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338A - 탭 아이씨 본딩장치 - Google Patents

탭 아이씨 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338A
KR20100088338A KR1020090007496A KR20090007496A KR20100088338A KR 20100088338 A KR20100088338 A KR 20100088338A KR 1020090007496 A KR1020090007496 A KR 1020090007496A KR 20090007496 A KR20090007496 A KR 20090007496A KR 20100088338 A KR20100088338 A KR 20100088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bonding
liquid crystal
unit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훈
박광영
강석주
주호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338A/ko
Publication of KR2010008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Bond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스테이지에 지지된 액정패널에 탭 IC를 흡착 및 압착시키는 본딩부와, 탭 IC에 표시된 인식마크를 인식하는 카메라부와, 본딩부에 의해 탭 IC를 흡착 및 압착시키기 전에 카메라부에 의해 인식된 인식마크의 위치에 따라 탭 IC를 사전 정렬하는 정렬부와, 본딩부에 의해 탭 IC를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는 탭 IC 본딩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탭 IC 본딩장치는 자외선조사부를 이용하여 사전 정렬된 탭 IC와 액정패널의 사이에 사전 부착된 NCP 또는 NCF와 같은 필름을 경화시킴에 따라 가압착을 생략할 수 있고 경화시간을 단축하여 Tact time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탭 아이씨 본딩장치{TAB IC bo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탭 IC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패널에 NCP(Non-Conductive Paste) 및 NCF(Non-Conductive Film)를 이용하여 탭 IC를 본딩시키는 탭 IC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조하는 공정은 유리 전자부품에 박막트랜지스터를 배열하여 제작하는 TFT 공정과, 유리 전자부품에 배향막을 도포하고 액정을 주입함으로써 완제품 셀(cell)을 제작하는 셀공정과, 완성된 셀에 구동IC 및 피시비(PCB)를 부착하고 백라이트유닛(back light unit) 및 하우징을 조립하는 모듈(module)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모듈 공정에서 액정표시장치에 구동IC를 실장하는 방식은 크게 씨오지(COG: Chip On Glass) 실장 방식과 탭(TAB:Tape Automated Bonding) 실장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씨오지 실장 방식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액정패널의 게이트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직접 구동IC를 실장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탭 실장 방식은 구동IC가 탑재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 Tape Carrier Package)를 통해 액정패널의 게이트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간접적으로 구동IC를 실장하는 방식이다.
액정표시장치에 구동IC를 실장하는 방식으로서 탭(TAB) 실장 방식을 택할 경우, 구동IC를 탑재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이하, 탭 IC(TAB-IC)라 한다.)는 이방성 도전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통해 액정패널과 인쇄회로전자부품(PCB)의 양쪽에 견고하게 접속됨으로써 구동IC가 자신에게 부여된 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탭 IC를 액정패널에 실장하는 공정에서는 액정패널의 전극과 탭 IC와의 전기적 도통을 위한 매개체로서 이방성 도전필름(ACF)를 액정패널에 일정한 규격으로 부착한 다음, 이방성 도전필름(ACF)이 부착된 액정패널 전극에 탭 IC를 정렬하여 맞추어 가압착 유닛으로써 가압착을 수행하고, 다시 HOT BAR 또는 히터블록에 의한 열압착 공정을 이용하여 본압착을 행하여 탭 IC를 액정패널에 부착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하지만, 탭 IC를 이방성 도전필름을 이용하여 액정패널에 실장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방성 도전필름을 액정패널에 부착한 후 탭 IC를 적은 압력과 온도로 가압착한 다음 고온고압으로 본압착을 수행하는 과정을 분리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탭 IC를 액정패널에 가열 압착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HOT BAR 또는 히터 블록과 같은 가열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HOT BAR 또는 히터 블록의 열변형 및 대상 부착물의 열변형으로 인해 초정밀 접착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탭 IC를 실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방성 도전필름은 일정 시간 이상 즉, 6초 이상 고온 고압을 유지해야 경화가 완료되어 Tact time을 줄이기가 불가능 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액정패널에 탭 IC를 가압착시키는 것을 생략할 수 있으며, Tact time을 줄일 수 있는 탭 IC 본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탭 IC 본딩장치는 필름이 부착된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지지된 상기 액정패널에 탭 IC를 흡착 및 압착시키는 본딩부와, 상기 본딩부에 의해 상기 탭 IC를 흡착 및 압착시키기 전에 사전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본딩부에 의해 상기 탭 IC를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은 NCP 또는 NC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램프 또는 LED이며, 205~405nm 대역의 파장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 IC에는 인식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본딩장치는 상기 탭 IC에 표시된 인식마크를 인식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인식된 인식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탭 IC를 사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탭 IC 본딩장치는 NCF 또는 NCP가 부착된 액정패널에 탭 IC를 압착시킬 때 자외선조사부를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가압착 공정을 생 략할 수 있으며, Tact time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탭 IC 본딩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탭 IC 본딩장치는 액정패널(100)을 지지하는 스테이지(50)와, 스테이지(50)에 지지된 액정패널(100)에 탭 IC(110)를 가압하기 위한 본딩부(10)와, 탭 IC(110)가 액정패널(100) 상의 적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본딩부(1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0)를 포함한다.
스테이지(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100)을 지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탭 IC(110)의 부착 시 액정패널(100)을 X축 및 Y축방향으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테이지(50)는 액정패널(100)을 흡착하기 위한 둘 이상으로 구성되는 패드(미도시)와 이 패드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셋 이상의 구동축(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지(50)의 전후방향에는 액정패널(100)을 이송하기 위한 제1컨베이어(30)와 제2컨베이어(40)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컨베이어(30) 및 제2컨베이어(40)는 액정패널(100)의 투입 및 배출을 담당하는데, 제1컨베이어(30)는 액정패널(100)에 탭 IC(110)를 부착하기 위하여 필름이 부착된 액정패널(100)을 스테이지(5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액정패널(100)에 탭 IC(110)를 부착하기 위한 필름으로는 NCP(Non-Conductive Paste) 또는 NCF(Non-Conductive Film)가 사용된다.
이송부(20)는 복수개로 마련된 본딩부(10) 각각을 독립적으로 이송할 수 있 도록, 리니어 모터(21)와, 본딩부(10)의 위치를 감지 및 피드백하기 위한 엔코더(22)를 포함한다.
본딩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될 탭 IC(110)를 흡착하기 위한 노즐(11)과, 이 노즐(11)이 탭 IC(110)를 흡착 및 압착하기 위한 진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13)와, 이 실린더(13)에 의한 진퇴운동의 직선성을 보장하기 위한 구동가이드(12)와, 공압을 형성하기 위한 공압밸브부(14)와, 노즐(11)에서의 진공압력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5)를 포함한다.
노즐(11)은 탭 IC(110)의 폭이 42mm가 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 폭과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본딩부(10)를 구성하는 나머지 다른 구성요소도 마찬가지로 그 폭이 탭 IC(110)의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 노즐(11)은 공압밸브부(14)에 의해 조절되는 공압에 의해 진공압이 작용할 경우 탭 IC(110)를 흡착하고 진공압이 해제되면 흡착상태를 해제하게 되며, 탭 IC(110)의 가압시에는 가압착을 위한 열을 전달한다.
실린더(13)는 공압실린더로 마련되어 공압밸브부(14)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며, 구동가이드(12)는 실린더(13)의 진퇴에 의해 노즐이 진퇴할 때 수직방향으로의 직진성이 보장되도록 진퇴운동을 안내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본딩장치는 액정패널(100)에 탭 IC(110)의 부착 시 본딩부(10)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백업유닛(60)과, 탭 IC(110)에 표시된 인식마크(미도시)를 인식하는 카메라부(81)와, 카메라부(81)에 의해 인식된 인식마크의 위치에 따라 탭 IC(110)를 사전 정렬하는 정렬부(70)를 더 포함한다.
또, 본딩장치에는 탭 IC(110)의 사전 정렬과정 후 본딩부(10)가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될 때, 액정패널(100) 상의 적정위치로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송부(20)가 의해 본딩부(10)가 피드백 제어될 수 있도록 또 다른 카메라부(8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딩장치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부(70)와 카메라부(81)에 의해 사전 정렬된 탭 IC(110)와 액정패널(100)의 사이에 사전 부착된 필름 즉, NCP 또는 NCF를 경화시키기 위한 자외선조사부(90)를 더 포함한다.
자외선조사부(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 정렬된 탭 IC(110)와 액정패널(100)의 사이에 사전 부착된 필름을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시 On 또는 수시 On/Off가 가능한 램프 또는 LED타입으로 구비된다. 이때, 램프 또는 LED타입의 자외선조사부(90)는 205~405nm 대역의 파장대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자외선조사부(9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명 및 장치보호를 위해 공냉 또는 수냉식 냉각장치 및 열차폐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마련되는 본딩장치에 의해 탭 IC가 액정패널에 부착되는 전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NCP(Non-Conductive Paste) 또는 NCF(Non-Conductive Film)과 같은 필름이 부착된 액정패널(100)은 제1컨베이어(30)에 의해 스테이지(50)로 이동된다. 스테이지(50)로 이동된 액정패널(100)은 패드에 의해 흡착되고 흡착된 액정패널(100)은 카메라부(82)에 의해 피드백 제어 되면서 정렬된다.
이때, 로더(미도시)가 본딩부(10)에 탭 IC(110)를 공급하고, 본딩부(10)는 노즐(11)을 통해 탭 IC(110)를 흡착하고. 다음으로 카메라부(81)와 정렬부(70)에 의한 탭 IC(110)의 사전 정렬이 이루어진다.
사전 정렬이 완료된 본딩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0)에 의해 액정패널(100)상의 부착위치로 이송되며, 모든 본딩부(10)에 대한 액정패널(100) 상의 정렬과정이 끝나면 백업유닛(60)이 상승하여 본딩부(10)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본딩부(10)의 실린더(13)가 동작하여 탭 IC(110)를 액정패널(100)상에 가압하며 본딩과정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액정패널(10)의 하측에 마련된 자외선조사부(90)는 사전 정렬된 탭 IC(110)와 액정패널(100)의 사이에 사전 부착된 필름을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의 탭 IC 본딩장치는 기존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가압착 후 본압착으로 공정이 분리되어 있는 종래와는 달리 자외선조사부(90)를 이용하여 사전 정렬된 탭 IC(110)와 액정패널(100)의 사이에 사전 부착된 필름 즉, NCP(Non-Conductive Paste) 또는 NCF(Non-Conductive Film)를 경화시킴에 따라 가압착을 생략할 수 있어 라인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기존 경화시간을 단축하여 Tact time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본딩장치는 자외선조사부를 이용함에 따라 HOT BAR 또는 히터 블록의 열변형 및 대상 부착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탭 IC 본딩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딩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정패널에 탭 IC를 압착할 때 자외선조사부에 의해 자외선을 필름에 조사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딩부 50 : 스테이지
70 : 정렬부 81 : 카메라부
90 : 자외선부 100 : 액정패널
110 : 탭 IC

Claims (5)

  1. 필름이 부착된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에 지지된 상기 액정패널에 탭 IC를 흡착 및 압착시키는 본딩부와,
    상기 본딩부에 의해 상기 탭 IC를 흡착 및 압착시키기 전에 사전 정렬하는 정렬부와,
    상기 본딩부에 의해 상기 탭 IC를 압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필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IC 본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NCP 또는 NC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IC 본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램프 또는 LED이며, 205~405nm 대역의 파장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IC 본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탭 IC에는 인식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본딩장치는 상기 탭 IC에 표시된 인식마크를 인식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IC 본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인식된 인식마크의 위치에 따라 상기 탭 IC를 사전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IC 본딩장치.
KR1020090007496A 2009-01-30 2009-01-30 탭 아이씨 본딩장치 KR20100088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496A KR20100088338A (ko) 2009-01-30 2009-01-30 탭 아이씨 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496A KR20100088338A (ko) 2009-01-30 2009-01-30 탭 아이씨 본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338A true KR20100088338A (ko) 2010-08-09

Family

ID=4275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496A KR20100088338A (ko) 2009-01-30 2009-01-30 탭 아이씨 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8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61B1 (ko) * 2015-02-25 2016-08-11 주식회사 제이스텍 디스플레이용 칩 프리 얼라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161B1 (ko) * 2015-02-25 2016-08-11 주식회사 제이스텍 디스플레이용 칩 프리 얼라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6656B2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接着剤樹脂の塗布装置
KR100967688B1 (ko) Acf 부착 장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장치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CN107765454B (zh) 压接装置
KR100913579B1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911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193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본딩시스템
JP6675356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307081B1 (ko) 액정표시장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멀티 가압착 시스템
JP5512259B2 (ja) 平面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このための貼り付け装置
KR101978595B1 (ko) 가요성 디스플레이 모듈 접합 방법
KR20120038213A (ko) 연성인쇄회로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모듈의 제조방법
KR20100088338A (ko) 탭 아이씨 본딩장치
KR100558564B1 (ko) 회로기판 본딩장치
KR20080020730A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및 그 방법
KR101263338B1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KR101263339B1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KR20170107170A (ko) 액정 표시 모듈과 커버 글래스의 얼라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1987013A (zh) 柔性电路膜粘接装置和利用其粘接柔性电路膜的方法
CN109950163A (zh) 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KR20100110501A (ko) 구동집적회로의 가압착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5818A (ko) 액정표시장치용 탭 펀칭 유닛 공정
JP2008135643A (ja) 圧着装置および圧着方法
KR100915200B1 (ko) 얼라인 영상정보 획득유닛
JP2002244146A (ja) 不透明基板を具え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内部連接方法とそれにより形成される装置
KR101263340B1 (ko) 구동용 회로기판의 본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