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0567A -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 Google Patents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0567A
KR20100090567A KR1020090009915A KR20090009915A KR20100090567A KR 20100090567 A KR20100090567 A KR 20100090567A KR 1020090009915 A KR1020090009915 A KR 1020090009915A KR 20090009915 A KR20090009915 A KR 20090009915A KR 20100090567 A KR20100090567 A KR 20100090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trim
inner panel
cli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075B1 (ko
Inventor
김호웅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0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한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은 소정의 쓰루홀을 구비하는 도어 인너 패널과, 쓰루홀에 인접하여 도어 인너 패널 상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과, 쓰루홀을 통해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을 체결하기 위하여 쓰루홀을 통해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을 동시에 파지하기 위한 체결부 및 체결부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클립이 쓰루홀에 삽입 후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을 동시에 파지하기 때문에 도어 트림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조립 후 도어 트림의 플랜지부와 클립의 외형이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다.

Description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Door trim connecting structure of do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패널과 도어 트림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승객들이 승하차 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어를 구비한다. 도어의 외측 및 골격은 금속 소재로 마련되며, 도어의 내측은 합성수지 소재의 도어 트림을 이용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한다.
도어 트림은 통상 도어 인너 패널에 패스너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패스너는 통상의 볼트 또는 특정 형상의 클립으로써 도어 트림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대부분의 패스너는 공간적인 여유가 있는 도어 트림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단부는 외관 및 내부 부품의 간섭 등을 고려하여 인너 패널에 삽입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외부 충격이 발생했을 때나 인너 패널로부터 도어 트림을 분해한 후 재조립했을 때, 패스너의 유동 및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이 구조는 도어 트림과 인너 패널 간에 이격이 발생하기 용이한데, 특히 아웃사이더 미러가 장착되어 있는 전방 도어의 경우, 도어 트림과 인너 패널 간에 실제로 이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것은 이 부분이 도어의 하단부에 주로 설치되는 패스너로부터 거리가 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상/하 이단의 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도어 트림의 상부측 강성이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면서 하부까지 이격을 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이 부분은 아웃사이더 미러의 부품모듈이 내장되며, 어퍼 트림(상단)과 메인 트림(하단)의 경계이기 때문에 도그하우스(Doghouse)와 같은 고정 구조를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간의 체결을 견고하게 하는 한편,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은 소정의 쓰루홀을 구비하는 도어 인너 패널과, 쓰루홀에 인접하여 도어 인너 패널 상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과, 쓰루홀을 통해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을 동시에 파지하기 위한 체결부 및 체결부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쓰루홀과 연통하는 클립홈이 구비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의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져 조립 시 상기 클립홈에 형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은 단턱을 가지며, 상기 단턱은 상기 클립의 결합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인너 패널 상에서 상기 체결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쓰루홀을 구비하는 도어 인너 패널과, 쓰루홀에 인접하여 도어 인너 패널 상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과, 쓰루홀을 통과하여 내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과 체결되는 하부체결부와, 쓰루홀 외부에서 도어 트림과 체결되는 상부체결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도어 트림 결합구조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상부체결부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인너 패널 상에서 상기 체결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은 체결부와 돌출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이용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특히, 클립이 도어 인너 패널의 쓰루홀을 통해 수평 이동하면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트림을 동시에 파지하기 때문에 조립 시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클립의 외형이 조립 후 도어 트림의 플랜지부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이 적용된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강판 소재의 인너 패널(10)과 아웃터 패널(미도시)을 서로 접합하여 형성하는 프론트 도어(1)는 크게 패널부(2)와 글래스부(3)를 구비한다. 패널부(2)는 도어(1)의 하부에 소정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글래스부(3)는 도어(1)의 상부에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윈도우 글래스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글래스부(3)는 차량 이동 방향에 대해 전방이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 경사진 모서리 부분에 아웃사이드 미러(4)가 설치된다.
패널부(2)에는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 도어록 조립체, 측면에어백 등과 같이 도어에 부속되는 각종 장치들이 장착된다.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는 글래스부(3)의 창을 승강 가능하게 제어하는 모듈이며, 도어록 조립체는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모듈이고, 측면에어백은 사고시 에어로 부풀어 올라 탑승자의 생명을 보 호하기 위한 안전모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웃사이드 미러(4)를 제어하기 위한 아웃사이더 미러모듈(5)을 미러(4)의 배면에 설치했지만, 이 미러모듈(5)은 차종에 따라 패널부(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차량의 실내 공간 예컨대, 인너 패널(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 트림(20)은 인너 패널(10)의 패널부(2) 골격과, 상술한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 도어록 조립체, 측면 에어백 등의 각종 도어 부속 장치들을 덮어 차량의 실내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도어 트림(20)의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및 합성피혁이 사용된다.
도어 트림(20)은 종래 기술에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 패스너(22)를 이용하여 인너 패널(10)과 결합된다. 패스너(22)는 간섭되는 내부 부품이 적어 상대적으로 여유 공간이 있는 도어 트림(20)의 하측에 도그하우스(미도시)와 같은 보강재를 개재하여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도어 트림(20)의 상측은 글래스부(3)의 창 승강이 용이하도록 인너 패널(10)에 웨더스트립 등을 개재하여 삽입 등의 방법으로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트림(20)의 상단 전방 모서리,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아웃사이더 미러모듈(4)에 인접한 도어 트림(20)의 측면 부위에는 클립(30)을 이용하여 도어 트림(20)과 인너 패널(10)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이 부위는 도어의 하단부에 주로 설치되는 패스너(22)로부터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상/하 두 단의 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도어 트림의 상단 강성이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쉽게 변형되면서 하부까지 이격시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인너 패널(10)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쓰루홀(14)이 마련되고, 이 쓰루홀(14)에 인접하게 도어 트림(20)의 측단부가 위치하여 클립(30)으로 인너 패널(10)과 도어 트림(20)를 체결하게 된다. 도어 트림(20)은 외적 미관을 위해 측단부가 라운딩된 플랜지부(24)를 형성하고 있으며, 플랜지부(24)에는 클립(30)이 삽입되는 클립홈(26)이 플랜지부(24)의 일부를 절개하여 마련된다. 클립홈(26)에는 수평방향으로 단턱(28)이 돌출 마련되어 있어서 클립(30)이 도어 트림(20)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클립(30)은 체결부(32)와 돌출부(38)를 구비한다. 체결부(32)는 하부체결부(34)와 상부체결부(36)가 ‘ㄷ’자 구조를 가져서, 쓰루홀(14)을 통해 인너 패널(10)과 체결됨과 동시에 도어 트림(20)의 플랜지부(24)를 고정한다. 돌출부(38)는 상부체결부(36)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체결부(32)를 지지한다. 돌출부(38)는 외형이 도어 트림(20)의 플랜지부(2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있어서 조립 완료 시 도어 트림(2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클립(30)으로 인너 패널(10)에 도어 트림(2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체결부(32)의 하부체결부(34)를 쓰루홀(14)에 삽입 관통시킨다. 하부체결부(34)가 쓰루홀(14)에 삽입되면, 클립(30)을 도어 트림(20)의 플랜지부(24)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하부체결부(34)와 상부체결부(36)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으므로, 하부체결부(34)는 쓰루홀(14)을 통과하여 내부에서 인너 패널(10)과 체결되고 상부체결부(36)는 쓰루홀(14) 외 부에서 도어 트림(20)과 체결되면서 도어 인너 패널(10)과 도어 트림(20)을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클립(30)은 수평 이동 시 도어 트림(20)의 클립홈(26)에 삽입되고, 단턱(28)과 결합하면서 인너 패널(10)과 도어 트림(20)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단턱(28)의 상면과 상부체결부(36)의 단턱 접촉면은 클립(30)의 결합 이동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조립 후 인너 패널(10)과 도어 트림(20)은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립(30)을 이용한 도어 인너 패널(10)과 도어 트림(20)의 결합 구조는 패널과 트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클립(30)의 돌출부(38)가 도어 트림(20)의 플랜지부(24)와 외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체결 후 외관도 미려하다. 또한, 패스너의 도그하우스와 같은 서포트 구조가 필요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빈번한 도어 트림 탈착 시에도 클립의 파손이 없어 장기간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이 적용된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패널의 결합 구조 및 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을 사용하여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패널의 결합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프론트 도어 2..패널부
3..글래스부 4..아웃사이드 미러
5..아웃사이드 미러모듈 10..인너 패널
14..쓰루홀 20..도어 트림
22..패스너 24..플랜지부
26..클립홈 28..단턱
30..클립 32..체결부
34..하부체결부 36..상부체결부
38..돌출부

Claims (6)

  1. 소정의 쓰루홀을 구비하는 도어 인너 패널과;
    상기 쓰루홀에 인접하여 상기 도어 인너 패널 상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과;
    상기 쓰루홀을 통해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상기 도어 트림을 동시에 파지하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도어 트림 결합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쓰루홀과 연통하는 클립홈이 구비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립의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져 조립 시 상기 클립홈에 형합하는 도어 트림 결합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은 단턱을 가지며,
    상기 단턱은 상기 클립의 결합 방향에 대해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도어 트림 결합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부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인너 패널 상에서 상기 체결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도어 트림 결합구조물.
  5. 소정의 쓰루홀을 구비하는 도어 인너 패널과;
    상기 쓰루홀에 인접하여 상기 도어 인너 패널 상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과;
    상기 쓰루홀을 통과하여 내부에서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체결되는 하부체결부와, 상기 쓰루홀 외부에서 상기 도어 트림과 체결되는 상부체결부를 구비하는 클립;을 포함하는 도어 트림 결합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상부체결부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인너 패널 상에서 상기 체결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도어 트림 결합구조물.
KR1020090009915A 2009-02-06 2009-02-06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KR10100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15A KR101007075B1 (ko) 2009-02-06 2009-02-06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15A KR101007075B1 (ko) 2009-02-06 2009-02-06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567A true KR20100090567A (ko) 2010-08-16
KR101007075B1 KR101007075B1 (ko) 2011-01-12

Family

ID=4275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15A KR101007075B1 (ko) 2009-02-06 2009-02-06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554B2 (en) 2016-08-31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im panel re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409U (ko) *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의 도어 트림 패널 고정구조
KR20010005169A (ko) * 1999-06-30 2001-01-15 류정열 도어트림 고정용 브라켓
KR100350803B1 (ko) 1999-12-27 2002-08-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트림 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554B2 (en) 2016-08-31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im panel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075B1 (ko)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2421B1 (en) Roll bar assembly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US6616216B2 (en) Automotive door construction
US6668490B2 (en) Lightweight door for motor vehicles
US7743559B2 (en) Modular support for automobile doors, door assembly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dular support on a door frame
US9290083B2 (en) Glass sealing system
US20120144751A1 (en) Pan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EP2006134A1 (en) Vehicle door
KR10163730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JP2015519248A (ja) 車両用の採光用開口システム
KR102463195B1 (ko) 차량용 도어
WO2010052834A1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101007075B1 (ko) 도어 트림의 결합구조물
KR101766030B1 (ko)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KR20110023204A (ko) 차량용 도어의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CN214112457U (zh) 饰板组件和车辆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5077763B2 (ja) 車両用ドア構造
KR100776653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밀폐구조
CN205706522U (zh) 用于滑移门车门窗上边框的亮条及亮条组件
CN213768729U (zh) 用于汽车的b柱外饰板及汽车
KR20200071154A (ko) 차량용 도어
KR100559053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KR100559054B1 (ko) 자동차용 도어의 몰딩 설치구조
JPH048248B2 (ko)
KR100571668B1 (ko) 자동차의 도어 아웃사이드 벨트 웨더 스트립의 끝부분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