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220A - 흡수성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220A
KR20100091220A KR1020107013270A KR20107013270A KR20100091220A KR 20100091220 A KR20100091220 A KR 20100091220A KR 1020107013270 A KR1020107013270 A KR 1020107013270A KR 20107013270 A KR20107013270 A KR 20107013270A KR 20100091220 A KR20100091220 A KR 2010009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absorbent article
wing
lin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421B1 (ko
Inventor
하루코 오도이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9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Abstract

[과제] 날개 모양 플랩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일으킴 없이 간단하게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확실히 접어 첩착할 수 있도록 한 날개 부착 생리용 냅킨을 제공한다.
[해결방법] 본체 부분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 시에 속옷의 크로치 부분을 말아 넣도록 하여 고정되는 날개 모양 플랩(W, W)이 형성된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은 본체 부분에서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앞쪽 외형선(10)과, 본체 부분에서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뒤쪽 외형선(11)을 가지며,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보다도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이루는 각도(β) 쪽이 크게 설정되어,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중심(13)이 날개 모양 플랩(W)의 밑동 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15)의 중앙점(14)보다도 앞쪽으로 치우친 형상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수성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속옷에 고정할 때에 속옷의 크로치 부분에 말아 넣도록 하여 사용되는 날개 모양 플랩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다.
종래부터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대하 시트,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N)으로서는, 예컨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裏面) 시트(50)와, 부직포 또는 투공성 플라스틱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액성 표면 시트(51) 사이에 면상(綿狀)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52)를 개재시킨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N)으로서는, 장착상태에서의 비뚤어짐 방지를 도모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피부에 맞닿지 않는 면(외면)에 1 또는 복수 조의 점착제층(53, 53)을 형성하고, 또한 냅킨 본체의 길이방향 양 측부에, 바깥 쪽으로 연재하는 날개 모양 플랩(W, W)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날개 모양 플랩(W, W)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50) 측의 면(외면)에 점착제층(54, 54)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 존재한다(하기 특허문헌 1, 2 등 참조).
상기 흡수성 물품(N)을 속옷(60)에 고정할 때에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N)을 속옷(60)의 국소 대응위치에 대어 측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날래 모양 플랩(W, W)을 속옷보다 바깥 쪽으로 돌출시키고, 양 날개 모양 플랩(W, W)을 꺾임선(RL, RL)에서 접어서, 속옷의 크로치 부분을 말아 넣도록 하면서 속옷(60)의 고간부 외면에 접착한 후 속옷을 신체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JP 2003-111799 A JP 2004-113590 A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은 쇼츠(shorts; 여성용 팬티-번역자주)로의 고정을 도모함에는 매우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부주의하게 접으면 일부만이 접히고 점착제끼리 접착해버려 주름이나 융기부가 생기거나, 날개 모양 플랩(W)이 중간에서 접히고 점착제층에 접착해버려 오접착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또한 꺾임선(RL)에서 확실하게 꽉 접을 수 없으며 날개 모양 플랩의 접음선이 비스듬히 휘어서 접히고 이런 꺾여짐의 돌출부분이 대퇴부에 위화감을 가져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는 날개 모양 플랩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일으키지 않고 간단하게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확실히 접어 점착할 수 있도록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항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 시에 속옷의 크로치 부분을 말아 넣도록 하여 고정되는 날개 모양 플랩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은 본체 부분에서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앞쪽 외형선(前側外形線)과, 본체 부분에서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뒤쪽 외형선(後側外形線)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의 이루는 각도보다도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가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중심이 날개 모양 플랩의 밑동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의 중앙보다도 앞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날개 모양 플랩의 평면 형상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θ: 도 4 참조)보다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β:〃) 쪽이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중심이 날개 모양 플랩의 밑동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의 중앙보다도 앞쪽으로 치우쳐(△S:〃)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등변사다리꼴(isosceles trapezoid) 형상의 플랩 형상 대신에 플랩의 뒤쪽 부근의 경사를 앞쪽 부근보다 급경사로 한 대략 삼각형상 또는 부등변사각 형상을 채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외형상으로 함으로써,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날개 모양 플랩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확실히 접어 첩착(貼着)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는 30°이상으로 한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날개 모양 플랩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θ)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위형선이 이루는 각도(β)의 각도차를 30°이상으로 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거둘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평면 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이나 대략 부등변사각 형상으로 하고 있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날개 모양 플랩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그 외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이나 대략 부등변사각 형상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돌출 길이를 쇼츠의 크로치 폭보다도 길게 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서는 날개 모양 플랩의 돌출 길이를 쇼츠의 크로치 폭보다 길게 함으로써 쇼츠로의 고정이 확실히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이면 측에 설치되는 점착제층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폭은 기단 측보다도 선단측을 좁게 한 형상을 하고 있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서는 날개 모양 플랩의 이면 측에 설치되는 점착제층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 폭은 기단측보다 선단측을 비좁게 한 형상, 구체적으로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대략 등각사다리꼴 혹은 대략 부등변사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을 때에, 접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청구항 6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날개 플랩의 선단부에 착색을 실시하고 있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서는 날개 모양 플랩의 선단부에 착색을 실시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선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장착 실수가 감소될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7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적어도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서는, 적어도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신체의 움직임에 날개 모양 플랩이 추종하는 응력을 완화하기 때문에 장착감이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비뚤어짐이 어렵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날개 모양 플랩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발생시킴 없이 간단히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확실히 접어 첩착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일부 파단전개도이다.
도 2는 그 이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날개 모양 플랩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냅킨의 장착 요령을 나타낸다. (A)는 종래의 날개 모양 플랩의 경우이며, (B)는 본 발명에 관한 날개 모양 플랩의 경우이다.
도 6은 날개 모양 플랩의 접음 시에 작용력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A)는 종래의 날개 모양의 플랩의 경우이며, (B)는 본원발명에 관한 날개 모양 플랩의 경우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날개 모양 플랩의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A)(B)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제조요령을 나타내는 냅킨의 진행 흐름 상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생리용 냅킨(N)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그 장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의 일부 파단전개도, 도 2는 그 이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화살표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생리용 냅킨(1)≫
상기 생리용 냅킨(1)은 폴리에틸렌시트, 폴리프로필렌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경혈이나 대하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4)와, 이 흡수체(4)의 형상 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 상기 흡수체(4)의 주위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5)와,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과 크레이프지(5) 사이에 개재된 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6)과, 표면 양측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사이드 부직포(7, 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4)의 주위에 있어서, 그 상하 단연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투액성 표면 시트(3)과의 외연부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며, 또한 그 양측연부에서는 흡수체(4)보다도 측방으로 연출하고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7)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하, 상기 생리용 냅킨(1)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술하면,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시트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갖는 시트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기타 폴리에틸렌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나, 또한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것으로써 부직포 시트(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불투액성 이면 시트를 구성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근년에는 통풍이 안 되어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향이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무기충전제를 용융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에, 일축 또는 이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微多孔性) 시트이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은,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시트 등이 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의의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에서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며, 서멀본드법은 굵고 소프트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의 상면측으로부터 각종의 엠보싱을 부여하여 체액의 체류를 촉진하고 흡수 효율을 높임으로써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투액성 표면 시트(3)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4)는, 예컨대 보풀(fluff) 모양의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펄프 안에 예컨대 낟알 모양 분말로서 혼입되어 있다. 상기 펄프로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활엽수 펄프 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 쪽이 기능 및 가격의 면에서 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와 같이 흡수체(4)의 주위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5)를 설치한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3)과 흡수체(4) 사이에 크레이프지(5)를 개재함으로써 흡수성이 우수한 상기 크레이프지(5)에 의해 체액을 신속하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이들 경혈 등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된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과 크레이프지(5) 사이에 개재된 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6)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서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의의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에는 합성섬유의 제조 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제2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한 금속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을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컨드 시트(6)은 투액성 표면 시트(3)를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생리용 냅킨(1)의 표면쪽 양측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또한 냅킨(1)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사이드 부직포(7, 7)가 설치되며, 이 사이드 부직포(7, 7)의 일부가 측방으로 연재됨과 동시에, 동일하게 측방으로 연재된 불투액성 이면 시트(2)의 일부에 의해 날개 모양 플랩(W, W)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날개 모양 플랩(W, W)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로서는, 중요시하는 기능점으로부터 발수처리 부직포 또는 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경혈이나 대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혹은 피부 접촉감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중시한다는 거라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크로리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에서의 경혈 등의 흡수성을 중시하는 거라면, 합성섬유의 제조 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제2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한 금속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과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사이에 흡수체(4)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피부에 맞닿지 않는 면에는, 속옷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적의의 도포 패턴에 의해 복수 조의, 도시 예에서는 3조의 본체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8 …)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본체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8 …)이 도시되지 않은 본체용 박리재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측의 면에는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9)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9, 9)가 도시되지 않은 날개용 박리재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박리재는 본체용 박리재로서 횡단 방향으로 배치된 날개용 박리재를 교차부로 접합하고, 1회의 박리 작업으로 박리재를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는 개장(個裝; 각각 포장함)에서는 투액성 표면 시트(3) 측으로 접어 개키는 소위 앞으로 접기(腹折)로 하여도 좋고, 불투액성 표면 시트(2) 측으로 접어 개키는 소위 뒤로 접기(背折)하는 것도 좋다. 또한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9, 9)를 덮는 박리재로서 1매의 박리재가 아니라 좌우로 분리시켜도 좋다.
상기 박리재로서는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9)에 대하여 서로 맞닿는 면에 대하며, 예컨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또는 사불소화에틸렌계 수지 등의 이형처리액을 도공하거나 스프레이 도포하여 이형처리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9)를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폴리머, 점착부여제, 가소제 중 어느 하나가 주성분인 것이 호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공중합체, 스티렌-부틸렌-스티렌블록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의 1종만을 사용하여도 이종 이상의 폴리머 배합이어도 좋다. 이 중에서도 열안정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부여제 및 가소제로서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부여제로는 예컨대 C5계 석유수지, C9계 석유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로진계 석유수지, 폴리테르펜수지, 테르펜페놀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가소제로는 예컨대 인산트리페닐,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옥틸 등의 모노머 가소제 외에, 비닐중합체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폴리머 가소제를 들 수 있다.
≪날개 모양 플랩(W)≫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은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 부분으로부터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앞쪽 외형선(10)과, 본체 부분으로부터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뒤쪽 외형선(11)과, 상기 앞쪽 외형선(10)과 뒤쪽 외형선(11)을 잇는 선단측 외형선(12)로 이루어지는 외형상(外形狀)을 이룬다. 본 생리용 냅킨(1)에서는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형상을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보다도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이루는 각도(β) 쪽이 크게 설정되고,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중심(13)이 날개 모양 플랩(W)의 밑동 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15)의 중앙점(14)보다도 △S만큼 앞쪽으로 치우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7(A)에 나타난 대략 삼각 형상이든가, 도 7(B)에 나타난 대략 부등변사각형이 된다. 형상이 대략 삼각 형상의 경우는 앞쪽 외형선(10)과 뒤쪽 외형선(11)을 잇는 선단측 외형선(12)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앞쪽 외형선(10), 뒤쪽 외형선(11) 및 선단측 외형선(12)는, 직선일 필요는 없고 물결 모양 선이나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각도 θ, β는 이들의 물결 모양 또는 곡선 외형선의 중심선이 이루는 구배를 취하여도 좋다.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는, 0~15° 정도로 하고,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이루는 각도(β)는 30~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와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이루는 각도(β)의 각도차는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각도차 30° 이상이면, 충분한 편심 거리(△S)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후술한 바와 같이 손을 앞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손으로 날개 모양 플랩(W)을 접더라도 확실하게 정규의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된다.
날개 모양 플랩(W)을 상기와 같은 외형상으로 함으로써 날개 모양 플랩(W)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발생시킴 없이 간단하게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확실하게 접어 첩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져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점에 대해서, 종래의 등변사다리꼴의 날개 모양 플랩(W)(도 10 참조)과 비교함으로써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여성이 변기 등에 앉은 상태에서 생리용 냅킨(1)을 쇼츠(20)에 장착하는 경우는 쇼츠(20)를 밑으로 내린 상태에서 행하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체보다도 앞쪽에서 냅킨(1)의 장착 작업을 행하는 것이 된다.
종래의 등변사다리꼴의 날개 모양 플랩(W)의 경우는,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을 냅킨의 양측에 거든 상태에서 날개 모양 플랩(W)을 바로 아래 방향으로 접지 않으면 잘 장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장착 위치가 신체보다도 앞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손을 앞쪽으로 움직이는 동작(도 5(B))이 들어가 버려, 날개 모양 플랩(W)의 일부만 접히고 점착제끼리 접착해 버려 주름이나 융기부가 생기거나, 날개 모양 플랩(W)이 중간에 접혀 점착제층에 접착해 버리는 오접착 등의 불량이 생기거나 하였다. 또한 날개 모양 플랩의 접음선이 비스듬히 구부려져 접히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손을 앞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손으로 날개 모양 플랩을 접더라도 확실하게 꽉 정규의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는 날개 형상으로 한 것이다.
도 6(A)는, 종래의 등변사다리꼴의 날개 모양 플랩(W)이 접힐 때의 작용력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지만, 손을 앞쪽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손으로 날개 모양 플랩을 접는 경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에서 선단측을 따라 아래쪽으로 향하는 하중이 작용하게 하고, 이들의 분포하중을 합친 집중하중(∑P)를 상정하면, 이 집중하중(∑P)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기점은 날개 모양 플랩의 접합선(15)의 중앙점(14)이 되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비틀림이 발생하며, 뒤쪽 외형선(11)의 기단에서 서서히 진행해 가는 접음선(16)은 외측으로 기울어져 버리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경우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진 뒤쪽 외형선(11)의 중앙 부분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하중이 작용하게 하면, 이들의 분포하중을 합친 집중하중(∑P)을 상정하면, 이 집중하중(∑P)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기점은 날개 모양 플랩의 접합선(15)의 중앙점(14)보다도 앞쪽으로 시프트된 중심 분할점(13')(접합선(15)의 1:2 분할점)이 되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의 비틀림이 적기 때문에, 뒤쪽 외형선(11)의 기단에서 서서히 진행해 가는 접음선(16)은 접합선(15)과 일치하며,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접히게 된다.
또한,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11)이 크게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날개 모양 플랩(W)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일으킴 없이 접음선(RL)에서 확실히 꽉 접어 개켜지도록 된다.
한편,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돌출길이(L)는 40~50mm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쇼츠(20)의 크로치 폭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좋다. 쇼츠(20)의 크로치 폭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쇼츠로의 고정이 확실하게 될 수 있도록 된다.
다른 한편,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이면 측에 설치되는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9)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냅킨(1)의 길이 방향 폭이, 기단측(NL)보다도 선단측(SL)을 좁게 한 형상, 구체적으로는 대략 삼각형상 또는 대략 등변사다리꼴 혹은 부등변사각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접을 때에 접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기타 형태예]
(1)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날개 모양 플랩(W, W)의 선단부에 착색(17)을 실시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선단부를 확인할 수 있고, 장착 실수가 감소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2)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11)는 작은 철곡선(凸曲線)과 요곡선(凹曲線)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물결 모양 곡선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는 전후가 알기 쉬우며 뒤쪽 외형선(11)이 비스듬히 경사져 있는 것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3)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이 냅킨 길이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신체의 움직임에 날개 모양 플랩(W)이 추종하여 응력을 완화하기 때문에 장착감이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비뚤어짐이 어렵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이드 부직포(7)로서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부직포,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등의 가역적으로 소성 변형하기 쉬운 탄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장섬유로 구성한 부직포, 또는 잡아 늘려졌을 때에 섬유 자체의 섬유 직경은 변화하지 않음에도 지그재그 모양 또는 스파이럴 모양의 권축(捲縮)이 형성되고, 이 권축이 잡아 늘려짐으로써 신축성을 나타내도록 한 부직포 등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로서 신축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에 신축성을 부여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도록 한다.
(4) 본 생리용 냅킨(1)의 제조에 대해서는, 도 9(B)에 나타나는 종적인 진행 흐름 방식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적인 진행 흐름 방식으로 하여 정배치와 상하를 반전시킨 역배치를 교호적으로 나란히 늘어놓도록 하면 적은 재료로 효율적으로 다수의 냅킨(1, 1 …)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는 흡수체(4)가 제조 라인 방향에 대해서 좌우로 위치 비뚤어짐 없이 동일 직선상으로 되는 조건 하에서, 정배치의 냅킨(1)과 역배치의 냅킨(1)의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끼리 일치하도록 날개 모양 플랩(W)의 외형선을 결정한다.
1: 생리용 냅킨, 2: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투액성 표면 시트, 4: 흡수체, 5: 크레이프 지(紙), 6: 세컨드 시트, 7: 사이드 부직포, 8: 본체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 9: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 10: 앞쪽 외형선, 11: 뒤쪽 외형선, 12: 선단측 외형선, W: 날개 모양 플랩

Claims (7)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 시에 속옷의 크로치 부분을 말아 넣도록 하여 고정되는 날개 모양 플랩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은 본체 부분에서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앞쪽 외형선과, 본체 부분에서 바깥 쪽으로 연장되는 뒤쪽 외형선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의 이루는 각도보다도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가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중심이 날개 모양 플랩의 밑동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의 중앙보다도 앞쪽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의 차이는 30°이상으로 한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평면 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이나 대략 부등변사각 형상으로 한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돌출 길이를 쇼츠의 크로치 폭보다도 길게 한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이면 측에 설치되는 점착제층의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폭은 기단측보다도 선단측을 좁게 한 형상을 한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선단부에 착색을 실시한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13270A 2007-11-27 2008-11-26 흡수성물품 KR101527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05578 2007-11-27
JP2007305578A JP2009125430A (ja) 2007-11-27 2007-11-27 吸収性物品
PCT/JP2008/071410 WO2009069634A1 (ja) 2007-11-27 2008-11-26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220A true KR20100091220A (ko) 2010-08-18
KR101527421B1 KR101527421B1 (ko) 2015-06-09

Family

ID=4067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270A KR101527421B1 (ko) 2007-11-27 2008-11-26 흡수성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84985B2 (ko)
EP (2) EP2216003A4 (ko)
JP (1) JP2009125430A (ko)
KR (1) KR101527421B1 (ko)
CN (1) CN101878011B (ko)
WO (1) WO20090696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172A (ko) * 2011-10-31 2014-07-04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2164B2 (ja) * 2011-06-30 2015-12-1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76243B2 (ja) * 2011-07-29 2016-03-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56789B2 (ja) * 2011-09-30 2016-02-1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986273B2 (en) 2011-11-10 2015-03-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intermeshing flaps
US9993374B2 (en) 2011-11-10 2018-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intermeshing flaps
JP6005027B2 (ja) * 2013-11-25 2016-10-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12015006462T5 (de) 2015-05-29 2017-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r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r gelappten absorbierenden schicht
USD772401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89523S1 (en) 2015-05-29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2403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7910S1 (en) 2015-05-29 2017-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2402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6263581B1 (ja) * 2016-07-27 2018-01-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621572A1 (en) * 2017-05-12 2020-03-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CN110831560B (zh) * 2017-05-12 2022-04-15 宝洁公司 女性卫生制品
EP3621570A1 (en) 2017-05-12 2020-03-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EP4233817A3 (en) * 2017-05-12 2023-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WO2018213225A1 (en) 2017-05-17 2018-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inks printed on heat sensitive absorbent article components
US11540957B2 (en) * 2017-05-26 2023-0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pivotable wings
ZAA201800006S (en) 2017-07-07 2019-06-26 Sca Hygiene Prod Ab Sanitary napkins
AU2018295400B2 (en) * 2017-07-07 2021-03-1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RU2732097C1 (ru) * 2017-07-07 2020-09-11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JP7083639B2 (ja) * 2017-12-27 202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S2755801R1 (es) * 2018-06-29 2020-04-29 Teixidor Marta Tomas Metodo de fijacion de compresas desechables y protegeslips
USD902394S1 (en) 2018-07-02 2020-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5668B (sv) * 1986-12-23 1988-08-01 Moelnlycke Ab Dambinda
JP2810780B2 (ja) * 1990-10-17 1998-10-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113904B2 (ja) * 1991-09-18 2000-12-04 忠正 芥川 鉛蓄電池用硫酸濃度センサー
JPH0586322A (ja) 1991-09-30 1993-04-06 Sekisui Chem Co Ltd 型内被覆成形用熱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被覆成形品
JPH0537223U (ja) * 1991-10-28 1993-05-21 第一衛材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2564283Y2 (ja) * 1992-04-27 1998-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5558662A (en) * 1994-04-20 1996-09-24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ttachment mechanism and a method of attaching
US6358233B1 (en) * 1996-03-13 2002-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cuate absorbent article with laterally extending flaps having longitudinal stretch
JP2974970B2 (ja) * 1996-08-02 1999-11-10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物品
JP3175107B2 (ja) * 1996-10-14 2001-06-1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A2194125A1 (en) * 1996-12-30 1998-06-30 Roger Boulanger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SE514136C2 (sv) * 1999-05-14 2001-01-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avsett för användning i ett par stringtrosor
US6491674B1 (en) * 2000-11-28 2002-12-10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having conformable side flaps
JP4424880B2 (ja) 2001-10-03 2010-03-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604609B2 (en) * 2001-11-21 2003-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 for selecting feminine hygiene products
US7753896B2 (en) * 2001-12-19 2010-07-13 Mcneil-Ppc, Inc. Drapeable absorbent article
SG103382A1 (en) * 2002-01-11 2004-04-29 Uni Charm Corp Colored absorbent article
JP3776862B2 (ja) 2002-09-27 2006-05-1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190329B2 (ja) * 2003-03-28 2008-12-03 大王製紙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20050124959A1 (en) * 2003-12-09 2005-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asymmetric protective wing portions
US20060149202A1 (en) * 2004-12-06 2006-07-06 Jeannine Cardin Line of sanitary napkins with proportional wings
US7432412B2 (en) * 2004-12-28 2008-10-07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7811271B2 (en) * 2005-09-09 2010-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 activation
JP4641979B2 (ja) * 2006-07-06 2011-03-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4172A (ko) * 2011-10-31 2014-07-04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2965B1 (en) 2023-08-30
US20100312215A1 (en) 2010-12-09
US8684985B2 (en) 2014-04-01
EP3692965A1 (en) 2020-08-12
EP2216003A1 (en) 2010-08-11
KR101527421B1 (ko) 2015-06-09
EP2216003A4 (en) 2011-11-16
CN101878011A (zh) 2010-11-03
CN101878011B (zh) 2015-02-18
WO2009069634A1 (ja) 2009-06-04
JP2009125430A (ja)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1220A (ko) 흡수성물품
JP2009125430A5 (ko)
JP5520630B2 (ja) 吸収性物品
JP5279185B2 (ja) 吸収性物品
JP6005027B2 (ja) 吸収性物品
KR102088071B1 (ko) 흡수성 물품
JP4388241B2 (ja) 吸収性物品
KR101041286B1 (ko) 흡수성물품
JP6031444B2 (ja) 吸収性物品
JP2015100502A5 (ko)
JP5832164B2 (ja) 吸収性物品
JP5059899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476498B2 (ja) 吸収性物品
JP5826216B2 (ja) 吸収性物品
JP5306419B2 (ja) 吸収性物品
JP2017080244A (ja) 吸収性物品
JP5924921B2 (ja) 吸収性物品
JP6371802B2 (ja) 吸収性物品
JP6151510B2 (ja) 吸収性物品
JP2013121462A5 (ko)
JP2018000283A5 (ko)
JP6668011B2 (ja) 吸収性物品
JP5968641B2 (ja) 吸収性物品
JP5876243B2 (ja) 吸収性物品
JP5887442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