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384B1 -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384B1
KR101196384B1 KR1020100089646A KR20100089646A KR101196384B1 KR 101196384 B1 KR101196384 B1 KR 101196384B1 KR 1020100089646 A KR1020100089646 A KR 1020100089646A KR 20100089646 A KR20100089646 A KR 20100089646A KR 101196384 B1 KR101196384 B1 KR 10119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tank
water tank
sau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844A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피엘에이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엘에이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엘에이치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10008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384B1/ko
Priority to US13/230,606 priority patent/US20120291194A1/en
Publication of KR2012002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61H33/065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with steam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05Electrical circuits therefor
    • A61H2033/0054Electrical circuits therefor with liquid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61H2201/5066Limi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발열장치와, 발생된 증기가 외부의 사우나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스팀탱크와; 물탱크와 스팀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물탱크에서 스팀탱크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관과; 스팀탱크의 증기가 물탱크의 수중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스팀탱크와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므로서 스팀탱크와 물탱크의 기압이 조절되어 평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압평형관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스팀탱크의 증기가 가압평형유지관을 통해 물탱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탱크 내부의 물이 증기에 의해 어느 정도 데워져 예열되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스팀탱크의 발열장치는 적은 에너지를 가지고 신속하게 증기를 만들 수 있어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별물로 구성되는 급수통을 통해 물탱크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Steam Generator For Sauna}
본 발명은 스팀사우나를 할 수 있도록 사우나실 내에 설치되어 증기를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목욕탕 뿐만 아니라, 생활용품으로 샤워시설을 겸하여 스팀사우나 시설이 많이 보급되어 단독주택은 물론 아파트, 오피스텔, 콘도, 기숙사, 병원 등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스팀사우나는, 일정크기로 제작된 사우나실에 적당한 온도의 증기를 방출하는 증기발생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증기를 직접 인체에 투사하거나 또는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흡수하도록 하므로서 피부미용에 유익하도록 함과 동시에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므로서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인체의 건강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증기발생장치는 그 일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531978호에서 개시하고 있으며, 그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물을 저장하는 스팀탱크와, 스팀탱크 내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는 발열장치와, 스팀탱크 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구조와, 스팀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스팀탱크에 설치되어 발생된 증기를 안내하는 증기배출구와, 스팀탱크에 설치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 안내하는 배기관과, 배기관에 설치되며 수위측정구조와 연통되어 스팀탱크 내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를 배기관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식의 개폐밸브와, 배기관에 설치되어 고온의 증기를 냉각하는 증기교환구조와, 증기교환구조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응축수저장용기와, 스팀탱크에 내설되어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증기발생장치는, 스팀탱크 내의 수위가 일정의 저수위일 때 수위측정구조와 연계동작되는 개폐밸브를 통해 자동적으로 스팀탱크 내의 잔류압력을 완전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압이 약한 저지대나 공급용수의 수압이 약한 경우에도 용수의 보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장치의 가동의 지연이나 장치의 과열 등으로 인한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경우 스팀탱크 내에서 발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물과 증기가 수위측정구조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수위측정구조가 고온의 열에 의해 오작동 및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 발열장치가 물을 가열시 요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수위측정구조를 요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리면서 고정상태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물탱크로부터 유입된 차가운 물이 발열장치에 의해 데워진 물과 비등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발열장치가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내압 제거를 위해 배기관을 개방시 내부에 압력 뿐만 아니라, 증기 역시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열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압평형관을 통해 물탱크 및 스팀탱크의 내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할 수 있고, 증기를 매개로 물탱크 내의 물이 예열되도록 하여 적은 에너지의 공급으로도 발열장치에 의한 증기 생산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열효율이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우나실 내부의 증기 사우나욕이 가능하도록 사우나기에 제공되는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발열장치와, 발생된 증기가 외부의 사우나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스팀탱크와;
물탱크와 스팀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물탱크에서 스팀탱크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관과;
스팀탱크의 증기가 물탱크의 수중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스팀탱크와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므로서 스팀탱크와 물탱크의 기압이 조절되어 평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압평형관을 포함하는 증기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상기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와;
물탱크로 물이 보충될 수 있도록 물탱크와 연결되며, 수위레벨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제1전자개폐밸브가 장착된 급수관과;
물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물탱크에 설치되며, 수위레벨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제2전자개폐밸브가 장착된 배기관을 더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상기 물탱크의 저수위에 상응하여 스팀탱크의 저수위에 위치하도록 스팀탱크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개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는, 스팀탱크의 증기가 기압평형관을 통해 물탱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탱크 내부의 물이 증기에 의해 어느 정도 데워져 예열되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스팀탱크의 발열장치는 적은 에너지를 가지고 신속하게 증기를 만들 수 있어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물탱크 내에 설치된 수위레벨센서와 이에 연동되는 전자개폐밸브를 통해 물의 유입 및 공기압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을 공급할 필요 없이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스팀탱크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발열장치의 과열을 방지하고, 나아가, 발열장치의 내부공기 가열로 인해 스팀탱크가 과열되어 주변장치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장치가 오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일부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온도센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일부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면.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일부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온도센서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일부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로서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는,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 및 급수통(82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는 사우나실(10)에 함께 정치될 수 있도록 케이스(C) 내에 수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10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열과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탱크(20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열과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팀탱크(200)의 내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장치(210)가 설치된다. 여기서, 발열장치(210)는, 스팀탱크(200) 내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스팀탱크(200)의 상면에는 외부와 상호 연통되어 발열장치(210)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배출부(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배출부(220)에는 이후에 설명될 증기이송관(63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는 그 하부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연결관(300)이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00)은, 물탱크(100)에서 스팀탱크(200)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며, 탱크 내부의 기압차에 의해서 물이 흐르게 되는데, 스팀탱크(200)에서는 물이 증발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물탱크(100)에서 스팀탱크(200)로 물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관(300)을 통해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에 충진된 물이 항상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 사이에는 기압평형관(400)이 설치되는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부가 물탱크(100)의 상면을 관통하여 바닥까지 연장되고, 타단부가 스팀탱크(200)의 상면과 상호 연통되는 구조는 갖는다. 여기서, 기압평형관(400)은 스팀탱크(200)의 온도상승시 자연스럽게 상승하는 기압을 기압평형관(400)을 통해 물탱크(100)와 평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스팀탱크(200)의 내압상승으로 인한 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따라서, 스팀탱크(200)와 물탱크(100) 사이에 기압평형관(400)을 설치하여 줌으로서, 물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스팀탱크(200)로 자연스럽게 공급되도록 함은 물론, 스팀탱크(200)의 증기가 기압평형관(400)을 통해 물탱크(1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탱크(100) 내부의 물이 증기에 의해 어느 정도 데워지는 예열의 효과가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에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50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급수관(610) 및 배기관(620)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위레벨센서(500)는, 물의 수위를 기계식으로 감지하는 감지수단이다. 여기서, 수위레벨센서(500)는 물탱크(100)에 내설되는 지지봉(510)과; 지지봉(5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520)와; 부력체(520)에 의해 동작되어 만수신호 및 저수신호를 출력하는 제1·2리밋스위치(530,540)로 구성되며, 수위레벨센서(500)는 케이스(C)에 내설된 컨트롤부(730)와 전선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610)은, 물탱크(100)로 물이 보충될 수 있도록 물탱크(100)와 연결된다. 그리고, 급수관(610)에는 수위레벨센서(500)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100)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제1전자개폐밸브(611)가 장착된다.
상기 배기관(620)은, 물탱크(10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물탱크(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배기관(620)에는 수위레벨센서(500)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10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제2전자개폐밸브(621)가 장착된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다른 실시 예로서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며, 다만, 급수관(610)에 설치된 제1전자개폐밸브(611) 대신 물을 강제로 압송하는 급수펌프(61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펌프(613)는, 급수통(820)에 저장된 물을 강제로 압송하여 물탱크(10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케이스(C)에는, 제한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710)가 설치되고, 조작부(710)는 전선을 매개로 컨트롤부(7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팀탱크(200)의 내부에는 방사(복사)온도센서 또는 IC온도센서와 같은 비접촉식의 온도센서(72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센서(720)의 설치는‘ㄷ’자 형태의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하게 되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ㄷ’자 형태의 브라켓의 일단을 스팀탱크(200)의 상면에 고정하고, 수직하게 연장된 타단에 온도센서(7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720)는 물탱크(100)의 저수위(L1)에 상응하여 스팀탱크(200)의 저수위(L1)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전선을 매개로 컨트롤부(730)와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탱크(200) 내에 충진된 물이 발열장치(210)에 의해 증발하게 되면, 발열장치(210)가 수면 위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때 온도센서(720)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부(730)부로 온도 값을 전달하게 되고, 온도센서(720)로부터 온도 값을 전달받은 컨트롤부(730)는 설정 값과 상호 비교하여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결과치가 발생하면 비로소, 발열장치(21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온도센서(720)를 통해 발열장치(210)의 과열로 인해 스팀탱크(2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스팀탱크(200)의 과열로 인해 주변장치들이 손상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온도센서(720)의 다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실시 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온도센서(720)가 비접촉식이라면, 도 4에 예시된 온도센서(720)는 백금저항온도센서 또는 서미스터 또는 열전대와 같은 접촉식의 온도센서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720)는 스팀탱크(200)의 외면, 바람직하게는 스팀탱크(200)의 상면에 부착되어서 스팀탱크(200)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에는 각각 급수관(610)과 증기이송관(630)을 매개로 급수통(820)과 증기분산기(810)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증기분산기(810)와 급수통(820)은 사우나실(10)의 벽면에 설치된다.
상기 증기이송관(630)은, 스팀탱크(200)의 증기배출부(220)에 설치된다. 여기서, 증기이송관(630)은, 증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증기분산기(810)는, 상향 경사진 증기분산면(811)을 갖추고서, 증기이송관(630)과 연결되어 스팀탱크(20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사우나실(10)로 분산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통(820)은, 증기분산면(811)을 통해 응축된 물이 떨어져 회수될 수 있도록 증기분산기(8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통(820)은, 급수관(610)을 매개로 연결되어 물탱크(100)로 물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급수통(82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400)을 매개로 물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급수통(820)의 저면에 연통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통(820)의 경우 입욕자가 급수통(82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확인창(821)이 설치된다.
한편,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증기분산기(810)와 급수통(820)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각각 분할 형성하여 설치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통(820)을 물탱크(100)와 동일 또는 그 보다 낮게 설치한 경우에는 급수통(820)에 저수된 물이 물탱크(100)로의 자연스런 이동이 어려우므로, 이때에는 펌프(613)가 적용된 급수관(400)을 매개로 물탱크(100)와 급수통(820)을 연결하여 강제급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의 내부에 충진된 물은 초기 동일 높이를 유지하다가 스팀탱크(200)의 발열장치(210)에 의해 물이 끓어 물의 양이 점점 줄어들게 되면, 수위레벨센서(500)의 부력체(520)가 점점 하강하다가 최종적으로 저수위(L2)에 도달하게 되면 제2리밋스위치(540)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밋스위치(540)는 부력체(520)에 의해 동작되어 저수신호를 출력하여 컨트롤부(730)로 전달하고, 컨트롤부(730)는 저수신호를 전달받아 급수관(610)과 배기관(620)에 각각 설치된 제1·2전자개폐밸브(611,621)를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자개폐밸브(611)의 개방으로 인해 급수통(820)으로부터 물이 물탱크(100)의 내측으로 공급되고, 제2전자개폐밸브(621)의 개방으로 인해 물탱크(100)의 기압 및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물탱크(100)는 대기압과 평형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급수관(610)으로부터의 물의 공급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물탱크(100)로 공급된 물에 의해 부력체(520)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부력체(520)가 상승되는 과정에 만수위(L2)에 도달하여 제1리밋스위치(530)를 누르게 되면, 제1리밋스위치(530)로부터 만수신호가 출력되어 컨트롤부(730)로 전달하고, 컨트롤부(730)는 만수신호를 전달받아 급수관(610)과 배기관(620)에 각각 설치된 제1·2전자개폐밸브(611,621)를 동시에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급수통(820)으로부터의 물의 유입 및 외부로의 공기유출을 단속하게 된다.
한편, 스팀탱크(200) 내에 수용된 물이 발열장치(210)에 의해 증발되어 발열장치(210)가 수면 위로 노출되게 되면 발열장치(210)로부터 고온의 열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스팀탱크(200)의 저수위(L1)에 배치된 온도센서(720)가 감지(측정)하여 컨트롤부(730)로 전달하게 되고, 컨트롤부(730)는 온도센서(720)로부터 전달받은 측정값과 조작부(710)에 의해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온도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발열장치(210)를 동작제어하므로서, 발열장치(21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지나 스팀탱크(200)의 표면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비로소 컨트롤부(720)는 발열장치(21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지나친 가열로 인한 화재로부터 사용자 및 장치가 전소되거나 오작동 일으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치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장치를 사우나실(10)에 설치하되, 물탱크(100)와 스팀탱크(200)가 내설된 케이스(C)는 의자(20)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사우나실(10)로 입실하였을 때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증기분산기(810)와 급수통(820)은 벽체를 이루는 좌면판(14) 또는 우면판(15)에 설치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탱크(100)와 급수통(820), 스팀탱크(200)와 증기분산기(810)를 상호 연결하는 급수관(610)과 증기이송관(630)은 증기분산기(810)와 급수통(820)이 설치될 벽체에 내설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배면판(13)에 설치된 봉히터(H)가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어져 사우나실(10)로 복사열을 방출하게 되고, 스팀탱크(200)에 내설된 발열장치(210) 역시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되어져 스팀탱크(200)의 내부에 충진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스팀탱크(200)의 발열장치(210)에 의해 생성된 증기는 증기이송관(630)을 매개로 연결된 증기분산기(810)로 이동되고, 이동된 증기는 증기분산면(811)을 따라 사우나실(10)로 증기를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우나실(10)에 입실한 상태에서 복사열과 증기를 매개로 사우나를 즐기면 된다.
한편, 물탱크(100)에 충진된 물은 스팀탱크(200)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스팀탱크(200)의 발열장치(210)에 의해 물이 증기로 변환되어 충진된 물이 점점 소진되면, 물탱크(100)에 내설된 수위레벨센서(500)의 부력체(520)가 아래로 하강하게 되며, 이때 아래로 하강된 부력체(520)가 저수위(L1)에 도달하여 제2리밋스위치(540)를 누르게 되면, 제2리밋스위치(540)로부터 저수신호가 출력되어 컨트롤부(730)로 전달되고, 저수신호를 전달받은 컨트롤부(730)는 급수관(610)과 배기관(620)에 각각 설치된 제1·2전자개폐밸브(611,621)를 동작시켜 폐쇄된 관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전자개폐밸브(611)의 개방을 통해 급수통(82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610)을 매개로 물탱크(100)에 유입되게 되고, 제2전자개폐밸브(621)의 개방을 통해 물탱크(100)의 내부 기압 및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대기압과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점점 차오르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부력체(520) 역시 앞에 상승하는데, 이때 상승하던 부력체(520)가 만수위(L2)에 도달하여 제1리밋스위치(530)를 누르게 되면, 제1리밋스위치(530)로부터 만수신호가 출력되어 컨트롤부(730)로 전달되고, 만수신호를 전달받은 컨트롤부(730)는 급수관(610)과 배기관(620)에 각각 설치된 제1·2전자개폐밸브(611,621)를 동시에 폐쇄되도록 제어하여 물의 유입 및 외부로의 공기유출을 단속하게 된다.
한편, 스팀탱크(200) 내에 수용된 물이 발열장치(210)에 의해 증발되어 발열장치(210)가 수면 위로 노출되게 되면 발열장치(210)로부터 고온의 열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스팀탱크(200)의 저수위(L1)에 배치된 온도센서(720)가 감지(측정)하여 컨트롤부(730)로 전달하게 되고, 컨트롤부(730)는 온도센서(720)로부터 전달받은 측정값과 조작부(710)에 의해 설정된 값을 상호 비교하여 온도가 설정 값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발열장치(210)를 동작제어하므로서, 발열장치(21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지나 스팀탱크(200)의 표면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비로소 컨트롤부(720)는 발열장치(21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지나친 가열로 인한 화재로부터 사용자 및 장치가 전소되거나 오작동 일으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사우나실 20: 의자 100: 물탱크
200: 스팀탱크 210: 발열장치 220: 증기배출부
300: 연결관 400: 기압수평관 500: 수위레벨센서
510: 지지봉 520: 부력체 530: 제1리밋스위치
540: 제2리밋스위치 610: 급수관 611: 제1전자개폐밸브
620: 배기관 621: 제2전자개폐밸브 630: 증기이송관
613: 급수펌프 710: 조작부 720: 온도센서
730: 컨트롤부 810: 증기분산기 811: 증기분산면
820: 급수통 H: 봉히터 C: 케이스

Claims (7)

  1. 사우나실 내부의 증기 사우나욕이 가능하도록 사우나기에 제공되는 증기 발생장치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가 발생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발열장치와, 발생된 증기가 외부의 상기 사우나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증기배출부가 구비된 스팀탱크와;
    상기 물탱크와 스팀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물탱크에서 스팀탱크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관과;
    상기 스팀탱크의 증기가 상기 물탱크의 수중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일단이 스팀탱크의 증기 중에 노출되고 타단이 물탱크의 수중에 노출되게 스팀탱크와 물탱크 사이에 설치되므로서 스팀탱크와 물탱크의 기압이 조절되어 평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압평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와;
    상기 물탱크로 물이 보충될 수 있도록 물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위레벨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제1전자개폐밸브가 장착된 급수관과;
    상기 물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수위레벨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제2전자개폐밸브가 장착된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에 설치되어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레벨센서와;
    상기 물탱크로 물이 보충될 수 있도록 물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수위레벨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급수펌프가 장착된 급수관과;
    상기 물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도록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수위레벨센서와 연계 동작되어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전자제어될 수 있도록 제2전자개폐밸브가 장착된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저수위에 상응하여 상기 스팀탱크의 저수위에 위치하도록 스팀탱크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저수위에 상응하여 상기 스팀탱크의 저수위에 위치하도록 스팀탱크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에서 연장된 증기이송관과;
    상기 증기이송관과 연결되며, 증기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증기가 상기 사우나실 내부로 분산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증기분산면을 가진 증기분산기와;
    상기 증기분산면을 통해 응축된 물이 떨어져 회수될 수 있도록 상기 증기분산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물탱크로 보충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급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분산기와 상기 급수통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증기분산기에는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KR1020100089646A 2010-09-13 2010-09-13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KR101196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46A KR101196384B1 (ko) 2010-09-13 2010-09-13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US13/230,606 US20120291194A1 (en) 2010-09-13 2011-09-12 Steam generator for sau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46A KR101196384B1 (ko) 2010-09-13 2010-09-13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44A KR20120027844A (ko) 2012-03-22
KR101196384B1 true KR101196384B1 (ko) 2012-11-02

Family

ID=4613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646A KR101196384B1 (ko) 2010-09-13 2010-09-13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91194A1 (ko)
KR (1) KR1011963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1193A (zh) * 2017-06-13 2017-08-29 芜湖桑健电子科技有限公司 湿式桑拿供气系统
CN107120630A (zh) * 2017-06-13 2017-09-01 芜湖桑健电子科技有限公司 湿式桑拿供气系统
CN107191911A (zh) * 2017-06-13 2017-09-22 芜湖桑健电子科技有限公司 湿式桑拿自动供气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1948B (zh) * 2014-07-08 2016-01-13 张家港威孚热能股份有限公司 一种微压蒸汽发生器系统
KR101647661B1 (ko) * 2015-01-21 2016-08-23 (주)신우엠테크 다목적 스팀기
CA2887179C (en) * 2015-04-07 2017-01-03 Liuqing Xu Multi-functional personal hygiene system
USD815263S1 (en) 2015-07-14 2018-04-10 Sussman Automatic Corporation Steamhead for steam generator
US10105283B2 (en) * 2015-07-21 2018-10-23 Sussman Automatic Corporation Elongated steamhead for a steam bath
CN111728849B (zh) * 2020-07-08 2023-09-26 黄云山 热冷扫描理疗仓及其使用方法
KR102524846B1 (ko) * 2020-12-31 2023-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열장치
KR102614891B1 (ko) * 2020-12-31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열 장치의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669709B (zh) * 2021-08-24 2023-12-15 泰山集团泰安华电热工有限公司 一种多管束洁净蒸汽发生器及其使用方法
CN113975143A (zh) * 2021-12-14 2022-01-28 湖南中医药大学 一种中医康复用药物熏蒸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81Y1 (ko) 2002-07-27 2002-11-01 권대운 소형 사우나용 자동 수위조절 증기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0302A (en) * 1975-07-17 1977-06-21 Peter Mankouski Steam power plant
US6983723B2 (en) * 2004-06-10 2006-01-10 Brewster Jackie 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demand hot water
US7896319B2 (en) * 2006-12-28 2011-03-01 Panasonic Corporation Sauna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81Y1 (ko) 2002-07-27 2002-11-01 권대운 소형 사우나용 자동 수위조절 증기 발생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1193A (zh) * 2017-06-13 2017-08-29 芜湖桑健电子科技有限公司 湿式桑拿供气系统
CN107120630A (zh) * 2017-06-13 2017-09-01 芜湖桑健电子科技有限公司 湿式桑拿供气系统
CN107191911A (zh) * 2017-06-13 2017-09-22 芜湖桑健电子科技有限公司 湿式桑拿自动供气系统
CN107101193B (zh) * 2017-06-13 2019-05-21 芜湖桑健电子科技有限公司 湿式桑拿供汽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91194A1 (en) 2012-11-22
KR20120027844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84B1 (ko)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US8288690B2 (en) Oven steam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ES2320885T3 (es) Generador de vapor para aparato de cocina.
JP3867637B2 (ja) 蒸気発生装置及び蒸気発生装置を備えた加熱調理装置
US20110162824A1 (en) Heat recovery apparatus
KR101493265B1 (ko) 물 예열 섹션을 갖는 보일러
KR20070077806A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US20110315252A1 (en) Powerless hot water pumping apparatus
KR20180007868A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KR100930532B1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KR100518262B1 (ko) 무동력 보일러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JP4381066B2 (ja) 蒸し風呂装置
KR20090082991A (ko) 전기 보일러
US20170239137A1 (en) Steam generator element for a sauna electric heater and a sauna electric heater
KR20170002105U (ko) 온수 매트용 온수 공급 장치
EP3448213B1 (en) A brewing unit and a beverage producing device including such brewing unit
KR20160133219A (ko)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KR20080002340U (ko) 스팀 보일러 급수시스템
KR20100001896A (ko) 스팀 발생 장치
KR20090098363A (ko)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KR20100009175U (ko) 다중 가열 기능을 갖는 보일러
NL2023461B1 (en) Water dispensing system for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method for brewing coffee
JPH08200813A (ja) 電気温水器
JP3140872U (ja) 湯沸か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