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363A -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 Google Patents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363A
KR20090098363A KR1020080023703A KR20080023703A KR20090098363A KR 20090098363 A KR20090098363 A KR 20090098363A KR 1020080023703 A KR1020080023703 A KR 1020080023703A KR 20080023703 A KR20080023703 A KR 20080023703A KR 20090098363 A KR20090098363 A KR 20090098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element
water supply
tub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봉
Original Assignee
이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8363A/ko
Publication of KR2009009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4Positive 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e.g. PTC, N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 내부를 순환하는 물을 데워서 공급되도록 하는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에 있어서, 일단부가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의 순환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온수관의 온수 유입단에 연결되어 온수공급장치의 케이스(110)에 내장 설치된 열교환관(120)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교환관(1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관(120)을 지지하는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와,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관(120)으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판형상의 피티씨 발열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환관, 피티씨 발열체, 급수탱크(150), 사이즈, 컴팩트

Description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Heater structure for warm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에 공급되는 물을 보다 신속하게 데워서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온수공급장치의 사이즈를 종래에 비하여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간단한 난방용구 또는 치료 및 건강관리용품으로서 온수순환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온수순환매트는 내부에 온수관이 소정 형태로 배관된 매트와 순환온수관을 통해 상기 온수관에 연결된 온수공급장치로 이루어지며, 온수공급장치는 펌프(160) 및 온수조를 구비하여, 온수조에서 가열된 온수를 펌프(160)에 의해 순환관 및 온수관을 통해 순환 공급하여 매트를 사용자가 원하는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온수조의 내부에 담겨진 물은 자연적인 증발 또는 가열에 의한 증발로 인해 기화되어 조금씩 소실되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손실된 양만큼 물을 보충해주어야 한다.
또한, 온수조의 내부에 보급수를 투입할 때 온수조 내부에 공기가 혼입되어 온수조 내부의 공기가 증가되면, 물의 가열 시에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되어 온수조의 파손 우려가 높고, 순환되는 물에 기포가 발생하여 펌프(160)의 효율이 떨어지고 물 흐름이 나빠져 매트의 온열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외에도, 온수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증가될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온수순환매트 사용시의 보급수 보충과 공기 혼입을 감안하여 사용중에 온수조의 내부에 물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물 보충시 온수조 내부에 공기가 혼입되지 않도록 구성된 온수공급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온수공급장치는 온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데워주는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고, 물 보급을 위한 물탱크의 용량이 비교적 크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온수공급장치 자체의 부피가 커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매트의 온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신속하게 데워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 보급을 위한 물탱크의 용량을 크게 제작할 필요가 없어 사이즈를 비교적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부가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의 순환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온수관의 온수 유입단에 연결되어 온수공급장치의 케이스에 내장 설치된 열교환관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교환관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열전도성 지지부재와,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판형상의 피티씨 발열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온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데워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보다 편리하면서도 구조를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물 공 급을 위한 물탱크의 용량을 크게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 사이즈를 종래에 비하여 매우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체의 열전도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온수 가열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열전도율 향상으로 인해 소모 전력량을 보다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히터 구조를 채용한 온수공급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열교환관과 열전도성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티씨 발열체를 열전도성 지지부재에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 내부를 순환하는 물을 데워서 공급되도록 하는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로서,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에 연결된 열교환관(120)과, 이 열교환관(1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와, 이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피티씨 발열체(140)로 구성되며, 이러한 열교환관(120)과 열전도성 지지부재(130) 및 피티씨 발열체(140)가 온수공급장치의 케이스(110)에 내장된 형태를 취한다. 도 1에서는 온수공급장치의 주요부인 케이스(110)와 급수탱크(150)을 반 절개한 상태로 보여준다.
상기 열교환관(120)은 상측에서 볼 때 U자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온수공급장치의 케이스(110)의 내부 하측에 내장설치된다. 열교환관(120)의 일단부는 케이스(110)의 배면에 형성된 유입포트(미도시)에 연결되고, 열교환관(120)의 타단부는 후술할 급수탱크(150)에 형성된 수로의 일단부에 별도의 실리콘관(미도시)을 매개로 연결된다. 열교환관(120)은 바람직하게 동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교환관(120)에는 열전도성 지지부재(130)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즉, 열전도성 지지부재(130)는 적어도 두 개의 관삽입공(132a)(본 실시예서는 네 개)이 전후단으로 관통 형성된 판형상의 관지지부(132)와, 이 관지지부(132)의 양면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발열체 지지부(13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U자형의 열교환관(120)이 관지지부(132)의 한 쌍의 관삽입공(132a)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열전도성 지지부재(130)는 열교환관(120)과 후술할 피티씨 발열체(140)의 보다 원활한 열교환을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길게 압출 성형된다.
상기 피티씨 발열체(14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관지지부(132)와 발열체 지지부(134) 사이에 끼워져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피티씨 발열체(140)가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나머지 하나의 발열체 지지부(134)에 삽입 설치되어,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양면에 한 쌍의 피티씨 발열체(140)가 삽입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티씨 발열체(140)는 온수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것으로, 열교환관(120)의 내부를 경유하여 지나가는 물을 신속하게 데워준다.
상기 열교환관(120)의 일단부는 온수공급장치의 케이스(110) 배면에 형성된 유입포트에 연결되어 온수매트의 순환수 배출단에 연결되고, 열교환관(120)의 타단부는 급수탱크(150)에 형성된 수로(152)의 일단부(152a)에 연결되고, 급수탱크(150)의 수로(152)의 타단부(152b)는 펌프(160)의 온수 유입부(162)측에 연결되고, 펌프(160)는 온수공급장치의 배출포트를 통해 온수관의 온수 유입단에 연결되어, 열교환관(120)의 양단부가 각각 온수관의 순환수 배출단과 온수 유입단에 폐회로식으로 연결되므로, 온수관 내부의 물이 열교환관(120)을 경유하여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탱크(150)는 온수공급장치 사용중에 온수매트를 데우기에 필요할 물을 공급한다. 즉, 급수탱크(15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배럴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온수공급장치의 케이스(11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급수탱크(150)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연통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수로(152)가 형성되며, 수로의 양단부(152a,152b)는 각각 펌프(160)와 열교환관(120)에 연결된다.
또한, 급수탱크(150)의 내부에는 수로(15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측 격판(155)이 구비되며, 이 하측 격판(155)의 일측 위치에는 수로(152)와 연통된 보급수 투입공(155a)이 형성된다. 하측 격판(155a)의 중앙부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보스 형상의 통공(155b)이 형성되며, 하측 격판(155b)의 타측 위치에는 상향으로 보조 에어공(115c)이 구비된다.
급수탱크(150)의 내부에는 하측 격판(15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측 격판(157)이 구비되어, 하측 격판(115)과 상측 격판(157) 사이에 보급수조(15)가 형 성된다. 그리고, 상측 격판(157)의 중앙부에는 보충수 투입공(157a)이 형성된다. 이 상측 격판(157)의 보충수 투입공(157a)은 하측 격판(155)의 보스 형상 통공(155b)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150)의 내부에 형성된 보급수조(154)의 내벽면에는 별도의 수위센서가 더 구비되어, 보급수조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급수탱크(150)의 최상측 위치에 형성된 보충수 투입부(156)에는 개폐부재(170)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개폐부재(170)는 중앙부에 에어공(172)이 관통 형성되어 보충수 투입부(156)에 승강수단을 매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동에 따라 급수탱크(150)의 보급수조(154)로 보충수가 투입되도록 개방 작동된다.
또한, 개폐부재(170)의 저면 중앙부에는 에어배출 가이드(180)의 상단부가 일체화되어 구비된다. 이 에어배출 가이드(180)는 급수탱크(150)의 상측 격판(157) 중앙에 형성된 보충수 투입공(157a)과 하측 격판(155)의 보스 형상 통공(155b)을 관통하도록 하향 연장되어, 급수탱크(150)의 수로(152)와 연통됨과 동시에 개폐부재(170)의 에어공(172)에 연통되므로, 온수공급장치 작동시 급수탱크(150)의 내부(구체적으로, 수로(152) 부분)에서 발생되는 에어를 온수공급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개폐부재(170)와 이에 일체화된 에어배출 가이드(180)는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면서 개폐부재(170)의 승강 작동에 따라 급수탱크(150)의 보급수조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입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승강수단은 급수탱크(150)의 보급수조(154) 벽면에 형성되어 내부에 는 나선홈이 형성된 지지보스(미도시)와, 이 지지보스의 나선홈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에어배출 가이드(18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폐부재(170)를 일방향으로 돌림에 따라 지지보스와 나사부에 의해 에어배출 가이드(180)가 나사식으로 회전 승강되면서 에어배출 가이드(180)의 상단부에 일체화된 개폐부재(170)가 승강되어, 물을 급수탱크(15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 밖에도, 승강수단은 개폐부재(170)를 상승시켜 급수탱크(150)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하겠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는 급수탱크(150)를 구성하는 개폐부재(170)를 커버하는 별도의 캡(196)이 더 구비된다. 캡(196)은 돔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돔형상 캡(196)의 중앙부에는 개폐부재(170)의 에어공(172)과 배출 가이드에 연통된 에어배출 구멍(19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탱크(150)에 형성된 수로(152)의 일단부(52a)는 U자형 열교환관(120)에 연결되고, 수로(152)의 타단부(152b)는 펌프(160)의 온수 유입부(162)측에 연결되며, 펌프(160)의 펌핑 공급단측(미도시)은 케이스(110)에 형성된 배출포트를 통과하여 온수관의 온수 유입단에 연결된다. 즉, 급수탱크(150)의 하부 위치에 형성된 수로(152) 양단부(152a,152b)에는 각각 열교환관(120)과 펌프(160)가 연결되어, 열교환관(120)을 경유하여 피티씨 발열체(14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펌프(160)에 의해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 전체를 돌아서 온수매트를 데워준 순환수가 케이스(110)의 유입포트에 연결된 U자형의 열교환관(120) 일단부측으로 유입되어 열교환관(120)을 경유하면서 피티씨 발열체(140)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물이 다시 데워져서 열교환관(120)의 타단부에 연결된 급수탱크(150)의 수로(152)의 일단부(152a)로 유입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피티씨 발열체(140)로 채용한 구조라서, 열교환관(120)을 경유하는 물을 보다 신속하게 데워줄 수 있다.
이어서, U자형 열교환관(120)을 경유하면서 피티씨 발열체(140)에 의해 다시 데워진 물은 급수탱크(150)의 수로(152) 타단부(152)에 온수 유입부(162)측이 연결된 펌프(160)에 의해 다시 온수매트 내부의 온수관으로 재순환되어 온수매트를 고르게 데워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압력 등의 차이로 인해 급수탱크(150)에 형성된 수로 등 부분에서 기포가 발생되더라도, 급수탱크(150)의 수로에서 케이스(110)의 상측으로 연통된 에어배출 가이드(180)와 개폐부재(170)의 에어공(172) 및 캡(196)의 에어배출 구멍(198)을 통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기포를 제거하기 때문에, 사용중에 펌프(160)의 임펠러 등에 기포가 부딪힘으로 인한 심한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급수탱크(150) 내부에 형성된 보급수조(154)에는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보급수조(154)에 채워진 물이 적정 수위에 도달하면 온수공급장치의 외부에 구비되어 컨크롤부에 연결된 신호표시장치로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보급수조의 물이 적정 수위 아래로 내려가면 컨트롤부에 연결된 알람표시장치로 표시를 하여 보 급수조(154)에 보충수를 채워 넣도록 알려주게 된다. 물론, 물이 적정수위에 도달하였음을 알리는 신호표시장치와 알람표시장치는 공지의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알람표시장치가 작동되면, 사용자가 개폐부재(170)를 회전시켜 상측으로 열어서 입구를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입구를 통해 보급수를 주입하면, 급수탱크(150)의 상측 격판(157)의 보충수 투입공(157a)을 통해 보급수조(154)의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게 되며, 보급수조(154)에 채워진 물은 하측 격판(155)에 형성된 통공(155b)과 보급수 투입공(155a)을 통해 수로(152)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U자형 열교환관(120)으로 물을 순환시켜 피티씨 발열체(140)에 의해 신속하게 가열하여 온수관으로 재공급하고, 사용중에는 급수탱크(150)를 통해 물을 보충하는 구조로서, 종래에 비하여 물을 보다 신속하게 데워서 공급할 수 있으며, 급수탱크(150)의 사이즈는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여서 종래에 비하여 물탱크의 용량을 크게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관지지부(132)와 발열체 지지부(134)는 알루미늄 재질로 일체화되도록 형성되고, 발열체 지지부(134)는 관지지부(132)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피티씨 발열체(140)가 발열체 지지부(134)와 관지지부(132)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데, 발열체 지지부(134)를 관지지부(132) 방향으로 눌러주어 발열체 지지부(134)에 피티씨 발열체(140)가 보다 견고 하게 고정설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아울러, 피티씨 발열체(140)와 열전도성 지지부재(130) 사이의 밀착력을 더 높여 줌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열전도성 지지부재(130)는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되므로, 발열체 지지부(134)를 보다 용이하게 관지지부(132)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으므로, 피티씨 발열체(140)와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조립 작업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발열체 지지부(134)의 양단부에는 원호부(136)가 더 구비되고, 원호부(136)는 관지지부(132)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화됨과 동시에 발열체 지지부(134)의 표면 높이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므로, 발열체 지지부(134)를 관지지부(132) 방향으로 눌러줄 때, 원호부(136)에 의해 발열체 지지부(134)를 보다 용이하게 눌러주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이 더욱더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테면, 발열체 지지부(134)를 눌러줄 때, 원호부(136)에 의해 발열체 지지부(134)가 더욱 원활하게 눌려지도록 가이드되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U자형 열교환관(120)은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관지지부(132)에 형성된 관삽입공(132a)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관삽입공(132a)의 내주면과 열교환관(1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열전도성 그리스(200)가 개재되고, 판형상의 피티씨 발열체(140)와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발열체 지지부(134) 사이에도 열전도성 그리스(200)가 개재되어, 열전도성 그리스에 의해 열교환관(120)과 열전도성 지지부재(130) 사이의 열전도율을 보다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온수매트의 발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티씨 발열체(140)는 온수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급 전원에 의해 발열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양면에 한 쌍의 피티씨 발열체(140)가 구비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온수공급장치의 초기 작동, 즉, 초기 발열시에는 두 개의 피티씨 발열체(140)를 가동하여 물을 신속하게 가열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한편, 초기 발열시간이 지나서 온수공급장치의 가동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면 피티씨 발열체(140)를 하나만 가동하도록 한다.
이처럼 초기 발열시에는 두 개의 피티씨 발열체(140)를 가동하여 물을 보다 신속하게 데워서 공급하므로, 온수매트의 신속한 온열 효과를 낼 수 있는 한편, 온수매트가 적절히 가열된 후에는 하나의 피티씨 발열체(140)만 가동시킴으로써, 소모 전력을 줄여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히터 구조를 채용한 온수공급장치의 주요 부분을 반 절개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열교환관과 열전도성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피티씨 발열체를 열전도성 지지부재에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정면도

Claims (4)

  1. 일단부가 온수매트에 내장된 온수관의 순환수 배출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온수관의 온수 유입단에 연결되어 온수공급장치의 케이스(110)에 내장 설치된 열교환관(120)과,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열교환관(120)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와,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양면 중에서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관(120)으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는 피티씨 발열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는 적어도 두 개의 관삽입공(132a)이 전후단으로 관통 형성된 판형상의 관지지부(132)와, 상기 관지지부(132)의 양면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발열체 지지부(134)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형상의 피티씨 발열체(140)는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한 쌍의 발열체 지지부(134)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발열체 지지부(134)와 상기 관지지부(132)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티씨 발열체(140)는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나머지 하나의 발열체 지지부(134)와 상기 관지지부(132) 사이에 개재되어, 상 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양면에 한 쌍의 피티씨 발열체(140)가 삽입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지지부재(130)의 상기 관지지부(132)와 상기 발열체 지지부(134)는 알루미늄 재질로 일체화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 지지부(134)는 상기 관지지부(132)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상기 피티씨 발열체(140)가 상기 발열체 지지부(134)와 상기 관지지부(132)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 지지부(134)를 상기 관지지부(132) 방향으로 눌러주어 상기 발열체 지지부(134)와 상기 관지지부(132) 사이에 상기 피티씨 발열체(140)가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KR1020080023703A 2008-03-14 2008-03-14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KR20090098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703A KR20090098363A (ko) 2008-03-14 2008-03-14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703A KR20090098363A (ko) 2008-03-14 2008-03-14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363A true KR20090098363A (ko) 2009-09-17

Family

ID=4135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703A KR20090098363A (ko) 2008-03-14 2008-03-14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83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916A (ko) * 2013-03-04 2014-09-15 (주)제이월드텍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0476200Y1 (ko) * 2014-04-29 2015-02-10 김태영 온수매트용 히트 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8916A (ko) * 2013-03-04 2014-09-15 (주)제이월드텍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KR200476200Y1 (ko) * 2014-04-29 2015-02-10 김태영 온수매트용 히트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384B1 (ko) 사우나기용 증기발생장치
JP2010196992A (ja) 温水器
KR20160089991A (ko) 온수량 조절가능한 무동력 온수 보일러
KR101367334B1 (ko) 온수 및 난방수 순간 가열 구조를 갖는 전기보일러 시스템
KR20070077806A (ko) 온수를 이용한 난방기기
JP2014016052A (ja) 出湯部湯温調整機能を有する給湯器
KR20090098363A (ko) 온수공급장치용 히터 구조
KR20120057007A (ko) 소형 온수보일러의 온수 가열장치
JP4104592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20090021858A (ko)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KR101496127B1 (ko) 냉온수 공급장치
KR20010008335A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0421793Y1 (ko)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KR20090082991A (ko) 전기 보일러
KR101120247B1 (ko) 소형 전기보일러
KR100838814B1 (ko) 온수보료 및 이를 이용한 침대
KR20090098362A (ko) 직수형 온수공급장치
KR101752395B1 (ko) 스팀과 온수 복합 보일러
CN205505169U (zh) 定向散热脚部取暖器
KR20090098364A (ko) 온수공급장치용 급수탱크 구조
KR20090114812A (ko) 증기 발생장치
KR200294627Y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장치 및 그를 이용한온수매트
KR200179637Y1 (ko) 온수가열순환장치
KR101981070B1 (ko) 직수형 온수공급장치
KR200453258Y1 (ko) 식품제조용 증기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