먼트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회로가 구성될 수 있는 회로 보드의 일 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도 8은 크림핑 도구에 사용되기 위해, 특히 전류 소모 및 구성 사이즈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최적화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기본 기능은 도 2의 기본 기능과 일치한다. 회로의 첫번째 2개의 컴포넌트들 IC5' 및 IC4'는 상대적으로 낮은 배터리 전압(즉, 4개의 1.5V 셀들 또는 9V 블록)이 사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한편, 보다 높은 전압, 적어도 10V의 공급 전압을 갖는 배터리는 또한 오실레이터를 위해 이용가능하다. 컴포넌트 IC5'는 "낮은 강하(low drop)" 전압 레귤레이터(regulator)로서 공지된 것이고, 컴포넌트 IC4'는 5V 내지 10V의 전압 더블러(doubler)이다.
컴포넌트 IC1'는 초기 커패시턴스를 자동으로 밸런싱(balancing)하기 위한 회로 및 오실레이터 둘다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부 조절가능한 전위차계가 필요하지 않다. 컴포넌트 IC1'는 또한 컷팅 장치에서의 커패시턴스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출력 전압을 핀(7)에 제공한다.
컴포넌트 IC2'는 그 반응성(responsiveness), 즉 블레이드들에서의 감도가 저항기 R7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비교기이다. 컴포넌트 IC3'는 타이밍 엘리먼트이고, 본 경우에 LED D12'로서 구성되는 시그널링을 위한 제어 시스템을 형성한다. 더욱이,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소형 버저(buzzer)는 자유 단부 XS2에 부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들 및 배터리로의 커넥션들은 커넥터 스트립(connector strip) XS1에 부착된다.
자동적인 셧오프(shut-off) 및 배터리 용량의 표시(indication)는 사용자가 장치를 스위치 오프하는 것을 잊은 경우에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회로 변형예는 회로가 외부 장치에 제공되고 블레이드들을 갖는 커넥터 스트립 XS1에 연결되는, 더 이상 개조가능할 수 없는 임의의 현재의 케이블 마감 장치들을 위한 조절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블레이드 위치가 충분히 바람직하지 않은(unfavorable) 경우, 즉 컷팅 장치로 절연 스트립핑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 케이블의 전도성 배선(wire)이 손상되는 경우, 경보 신호가 방출되고, 절연 스트립핑 프로세스 동안 경보가 더 이상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사용자는 블레이드들을 조절한다. 따라서, 조절 프로세스는 매우 효과적이고 시간 절약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5)

  1. 케이블 절연체(insulation)의 부분적인 제거를 위한 절연 스트립핑(stripping) 장치로서,
    상기 케이블 절연체를 컷팅(cutting through)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블레이드(blade)(100)
    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스트립핑 장치는 용량성(capacitive)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량성 센서 유닛은 상기 전도성 블레이드(100)에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블레이드가 상기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에 접촉하는 경우 출력 신호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센서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00)에 연결되는 AC 전압 생성기(10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와 규정된(defined) 전위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유닛(108); 및
    검출된 상기 커패시턴스의 함수로서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평가 유닛(112)
    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경보 광(warning light) 또는 버저(buzzer)를 동작시키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검출된 상기 커패시턴스를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IC2B, IC2')를 더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00)는 상기 절연 스트립핑 장치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112)은 감도(sensitivity)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 레귤레이터(regulator)를 더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스트립핑 장치는 크림핑 도구(crimping tool)로서 형성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마감(finishing) 장치로서 크림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는 상기 크림핑 장치에서의 크림핑 프로세스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9. 케이블 절연체의 부분적인 제거를 위한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조절 수단으로서,
    상기 절연 스트립핑 장치는 상기 케이블 절연체를 컷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블레이드(1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수단은 용량성 센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용량성 센서 유닛은 조절 프로세스 동안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에 연결되어 상기 전도성 블레이드가 상기 케이블의 전기 도선(104)에 접촉할 때 출력 신호를 방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조절 수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센서 유닛은,
    상기 전기 도선(104)에 연결되는 AC 전압 생성기(10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와 규정된 전위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 유닛(108); 및
    검출된 상기 커패시턴스의 함수로서 상기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평가 유닛(112)
    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조절 수단.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신호는 경보 광 또는 버저를 동작시키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조절 수단.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검출된 상기 커패시턴스를 기준값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IC2B, IC2')를 더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조절 수단.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112)은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도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조절 수단.
  14. 케이블들을 마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블레이드에 의해 케이블로부터 절연체를 스트립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와 규정된 전위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케이블의 도선에 접촉했다는 것을 상기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나타내는 경우 출력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케이블들을 마감하기 위한 방법.
  15. 절연 스트립핑 장치에서 블레이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방법으로서,
    상기 블레이드 위치를 사전-조절(pre-adjust)하는 단계;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절 수단을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의 도선에 연결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케이블로부터 상기 절연체를 스트립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와 규정된 전위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블레이드가 상기 케이블의 도선에 접촉했다는 것을 상기 커패시턴스의 변화가 나타내는 경우 출력 신호를 방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신호가 더 이상 방출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블레이드 위치를 재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방법.
KR1020107012937A 2007-11-12 2008-11-06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접촉 센서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KR20100092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3825.3 2007-11-12
DE102007053825.3A DE102007053825B4 (de) 2007-11-12 2007-11-12 Abisoliervorrichtung mit Berührungssensor und Justierhilfe für eine Abisolier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954A true KR20100092954A (ko) 2010-08-23

Family

ID=4032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937A KR20100092954A (ko) 2007-11-12 2008-11-06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접촉 센서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51857A1 (ko)
EP (1) EP2210322A1 (ko)
JP (1) JP2011504077A (ko)
KR (1) KR20100092954A (ko)
CN (1) CN101855802A (ko)
DE (1) DE102007053825B4 (ko)
MX (1) MX2010005313A (ko)
WO (1) WO20090626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369A (ko) * 2013-03-21 2015-12-02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툴에 의한 도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7967B4 (de) 2008-08-08 2023-06-1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Abisolierung von Leitungsenden
DE102011084099A1 (de) * 2011-10-06 2013-04-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isolieren eines Drahtes
DE202011107872U1 (de) * 2011-11-14 2013-02-18 Schäfer Werkzeug- und Sondermaschinenbau GmbH Litzenschnitterkennung
JP6122000B2 (ja) * 2012-06-28 2017-04-26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電線処理装置および電線処理装置の電線状態検出方法
EP2717399A1 (de) 2012-10-08 2014-04-09 Komax Holding AG Verfahren zum Abisolieren eines Kabels
EP2722949A1 (de) 2012-10-18 2014-04-23 Komax Holding AG Leiterdetektion bei einem Kabelabisolierprozess
CN103107476B (zh) * 2013-01-24 2015-12-23 昆山市佰奥自动化设备科技有限公司 线缆位置调整机构
EP2919340B1 (de) 2014-03-11 2018-05-30 Komax Holding AG Verfahren zum Bestimmen von Abisolierparametern zum Abisolieren eines Kabels
CN103968748B (zh) * 2014-05-29 2016-09-07 日照阳光电力设计有限公司 线缆金属包覆带搭接宽度自动监测装置及监测方法
DE102014116344B3 (de) * 2014-11-10 2016-03-31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und/oder Steuern einer Abisoliereinrichtung für ein Kabel
EP3035460B1 (de) 2014-12-17 2017-09-06 Komax Holding AG Schneideinheit zum Abisolieren von Kabeln
EP3895266A1 (de) * 2018-12-14 2021-10-20 Schleuniger AG Einrichtung zum schneiden, zentrieren oder halten eines kabels in einem abisolierkopf sowie eine kabelabisoliervorrichtung
DE102019203708A1 (de) * 2019-03-19 2020-09-24 Schäfer Werkzeug- und Sondermaschinenbau GmbH Abisoli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9937B (de) 1953-04-27 1961-12-21 Amp Inc Verfahren zum UEberwachen von Maschinen zum Abisolieren des Endes von isolierten Kabeln
US4999910A (en) * 1990-05-10 1991-03-19 The Boeing Company Rotary wire stripper and method of using
DE4025380C1 (en) * 1990-08-10 1991-10-31 Horst Dr. 8530 Neustadt De Nahr Partially stripping sleeve of electrical lead or optical fibre - protecting against damage by comparing physical value characterising quality with stored rated profile in real=time
JPH06253430A (ja) 1993-03-02 1994-09-09 Japan Automat Mach Co Ltd 被覆電線の切込み量設定装置
JPH0787643A (ja) 1993-09-14 1995-03-31 Fujikura Ltd 芯線傷検出装置
DE69915340T2 (de) * 1998-11-30 2004-07-22 The Siemon Co., Watertown Vorbereitungswerkzeug für abgeschirmte kabel
JP3261529B2 (ja) 1999-06-08 2002-03-04 アサヒ精機株式会社 被覆電線の剥皮装置
EP1901026A1 (de) * 2005-10-05 2008-03-19 komax Holding AG Einrichtung zur Bestimmung des Leiterdurchmessers eines Kabels
US7432725B2 (en) * 2006-03-15 2008-10-0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ical field sensors for detecting fluid presence or level
CN200959478Y (zh) * 2006-04-26 2007-10-10 启基永昌通讯(昆山)有限公司 气动同轴线剥线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369A (ko) * 2013-03-21 2015-12-02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툴에 의한 도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2629A1 (en) 2009-05-22
DE102007053825B4 (de) 2017-10-19
DE102007053825A1 (de) 2009-05-20
CN101855802A (zh) 2010-10-06
US20100251857A1 (en) 2010-10-07
EP2210322A1 (en) 2010-07-28
JP2011504077A (ja) 2011-01-27
MX2010005313A (es)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2954A (ko) 절연 스트립핑 장치를 위한 접촉 센서 및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절연 스트립핑 장치
US6481939B1 (en) Tool tip conductivity contact sensor and method
US6100679A (en) Voltage indicating instrument
AU2003302594A1 (en) Live finger detection by four-point measurement of complex impedance
US20050142957A1 (en) Method and device system for testing electrical components
JP2009198487A (ja) 漏液検知システム及び漏液検知方法
EP0441291B1 (en) Withstand-voltage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JPH0518791A (ja) 非接触距離計測用センサ装置
CN210015224U (zh) 电气连接检测装置
JPH07236214A (ja) 芯線傷検出装置
CN115931171A (zh) 一种具有测温功能的电能表检定装置
CA2456361C (en) Electrical safety device
KR101953070B1 (ko) 탈부착용 검전기
CN209913074U (zh) 接线夹
CN220188616U (zh) 一种感应式验电装置
JP7199749B1 (ja) 電流特定装置及び校正方法
JPH07171743A (ja) 加工品加工用ノズル
CN219105133U (zh) 一种通断测试仪
CN214375150U (zh) 基于测试机中继电器控制单元的检测装置
KR0128540Y1 (ko) 멀티미터의 위험예방 경고장치
KR19990024119A (ko) 전선 탈피 깊이 자동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950009541Y1 (ko) 방전기능을 갖는 절연저항 측정기
KR101692476B1 (ko) 레이더부품 점검장치
JP2021128121A (ja) 検電器
KR200243769Y1 (ko) 활선점검이가능한절연저항검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