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070B1 - 탈부착용 검전기 - Google Patents

탈부착용 검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070B1
KR101953070B1 KR1020180121451A KR20180121451A KR101953070B1 KR 101953070 B1 KR101953070 B1 KR 101953070B1 KR 1020180121451 A KR1020180121451 A KR 1020180121451A KR 20180121451 A KR20180121451 A KR 20180121451A KR 101953070 B1 KR101953070 B1 KR 10195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insertion hole
electric lead
senso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88Hand-held or hand-manipulated probes, e.g. for oscilloscopes or for portable test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용 검전기는, 전기 리드선의 외측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에 연결되며, 활선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용 검전기{Detachable Electrode}
본 발명은 탈부착용 검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연 저항계는 전기기기의 절연 건전성 확인을 위해 해당기기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절연 저항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기의 정전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사례가 종종 방생되어 서로 다른 전원간의 단락에 의하여 인명 및 설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절연 저항계의 활선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검전기를 휴대해야하는 불편함 때문에 검전 작업이 생략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절연 저항계 및 검전기를 각각 따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기기의 활선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검전기를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절연 저항계에 검전기를 장착시켜, 절연 저항계 및 검전기를 각각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탈부착용 검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리드선의 외측에 결합되는 탈부착용 검전기는, 전기 리드선을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연결되며, 활선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를 포함하며, 삽입홀의 내주면의 폭은, 전기 리드선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삽입홀에 전기 리드선이 끼워졌을 시, 탄성재질에 의하여, 삽입홀과 전기 리드선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밀착됨으로써, 결합부는 전기 리드선을 붙들고 있는 힘이 작용되어 전기 리드선에 고정되도록 구성됩니다.
삭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검전기를 이용하면, 절연 저항계에 검전기를 장착시켜, 소지 장비 개수를 줄임과 동시에, 기기의 활선 여부 측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용 검전기가 전기 리드선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드선으로부터 분리된 탈부착용 검전기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5는 탈부착용 검전기의 삽입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절연 저항계는 전기기기의 절연 건전성 확인을 위해 해당기기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절연 저항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기의 정전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작업자는 절연 저항계의 활선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검전기를 따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검전 작업을 생략하게 되어, 기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단락에 의한 인명 및 설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용 검전기는 절연 저항계 및 검전기를 각각 따로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탈부착용 검전기를 절연 저항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소지 장비 개수를 줄임과 동시에, 기기의 활선 여부 측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설비사고를 방지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용 검전기가 전기 리드선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리드선으로부터 분리된 탈부착용 검전기의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5는 탈부착용 검전기의 삽입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용 검전기(100)는 결합부(10)와, 검사부(20)를 포함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0)에는 전기 리드선(2)의 외측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11)이 형성된다. 삽입홀(11)을 통해 탈부착용 검전기(100)는 전기 리드선(2)에 끼워질 수 있다.
검사부(20)는 결합부(10)에 연결되며, 활선 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10)를 통해, 탈부착용 검전기(100)는 전기 리드선(2)에 결합될 수 있어, 소지 장비 개수를 줄일 수 있다.
결합부(10)는 전기 리드선(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된다. 결합부(10)는 전기 리드선(2)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탄성재질은 고무일 수 있다. 결합부(1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0)는 신축성이 있어, 특정 힘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힘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0)는 고장력 고무재질의 튜브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삽입홀(11)을 통해, 탈부착용 검전기(100)를 전기 리드선(2)에 결합시키게 되면, 결합부(10)는 복원력에 의하여 전기 리드선(2)에 밀착될 수 있다.
탈부착용 검전기(100)는 전기 리드선(2)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작업자가 특정 힘을 인가하여, 전기 리드선(2)으로부터 탈부착용 검전기(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에 전기 리드선(2)이 연결된 절연 저항계(1)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기 않고, 전기 리드선(2)은 절연 저항계(1), 전압기, 전류기 등에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전기 리드선(2)은 전기 기기에 장착된 전기 리드선이면 모든 만족한다.
검사부(20)는 센서부(21), 발광부(22), 경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는 활선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1)는 비접촉식 검전기일 수 있다. 센서부(21)는 활선 근방에서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인식할 수 있다.
일예로, 센서부(21)는 AC 전용 100~7000VAC 전원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거리는 50cm 이내일 수 있다.
발광부(22)는 센서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22)는 활선 상태일 시,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22)와 센서부(21)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경보부(23)는 센서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경보부(23)는 활선 상태일 시, 경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보부(23)와 센서부(21)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검사부(20)는, 전원을 공급 혹은 차단하는 스위치(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활선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부(21)를 동작시키면, 활선 상태일 시, 센서부(21)는 유도되는 자계와 그로 인한 유도전류를 통해, 발광부(22) 및 경보부(23)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선 상태가 아닐 시, 센서부(21)는 작동하지 않게 되어, 전기 리드선(2)을 통해, 기기에 접촉시켜,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액정(5)을 통해 절연 저항 측정치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절연 저항계(1)의 리드선(2)에 탈부착용 검전기(100)가 구비되어, 센서부(21)에 유도되는 활선 신호 여부로써 대상 기기의 활선 상태를 확인하고, 활선 상태이면, 대상 기기의 전원 스위치(24)를 오프 시킨 후, 탈부착용 검전기(100)를 통해 다시 활선 상태인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선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저항계(1)의 접지 리드선(3)을 접지단자에 연결하고, 전기 리드선(2)을 대상 기기의 전원단자에 접촉시켜 절연 저항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항상 활선 여부를 미리 점검할 수 있어, 감전사고 및 절연 저항계(1)의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리드선(2)의 길이방향에 대응된 방향으로, 결합부(10)의 일측의 삽입홀(D1)과, 타측의 삽입홀(D2)의 크기는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0)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일측의 삽입홀(D1)과, 타측의 삽입홀(D2)은 전기 리드선(2)의 외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탈부착용 검전기(100)는 여러 형태의 절연 저항계의 전기 리드선(2)에 결합되기 위하여, 각각의 절연 저항계(1)의 전기 리드선(2)의 사양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리드선(2)의 길이방향에 대응된 방향으로, 결합부(10)의 일측의 삽입홀(D1)과, 타측의 삽입홀(D2)의 크기가 각각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전기 리드선(2)의 접촉면(4)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보다 작아질 경우, 일측의 삽입홀(D1) 보다 타측의 삽입홀(D2)의 크기가 보다 작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전기 리드선(2)의 두께 보다 삽입홀(D1,D2)의 크기가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0)는 신축성이 있어, 특정 힘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힘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삽입홀(11)을 통해, 탈부착용 검전기(100)를 전기 리드선(2)에 결합시키게 되면, 탄성 재질에 의하여, 결합부(10)는 전기 리드선(2)에 밀착될 수 있다.
이는, 절연 저항계(1)의 전기 리드선(2)에 탈부착용 검전기(100)를 장착시킬 수 있어, 소지 장비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기기의 활선 여부 측정이 가능해짐으로써, 설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절연 저항계 2: 전기 리드선
10: 결합부 11: 삽입홀
20: 검사부 21: 센서부
22: 발광부 23: 경보부
24: 스위치

Claims (8)

  1. 전기 리드선의 외측에 결합되는 탈부착용 검전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리드선을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며, 활선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의 폭은, 상기 전기 리드선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 상기 전기 리드선이 끼워졌을 시, 상기 탄성재질에 의하여, 상기 삽입홀과 상기 전기 리드선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기 리드선을 붙들고 있는 힘이 작용되어 상기 전기 리드선에 고정되는 탈부착용 검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리드선의 길이방향에 대응된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일측의 삽입홀과, 타측의 삽입홀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형성된 탈부착용 검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리드선의 길이방향에 대응된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의 일측의 삽입홀과, 타측의 삽입홀의 크기가 다르도록 형성된 탈부착용 검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 리드선은 절연 저항계, 전압기, 전류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탈부착용 검전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활선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되 활선 시,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되 활선 시, 경보하는 경보부;
    를 포함하는 탈부착용 검전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전원을 공급 혹은 차단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탈부착용 검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된 탈부착용 검전기.
KR1020180121451A 2018-10-12 2018-10-12 탈부착용 검전기 KR10195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51A KR101953070B1 (ko) 2018-10-12 2018-10-12 탈부착용 검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451A KR101953070B1 (ko) 2018-10-12 2018-10-12 탈부착용 검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070B1 true KR101953070B1 (ko) 2019-02-27

Family

ID=6556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451A KR101953070B1 (ko) 2018-10-12 2018-10-12 탈부착용 검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13B1 (ko) 2022-05-24 2023-09-18 고진복 검전기가 내장된 전동공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471U (ko) * 1979-10-01 1981-05-13
JPH06235738A (ja) * 1993-02-10 1994-08-23 Watakiyuu Create:Kk 検電器
JPH0687882U (ja) * 1993-05-28 1994-12-22 中部精機株式会社 検電器
KR20000011764U (ko) * 1998-12-08 2000-07-05 김형국 활선 점검이 가능한 절연 저항 검전기
KR100823299B1 (ko) * 2006-09-12 2008-04-18 한국산업안전공단 계측장비
KR101436457B1 (ko) * 2014-05-22 2014-09-01 전영하 리드선 삽입홀을 포함하는 멀티메타용 테스트 리드 및 리드팁과 리드선의 단선 방지 구조를 가지는 멀티메타 측정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4471U (ko) * 1979-10-01 1981-05-13
JPH06235738A (ja) * 1993-02-10 1994-08-23 Watakiyuu Create:Kk 検電器
JPH0687882U (ja) * 1993-05-28 1994-12-22 中部精機株式会社 検電器
KR20000011764U (ko) * 1998-12-08 2000-07-05 김형국 활선 점검이 가능한 절연 저항 검전기
KR100823299B1 (ko) * 2006-09-12 2008-04-18 한국산업안전공단 계측장비
KR101436457B1 (ko) * 2014-05-22 2014-09-01 전영하 리드선 삽입홀을 포함하는 멀티메타용 테스트 리드 및 리드팁과 리드선의 단선 방지 구조를 가지는 멀티메타 측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13B1 (ko) 2022-05-24 2023-09-18 고진복 검전기가 내장된 전동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785B1 (ko) 각속도센서 점검장치
US3826981A (en) Solid-state high impedance meter system
US20100251857A1 (en) Insulation stripping device comprising a contact sensor and adjustment means for an insulation stripping device
KR100988267B1 (ko) 지중송전계통 절연통보호장치 상시 진단 장치
US20210349139A1 (en) Testing apparatus for detecting insulation resistance of a high voltage line and method for same
ES2726808T3 (es) Sensor de corriente de fuga para aislador del tipo de poste
CN103777112B (zh) 试验仪器接地检测报警装置
US20100301881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testing of an earth connection
KR101469892B1 (ko) 검전기 내장 접지형 엘보커넥터
US6998832B1 (en) High-voltage indic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53070B1 (ko) 탈부착용 검전기
KR102044318B1 (ko) 케이블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JP4443793B2 (ja) 直流用検電器
JP4257839B2 (ja) 電力ケーブル遮蔽導体の接地不良検出装置
US10094858B1 (en) Electrical test assembly shielding user from energized equipment
JP5550062B2 (ja) 接地極付のコンセント
KR101358025B1 (ko) 전기적 연속성 평가 장치
JP5517186B2 (ja) 接地極付のコンセント
JP2006001394A (ja) き電ケーブル監視装置
McNulty Voltage detection and indication by electric field measurement
JP2002148299A (ja) 地絡モニタ
KR200243769Y1 (ko) 활선점검이가능한절연저항검전기
US202002925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voltage detector
JPH069387Y2 (ja) 検電検相器を備えた工事用開閉器
KR20180086875A (ko) 위험전압 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