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646A - 농업용 전기 가온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전기 가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646A
KR20100091646A KR1020090010943A KR20090010943A KR20100091646A KR 20100091646 A KR20100091646 A KR 20100091646A KR 1020090010943 A KR1020090010943 A KR 1020090010943A KR 20090010943 A KR20090010943 A KR 20090010943A KR 20100091646 A KR20100091646 A KR 2010009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inlet
heating
hea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322B1 (ko
Inventor
김천섭
권준오
Original Assignee
김천섭
권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섭, 권준오 filed Critical 김천섭
Priority to KR1020090010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3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온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에 있어서, 상기 가온탱크의 내부에 보온용 차폐벽이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온탱크가 상부의 유입조와 하부의 가열조로 구분되며,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가열조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조의 하부로부터 상기 가열조의 상부로 물이 자연적으로 흘러내려가도록 보충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가열조는 열부하와 연결되는 온수 유출구 및 온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열조는 하부에 배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유입조는 상부에 보충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조에 상기 유입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 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소실되는 물의 양에 따라 자연적으로 보충수가 가열조로 유입되도록 하여 가열조 수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가열조에 공기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공기 혼입으로 인한 펌프 등의 문제를 제거하며, 아울러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온되는 물의 양이 적도록 하여 가온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시키며, 아울러 가온된 물의 열량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농업용 전기 가온기{Electric Heat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전기 가온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열부하가 존재하는 농업 산업에 있어서 전기를 이용하여 적정한 온도를 가진 열매체를 가열한 후 가온된 열매체에 의하여 열부하에 열을 제공하는 전기 가온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비닐하우스나 화훼단지 등에서 내부의 온도 및/또는 지중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가온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중 전기 가온기는 전기 히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열매체인 물을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온된 물을 열부하에 공급하여 비닐하우스나 화훼단지 등의 열부하에 적정한 열을 제공하게 된다.
종래의 농업용 전기 가온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온탱크(10) 내부에 전기 히터(17)를 마련하고, 전기 히터(17)에 의하여 가온탱크(1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가온기는 온수가 열부하(20)와 가온탱크(10) 사이를 순환하면서 증발 등에 의하여 손실되는 물의 양을 보충수 유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에 의하여 보충되게끔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가온기는 여러가지 문제들, 특히 경제적인 문제로 인하여 다른 형태의 난방 장치에 비하여 그 보급이 제한되어 왔다.
종래의 전기 가온기는 보충수 유입구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면서, 그 공급되는 물로 인하여 가온탱크(1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며, 다시 물의 온도를 전기 히터(17)에 의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킬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아울러 종래의 전기 가온기는 온수의 순환이 매우 빠르게 일어날 경우, 즉 가온탱크(10)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수면 상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온수에 혼입되어 온수 유출구 후단에 연결되는 펌프 등에 과대한 소음 등을 야기하여 펌프 등의 내구성을 감소시킴은 물론이며 사용시의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또한 종래의 전기 가온기는 상기와 같은 공기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가온탱크(10)에 저장되어야 하나, 이와 같이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될 경우 전기 히터(17)에 의하여 가온탱크(10)의 물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에도 열 손실로 인하여 그 온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전기 가온기의 보충수 유입에 따른 수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온수 유출구로 공기가 혼입되어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아울러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온되는 물의 양이 적도록 하여 가온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시키며, 아울러 가온된 물의 열량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온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에 있어서, 상기 가온탱크의 내부에 보온용 차폐벽이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온탱크가 상부의 유입조와 하부의 가열조로 구분되며,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가열조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조의 하부로부터 상기 가열조의 상부로 물이 자연적으로 흘러내려가도록 보충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가열조는 열부하와 연결되는 온수 유출구 및 온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열조는 하부에 배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유입조는 상부에 보충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조에 상기 유입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 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온용 차폐벽은, 금속재의 하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 상부에 마련되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 상부에 마련되는 금속재의 상부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조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유입조 분할용 보온 차폐벽이 마련되어 상기 유입조가 제1유입조 및 제2유입조로 구분되며, 상기 보충수 유입구는 상기 제1유입조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조의 물이 상기 제2유입조로 흘러내려가도록 상기 유입조 분할용 보온 차폐벽에 상기 보충수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보조 보충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 조절 장치는 상기 제1유입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수위 조절장치와 상기 제2유입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2수위 조절장치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유입조 하부에 제1유입조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조의 상부와 상기 가열조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에어 벤트 배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충통로에 물의 하방향 흐름은 허용하되 물의 상방향 흐름은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가온탱크의 외측은 외측 보온재에 의하여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소실되는 물의 양에 따라 자연적으로 보충수가 가열조로 유입되도록 하여 가열조 수온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고, 가열조에 공기가 남 아 있지 않으므로 공기 혼입으로 인한 펌프 등의 문제를 제거하며, 아울러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온되는 물의 양이 적도록 하여 가온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시키며, 아울러 가온된 물의 열량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농업용 전기 가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가온 시스템은 가온탱크(100)와 그 주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가온기와, 상기 전기 가온기에 연결되는 비닐하우스 등의 열부하(20)로 이루어진다.
먼저 가온탱크(100)를 설명한다.
종래의 가온탱크와 달리 본 실시예의 가온탱크(100)는 내부 중간부에 보온용 차폐벽(130)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어, 가온탱크(100)는 상부의 유입조(101)와 하부의 가열조(102)로 분할된다.
보온용 차폐벽(130)은 금속재의 하부 지지판(133)과, 상기 하부 지지판(133) 상부에 마련되는 보온재(132)와, 상기 보온재(132) 상부에 마련되는 금속재의 상부 지지판(131)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지지판(133) 및 상부 지지판(131)은 수밀이 가능하도록, 즉 보온재(132)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그 가장자리가 가온탱크(100)의 내측벽에 용접된다.
하부 지지판(133) 및 상부 지지판(131)은, 상기와 같이 가온탱크(100)와의 용접 작업과, 물이 채워진 유입조(10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온재 차폐벽(130)에 의하여 가온탱크(100)가 유입조(101)와 가열조(102)로 분할되며, 아울러 가열조(102)에는 전기 히터(170)가 마련되어 가열조(102) 내부의 물을 가온하게 된다.
전기 히터(170)는, 가열조(102) 일측에 마련된 수온 감지기(171)에 의하여 감지되는 가열조(102)의 수온에 따라 제어되어 가열조(102)의 수온을 희망하는 온도로 가열조(102)를 가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전기 히터(170)는 가열조(102) 내부의 물만을 가열함으로써, 전기 히터(170)가 비교적 적은 용량인 경우에도 가열조(102)의 수온은 쉽게 변화된다.
아울러 유입조(101)에는 그 상부에 보충수 유입구(101a)가 마련되어 유입조(101) 내부의 물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유입조(101)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되면 외부로부터 보충수 유입구(101a)를 통하여 물이 보충된다.
이와 같은 수위 조절을 위하여 보충수 유입구(101a)에는 플로터 밸브(182)가 마련된다. 즉 플로터 밸브(182)가 수위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여 보충수 유입구(101a)가 개폐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수위 조절을 위하여 자동 수위 감지기(181)를 별도로 마련하고, 아울러 보충수 유입구(101a)의 선단에 자동 밸브(183)를 마련하면, 자동 수위 감지기(181)에 의하여 감지되는 수위에 따라 자동 밸브(183)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유입조(101)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조(101)의 수위를 감지하여 유입조(101)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 장치는, 플로터 밸브(182)와 같은 기계식이든지 혹은 자동 수위 감지기(181)와 자동 밸브(183)에 의한 자동제어식이든지 어느 것이나 무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자 모두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유입조(101)의 수위는 일정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유입조(101)와 가열조(102) 사이에는 유입조(101)의 하부로부터 가열조(102)의 상부로 물이 자연적으로 흘러내려가도록, 즉 가열조(102)의 물이 자연적으로 보충될 수 있도록 보충통로(110)가 마련된다.
또한 보충통로(110)에는 물의 하방향 흐름은 허용하되 물의 상방향 흐름은 차단하는 체크밸브(111)가 마련된다.
체크밸브(111)는 물의 하방향 흐름을 허용하여 가열조(102)의 물이 보충되도록 하는 한편, 물의 상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가열조(102)의 물이 유입조(101)의 물과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열손실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111)로서는 기존에 체크밸브(111)로서 알려진 부재라면 무엇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가열조(102)에는, 열부하(20)와 가열조(102) 사이를 온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온수 유출구(102a)와 온수 유입구(102b)가 마련된다.
즉, 온수 유출구(102a)에는 온수 공급 펌프(191)가 연결되며, 온수 공급 펌프(191)가 가동함으로써 가열조(102)의 온수는 온수 유출구(102a)를 지나 열부하(20)를 통과한 후 다시 온수 유입구(102b)를 거쳐 가열조(102)로 유입된다.
한편, 온수 공급 펌프(191) 후단은 리턴 배관 라인(193)을 매개로 가열조(102)와 연결되며, 리턴 배관 라인(193)에는 자동 압력 밸브(192)가 마련된다.
따라서 온수 공급 펌프(191)에 의하여 온수가 열부하(20)에 공급될 때 열부하(20)에서 사용하는 온수의 양이 작을 경우 온수 공급 펌프(191) 후단 배관의 압력이 증가하고, 그 증가되는 압력이 일정치 이상이 되면 자동 압력 밸브(192)가 개방되어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리턴 배관 라인(193)을 통해 온수가 가열조(102)로 복귀하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195는 압력계이다.
이에 의하여 열부하(20)에서 사용하는 온수의 양에 따라 불필요한 온수 소모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가열조(102)의 하부에는 배수라인(194)이 연결되어 본 가열조(102)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열조(102)를 비울 수 있도록 하였다. 가열조(102)를 비우게 되면 자연스럽게 보충통로(110)를 통하여 유입조(101)도 비워지게 된다.
또한 가열조(102) 내부 전체가 물에 잠기도록 가열조(102) 상부에 에어 벤트 배관(150)이 마련된다.
에어 벤트 배관(150)은 가열조(102)의 상부와 유입조(101)의 상부를 연통시킨다.
물론 에어 벤트 배관(150)에 채워지는 물은 가열조(102)의 온수이며, 에어 벤트 배관(150)에 채워진 온수는 그 개방된 상단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나, 이 에너지 손실 또한 유입조(101) 내부를 가열하는 데 이용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에어 벤트 배관(150)에 의하여 가열조(102)에는 전혀 공기가 없게 되어 온수 유출구(102a)로 공기가 혼입되어 빠져나갈 위험이 없으며, 자연스럽게 공기의 혼입으로 인한 온수 공급 펌프(191)의 소음 문제 등이 해결되며, 아울러 에어 벤트 배관(150)을 통하여 발생하는 열 손실 또한 유입조(101) 내부로 전달되어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된다.
상기에서 미설명 부호 184는 외부에서 유입조(101)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유면계(184)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가온탱크(100)의 외측 및 외부로 노출된 주변 배관은 외측 보온재에 의하여 커버되나, 이러한 외측 보온재의 설치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충수 유입구(101a)를 통하여 원수가 공급되면, 유입조(101)에 유입된 물은 보충통로(110)를 거쳐 가열조(102)로 유입된다.
가열조(102)에 물이 채워지는 동안 가열조(102) 내부의 공기는 에어 벤트 배관(150)을 통하여 물이 채워지는 공간만큼 유입조(101)로 빠져나가므로, 보충통로(110)를 통하여 원활하게 가열조(102)로 물이 유입된다.
가열조(102)에 물이 다 채워진 후 유입조(101)가 채워지기 시작하며 유입조(101)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보충수 유입구(101a)를 통하여 원수가 공급된다.
이후 전기 히터(170)에 의하여 가열조(102)의 물이 가열된다.
이때 전기 히터(170)에 의하여 가열되는 물의 양은 가열조(102)에 채워진 물에 한정되므로, 동일한 용량의 전기 히터(17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목표 수온 도달 시간이 매우 짧아지게 된다.
이렇게 가열된 가열조(102)의 물은 가열조(102) 전체가 보온 처리되어 있으므로, 특히 가열조(102)의 상면은 보온재(132)에 의하여 보온 처리되어 있으므로 외부로의 열 손실이 거의 없다.
에어 벤트 배관(150)으로 발생하는 열 손실은 모두 유입조(101)로 전달되므로 에어 벤트 배관(150)에 의한 열손실은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가온탱크(100) 전체적으로 보아 하부에 뜨거운 물(가열조(102))이, 상부에 차가운 물(유입조(101))이 위치하게 되므로, 가열조(102)의 물은 보충통로(110)를 통하여 유입조(101)의 물로 침투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되며, 이를 방치할 경우 보충통로(110)를 통한 열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보충통로(110)에 마련된 체크밸브(111)에 의하여 하방향 흐름만 허용함으로써, 보충통로(110)를 통한 열 손실의 문제를 제거하였다.
아울러 온수 공급 펌프(191)에 의하여 열부하(20)에 가열조(102)의 온수가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온수 공급 과정에서 온수가 증발 등에 의하여 소실되면, 그 소실된 양만큼 유입조(101)에서 보충통로(110)를 따라 가열조(102)로 물이 자연적으로 보충된다.
이때 보충되는 물의 양은 소실된 물의 양과 일치하게 되므로, 비교적 적은 량의 물이 가열조(102)로 보충되며 물 보충에 의한 수온 저하는 다시 전기 히터(170)에 의하여 희망 수온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가열조(102) 내부의 수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유입조(101)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다시 보충수 유입구(101a)로부터 원수가 보충되어 유입조(101)의 수위는 일정 범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농업용 전기 가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조(101)는 그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유입조 분할용 보온 차폐벽(140)이 마련되어, 유입조(101)가 제1유입조(101-1) 및 제2유입조(101-2)로 구분된다.
유입조 분할용 보온 차폐벽(140)은 중앙의 유입조 분할용 보온재(142)와, 상기 유입조 분할용 보온재(142)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지지판(141)과 제2지지판(142)으로 이루어진다.
제1지지판(141) 및 제2지지판(142)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충수 유입구(101a)는 제1유입조(101-1)에 마련된다.
아울러 제1유입조(101-1)에는 그 하부에 제1유입조 배수라인(101b)이 연결된다.
제1유입조 배수라인(101b)은 제1유입조(101-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1유입조(101-1)를 비우기 위한 배수 라인이다.
제1유입조(101-1)의 물이 제2유입조(101-2)로 흘러내려가도록, 유입조 분할용 보온 차폐벽(140)에 보조 보충통로(120)가 마련된다.
보조 보충통로(120)는 보충수 유입구(101a)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제1유입조(101-1)에는 제1수위 조절장치로서 자동 수위 감지기(181-1), 플로터 밸브(182-1), 자동 밸브(183)가 마련되며, 제2유입조(101-2)에는 제2수위 조절장치로서 자동 수위 감지기(181-2), 플로터 밸브(182-2)가 마련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보충통로(110)를 가온탱크(100) 외부에 설치하지 않고 가온탱크(100)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즉 보온용 차폐벽(130)에 상하 방향 으로 보충 통로(110)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유입조(101-2)가 일종의 온도 완충 구역으로서 기능하므로, 별도로 체크 밸브(111)를 마련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 벤트 배관(150)의 상단부가 제2유입조(101-2)의 상부에 연통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2유입조(101-2)가 일종의 온도 완충 구역으로 기능한다.
즉 제1유입조(101-1)는 원수가 유입되는 공간이며, 제2유입조(101-2)는 최소한의 수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조(102)로 보충할 최소한의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며, 가열조(102)에서 물 손실이 발생할 경우 제2유입조(101-2)에서 물이 보충통로(110)를 통하여 가열조(102)로 보충된다.
따라서 가온탱크(100) 내부는 가장 높은 수온을 가진 가열조(102)와, 중간 수온을 가진 제2유입조(101-2)와, 원수의 수온을 가진 제1유입조(101-1)로 구분되고, 가열조(102)와 제2유입조(101-2)의 온도 차이는, 가열조(102)와 제1유입조(101-1)의 온도 차이에 비하여 비교적 작으므로 그만큼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화훼단지 등의 열부하를 필요로 하는 농업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농업용 전기 가온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농업용 전기 가온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농업용 전기 가온 시스템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가온탱크 101 : 유입조
102 : 가열조
110 : 보충통로 111 : 체크밸브
130 : 보온용 차폐벽
150 : 에어 벤트 배관
170 : 전기 히터

Claims (6)

  1. 전기 히터에 의하여 가온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에 있어서, 상기 가온탱크의 내부에 보온용 차폐벽이 수평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온탱크가 상부의 유입조와 하부의 가열조로 구분되며,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가열조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조의 하부로부터 상기 가열조의 상부로 물이 자연적으로 흘러내려가도록 보충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가열조는 열부하와 연결되는 온수 유출구 및 온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열조는 하부에 배수라인이 연결되며, 상기 유입조는 상부에 보충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조에 상기 유입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 조절 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용 차폐벽은, 금속재의 하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 상부에 마련되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 상부에 마련되는 금속재의 상부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조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유입조 분할용 보온 차폐벽이 마련되어 상기 유입조가 제1유입조 및 제2유입조로 구분되며, 상기 보충수 유입구는 상기 제1유입조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유입조의 물이 상기 제2유입조로 흘러내려가도록 상기 유입조 분할용 보온 차폐벽에 상기 보충수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보조 보충통로가 마련되며, 상기 수위 조절 장치는 상기 제1유입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1수위 조절장치와 상기 제2유입조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제2수위 조절장치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유입조 하부에 제1유입조 배수라인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조의 상부와 상기 가열조의 상부를 연통시키는 에어 벤트 배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통로에 물의 하방향 흐름은 허용하되 물의 상방향 흐름은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탱크의 외측은 외측 보온재에 의하여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기 가온기.
KR1020090010943A 2009-02-11 2009-02-11 농업용 전기 가온기 KR10099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43A KR100990322B1 (ko) 2009-02-11 2009-02-11 농업용 전기 가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43A KR100990322B1 (ko) 2009-02-11 2009-02-11 농업용 전기 가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46A true KR20100091646A (ko) 2010-08-19
KR100990322B1 KR100990322B1 (ko) 2010-10-29

Family

ID=4275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943A KR100990322B1 (ko) 2009-02-11 2009-02-11 농업용 전기 가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3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2327A (zh) * 2017-07-24 2018-02-16 南通大学 一种新型电热水器及其模式的实现方法
CN115218687A (zh) * 2022-07-18 2022-10-21 开平市嘉仁乳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工业热水流量波动时的加热控温方法
KR102530495B1 (ko) * 2022-06-03 2023-05-08 이영희 이중 가열식 전기 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88Y1 (ko) 2012-01-30 2013-04-03 주식회사 인터텍 저장 탱크의 하우징 내 하부 저수조 및 상부 저수조를 포함하는 가열 유체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94B1 (ko) * 2004-04-02 2007-04-10 송이남 급속 난방방법 및 그 장치
KR200440126Y1 (ko) 2007-03-20 2008-05-26 주식회사 상천 이동식 세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2327A (zh) * 2017-07-24 2018-02-16 南通大学 一种新型电热水器及其模式的实现方法
KR102530495B1 (ko) * 2022-06-03 2023-05-08 이영희 이중 가열식 전기 보일러
CN115218687A (zh) * 2022-07-18 2022-10-21 开平市嘉仁乳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工业热水流量波动时的加热控温方法
CN115218687B (zh) * 2022-07-18 2023-04-04 开平市嘉仁乳胶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工业热水流量波动时的加热控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322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7403A1 (en) Instantaneous hot-water system
JP5041914B2 (ja) 給湯装置
KR101196384B1 (ko)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US20070235179A1 (en) Building source heat pump
KR100990322B1 (ko) 농업용 전기 가온기
US5462047A (en) Solar water-heater with integrated storage
JP5742108B2 (ja) 給湯装置
US9134037B2 (en) Equipment for producing domestic hot water
US20110162824A1 (en) Heat recovery apparatus
US11460220B2 (en) Electric water heater having internal heat concentrator
US20110203786A1 (en) Waste Water Heat Transfer System
JP4104592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2015210039A (ja) 貯湯槽内部構造
CN105710351B (zh) 用于冷却物件的结构
WO2009095907A2 (en) Water heating system
KR102066357B1 (ko) Ptc히터를 이용한 직간접 가열식 전기 온수기
KR101752395B1 (ko)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KR20120095228A (ko) 일정온도의 온수 공급이 가능한 온수 공급시스템
KR20200086073A (ko) 순간 가열 기능을 갖는 저장식 온수기
JP2007071443A (ja) 給湯装置
KR20080002340U (ko) 스팀 보일러 급수시스템
JPH0579699A (ja) 電気温水器
JP2007303713A (ja) 給湯装置
JP2007127356A (ja) 給湯装置
KR830000460Y1 (ko) 온수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