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71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071B1
KR102088071B1 KR1020147009395A KR20147009395A KR102088071B1 KR 102088071 B1 KR102088071 B1 KR 102088071B1 KR 1020147009395 A KR1020147009395 A KR 1020147009395A KR 20147009395 A KR20147009395 A KR 20147009395A KR 102088071 B1 KR102088071 B1 KR 10208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line
absorbent article
w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7106A (ko
Inventor
메구미 요시바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67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3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 A61F13/4724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characterised by an unusual contour with asymmetry around the x or y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날개 모양 플랩을 쇼츠의 측연을 따라 정규의 접음 위치(밑동 부분 위치)에서 확실히 접을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투액성 표면 시트(3)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사이에 흡수체(4)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 시에 속옷의 클로치 부분을 말아 넣도록 하여 고정되는 날개 모양 플랩(W, W)이 형성된 냅킨(1)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은,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앞쪽 외형선(10)과,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뒤쪽 외형선을 가지며, 상기 앞쪽 외형선(10)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모양부와 내측으로 돌출하는 오목 모양부의 반복에 의한 물결 모양선이 되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10c)의 정점(P)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11)이 냅킨(1)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Q)을 연결한 직선(L)이 상기 접속점(Q)을 통과하는 냅킨(1)의 폭 방향선에 대해 60~65°의 각도(α)로 설정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속옷에 고정할 때에 속옷의 클로치 부분에 말아 붙여 사용되는 날개 모양 플랩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다.
종래부터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기저귀 시트,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N)으로서는, 예컨대 도 10에 나타난 것처럼, 폴리에틸렌시트 또는 폴리에틸렌라미네이트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50)와, 부직포 또는 투액성 플라스틱시트로 이루어지는 투액성 표면(51) 시트 사이에 면상 펄프로 이루어지는 흡수체(52)를 개재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흡수성 물품(N)으로서는 장착 상태의 비뚤어짐을 막기 위해서, 예컨대 피부에 맞닿지 않는 면 쪽(외면)에 1 또는 복수 조의 점착제층(53, 53)을 형성하고, 또한 냅킨 본체의 길이방향 양측부에 바깥쪽으로 연재하는 날개 모양 플랩(W, W)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날개 모양 플랩(W, W)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50) 쪽의 면(외면)에 점착제층(54, 54)를 설치하게 한 것이 존재한다.
상기 흡수성 물품(N)을 속옷(60)에 고정할 때에는 도 11에 나타난 것처럼 흡수성 물품(N)을 속옷(60)의 국소 대응부위에 대고, 측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을 속옷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양 날개 모양 플랩(W, W)을 접음선(RL, RL)에서 접고, 속옷의 클로치 부분을 말아넣도록 하면서 속옷(60)의 고간부 외면에 접착한 후에, 속옷을 신체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을 접을 때에 부주의하게 접으면 일부만이 접혀서 점착제끼리 접착해 버려 주름이나 융기부가 생긴다든지, 날개 모양 플랩이 중간에서 접혀서 접착제끼리 접착해 버리는 오접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접음선(RL)에서 정확히 접히지 못하고, 날개 모양 플랩의 접음선이 삐딱하게 구부려져서 접히며, 이 접힘의 돌출 부분이 다리 주위에 위화감을 준다거나 흡수성 물품에 비뚤어짐이 생겨서 누출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속옷(이하, “쇼츠”라고도 말한다)으로의 고정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여럿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흡수층 및 누출방지층을 갖는 흡수성 본체와, 배설부 대향부에서의 이 흡수성 본체의 양쪽에 설치되며, 속옷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절곡되어 해당 속옷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한 쌍의 날개부 각각의 형상이 각 날개부의 선단의 가장자리부의 중점을 통과하는 폭방향 횡단선의 앞뒤에서 비대칭이며, 한 쌍의 날개부 각각은, 흡수성 물품 길이방향 뒤쪽의 가장자리부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흡수성 물품 길이방향 앞쪽의 가장자리부의 해당 흡수성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보다 작으며, 한 쌍의 날개부 각각의 흡수성 물품 길이방향 앞쪽의 가장자리부는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한 쌍의 날개부 각각의 흡수성 물품 길이방향 뒤쪽의 가장자리부는 연속 물결모양으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서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본체부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 시의 속옷의 클로치 부분을 말아넣도록 하여 고정되는 날개 모양 플랩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은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앞쪽 외형선과,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뒤쪽 외형선을 가지며,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을 이루는 각도보다도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 쪽이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중심이 날개 모양 플랩의 밑동 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의 중앙보다도 앞쪽으로 치우쳐 있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앞쪽 외형선 및 뒤쪽 외형선은 물결 모양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도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64197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9-12543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 2 기재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을 쇼츠의 클로치 측연을 따라 정확히 접혀지도록 한 것이며, 종래의 사다리꼴 날개 모양 플랩과 비교하면 현격히 효과를 바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날개 모양 플랩에 손을 대서 이 플랩을 접을 때, 손가락은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에 닿게 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관한 냅킨처럼 앞쪽 외형선이 직선 모양으로 되는 경우는 손가락에 걸리는 것이 없기 때문에 플랩을 접을 때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앞쪽 외형선을 물결 모양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한 경우도 개시되어 있지만, 손가락이 날개 모양 플랩의 적절한 위치에 그 위치가 정해지지 않으면 역시 플랩을 접을 때에 실패해서 쇼츠 측연을 확실히 접을 수 없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날개 모양 플랩을 쇼츠 측연을 따라 정규의 접음 위치(밑동 위치)에서 확실히 접을 수 있도록 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 시에 속옷의 클로치 부분을 말아 넣도록 하여 고정되는 날개 모양 플랩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은,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앞쪽 외형선과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뒤쪽 외형선을 가지며,
상기 앞쪽 외형선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모양부와 내측으로 돌출하는 오목 모양부의 반복에 의한 물결 모양선이 되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의 정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을 잇는 직선이 상기 접속점을 통과하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에 대해 60~65°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서는,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모양부와 내측으로 돌출하는 오목 모양부의 반복에 의한 물결 모양선이 되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의 정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형상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을 잇는 직선이 상기 접속점을 통과하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에 대해서 60~65°각도로 설정하고 있다.
상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는, 손의 검지손가락이 걸리는 위치로서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자가 유저가 날개 모양 플랩을 접을 때에 손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사하였더니,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의 정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을 잇는 직선의 각도가 60~65°의 방향에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케이스가 가장 많았던 것을 감안하여, 상기 오목 모양부의 위치를 상기와 같이 설정하고 사용자가 날개 모양 플랩을 접을 때에 검지손가락이 상기 오목 모양부에 걸리도록 한 것으로, 날개 모양 플랩의 접음이 쉽도록 향상된 날개 모양 플랩을 쇼츠의 측연을 따라 정규의 접음 위치(밑동부분 위치)에서 정확히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 쪽이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중심(重心)이 날개 모양 플랩의 밑동 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의 중앙보다 앞쪽에 치우쳐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서는, 날개 모양 플랩의 평면 형상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θ: 도 4 참조)보다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β: 도 4 참조) 쪽이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중심(重心)이 날개 모양 플랩의 밑동 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의 중앙보다도 앞쪽에 편의(ΔT: 도 4 참조)하여 있는 형상으로 한 것이다. 바꿔 말하자면, 종래의 등변사다리꼴의 플랩 형상 대신에, 플랩의 뒤쪽 근방의 경사를 앞쪽 근방보다 급경사로 한 대략 삼각 형상 또는 부등변사각형상을 채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외형상으로 함으로써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처럼 간단히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확실히 접기 쉽도록 된다. 또한, 상기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θ)를 구할 때의 직선은 물결 모양선의 가장 외측의 볼록 모양부에 접촉하는 방향선으로 한다. 또한 상기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β)를 구할 때의 직선도, 상기 뒤쪽 외형선이 물결 모양선으로 된 경우는, 앞쪽 외형선과 같이 물결 모양선의 가장 외측의 볼록 모양부에 접촉하는 방향선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외형상으로 함으로써 뒤에서 상술하는 것처럼 날개 모양 플랩에 점착제끼리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일으키지 않고 간단히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확실히 접어 점착할 수 있도록 된다.
청구항 3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의 곡률반경은 10mm 이상 20mm 이하로 한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손의 검지손가락이 오목 모양부에 걸리기 쉽도록 오목 모양부의 곡률반경을 10mm 이상 20mm 이하로 설정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의 거리가 80mm 이내이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돌출길이가 40mm 이상인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날개 모양 플랩의 개략치수를 설정한 것이다.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이하, 앞쪽 기점이라고 한다)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이하, 뒤쪽 기점이라고 한다)의 거리, 즉 날개 모양 플랩의 기단 폭은 쇼츠의 클로치의 만곡부에 들어가도록 80mm 이내로 설정하고, 날개 모양 플랩을 손으로 눌러 접히기 쉽게 돌출 길이를 40mm 이상으로 설정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본 발명으로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 부위 및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 부위에,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으로 파고들어가게 절결부를 설치한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상기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기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기점에 각각,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으로 파고들어가게 절결부를 설치하게 해서 날개 모양 플랩이 기점부에서 각각 접히기 쉽도록 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날개 모양 플랩을 쇼츠의 측연을 따라 정규의 접음 위치(밑동부분 위치)에서 확실히 잘 접힐 수 있도록 된다.
도 2는 그 이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날개 모양 플랩의 요부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냅킨의 장착 요령을 나타낸다. (A)는 종래의 날개 모양 플랩의 경우, (B)는 본 발명에 관한 날개 모양 플랩의 경우이다.
도 6은 날개 모양 플랩을 접을 때의 작용 힘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A)는 종래의 날개 모양 플랩의 경우, (B)는 본 발명에 관한 날개 모양 플랩의 경우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날개 모양 플랩의 다른 평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 (A)~(B)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날개 모양 플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날개 모양 플랩 확대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예를 나타내는 냅킨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생리용 냅킨(N)의 전개도이다.
도 11은 그 장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1)의 기본 구조>
본 발명에 관한 생리용 냅킨(1)은 폴리에틸렌 시트, 폴리프로필렌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경혈이나 대하 등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 표면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된 면상 펄프 또는 합성 펄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4)와, 이 흡수체(4)의 형상유지 및 확산성 향상을 위해 상기 흡수체(4)의 주위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5)와,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와 크레이프지(5) 사이에 개재된 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6)와, 표면 양측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사이드 부직포(7, 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4)의 주위에 있어서, 그 상하 단연부에서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투액성 표면 시트(3)의 외연부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접합되며, 또한 그 양 측연부에서는 흡수체(4)보다도 측방으로 연출하여 있는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상기 사이드 부직포(7)가 핫멜트 등의 접착제나 히트 실링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하, 상기 생리용 냅킨(1)의 구조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시트 등의 적어도 차수성을 가지는 시트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그 밖에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나 또한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부직포 시트(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불투액성 이면 시트를 구성한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근년에는 통풍이 안 되어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호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재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무기충전제를 용융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에, 일축 또는 이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微多孔性) 시트이다.
이어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호적으로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셔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의의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에서 스판레이스법은 유연성, 드레이프성이 풍부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며, 서멀본드법은 굵고 소프트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의 상면측에서부터 각종 엠보스를 부여하고, 체액의 체류를 촉진하고 흡수효율을 높임으로써 횡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와 투액성 표면 시트(3) 사이에 개재되는 흡수체(4)는, 예를 들면 플랩 모양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펄프 중에 예컨대 낟알 모양의 가루로서 혼입되어 있다. 상기 펄프로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으며, 활엽수 펄프보다는 섬유 길이가 긴 침엽수 펄프 쪽이 기능 및 가격의 면에서 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와 같이, 흡수체(4) 주위를 둘러싸는 크레이프지(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투액성 표면 시트(3)과 흡수체(4) 사이에 크레이프지(5)가 개재함으로써 흡수성이 우수한 상기 크레이프지(5)에 의해 체액을 신속하게 확산시킴과 동시에, 이들 경혈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와 크레이프지(5) 사이에 개재된 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세컨드 시트(6)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로 할 수 있으며, 스판레이스법, 스판본드법, 셔멀본드법, 멜트브론법, 니들펀치법 등의 적의의 가공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을 부여하기에는 합성섬유의 제조공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제2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하고 금속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컨드 시트(6)는, 투액성 표면 시트(3)를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로 하는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생리용 냅킨(1)의 표면 측 양측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르고 또한 냅킨(1)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사이드 부직포(7, 7)가 설치되며, 이 사이드 부직포(7, 7)의 일부가 측방으로 연재됨과 동시에, 같이 측방으로 연재된 불투액성 이면 시트(2)의 일부에 의해 날개 모양 플랩(W, W)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날개 모양 플랩(W)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사이드 부직포(7)로서는, 중요시하는 기능점으로부터 발수처리 부직포 또는 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경혈이나 대하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혹은 피부 접촉감을 높이는 등의 기능을 중시한다면, 실리콘계, 파라핀계, 알킬크로믹클로리드계 발수제 등을 코팅한 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에서의 경혈 등의 흡수성을 중시한다면, 합성섬유의 제조과정에서 친수기를 갖는 화합물,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산화생성물 등을 공존시켜 중합시키는 방법이나, 염화제2주석과 같은 금속염으로 처리하고 표면을 부분 용해하여 다공성으로 하고 금속 수산화물을 침착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섬유를 팽윤 또는 다공성으로 하고, 모세관 현상을 응용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친수처리 부직포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투액성 표면 시트(3)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사이에 흡수체(4)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피부비당접면(피부와 맞닿지 않는 면)에는 속옷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적의의 도포 패턴에 의해 복수 조의, 도시 예에서는 3조의 본체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8…)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본체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8…)이 도시되지 않은 본체용 박리재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의 불투액성 이면 시트(2) 측의 면에는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9)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9, 9)이 도시되지 않은 날개용 박리재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박리재는, 본체용 박리재와 횡단 방향으로 배치된 날개용 박리재를 교차부에서 접합부에서 접합하며, 1회의 박리 수단으로 박리재를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은, 각각 포장된 상태에서는 투액성 표면 시트(3) 측으로 개키며, 소위 뒤로 접기로 하는 것도 좋다. 또한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9, 9)을 덮는 박리재로서 1매의 박리재가 아니라 좌우로 분리시켜도 좋다.
상기 박리재로서는,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9)에 대하여 당접면에 대하며, 예컨대 실리콘계 수지, 불소계 수지, 또는 사불소화에틸렌계 수지 등의 이형처리액을 도공하거나 스프레이 도포하여 이형처리한 종이 또는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8, 9)을 형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예컨대 스티렌계 폴리머, 점착부여제, 가소제 중 어느 하나가 주성분인 것이 호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스티렌계 폴리머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블록공중합체, 스티렌-부틸렌-스티렌블록공중합체,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중의 1종만을 사용하여도, 이종 이상의 폴리머 배합이어도 좋다. 이 중에서도 열안정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블록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부여제 및 가소제로서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부여제로는 예컨대 C5계 석유수지, C9계 석유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석유수지, 로진계 석유수지, 폴리테르펜수지, 테르펜페놀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가소제로는 예컨대 인산트리페닐,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옥틸 등의 모노머 가소제 외에, 비닐중합체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폴리머 가소제를 들 수 있다.
<날개 모양 플랩 W>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은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앞쪽 외형선(10)과,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뒤쪽 외형선(11)과, 상기 앞쪽 외형선(10)과 뒤쪽 외형선(11)을 잇는 선단측 외형선(12)으로 이루어지는 외형상을 이룬다.
상기 앞쪽 외형선(10)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모양부와 내측으로 돌출하는 오목 모양부의 반복에 의한 물결 모양선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기점(S) 부위에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 1 오목 모양부(10a), 제 1 볼록 모양부(10b), 제 2 오목 모양부(10c), 제 2 볼록 모양부(10d)에 의해 물결 모양의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오목 모양부(10c)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가 된다. 그리고, 상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10c)의 정점(P)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기점(Q)을 잇는 직선(L)이 상기 뒤쪽 기점(Q)을 통과하는 냅킨(1)의 폭 방향선에 대하여 60~65°각도(α)로 설정하여 있다. 상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10c)의 곡률반경(R)은 10mm 이상 2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외의 제 1 오목 모양부(10a), 제 2 볼록 모양부(10b), 제 볼록 모양부(10d)에 대해서도 물결 모양선의 밸런스로부터 곡률반경은 10mm 이상 20mm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뒤쪽 외형선(11)은, 도시 예에서는 상기 앞쪽 외형선(10)과 같이,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모양부와 내측으로 돌출하는 오목 모양부의 반복에 의한 물결 모양선으로 되어 있는 것이 직선이어도 좋다.
상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10c)는, 날개 모양 플랩(W)을 접기 위해서 손바닥을 거들 때에, 손의 검지손가락이 걸리는 위치로서 설정된 것이다. 즉,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10c)의 정점(P)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기점(Q)을 연결한 직선(L)의 각도(α)를 상기 뒤쪽 기점(Q)을 통과하는 냅킨(1)의 폭 방향선에 대하여 60~65°의 범위로 설정하면, 사용자가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검지손가락이 정확히 상기 오목 모양부(10c)에 위치하고 옆으로 어긋나지 않게 걸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날개 모양 플랩(W)을 쇼츠의 측연을 따라 정규의 접음 위치(밑동 부분 위치)에서 확실하게 접히기 쉽게 된다.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형상은,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기점(S)을 통과하는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을 이루는 각도(θ)보다도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기점(Q)을 통과하는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이루는 각도(β) 쪽이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중심(重心)(13)은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앞쪽 외형선(10)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S: 앞쪽 기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11)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Q: 뒤쪽 기점)을 연결하는 접합선(15)의 중앙점(14)을 기준으로 ΔT 만큼 생리용 냅킨(1)의 앞쪽으로 치우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상이든가, 도 6(B)에 나타난 것처럼 대략 부등변사다리꼴이 된다. 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의 경우는, 앞쪽 외형선(10)과 뒤쪽 외형선(11)을 잇는 선단측 외형선(12)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각도(θ)를 구할 때의 앞쪽 외형선(10)의 직선은, 물결 모양선의 가장 외측의 볼록 모양부(10d)에 접촉하는 방향선으로 하고, 상기 각도(β)를 구할 때의 직선은,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도시 예와 같이 물결 모양선으로 되는 경우는, 상기 앞쪽 외형선(10)과 같이 물결 모양 선의 가장 외측의 볼록 모양부에 접촉하는 방향선으로 한다.
상기 앞쪽 외형선(10)에 관해서는,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기점(S)을 통과하는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를 마이너스 범위로 하고,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외측으로 감에 따라 냅킨(1)의 앞쪽 방향으로 기운 경사선으로 해도 좋고, 도 7(B)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각도(θ)를 0으로 하고, 상기 앞쪽 외형선(10)을 수평선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앞쪽 외형선(10)과 이루는 각도(θ)를 0~마이너스 범위로 한 경우는, 중심을 보다 앞쪽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넓은 범위에서 날개 모양 플랩(W)에 손을 댈 수 있기 때문에 날개 모양 플랩(W)을 접기 쉬워진다.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는 -10~15°정도로 하고,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이루는 각도(β)는 35~40°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와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β)의 각도 차는 2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각도차가 25°이상이면 충분히 편심거리 ΔT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손으로 날개 모양 플랩을 접더라도 정확히 정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도록 된다.
날개 모양 플랩(W)을 상기와 같이 외형 모양으로 함으로써, 날개 모양 플랩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발생시킴 없이, 간단하게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정확히 접어서 첩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런 점에 대해서, 종래의 등변사다리꼴의 날개 모양 플랩(W)(도 10 참조)과의 비교에 의해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여성이 변기 등에 앉은 상태에서 생리용 냅킨(1)을 쇼츠(20)에 장착하는 경우는, 쇼츠(20)를 밑으로 내린 상태에서 행하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신체보다 앞쪽에서 냅킨(1)의 장착 작업을 행하게 된다.
종래의 등변사다리꼴의 날개 모양 플랩(W)의 경우는,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을 냅킨의 양쪽에 붙인 상태로부터 날개 모양 플랩을 직하 방향으로 접지 않으면 잘 장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장착 위치가 신체보다도 앞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손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도 5(B))이 들어가 버리고, 날개 모양 플랩의 일부만 접히며, 점착제끼리 접착하여 버려서 주름이나 융기부가 발생한다거나, 날개 모양 플랩(W)의 중간에 접혀 점착제층에 접착해 버리는 오접착 등의 불량이 발생한다거나 했다. 또한 날개 모양 플랩의 접음선이 기울어지게 휘어서 접히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중심(13)을 앞쪽으로 치우치게 한 날개 형상으로 하면, 도 5(B)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손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수반되면서 손으로 날개 모양 플랩을 접더라도 정확히 정규의 상태에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6(A)은 종래의 등변사다리꼴 날개 모양 플랩(W)의 접음 시의 작용력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지만, 손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반하면서 손으로 날개 모양 플랩을 접는 경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에서부터 선단측에 걸쳐 하측으로 향하는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들 분포 하중을 합쳐서 집중하중(ΣΡ)을 상정하면, 이 집중하중(ΣΡ)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의 기점은 날개 모양 플랩의 접합선(15)의 중앙점(14)이 되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비틀림이 발생하고, 뒤쪽 외형선(11)의 기단에서부터 서서히 진행해 가는 접음선(16)은 외측으로 기울어져 버리게 된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의 경우는 도 6(B)에 나타난 것처럼, 경사로 된 뒤쪽 외형선(11)의 중앙 부분에 하측으로 향하는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하고, 이들 분포 하중을 합쳐서 집중하중(ΣΡ)을 상정하면, 이 집중하중(ΣΡ)에 의해서 발생하는 모멘트의 기점은 날개 모양 플랩의 접합선(15)의 중앙점(14)보다 앞쪽으로 시프트 한 중심 분할점(13')(접합선 15의 1:2 분할점)으로 되며,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의 비틀림이 적기 때문에, 뒤쪽 외형선(11)의 기단에서부터 서서히 진행해 가는 접음선(16)은 접합선(15)와 일치하며, 정규의 접음 위치에서 접어지도록 된다.
또한,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외형선(11)이 크게 경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 모양 플랩(W)에 점착제끼리의 접착이나 오접착 등의 불량을 발생시킴 없이 접음선(RL)에서 정확히 접어 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기점(S)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기점(Q)과의 거리(도 4의 A 치수), 즉, 날개 모양 플랩의 기단폭은 쇼츠의 클로치의 만곡부에 들어가도록 80mm 이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돌출 길이(B)는 날개 모양 플랩(W)의 손바닥으로 눌러서 접기 쉽게 되도록 40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예]
(1)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앞쪽 외형선(10)이 냅킨(1)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 부위(S) 및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11)이 냅킨(1)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 부위(Q)에, 냅킨(1)의 본체 부분으로 파고 들어가게 절결부(16, 17)를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날개 모양 플랩(W)을 접을 때에 상기 절결부(16, 17) 내에서 접혀지도록 되기 때문에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을 정규의 접음 위치(밑동 부분 위치)에서 정확히 접을 수 있게 된다.
(2) 상기 형태예에서는, 날개 모양 플랩(W)은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기점(S)을 통과하는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10)이 이루는 각도(θ)보다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기점(Q)을 통과하는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11)이 이루는 각도(β) 쪽이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중심(重心)(13)이 날개 모양 플랩(W)의 밑동 부분과 본체 부분의 접합선(15)의 중앙점(14)보다 ΔT만큼 앞쪽으로 치우치게 했으나,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등변사다리꼴의 날개 모양 플랩(W)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하고, 그 앞쪽 외형선(10)을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모양부와 내측으로 돌출하는 오목 모양부의 반복에 의한 물결 모양 선으로 하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10c)의 정점(P)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의 뒤쪽 기점(Q)을 연결한 직선(L)이 상기 뒤쪽 기점(Q)을 통과하는 냅킨(1')의 폭 방향선에 대해서 60~65°의 각도(α)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3) 상기 날개 모양 플랩(W)이 냅킨 길이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신체의 움직임에 날개 모양 플랩(W)이 추정하여 응력을 완화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양호하게 됨과 동시에, 비뚤어지기 어렵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이드 부직포(7)로서 신축성을 갖는 사이드 부직포,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등의 가역적으로 소성변형하기 쉬운 탄성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장섬유로 구성한 부직포, 또는 잡아 늘일 때에 섬유 자체의 섬유 직경은 변화하지 않음에도 지그재그 모양 또는 스파이럴 모양의 권축이 형성되며, 이 권축이 늘여짐에 의해서 신축성을 나타내도록 한 부직포 등을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불투액성 이면 시트(2)로서 신축성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W, W)에 신축성을 부여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시키게 한다.
1, 1' …생리용 냅킨, 2 …불투액성 이면 시트, 3 …투액성 표면 시트, 4 …흡수체, 5 …크레이프지, 6 …세컨드 시트, 7 …사이드 부직포, 8 …본체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 9 …날개 비뚤어짐 방지 점착제층, 10 …앞쪽 외형선, 11 …뒤쪽 외형선, 12 …선단측 외형선, W …날개 모양 플랩

Claims (5)

  1. 투액성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가 개재된 본체 부분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 시에 속옷의 클로치 부분을 말아 넣도록 하여 고정되는 날개 모양 플랩이 형성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은,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앞쪽 외형선과 본체 부분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뒤쪽 외형선을 가지며,
    상기 앞쪽 외형선은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 모양부와 내측으로 돌출하는 오목 모양부의 반복에 의한 물결 모양선이 되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의 정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을 잇는 직선이 상기 접속점을 통과하는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에 대해 60~65°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앞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선과 상기 뒤쪽 외형선이 이루는 각도 쪽이 크게 설정되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중심(重心)이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을 연결하는 접합선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ΔT 만큼 흡수성 물품의 앞쪽으로 치우쳐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오목 모양부의 곡률반경은 10mm 이상 20mm 이하로 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과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점의 거리가 80mm 이내이며,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돌출길이가 40mm 이상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앞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 부위 및 상기 날개 모양 플랩의 뒤쪽 외형선이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에 접속하는 접속 부위에, 흡수성 물품의 본체 부분으로 파고 들어가게 절결부를 설치한 흡수성 물품.
KR1020147009395A 2011-09-30 2012-09-28 흡수성 물품 KR102088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6518A JP5856789B2 (ja) 2011-09-30 2011-09-30 吸収性物品
JPJP-P-2011-216518 2011-09-30
PCT/JP2012/075011 WO2013047716A1 (ja) 2011-09-30 2012-09-28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106A KR20140067106A (ko) 2014-06-03
KR102088071B1 true KR102088071B1 (ko) 2020-03-11

Family

ID=4799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395A KR102088071B1 (ko) 2011-09-30 2012-09-2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4044B2 (ko)
EP (1) EP2762118B1 (ko)
JP (1) JP5856789B2 (ko)
KR (1) KR102088071B1 (ko)
CN (1) CN103841941B (ko)
WO (1) WO2013047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5027B2 (ja) * 2013-11-25 2016-10-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8847B2 (ja) * 2014-06-30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668011B2 (ja) * 2015-07-31 2020-03-1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70035624A1 (en) * 2015-08-06 2017-0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article
JP6211151B1 (ja) * 2016-07-27 2017-10-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042574A1 (ja) * 2016-08-31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301426B1 (ja) * 2016-10-11 2018-03-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736790B2 (en) 2016-11-22 2020-08-11 Saathi,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natural fibers
USD902394S1 (en) * 2018-07-02 2020-1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JP7012963B2 (ja) * 2018-09-27 2022-0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0373A1 (en) 1999-08-06 2001-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dhesive system to provide flexibility and breathability
US20060149202A1 (en) 2004-12-06 2006-07-06 Jeannine Cardin Line of sanitary napkins with proportional wings
JP2009125430A (ja) 2007-11-27 2009-06-11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697A (en) * 1988-03-31 1990-04-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having flaps and stress relief means
DE20009610U1 (de) * 2000-05-29 2001-01-04 Hakle Kimberly De Gmbh Adsorbierender Artikel
US20040133179A1 (en) * 2003-01-03 2004-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in, flexible micro-hook system for a feminine care article
JP4190329B2 (ja) 2003-03-28 2008-12-03 大王製紙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20040267224A1 (en) * 2003-06-25 2004-12-30 Ulman John T. Sanitary napkin with abbreviated side flaps
US20050124959A1 (en) * 2003-12-09 2005-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asymmetric protective wing portions
US20050131372A1 (en) * 2003-12-10 2005-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removable protective wing portions
JP4641979B2 (ja) 2006-07-06 2011-03-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09005423A1 (en) * 2007-06-29 2009-01-0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fastening flaps
JP5065868B2 (ja) * 2007-11-30 2012-11-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522444B2 (ja) * 2007-11-30 2010-08-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976525B2 (en) *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JP4456159B2 (ja) * 2008-02-26 2010-04-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30914B2 (ja) * 2008-11-28 2014-03-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11010269A1 (de) * 2011-01-25 2012-07-26 Paul Hartmann Ag Damen- oder Inkontinezbinde
JP5306419B2 (ja) * 2011-06-29 2013-10-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775978B1 (en) * 2011-11-09 2016-06-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dual core
US8986273B2 (en) * 2011-11-10 2015-03-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intermeshing fla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0373A1 (en) 1999-08-06 2001-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dhesive system to provide flexibility and breathability
US20060149202A1 (en) 2004-12-06 2006-07-06 Jeannine Cardin Line of sanitary napkins with proportional wings
JP2009125430A (ja) 2007-11-27 2009-06-11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3773A1 (en) 2014-08-28
US9114044B2 (en) 2015-08-25
EP2762118B1 (en) 2016-07-20
KR20140067106A (ko) 2014-06-03
WO2013047716A1 (ja) 2013-04-04
EP2762118A1 (en) 2014-08-06
JP5856789B2 (ja) 2016-02-10
CN103841941A (zh) 2014-06-04
EP2762118A4 (en) 2015-04-29
CN103841941B (zh) 2015-11-25
JP2013075010A (ja) 201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071B1 (ko) 흡수성 물품
KR101527421B1 (ko) 흡수성물품
JP6005027B2 (ja) 吸収性物品
JP2009125430A5 (ko)
JP5520630B2 (ja) 吸収性物品
CN109475453B (zh) 吸收性物品
JP6031444B2 (ja) 吸収性物品
JP2015100502A5 (ko)
KR20090096604A (ko) 흡수성 물품
JP5832164B2 (ja) 吸収性物品
JP5059899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476498B2 (ja) 吸収性物品
JP5826216B2 (ja) 吸収性物品
JP6684070B2 (ja) 吸収性物品
JP5306419B2 (ja) 吸収性物品
JP5924921B2 (ja) 吸収性物品
JP6151510B2 (ja) 吸収性物品
JP2013121462A5 (ko)
JP5876243B2 (ja) 吸収性物品
JP6668011B2 (ja) 吸収性物品
JP5887442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9207716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