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126Y1 - 이동식 세차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126Y1
KR200440126Y1 KR2020070004565U KR20070004565U KR200440126Y1 KR 200440126 Y1 KR200440126 Y1 KR 200440126Y1 KR 2020070004565 U KR2020070004565 U KR 2020070004565U KR 20070004565 U KR20070004565 U KR 20070004565U KR 200440126 Y1 KR200440126 Y1 KR 200440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eater
water
water leve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천
Priority to KR2020070004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1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72Special adap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8Level sensors, e.g. water level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세차기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된 물을 제1가열수단을 구비한 메인 물탱크와; 제2가열수단을 구비한 보충수 탱크와; 상기 메인 물탱크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 이하일 때 상기 보충수 탱크의 가열된 물을 상기 메인 물탱크로 체크 밸브를 통해서 자동 급수하기 위한 펌프와; 압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메인 물탱크의 압력을 검출하여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가열수단을 자동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보충수 탱크의 물온도를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가열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메인 물탱크와 상기 보충수 탱크의 수위를 각각의 복수의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하여 저수위 한계 수위일 때 상기 제1,제2가열수단의 구동제어를 함과 아울러 메인 물탱크의 수위가 미리 정해둔 일정 수위 이하일 때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보충수 탱크의 가열된 물을 상기 메인 물탱크에 공급하도록 자동제어함과 아울러 각종 운전 조작 버튼과 표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70004565
이동, 세차, 스팀, 가열, 히터, 보충수, 펌프

Description

이동식 세차기{Portable car wash}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세차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세차기 콘트롤러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 물탱크(가열조) 11 : 히터1
12 : 토출밸브 13 : 압력게이지
14 : 압력변 15 : 압력스위치
16a - 16c : 고.중.저 수위센서 20 : 보충수 탱크
21 : 히터2 23 : 온도 조절기
23a : 온도센서 30 : 펌프
31 : 체크밸브 32 : 드레인 밸브
34 : 보조 토출밸브 41 : 히터1 릴레이
42 : 히터2 릴레이 43 : 펌프 릴레이
100 : 콘트롤러 101 : 전원 스위치
102 : 부저 정지 스위치 103 : 히터2 스위치
110 : 전원부 120 :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
130 : 보충수 탱크 저수위 감지부 140 : 메인 쿨탱크 고수위 감지부
150 : 메인 물탱크 중수위 감지부 160 : 히터1 릴레이 구동부
170 : 부저 구동부 180 : 히터2 릴레이 구동부
190 : 펌프 릴레이 구동부
본 고안은 이동식 세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조 탱크를 구비하고 보조탱크에 히터를 설치하여 가열된 물을 메인 물탱크(가열조)에 공급하게 함으로써 스팀 발생의 중단없이 연속적인 세차가 가능하도록 한 이동식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자동차를 세차할 경우 가정 또는 세차장에서 세차하게 되는데 가정에서 세차시에는 물이 30ℓ이상, 세차장에서 세차시에는 물이 200ℓ이상이 소요되고, 가정에서 세차를 하기 위해서는 수도시설 또는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된 수도시설에서 물을 길러 세차를 하게 되므로 일반세차장의 경우는 30분정도 소요됨에 비하여 가정에서 세차를 할 경우는 통상 1시간 이상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일반가정 또는 기타장소에 관계없이 소량의 물만을 이용하여 간단히 세차를 할 수 있는 휴대용 세차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휴대용 세차기중에는 물탱크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스팀에 의해 세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팀발생 휴대용 세차기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스팀 발생 휴대용 세차기는, 통상 물탱크 내에 가열수단을 설치하고, 일정한 압력이 되게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고, 스팀 출력 밸브를 통해서 스팀을 출력하여 자동차의 세차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팀 발생 세차기는, 휴대용이기 때문에 물탱크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고, 물탱크내의 물을 다 소비하게 되면 다시 물을 보충해야 하고, 물 보충후에는 다시 일정 압력이 될때까지 가열해야 하므로 물 부족시 세차 작업이 연속되지 못하고 중단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메인 물탱크 이외에 보충수 물탱크를 구비하고, 보충수 물탱크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보충수 물탱크의 물을 가열시킨 후 메인 물탱크로 펌프를 이용해 자동으로 급수되게 함으로써 메인 물탱크의 물 부족을 미리 방지하고, 보충수 탱크에 물만 보충해 주면 연속해서 고압 스팀 분사로 세차를 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세차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동식 세차기는,
급수된 물을 제1가열수단을 통해 가열시켜 일정한 압력의 스팀을 발생시켜 토출밸브를 통해 출수하기 위한 메인 물탱크와; 급수된 물을 제2가열수단을 통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켜 두기 위한 보충수 탱크와; 상기 메인 물탱크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 이하일 때 상기 보충수 탱크의 가열된 물을 상기 메인 물탱크로 체크 밸브를 통해서 자동 급수하기 위한 펌프와; 압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메인 물탱크의 압력을 검출하여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가열수단을 자동제어함과 아울 러 상기 보충수 탱크의 물온도를 온도센서를 통해 검출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2가열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메인 물탱크와 상기 보충수 탱크의 수위를 각각의 복수의 수위센서를 통해 검출하여 저수위 한계 수위일 때 상기 제1,제2가열수단의 구동제어를 함과 아울러 메인 물탱크의 수위가 미리 정해둔 일정 수위 이하일 때 상기 펌프를 구동시켜 보충수 탱크의 가열된 물을 상기 메인 물탱크에 공급하도록 자동제어함과 아울러 각종 운전 조작 버튼과 표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세차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된 물을 히터1(11)을 통해 가열시켜 일정한 압력의 스팀을 발생시켜 토출밸브(12)를 통해 출수하기 위한 메인 물탱크(10)와; 급수된 물을 히터2(21)를 통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켜 두기 위한 보충수 탱크(20)와; 상기 메인 물탱크(10)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 이하일 때 상기 보충수 탱크(20)의 가열된 물을 상기 메인 물탱크(10)로 체크 밸브(31)를 통해서 자동 급수하기 위한 펌프(30)와; 상기 메인 물탱크(10)의 고.중.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고수위센서(16a), 중수위센서(16b) 및 저수위센서(16c)와; 상기 보충수 탱크(20)의 중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중수위센서(22a), 저수위센서(22b)와; 상기 메인 물탱크(10)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히터1(11)을 제어하기 위하여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스위치(15)와; 상기 보충수 탱크(20)의 물 온도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온도조절기(23)와; 상기 히터1(11), 히터2(21) 및 펌프(30)의 구동 전원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히터1 릴레이(41), 히터2 릴레이(42) 및 펌프 릴레이(43)와; 운전 조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과, 각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기들 및 저수위 경고용 부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들과, 상기 수위센서들과, 압력스위치 및 온도조절기에 의해 상기 히터1,2 릴레이 및 펌프릴레이(41-43)의 구동을 제어하여, 메인 물탱크(10)의 물이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게 가열함과 아울러 히터1(11)이 구동되지 않는 시점에 히터2(21)를 구동시켜 보충수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며, 메인 물탱크(10)의 수위가 저수위 일 때 보충수 탱크(20)의 물을 메인 물탱크(10)로 보충하도록 펌프(30)를 구동하는 콘트롤러(100)로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러(100)는, 전원 스위치(101)와, 부저정지 스위치(102)와, 히터2 스위치(103)와, 전원 표시기(LED1), 펌프 표시기(LED2), 저수위 표시기(LED3), 히터2 표시기(LED4), 히터1 표시기(LED5)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 조절기(23)는 보충수 탱크(20)내의 온도센서(23a)에 의해 일정한 설정 온도가 되도록 히터2(2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온도 조절기(23) 및 온도센서(23a)는 별도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하는 서모스태드 등을 사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충수 탱크(20)의 가열온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가변저항기를 이용하는 온도조절기회로와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물탱크(10)와 상기 펌프(30) 사이에는 메인 물탱크(10)에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체크 밸브(31)와, 메인 물탱크(10)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키기 위한 드레인 밸브(32)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물탱크(10)에는 압력 게이지(13)와, 압력변(14)이 압력 스위치(15)와 함께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메인 물탱크(10)에는 고수위, 중수위, 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3개의 센서(16a, 16b, 16c)가 설치되고, 보충수 탱크(20)에는 중수위 및 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2개의 수위센서(22a, 22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34는 보조 토출밸브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세차기 콘트롤러의 구성 블록도이다.
콘트롤러(100)는, 전원 스위치(101)와, 부저 정지 스위치(102)와, 히터2 스위치(103)가 구비되고, 전원, 펌프, 저수위, 히터2 및 히터1 표시기(LED1 - LED5)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스위치(101)를 통해 교류 입력전원(AC 220V)을 입력받아 정류 및 평활시켜 각부 동작전원(Vcc)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메인 물탱크(10)의 저수위 센서(16c)로부터 저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20)와; 보충수 탱크(20)의 저수위 센서(22b)로부터 저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보충수 저수위 감지부(130)와; 메인 물탱크(10)의 고수위 센서(16a)로부터 고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메임 물탱크 고수위 감지부(140)와; 메인 물탱크(10)의 중수위 센서(16b)로부터 중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메인 물탱크 중수위 감지부(150)와; 상기 전원 스위치(101)를 통해서 구동전원을 입력받아 히터1(11)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20)의 저수위 감지에 의해 히터1(1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압력스위치(15)에 의해 일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히터1(11)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1 릴레이 구동부(160)와; 상기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20) 및 상기 보충수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30)의 저수이 감지시 부저를 구동시키고, 상기 부저 정지 스위치(102)에 의해 정지시키기 위한 부저 구동부(170)와; 히터2 스위치(103)의 온상태에서 상기 히터1(11)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온도 조절기(23)에 의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2(21)를 구동시키고, 상기 보충수 탱크 저수위 감지부(130)의 저수위 감지에 의해 히터2(21)를 정지시키는 히터2 릴레이 구동부(180)와; 상기 메인 물탱크 중수위 감지부(150)의 중수위 감지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구동시키고 상기 보충수 탱크 저수위 감지부(130)의 저수위 감지 및 상기 메인 물탱크(10) 고수위 감지부(140)의 고수위 감지시 펌프(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펌프 릴레이 구동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세차기의 운전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물탱크(10)와 보충수 탱크(20)에 물을 채우고, 콘트롤러(100)상에 있는 전원 스위치(101)를 누르게 되면, 입력전원(AC 220V)이 전원부(110)에 공급된다. 전원부(110)에서는 트랜스포머를 통해 변압후 브릿지 다이오드 및 평활 콘덴서등을 통해 정류하여 소정의 직류전압(Vcc)을 발생하여 각부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한다. 전원부(110)가 동작하면 전원 표시기(LED1)가 점등 표시되어 운전중임을 표시한다.
상기 전원부(110)의 동작에 의해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히터1 릴레이 구동부(160)가 동작하여 히터1릴레이(41)를 구동시켜 히터1(11)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에따라 메인 물탱크(10)내의 히터1(11)에 의해 가열이 시작되고, 압력스위치(15)가 미리정해진 소정 압력을 검출하여 작동하기 전가지 계속 가열하게 된다.
메인 물탱크(10)의 히터1(11)이 구동되어 소정 압력이 될때까지 가열되면, 압력스위치(15)가 작동하여 히터1 릴레이 구동부(160)가 히터1 릴레이(41)를 오프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토출밸브(12)에 세차용 토출장치를 연결하여 고압 스팀세차를 하게 되며, 상기 압력 스위치(15)는 복귀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히터1(1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히터1 릴레이(41)가 다시 구동된다. 즉, 압력에 대해서 일정한 히스테리시스 작용으로 소정의 범위 이내에서 동작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 물탱크(10)의 수위가 떨어져 저수위가 되면, 히터1(11)의 구동은 정지되어 히터 보호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초기 구동시 히터1(11)의 구동에 의해 메인 물탱크(10)내의 물이 가열되고, 일정 압력이 되면 히터1 릴레이 구동부(160)가 히터1 릴레이(41)를 오프시키는데, 이때 히터2 릴레이 구동부(180)는 동작을 시작한다. 즉, 히터1(11)의 구동이 완료된 이후 히터2(21)를 구동시키기 시작한다. 물론 히터2(21)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히터2 스위치(103)를 온 시켜둔 상태에서 구동시키게되며, 보충수 탱크(20)내의 물을 가열하여 일정한 온도가 되면 온도센서(23a)에 의해 물온도를 감지한 온도조절기(23)가 작동하여 히터2 릴레이 구동부(180)는 히터2 릴레이(42)를 오프시키게 된다. 즉, 보충수 탱크(20)의 물은 히터1(11)이 동작하지 않는 시간에 히터 2(21)가 구동되어 가열하게 되며, 일정한 온도가 되면 정지된다. 물론 보충수 탱크(20)의 저수위 감지부(140)에 의해 저수위가 감지되면 히터2(21)는 정지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부저 구동부(170)는,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30)와, 보충수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40)에 의해 저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 부저를 울리게 되며, 이를 보고 물을 급수시켜 보충하게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부저 정지 스위치(102)가 눌리면 부저는 정지된다.
이후, 상기 메인 물탱크 중수위 감지부(150)에서 중수위를 감지하게되면, 펌프 릴레이 구동부(190)는 펌프 릴레이(43)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펌프(30)가 작동되어 보충수 탱크(20)내의 가열되어 있는 물을 메인 물탱크(10)로 공급하게되고, 메인 물탱크 고수위 감지부(140)가 고수위를 감지하거나, 보충수 탱크 저수위 감지부(130)가 저수위를 감지하는 경우에 펌프 릴레이 구동부(190)는 펌프 릴레이(43)를 오프시켜 펌프(3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원 스위치(101)를 온 시키고, 메인 물탱크(10)의 물이 가열되어 일정한 압력에 도달하여 히터1의 구동이 정지되면 스팀 세차를 시작할 수 있고, 이때에 자동으로 히터2가 작동되어 보충수 탱크(20)내의 물을 일정한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게 된다. 이후 메인 물탱크(10)의 물이 중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으로 펌프(30)가 작동되어 보충수 탱크(20)의 가열된 물을 메인 물탱크(10)에 공급하게 되고, 메인 물탱크(10)에는 가열된 물이 공급되어 채워지므로 매우 짧은 시간만 대기하여도 즉시 히터1의 구동에 의해 고압 스팀이 발생 될 수 있어서 빠른 시간내에 물을 보충하여 스팀 세차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중 메인 물탱크에 차가운 보충수가 그대로 공급되면 메인 물탱크의 스팀압력(온도)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메인 물탱크에 보충되는 보충수를 일정온도로 가열 공급하여 주도록 한다. 이에 따라 대기시간이 거의 없거나 매우 짧은 대기시간만으로도 즉시 물을 보충하여 고압 스팀 세차를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저수위를 감지하여 메인 물탱크용 히터나 보충수 탱크용 히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보호하게 하고, 저수위 감지시 부저를 울려 물 보충을 알리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급수된 물을 히터1(11)을 통해 가열시켜 일정한 압력의 스팀을 발생시켜 토출밸브(12)를 통해 출수하기 위한 메인 물탱크(10)와;
    급수된 물을 히터2(21)를 통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켜 두기 위한 보충수 탱크(20)와;
    상기 메인 물탱크(10)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 이하일 때 상기 보충수 탱크(20)의 가열된 물을 상기 메인 물탱크(10)로 체크 밸브(31)를 통해서 자동 급수하기 위한 펌프(30)와;
    상기 메인 물탱크(10)의 고.중.저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고수위센서(16a), 중수위센서(16b) 및 저수위센서(16c)와;
    상기 보충수 탱크(20)의 저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저수위센서(22b)와;
    상기 메인 물탱크(10)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히터1(11)을 제어하기 위하여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스위치(15)와;
    상기 보충수 탱크(20)의 물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온도조절기(23)와;
    상기 히터1(11), 히터2(21) 및 펌프(30)의 구동 전원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히터1 릴레이(41), 히터2 릴레이(42) 및 펌프 릴레이(43)와;
    운전 조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과, 각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기들 및 저수위 경고용 부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들과, 상기 수위센서들과, 압 력스위치 및 온도조절기에 의해 상기 히터1,2 릴레이 및 펌프릴레이(41-43)의 구동을 제어하여, 메인 물탱크(10)의 물이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게 가열함과 아울러 히터1(11)이 구동되지 않는 시점에 히터2(21)를 구동시켜 보충수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며, 메인 물탱크(10)의 수위가 저수위 일 때 보충수 탱크(20)의 물을 메인 물탱크(10)로 보충하도록 펌프(30)를 구동하는 콘트롤러(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00)는,
    전원 스위치(101)와, 부저정지 스위치(102)와, 히터2 스위치(103)와, 전원 표시기(LED1), 펌프 표시기(LED2), 저수위 표시기(LED3), 히터2 표시기(LED4), 히터1 표시기(LED5)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23)는,
    보충수 탱크(20)내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한 범위의 온도에서 온/오프 되는 서모스태드를 사용하는 것을 하는 이동식 세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물탱크(10)와 상기 펌프(30) 사이에는 메인 물탱크(10)에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체크 밸브(31)와; 메인 물탱크(10)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키기 위한 드레인 밸브(32)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물탱크(10)에는 압력 게이지(13)와, 압력변(14)이 압력 스위치(15)와 함께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00)는,
    전원 스위치(101)를 통해 교류 입력전원(AC 220V)을 입력받아 정류 및 평활시켜 각부 동작전원(Vcc)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메인 물탱크(10)의 저수위 센서(16c)로부터 저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20)와;
    보충수 탱크(20)의 저수위 센서(22b)로부터 저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보충수 저수위 감지부(130)와;
    메인 물탱크(10)의 고수위 센서(16a)로부터 고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메임 물탱크 고수위 감지부(140)와;
    메인 물탱크(10)의 중수위 센서(16b)로부터 중수위 상태를 감지하는 메인 물탱크 중수위 감지부(150)와;
    상기 전원 스위치(101)를 통해서 구동전원을 입력받아 히터1(11)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20)의 저수위 감지에 의해 히터1(1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압력스위치(15)에 의해 일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히터1(11)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1 릴레이 구동부(160)와;
    상기 메인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20) 및 상기 보충수 물탱크 저수위 감지부(130)의 저수이 감지시 부저를 구동시키고, 부저 정지 스위치(102)에 의해 정지시키기 위한 부저 구동부(170)와;
    히터2 스위치(103)의 온 상태에서 상기 히터1(11)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온도 조절기(23)에 의해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2(21)를 구동시키고, 상기 보충수 탱크 저수위 감지부(130)의 저수위 감지에 의해 히터2(21)를 정지시키는 히터2 릴레이 구동부(180)와;
    상기 메인 물탱크 중수위 감지부(150)의 중수위 감지에 의해 상기 펌프(30)를 구동시키고 상기 보충수 탱크 저수위 감지부(130)의 저수위 감지 및 상기 메인 물탱크(10) 고수위 감지부(140)의 고수위 감지시 펌프(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펌프 릴레이 구동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세차기.
KR2020070004565U 2007-03-20 2007-03-20 이동식 세차기 KR200440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65U KR200440126Y1 (ko) 2007-03-20 2007-03-20 이동식 세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65U KR200440126Y1 (ko) 2007-03-20 2007-03-20 이동식 세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126Y1 true KR200440126Y1 (ko) 2008-05-26

Family

ID=4163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565U KR200440126Y1 (ko) 2007-03-20 2007-03-20 이동식 세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126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322B1 (ko) 2009-02-11 2010-10-29 권준오 농업용 전기 가온기
KR101347564B1 (ko) 2012-10-11 2014-01-03 이건식 심야전기보일러
CN103661286A (zh) * 2013-12-06 2014-03-26 华南理工大学 一种蒸汽洗车机的控制系统
KR20160126590A (ko) * 2015-04-24 2016-11-02 윤한무 압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KR101968333B1 (ko) * 2018-07-23 2019-04-12 주식회사 드림테크 배수기능을 갖춘 자동 스팀 세척기 제어방법
KR101998358B1 (ko) * 2018-07-23 2019-07-09 (주)드림테크 스팀 세척기
KR102054474B1 (ko) * 2018-08-13 2019-12-10 김현모 세차전용 트럭 시스템
KR20210016697A (ko) * 2019-08-05 2021-02-17 문지영 일체형 이동식 세차 장치 및 세차 장치 일체형 세차 전용 이동 수단
KR102351188B1 (ko) * 2021-05-03 2022-01-13 강대석 건증기와 습증기를 이용하는 스팀 세차장치
KR102368792B1 (ko) * 2021-09-23 2022-03-02 (주)만월회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
KR20220120233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실내온도 감응형 온풍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322B1 (ko) 2009-02-11 2010-10-29 권준오 농업용 전기 가온기
KR101347564B1 (ko) 2012-10-11 2014-01-03 이건식 심야전기보일러
CN103661286A (zh) * 2013-12-06 2014-03-26 华南理工大学 一种蒸汽洗车机的控制系统
KR20160126590A (ko) * 2015-04-24 2016-11-02 윤한무 압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KR101720414B1 (ko) * 2015-04-24 2017-03-28 윤한무 압력조절 기능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KR101998358B1 (ko) * 2018-07-23 2019-07-09 (주)드림테크 스팀 세척기
KR101968333B1 (ko) * 2018-07-23 2019-04-12 주식회사 드림테크 배수기능을 갖춘 자동 스팀 세척기 제어방법
KR102054474B1 (ko) * 2018-08-13 2019-12-10 김현모 세차전용 트럭 시스템
KR20210016697A (ko) * 2019-08-05 2021-02-17 문지영 일체형 이동식 세차 장치 및 세차 장치 일체형 세차 전용 이동 수단
KR102219448B1 (ko) * 2019-08-05 2021-02-23 문지영 일체형 이동식 세차 장치 및 세차 장치 일체형 세차 전용 이동 수단
KR20220120233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실내온도 감응형 온풍기
KR102467908B1 (ko) * 2021-02-23 2022-11-16 주식회사 명보에너지 실내온도 감응형 온풍기
KR102351188B1 (ko) * 2021-05-03 2022-01-13 강대석 건증기와 습증기를 이용하는 스팀 세차장치
KR102368792B1 (ko) * 2021-09-23 2022-03-02 (주)만월회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126Y1 (ko) 이동식 세차기
US7593789B2 (en) Water flow detection system for a bathing unit
CA2492350C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bathing unit
US959397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liquid level in a boiler
CN103748754B (zh) 电力控制装置和具有该电力控制装置的设备
CN107606780B (zh) 热水器及其控制方法
WO2012001683A2 (en) System for saving the initial water consumption while taking a shower
JP2019510958A (ja) スマートボイラを備える水加熱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0834417B1 (ko) 온수세정기의 온수온도 제어방법
CN202419891U (zh) 保持水温的足浴水桶
JP2017198379A (ja) 風呂給湯装置
JP4775425B2 (ja) 給湯機
JP4710511B2 (ja) 貯湯式給湯機
EP0703407A1 (en) Steam generator for domestic use, in particular for cleaning tasks
JP4683081B2 (ja) 給湯機
KR102179184B1 (ko) 절전 기능을 갖는 냉온 정수기
JP3812461B2 (ja) 貯湯式給湯機
KR100666130B1 (ko) 순간온수형 온수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EP3382089B1 (en) Steam ironing apparatus for detecting a lack of water
JP2008002784A (ja) 風呂用給湯装置
JP2010096381A (ja) 貯湯式給湯機
CN110345638B (zh) 储水式热水机的节水方法及储水式热水机
JP7321117B2 (ja) 風呂装置
JP2007127311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
JP2010091207A (ja) 風呂自動機能付き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