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2301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2301A
KR20100092301A KR1020090011600A KR20090011600A KR20100092301A KR 20100092301 A KR20100092301 A KR 20100092301A KR 1020090011600 A KR1020090011600 A KR 1020090011600A KR 20090011600 A KR20090011600 A KR 20090011600A KR 20100092301 A KR20100092301 A KR 20100092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power
switch
semiconductor memory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293B1 (ko
Inventor
김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1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293B1/ko
Priority to US12/459,093 priority patent/US8149642B2/en
Priority to JP2009166802A priority patent/JP2010186529A/ja
Publication of KR20100092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6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control or a clock signal, e.g. in order to apply power supp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G11C5/144Detection of predetermined disconnection or reduction of power supply, e.g. power down or power standb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바이모드에서 제1 전원전압이 제1 노드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파워스위치; 및 상기 제1 노드와 제2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스텐바이모드, 래치업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누설전류 및 래치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VDD)과 접지전압(VSS)을 공급받아 내부회로에 필요한 내부전압을 생성하여 사용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회로에 필요한 전압으로는 메모리 코어영역에 공급하는 코어전압(Vcore), 워드라인을 구동하거나 오버드라이빙 시에 사용되는 고전압(Vpp), 코어영역의 앤모스트랜지스터의 벌크(bulk)전압으로 공급되는 백바이어스전압(VBB) 등이 있다.
한편, 휴대폰, PMP, 노트북 등의 모바일 장치는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중 사용이 가능하지만, 배터리의 용량 한계로 사용시간이 제한된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의 사용시간의 제한을 늘리기 위해 모바일 장치에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이하, '모바일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칭함)에서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다 양한 시도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도들 중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 등의 실질적인 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커맨드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스텐바이모드(stand-by mode)에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스텐바이모드에서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스텐바이신호(STB)를 입력받아 내부회로(12)에 전원전압(VDD)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파워스위치(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스텐바이모드에서 내부회로(12)에 전원전압(VDD)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이고 있다.
그런데, 스텐바이 모드에서 파워스위치(10)를 통해 전원전압(VDD)의 공급을 차단하면 내부회로(12)의 입력노드가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되어, 내부회로(12)에 공급되는 전압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불필요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내부회로(12)에 포함된 인버터의 PMOS 트랜지스터가 벌크전압으로 전원전압(VDD)을 공급받는 경우 스텐바이 모드에서 플로팅된 노드의 전압이 PMOS 트랜지스터의 벌크전압으로 공급되어 래치업(latch-up)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텐바이모드에서 전원전압의 공급이 차단되어 플로팅되는 입력노드에 소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누설전류 및 래치업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텐바이모드에서 제1 전원전압이 제1 노드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파워스위치; 및 상기 제1 노드와 제2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원전압을 구동하는 제1 전원전압 구동부; 스텐바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을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1 파워스위치; 제2 전원전압을 구동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2 전원전압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내부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원전압을 구동하는 제1 전원전압 구동부; 스텐바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을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1 파워스위치; 및 상기 제1 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바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을 전달하는 제1 파워스위치; 및 다수의 내부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칩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워스위치를 통해 제1 전원전압이 전달되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1 전원전압(VDD1)을 구동하는 제1 전원전압 구동부(20)와, 스텐바이신호(STB)에 응답하여 제1 전원전압(VDD1)을 노드(nd20)로 전달하는 오프칩 파워스위치(21)와, 제2 전원전압(VDD2)을 구동하여 노드(nd21)로 출력하는 제2 전원전압 구동부(22)와, 노드(nd20) 및 노드(nd21) 사이에 연결된 온칩 파워스위치(24)와, 노드(nd20) 및 노드(nd21) 사이에 연결된 내부회로(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온칩 파워스위치(24)는 내부회로(25)가 형성된 메모리 칩(23)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메모리 칩(23)은 다양한 내부회로들을 포함한다.
오프칩 파워스위치(21)는 스텐바이신호(STB)가 로우레벨로 입력될 때, 즉 스텐바이모드(stand-by mode)에서 제1 전원전압(VDD1)이 노드(nd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노드(nd20)은 플로팅(floating)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온칩 파워스위치(24)를 통해 노드(nd20)이 플로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온칩 파워스위치(24)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해 스텐바이모드에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을 참고하면 온칩 파워스위치(24)의 제1 실시예는 노드(nd20) 및 노드(nd21)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R20)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온칩 파워 스위치(24)에 의해 스텐바이모드에서 노드(nd20)가 플로팅되더라도 제2 전원전압(VDD2)이 공급되는 노드(nd21)의 전압에 의해 노드(nd20)의 레벨은 적정 레벨(제2 전원전압(VDD2)을 저항소자(R20)를 통해 감압시켜 형성된 레벨)로 설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온칩 파워스위치(24)의 제2 실시예는 노드(nd20) 및 노드(nd21) 사이에 직렬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20) 및 저항소자(R21)로 구현된다. 여기서, NMOS 트랜지스터(N20)는 스텐바이모드에서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모드신호(CON)가 입력되는 경우 턴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온칩 파워스위치(24)에 의해 스텐바이모드에서 노드(nd20)가 플로팅되더라도 제2 전원전압(VDD2)이 공급되는 노드(nd21)의 전압에 의해 노드(nd20)의 레벨은 적정 레벨(제2 전원전압(VDD2)을 저항소자(R20) 및 NMOS 트랜지스터(N20)의 턴온저항을 통해 감압시켜 형성된 레벨)로 설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드신호(CON)를 클럭인에이블신호(CKE)로 구현하여 NMOS 트랜지스터(N20)가 파워다운모드에서 턴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온칩 파워스위치(24)의 제3 실시예는 노드(nd20) 및 노드(nd21) 사이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N21)로 구현된다. 여기서, NMOS 트랜지스터(N21)는 스텐바이모드에서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모드신호(CON)가 입력되는 경우 턴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온칩 파워스위치(24)에 의해 스텐바이모드에서 노드(nd20)가 플로팅되더라도 제2 전원전압(VDD2)이 공급되는 노드(nd21)의 전압에 의해 노드(nd20)의 레벨을 적정 레벨(제2 전원전압(VDD2)을 NMOS 트랜지스 터(N21)의 턴온저항을 통해 감압시켜 형성된 레벨)로 설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드신호(CON)는 클럭인에이블신호(CKE)로 구현하여 NMOS 트랜지스터(N20)가 파워다운모드에서 턴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본 온칩 파워스위치(24)에 의해 제1 전원전압(VDD1)이 공급되는 노드(nd20)가 스텐바이 상태에서도 플로팅되지 않고 적절한 레벨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내부회로(2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OS 트랜지스터(P20) 및 NMOS 트랜지스터(N22)로 구성된 제1 버퍼(240) 및 PMOS 트랜지스터(P21) 및 NMOS 트랜지스터(N23)로 구성된 제2 버퍼(241)를 포함한다. 여기서, PMOS 트랜지스터(P20)는 노드(nd20)의 전압을 벌크전압으로 공급받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내부회로(25)에서 노드(nd20)가 스텐바이모드에서 플로팅되는 경우 누설전류 및 래치업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노드(nd20)가 적절한 레벨로 설정되므로 누설전류 및 래치업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1 전원전압(VDD1)을 구동하는 제1 전원전압 구동부(30)와, 스텐바이신호(STB)에 응답하여 제1 전원전압(VDD1)을 노드(nd30)로 전달하는 오프칩 파워스위치(31)와, 제2 전원전압(VDD2)을 구동하여 노드(nd21)로 출력하는 제2 전원전압 구동부(32)와, 노 드(nd20) 및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온칩 파워스위치(34)와, 노드(nd30) 및 노드(nd31) 사이에 연결된 내부회로(35)로 구성된다. 여기서, 온칩 파워스위치(34)는 내부회로(35)가 형성된 메모리 칩(33) 내부에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적 특징은 온칩 파워스위치(34)가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달리 노드(nd31) 대신 접지전압(VSS)에 연결된 점에 있다. 따라서, 스텐바이모드에서 제1 전원전압(VDD1)의 공급이 차단되는 노드(nd30)의 레벨이 접지전압(VSS)과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 또는 NMOS 트랜지스터에 의해 감압되어 적절한 레벨로 설정되므로, 노드(nd30)가 플로팅되어 발생되는 누설전류 및 래치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온칩 파워스위치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내부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Claims (23)

  1. 스텐바이모드에서 제1 전원전압이 제1 노드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파워스위치; 및
    상기 제1 노드와 제2 전원전압이 공급되는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 및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신호는 스텐바이모드 또는 파워다운모드에서 인 에이블되어 상기 스위치소자를 턴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신호는 스텐바이모드 또는 파워다운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스위치소자를 턴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1 전원전압을 구동하는 제1 전원전압 구동부;
    스텐바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을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1 파워스위치;
    제2 전원전압을 구동하여 제2 노드로 출력하는 제2 전원전압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 및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내부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스위치는 스텐바이모드에서 상기 제1 전원전압이 상기 제1 노드에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제3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 및
    상기 제3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신호는 스텐바이모드 또는 파워다운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스위치소자를 턴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신호는 스텐바이모드 또는 파워다운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스위치소자를 턴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1 전원전압을 구동하는 제1 전원전압 구동부;
    스텐바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을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1 파워스위치; 및
    상기 제1 노드와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스위치는 스텐바이모드에서 상기 제1 전원전압이 상기 제1 노드에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 및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된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신호는 스텐바이모드 또는 파워다운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스위치소자를 턴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워스위치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접지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모드신호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스위치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신호는 스텐바이모드 또는 파워다운모드에서 인에이블되어 상기 스위치소자를 턴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 스텐바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을 전달하는 제1 파워스위치; 및
    다수의 내부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칩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워스위치를 통해 제1 전원전압이 전달되는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2 파워스위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는 제2 전원전압 또는 접지전압이 공급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내부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90011600A 2009-02-12 2009-02-12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2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600A KR101020293B1 (ko) 2009-02-12 2009-02-12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2/459,093 US8149642B2 (en) 2009-02-12 2009-06-2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9166802A JP2010186529A (ja) 2009-02-12 2009-07-15 半導体メモリ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600A KR101020293B1 (ko) 2009-02-12 2009-02-12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301A true KR20100092301A (ko) 2010-08-20
KR101020293B1 KR101020293B1 (ko) 2011-03-07

Family

ID=4253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600A KR101020293B1 (ko) 2009-02-12 2009-02-12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49642B2 (ko)
JP (1) JP2010186529A (ko)
KR (1) KR101020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6075B2 (en) * 2009-04-03 2013-03-2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Ultra-low leakage memory architecture
CN105637442B (zh) * 2013-10-18 2018-04-24 恩智浦美国有限公司 具有辅助电压供应单元的电压供应电路和用于启动电子电路的方法
KR102171261B1 (ko) * 2013-12-27 2020-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전압 발생부들을 갖는 메모리 장치
US9646992B2 (en) 2015-09-03 2017-05-09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989A (ja) * 1990-05-18 1992-01-30 Toshiba Corp ダイナミックメモリ装置
JPH08297972A (ja) * 1995-04-26 1996-11-12 Fujitsu Ltd ダイナミック形半導体記憶装置
TW333698B (en) * 1996-01-30 1998-06-11 Hitachi Ltd The method for output circuit to select switch transistor & semiconductor memory
JPH1050958A (ja) 1996-08-05 1998-02-20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半導体記憶装置のレイアウト方法、半導体記憶装置の動作方法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の回路配置パターン
TW365007B (en) * 1996-12-27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iving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3380852B2 (ja) * 1999-04-13 2003-0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002112455A (ja) * 2000-09-28 2002-04-12 Kawasaki Microelectronics Kk 電源補強回路
JP3866594B2 (ja) 2002-03-15 2007-01-10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遅延回路と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
KR100426443B1 (ko) * 2002-06-29 2004-04-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딥 파워다운 제어 회로
JP4374254B2 (ja) * 2004-01-27 2009-12-02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バイアス電圧発生回路
KR100818706B1 (ko) 2006-01-09 2008-04-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내부 전압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293B1 (ko) 2011-03-07
US8149642B2 (en) 2012-04-03
JP2010186529A (ja) 2010-08-26
US20100201411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6982B2 (en) Semiconductor circuit having a combination circuit being switched between an active and inactive state
US7577858B2 (e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state retaining circuit, state retain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7649405B2 (en) Leakage current control circuit with a single low voltage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KR101293528B1 (ko) 듀얼-기술 트랜지스터들을 사용한 저누설 고성능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셀
JP2007150761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リーク電流低減方法
US7184354B2 (en) Memory device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power down mode
US928104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nega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NBTI) using self refresh information
JPH07254685A (ja) 半導体記憶装置
US10367505B2 (en) Low power general purpose input/output level shifting driver
KR101020293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55778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rray e-fuse
US10651732B2 (en) Charge pumps and methods of operating charge pumps
JP2014130406A (ja) 半導体装置
US10103732B1 (en) Low power voltage level shifter circuit
US7495981B2 (en) Internal voltage generator
US8111561B2 (en) Bulk bias voltage generating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996095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bulk bias control func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95678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8489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제어 회로 및 방법
CN110853684B (zh) 用于向半导体芯片供应电力供应电压的设备
KR100548557B1 (ko) 반도체 장치의 내부 전원발생장치
JP2016177864A (ja) 半導体装置
US20190163253A1 (en) Semiconductor apparatus
KR100691003B1 (ko) 메모리 장치
TWI765498B (zh) 多晶片模組的洩漏電流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