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411A -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411A
KR20100086411A KR1020090067873A KR20090067873A KR20100086411A KR 20100086411 A KR20100086411 A KR 20100086411A KR 1020090067873 A KR1020090067873 A KR 1020090067873A KR 20090067873 A KR20090067873 A KR 20090067873A KR 20100086411 A KR20100086411 A KR 20100086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cid
blood circul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504B1 (ko
Inventor
동찬 김
김선옥
Original Assignee
김선옥
동찬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옥, 동찬 김 filed Critical 김선옥
Priority to PCT/KR2010/00044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85123A2/en
Publication of KR2010008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8Amines containing nitr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감초(licorice root) 추출물,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포도(Grape) 추출물, 포도씨 오일, 자몽 추출물, 대나무(Bamboo) 추출물, 라즈베리(Raspberry) 추출물, 계피(Cinnamon) 추출물, 헛개나무(Hovenia dulcis) 추출물, 자포니카(Japonica)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물; (2) 암모니아(Ammonia), 아질산염,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line), 질산은(silver nitrate),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ite),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3) 사과산(ma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C,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레티놀(retinol),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첨가물용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행을 개선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AMP, cGMP, 아데닐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 구아닐 고리화효소(guanylyl cyclase), 혈행 개선, 혈관확장, 피부 도포

Description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Composition applicable to skin and capable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enlarging blood vessels}
본 발명은 (1) 감초(licorice root) 추출물,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포도(Grape) 추출물, 포도씨 오일, 자몽 추출물, 대나무(Bamboo) 추출물, 라즈베리(Raspberry) 추출물, 계피(Cinnamon) 추출물, 헛개나무(Hovenia dulcis) 추출물, 자포니카(Japonica)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물; (2) 암모니아(Ammonia), 아질산염,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line), 질산은(silver nitrate),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ite),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3) 사과산(ma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C,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레티놀(retinol),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첨가물용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한 본 발명은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행을 개선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서 혈행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조절되는데, 이러한 요소에는 혈구수(hematocrit), 점성(viscosity), 혈액에 의한 전단 응력(shear stress) 등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혈중 지질 조성의 변화, 혈구세포(혈소판)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는 정상 상태에서는 항상성을 잘 유지하지만, 당뇨 등과 같은 질병 상태, 약물, 흡연 등에 의해 혈행 조절 기능이 교란되면 혈장, 혈소판, 적혈구 등이 과도하게 응집되고 비정상적인 지혈(abnormal haemostasis)이 발생하여 혈액의 흐름이 저해되게 된다.
혈행 개선제는 이러한 저해된 혈액 흐름을 정상 상태로 복원함으로써 세포와 각 기관의 노화를 방지하고, 세포의 성장과 재생을 촉진하여, 말초 혈행 장애로 인한 어깨와 목 결림, 수족 저림, 수족 냉증, 두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탈모 증상 등을 경감시켜준다. 하지만, 현재 혈행 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의약품이 개발되고 있긴 하지만 대부분의 제품이 경구 제제이기 때문에 위부 불쾌감, 설사, 변비, 식욕부진, 복부 팽만감 등과 같은 증상으로 인하여 복용을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한편, 아데닐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가 활성화되면 cAMP 생성이 증가되고 cAMP는 결국 프로틴 키나아제 A(Protein kinase A)를 활성화 시키는데, 프로 틴 키나아제 A는 Rho 키나아제(Rho kinase) 활성을 억제한다. 이에 의하여 미오신 포스파타아제(myosin phosphatase) 가 활성화 되고 미오신의 탈인산화(dephosphoralation)가 일어나 미오신과 액틴의 결합이 떨어져, 평활근(smooth muscle) 이 완화된다.
또한, 가용성 구아닐 고리화효소(soluble Guanylyl cyclase)가 활성화되면 cGMP 생성이 증가되고 cGMP 는 결국 프로틴 키나아제 G(protein kinase G)를 활성화 시키는데, 프로틴 키나아제 G 는 미오신 포스파타아제(myosin phosphatase) 를 활성화시켜 미오신과 액틴의 결합이 떨어져, 평활근(smooth muscle) 이 완화된다.
따라서, 아데닐 고리화효소와 구아닐 고리화효소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cAMP와 cGMP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은 평활근(smooth muscle)의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있는 혈행 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경구용 식품 및 의약품 중에 효능을 확신할 수 있는 물질은 드물고, 장기복용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부작용을 감수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경구 혈행 개선제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혈액순환 장애 및 말초혈관 혈행 장애, 수족 냉증, 레이노드 현상(Raynaud’ phenomenon), 발기부전, 여성의 성감 저하, 두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탈모 증상 등을 개선할 수 피부 도포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아데닐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와 구아닐 고리화효소(guanylyl cyclase)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cAMP와 cGMP 생성을 유도하는 활성 기작을 통해 혈행 개선 및 혈관 확장 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개발하였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1) 감초(licorice root) 추출물,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포도(Grape) 추출물, 포도씨 오일, 자몽 추출물, 대나무(Bamboo) 추출물, 라즈베리(Raspberry) 추출물, 계피(Cinnamon) 추출물, 헛개나무(Hovenia dulcis) 추출물, 자포니카(Japonica)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물; (2) 암모니아(Ammonia), 아질산염,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line), 질산은(silver nitrate),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ite),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3) 사과산(ma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C,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레티놀(retinol),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첨가물용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행을 개선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1) 감초 추출물, 강황 추출물, 포도 추출물, 포도씨 오일, 자몽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계피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자포니카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물; (2) 암모니아, 아질산염, 니크로글리세린, 질산은, 질산마그네슘, 질산암모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3) 사과산, 히알루론산, 구연산, 비타민C, 토코페롤, 아스파라긴산, 주석산, 숙신산, 레티놀, 글루탐산 및 첨가물용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혈행개선 및 혈관 확장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첫 번째 성분은 아데닐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cAMP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감초(licorice root) 추출물,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포도(Grape) 추출물, 포도씨 오일, 자몽 추출물, 대나무(Bamboo) 추출물, 라즈베리(Raspberry) 추출물, 계피(Cinnamon) 추출물, 헛개나무(Hovenia dulcis) 추출물, 자포니카(Japonica)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물이다. 바람직하게, 이들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초(licorice root)는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특히 그 뿌리는 감미료나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감초는 독성제거, 해독, 소염, 자극 완화, 상처치유촉진, 항알레르기의 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강황(Curcuma longa)은 생강목 생강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인도, 오키나와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자생, 재배되며 우리나라의 중남부지역에 재배되는 약용 식물이며, 약리 작용으로는 담즙 분비, 배설 촉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져 오고 있다. 강황의 대표적인 성분인 커큐민(curcumin)은 고지혈증 모델에서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고지혈증의 개선 및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가 인 비트로 실험과 컴퓨터 리모델링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본 발명에서 강황 추출물의 주요 원료 물질인 커큐민이 실시예 1의 젤 조성물 (A) 와 (B) 의 혼합에 의하여 메틸화(methylation) 가 증대될 경우 아데닐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를 더욱 활성화 시키며, 이를 통하여 미오신(myosin)과 액틴(actin)의 결합이 끊어져서 근육 이완이 유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큐민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45440381-PAT00001
메틸화가 유도된 커큐민 유도체의 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45440381-PAT00002
본 발명에서 포도(Grape)는 당질을 비롯한 비타민 B1,B2,C, 주석산과 구연산, 그밖에도 식물성 섬유인 펙틴, 칼륨, 철분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이다. 그 중에서도 칼륨은 이뇨작용을 도와 부종을 가라앉히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당질은 체내에서 소화되기 쉬운 형태로 들어 있어 피로 회복이나 병을 앓고 난 후에 환자의 회복을 빠르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포도 추출물 또는 포도씨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포도 추출물과 함께 또는 이를 대체하여 자몽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나무(Bamboo) 추출물은 나쁜 콜레스테롤은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은 높여 중성지방과 혈중 콜레스테롤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혈액응고 작용을 조절해 혈액순환에 효과적이며, 혈관의 탄력을 개선시키고 혈과의 손상된 부분을 재생시키는 데 효과적인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라즈베리(Raspberry) 추출물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파이토 에 스트로겐이 풍부하여 전립선암과 췌장암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고, 폴리페놀 성분이 풍부하여 몸 안의 활성 산소를 잡아 주고 혈관을 부드럽게 하여 성인병을 예방에 주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계피(Cinnamon)는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생약으로, 중국 남부와 북 베트남이 주산지이고, 하열, 중추억제, 혈소판응집억제, 피부 흑화(skin darkening) 방지 등의 작용을 가지며 주로 발한 해열, 방향건위, 진토효과로 인한 감기, 진통, 진경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넓은 잎 큰 나무로서 호깨나무 또는 허리깨나무라고 불리는 것으로,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간에 쌓인 독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음주 후 나타나는 두통, 어지럼증, 구취, 소갈 등의 숙취 증상을 해소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포니카(japonica) 계열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쓴풀(Swertia japonica) 추출물 또는 오리나무(Alnus japonica)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쓴풀(Swertia japonica)은 용담과 두해살이풀로, 당약, 백출을 포함한 들풀 또는 쓴풀을 말하며, 위액분비항진 또는 소화액 분비 촉진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리나무(Alnus japonica)는 자작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숙취를 없애고 알코올 중독을 풀며 간기능을 좋게 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각각의 식물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 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동시에 추출하거나 개개 성분들을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얻을 수도 있고, 상업적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천연 추출물을 얻는 일례로서, 본 발명의 천연 식물을 건조 및 분쇄한 후 그 분쇄물을 건조중량의 약 2배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및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열수 추출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들을 물에 가하여 7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의 온도에서 2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는 경우 시간은 줄어들지만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손실될 수 있고, 상기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완전하게 추출되지 않으므로 온도 조절과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얻어진 추출액은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추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에틸렌,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유기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로서, 상기한 식물을 채집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 조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부피의 물이나,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헥산으로 환류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40 내지 100 ℃로 1 내지 5 시간 가온추출하거나, 실온에서 1 내지 30 일간 침적시켜 추출할 수 있다.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콜 농축액에 물을 넣어 현탁시키고,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함으로써 얻은 용매 분획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매 분획물을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등의 극성 용매 및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 등의 비극성 용매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혼합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혈행 개선 및 혈관 확장 효능이 있는 활성성분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두 번째 성분은 구아닐 고리화효소(guanylyl cyclase) 단백질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켜 cGMP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Ammonia), 아질산칼륨(Potassium nitrite) 또는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등의 아질산염,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line), 질산은(silver nitrate),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ite),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바람직하게, 이들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세 번째 성분은 사과산(ma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C,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레티놀(retinol),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첨가물용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산이다. 바람직하게, 이들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될 수 있는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는 로션 또는 젤 형태의 조성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혈행 개선제는 대부분이 경구 제제이기 때문에 위부 불쾌감, 설사, 변비, 식욕부진, 복부 팽만감 등과 같은 증상으로 인하여 복용을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젤 또는 로션은 그 성분에 산이 존재하게 되면 젤 또는 로션의 구조가 급속하게 파괴되어 쉽게 액체화되기 때문에 원료 성분이 쉽게 공기 중으로 확산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젤 또는 로션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잔탄검(xanthan gum)이 0.1 내지 2.0% 비율로 포함되면, 기존 젤 또는 로션에 비하여 젤 또는 로션의 고체상태가 더욱 장기간 유지되고 원료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더욱 많은 활성 성분이 오랜 기간 동안 피부에 잔존하고 피부 내에 지속적으로 침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잔탄검은 병원성 세균인 Xanthomonas campestris가 글루코오스(glucose)를 산화하여 균체 외에 축적하는 발효 다당류를 정제 건조한 것을 지칭하는데, 이는 β-(1->4)-글루칸에 만노오스(mannose)와 글루쿠론산(glucuronyl acid)이 결합한 다당류로, 만노오스, 글루코오스와 글루쿠론산의 비가 2:2:1이다(도 1 참조). 잔탄검은 크림색 또는 백색의 향이 없는 분말로 물에 녹고 에탄올(ethanol), 에테르(ether) 등에 녹지 않으며 점성이 높기 때문에, 향장 및 식품에서 현탁화제와 안정화제로 사용되고 유화제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로션 또는 조성물은 잔탄검의 존재로 인하여 산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로션 또는 젤 고체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상기 로션 또는 젤 조성물에 글리세린을 추가하면 이러한 효과가 더욱 증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잔탄검, 또는 잔탄검 및 글리세린을 함유함으로써 원료 성분이 오랜기간 동안 잔존 및 피부 내로 지속적으로 침투하게 되어, 혈행 개선 및 혈관 확장 활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젤 또는 로션 형태의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물성과 식물성 지방, 기름, 왁스, 파라핀, 전분, 트래거캔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아연 옥사이드, 알라토인(Allantoin),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글루코오스(Glucos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 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 침투 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경피 침투 강화제”란 피부의 혈관세포 내로 원하는 성분이 높은 흡수율로 침투할 수 있게 해주는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화장품에 사용되는 다른 인지질 성분, 리포좀 성분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유상 성분으로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오일로는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실리콘유 및 합성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네랄오일, 사이크로메치콘, 스쿠알란,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올리브오일, 비티스 비니페라 씨드 오일, 마카다미아너트오일, 글리세릴옥타노에이트, 캐스터오일, 에칠헥실 이소노나노에이트, 디메치콘, 사이크로펜타실록산, 선플라워씨드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화 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고급 알콜 등을 0.1 내지 5 중량%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인지질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소르비탄세스퀴놀리에이트, 폴리솔베이트 6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올리에이 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디이에이-세틸포스페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슈크로스코코에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에틸렌글라이콜-10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레스-6 올리베이트, 아라키딜알코올/베헤닐알코올/아라키딜 글루코사이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26-부테스-26/폴리에틸렌글라이콜-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급 알콜로는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알콜, 예컨대 세틸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상 성분은 수상의 점도 또는 경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카보머, 잔탄검, 벤토나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검,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등과 같은 1종 이상의 점증제를 0.001 내지 5 중량%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고급 지방산, 비타민 등의 약효 성분과 자외선 차단제, 산화 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솔,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토코페릴아세테이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등), 방부제(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르페네신 등), 착색제, pH 조절제(트리에탄올아민, 씨트릭애씨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 보습제(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헥실렌 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베타인, 글리세레스-26, 메칠글루세스-20 등), 윤활제 등의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필수 영양소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천연향, 화장품향, 또는 한약재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행 개선 및 혈관 확장에 효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액순환 장애 및 말초혈관 혈행 장애, 수족 냉증, 레이노드 현상(Raynaud’ phenomenon), 발기부전, 여성의 성감 저하, 두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탈모 증상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에 효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이는 당업계에서 이용되는 또 다른 용어 양모 또는 육모 촉진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패치 클램프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K+ 채널 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K+ 채널의 막전류를 증가시켜 K+ 채널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8).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cAMP 와 cGMP 의 활성 및 프로틴 키나아제 G 활성에 의해 K+ 채널을 인산화시키고, 결국 K+ 채널이 활성화되어 막전류가 유도되는 것으로, SUR(sulfonylurea receptor) 2B K+ 채널 활성과 동일한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K+ 채널의 활성화를 통해 발모촉진 또는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혈관 확장 및 혈행 개선을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말초 순환을 개선시키고 혈액 유동성을 개선시켜, 손발의 냉증이 개선되고, 체온 저하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도포용 젤 또는 로션 조성물은 경구 혈행 개선제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혈액순환 장애 및 말초혈관 혈행 장애, 수족 냉증, 레이노드 현상(Raynaud’ phenomenon), 발기부전, 여성의 성감 저하, 두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탈모 증상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혈관확장 로션 및 젤 조성물의 제조
1-1: 혈관확장 로션 조성물 (A) 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로션 조성물 (A)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글리세린(glycerin), 잔탄검(xanthan gum), 알란토인(allantoin),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글루코오스(glucose),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포도(Grape) 추출물, 대나무(Bamboo) 추출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아질산 나트륨염(nitrous acid (sodium salt)),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및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을 무균 조건하에 혼합기(stirrer 또는 mixer) 내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섭씨 50~100 도에서 가열하여 제제 #1 을 만들었다. 또한, 수소첨가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glyceryl stearate SE), PEG-10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카프릴산(caprylic), 카프릴산 글리세리드(capric glyceride), 미네랄 오일, 포도씨 오일(vitis vinifera seed oil), 디메치콘(dimethicone), 올리브유(olea europaea fruit oil) 및 프로필파라벤을 혼합한 후 섭씨 50~100도에서 가열하여 제제 #2를 만들었다. 다음으로, 제제 #1 및 제제 #2 를 2000~10000 rpm에서 혼합 및 유화한 후 섭씨 50도까지 냉각하고, 향을 첨가한 후 섭씨 30도까지 추가로 냉각하여 로션 조성물 (A) 를 제조하였다.
1-2: 혈관확장 로션 조성물 (B) 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로션 조성물 (B)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글리세린(glycerin), 잔탄검(xanthan gum), 알란토인(allantoin),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감초(licorice root) 추출물, 라즈베리(Raspberry) 추출물, 계피(Cinnamon) 추출물, 헛개나무(Hovenia dulcis) 추출물, 자포니카(Japonica) 추출물, 포스파티딜콜린 리포이드(phosphatidylcholine lipoid), 레티놀(retinol), 크리신(chrysin), 아질산 나트륨염(nitrous acid (sodium salt)),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및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을 무균 조건하에 혼합기(stirrer 또는 mixer) 내에서 미리 결정된 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섭씨 50~100 도에서 가열하여 제제 #1 을 만들었다. 또한, 수소첨가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glyceryl stearate SE), PEG-100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카프릴산(caprylic), 카프릴산 글리세리드(capric glyceride), 미네랄 오일, 포도씨 오일(vitis vinifera seed oil), 디메치콘(dimethicone), 올리브유(olea europaea fruit oil) 및 프로필파라벤을 혼합한 후 섭씨 50~100도에서 가열하여 제제 #2를 만들었다. 다음으로, 제제 #1 및 제제 #2 를 2000~10000 rpm에서 혼합 및 유화한 후 섭씨 50도까지 냉각하고, 향을 첨가한 후 섭씨 30도까지 추가로 냉각하여 로션 조성물 (B) 를 제조하였다.
1-3: 혈관확장 젤 조성물 (A) 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 (A)은, 잔탄검, 글리세린, 아질산 나트륨염, 구연산(극미량), 토코페롤, 강황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고 증류수로 최종 100%를 맞추어 무균 건조하에서 혼합기(stirrer 또는 mixer) 로 혼합한 후, 50~100 ℃에서 가열하고, 유화 후 섭씨 50도에서 냉각하고, 향을 첨가한 후 섭씨 30도까지 추가 냉각함으로써 제조하였다.
1-4: 혈관확장 젤 조성물 (B) 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 (B)는, 잔탄검, 글리세린, 크리신, 레티놀, 산 종류(아스코르브산, 글루탐산 등), 아질산 나트륨염(극미량), 구연산(극미량), 토코페롤, 강황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을 포함하고 증류수로 최종 100%를 맞추어 무균 건조하에서 혼합기(stirrer 또는 mixer) 로 혼합한 후, 50~100℃에서 가열하고, 유화 후 섭씨 50도에서 냉각하고, 향을 첨가한 후 섭씨 30도까지 추가 냉각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잔탄검 젤의 고정 물질로서 적합성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잔탄검 젤과 공지된 대조 젤의 고정 물질(trap material)로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Carbopol 젤; Cabopol 젤 + 원료; Trans 젤; Trans 젤 + 원료; 잔탄검 젤; 잔탄검 젤 + 원료; KY 젤; 그리고 KY 젤 + 원료의 젤 고체 상태 유지율(%)을 관찰하였다.
원료를 함유하지 않은 Carbopol 젤, Trans 젤, 잔탄검 젤과 KY 젤 사이에서는 젤 고체 상태 유지율(%)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원료가 존재하면 Carbopol 젤, Trans 젤과 KY 젤은 고체 상태 유지율(%)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반면, 잔탄검 젤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도 1a).
또한, Carbopol + TEA 젤; Carbopol + TEA 젤 + 원료; 잔탄검 + 글리세린; 그리고 잔탄검 + 글리세린 + 원료의 젤 고체 상태 유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예상된 바와 같이, Carbopol + TEA 젤은 원료가 존재하지 않으면 젤 고체 상태를 유지하지만 원료가 존재하게 되면 젤 구조가 급속도로 파괴되어 액체화되는 반면, 잔탄검 + 글리세린은 원료의 존재에 상관없이 전혀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잔탄검의 존재로 인하여 산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였음을 암시한다 (도 1b).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젤 또는 로션 조성물의 혈관 확장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젤 또는 로션 조성물과 대조 조성물의 혈관 확장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과 대조 젤 조성물을 손에 도포한 이후 30분 시점에, 말초 혈관 확장 정도를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상세는 아래와 같다:
실험군
성별: 남성 4명 / 여성 5명,
연령: 20대 - 2명, 30대 - 4명, 40대 - 1명, 50대 - 2명
건강 상태와 피부 상태: 모두 건강하고 정상 상태이었다.
대조군
성별: 남성 3명 / 여성 3명,
연령: 20대 - 2명, 30대 - 2명, 40대 - 2명
건강 상태와 피부 상태: 모두 건강하고 정상 상태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이 도포된 피험자에서는 말초 혈관 확장으로 인하여 피부색이 적색을 유지하는 반면, 대조 젤 조성물이 도포된 피험자에서는 혈관 재수축으로 인하여 피부색이 창백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젤 또는 로션 조성물이 대조 젤 조성물과 비교하여 피부 보습 및 원료 흡수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이 도포되기 이전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 로션 조성물이 각각 1g 이상씩 도포된 이후 5분 시점에, 이들 피험자에서 피부 색깔이 짙은 선홍색으로 변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이 도포된 이후에 혈관이 확장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3).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의 혈행 개선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의 투여에 기인한 혈행 상태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을 손에 도포하기 이전 및 도포 후 5분 시점에, 피부의 혈관 확장에 의한 피부 색깔과 혈관맥파측정장치 (도 4b)에 의한 혈관 맥파(Pulse Height)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상세는 아래와 같다.
성별: 남성 10명 / 여성 4명
연령: 20대 - 2명, 30대 - 8명, 40대 - 4명
건강 상태와 피부 상태: 모두 건강하고 정상 상태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이 도포되기 이전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이 도포된 이후 5분 시점에, 이들 피험자에서 혈관 맥파가 1.4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피험자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도 4a).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의 혈행 개선 및 혈관 확장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의 혈행 개선 및 혈관 확장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을 손에 도포하기 이전 및 도포후 5분 시점에, 말초모세혈관 측정장비(도 5c)를 이용하여 모세혈관 확장에 의한 혈류 증가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상세는 아래와 같다:
성별: 남성 4명 / 여성 6명,
연령: 30대 - 4명, 40대 - 2명, 50대 -4명
건강 상태와 피부 상태: 담배와 음주로 인해 혈액 내에 고지혈증이 있는 50대 남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참여 인원들을 특별히 건강 상태에 문제가 없었고, 피부 또한 정상 상태이었다.
정상적인 모세혈관의 형태 및 그 형태 변화과정은 도 5a 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이 도포되기 이전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 조성물이 도포된 이후 5분 시점에 이들 피험자에서 혈류 증가가 명확하게 관찰되었 는데, 이러한 결과는 도 5b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에서는 고지혈증으로 혈관 문제가 가장 심각했던 50대 남성에서 모세혈관의 혈류 증가를 보여준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로션 조성물의 혈행 개선 및 혈관 확장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로션 조성물의 혈관 확장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로션 조성물을 귀와 손에 1g씩 도포한 이후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체열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로션 조성물이 도포된 피험자에서는 도포 전과 비교하여 도포 후에 체열이 증가하였다 (도 6a). 또한, 본 발명의 로션 조성물을 수족냉증 증상 환자의 손에 도포한 후에도 체열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도 6b).
실시예 7: 본 발명에 따른 젤 또는 로션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cAMP 생성 효능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젤 또는 로션에 포함되는 추출물 성분과 공지된 대조 추출물 성분의 cAMP 생성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신장 세포(Human Embryonic Kidney cell)에 아데닐 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 활성 물질인 포르스콜린(Forskolin) 1μM 을 처리한 대조군과, 강황 추출물 1mg/ml 을 처리한 실험군과, 강황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자포니카 추출물의 혼합물 1mg/ml 을 처리한 실험군에서의 cAMP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HEK 세포를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 저해제인 Ro 20-1724(5μM)의 존재 하에 20분간 아고니스트로 자극한 후, 냉동 및 해동을 사이클을 3회 반복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이후 얻어진 샘플을 Brown et al. 의 방법에 따라, 12,000x g로 4분간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cAMP 어세이는 소 부신피질에서 분리한 cAMP-결합 단백질에 3H-표지된 cAMP 및 표지되지 않은 cAMP 가 경쟁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측정하였다. 상청액에 존재하는 결합 3H-cAMP 를 액체섬광계측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 로 결정하였다. 각 샘플은 50 μl 의 3H-표지된 cAMP (5 μCi) 및 100 μl의 결합단백질과 함께 4℃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숯(charcoal) 100 μl 상에서 유리(free) cAMP 의 흡수에 의해 결합되지 않은 cAMP 로부터 단백질-결합된 cAMP 를 분리하고, 12,000x g로 4℃에서 원심분리하였다. 200 μl 의 상청액을 1.2 ml 신틸레이션(scintillation)이 함유된 에펜도르프 튜브에 넣어 섞은 후 방사능(radioactivity)을 측정하였다. 샘플 내 cAMP 농도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결정하고 단백질 마이크로그램 당 피코몰(picomole)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공지된 대조군인 포르스콜린을 처리했을 경우의 cAMP 생성량을 100%로 하여 기준으로 했을 때, 강황 추출물은 125%, 강황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자포니카 추출물의 혼합물은 150%까지 cAMP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도 7).
실시예 8: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 효능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모낭(hair follicle)의 활성에 관여 하는 K+ 채널(channel)을 활성화시키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서, 패치 클램프 기술 중 cell-attached patch configuration 을 사용하였다. 패치-클램프용 증폭기(Axopatch-1D,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를 사용하여 채널 활성을 측정하였다. vertical puller(model PP-83, Narishige Tokyo, Japan) 를 사용하여 5- to 10-M 저항 피펫을 붕규산염 유리 모세관으로부터 뽑아내었다 (Clark Electrochemical; Pangbourne, UK) using a vertical puller (model PP-83, Narishige Tokyo, Japan). 이들 피펫의 팁은 Sylgard 으로 코팅하고 약간의 열처리(fire polish)를 하였다. 20 kHz 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에서 막전류를 디지털화하고 레코더 (model DTR-1200, Biologic; Grenoble, France) 를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테입에 디지털 포맷으로 저장하였다. 단일 채널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인터페이스(Digidata-1200, Axon Instruments) 를 통하여 pCLAMP 소프트웨어(version 6.3; Axon Instruments, Union City, CA)가 설치된 퍼스널 컴퓨터에 전송하였다. K+ 채널제로는 피나시딜(pinacidil, 50μM) 을, 효능 물질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 A 와 B 를 1:1로 혼합한 것 0.1mg/ml 를 사용하였으며, 근육 세포(myocyte) 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이 K+ 채널의 막전류를 증가시켜 K+ 채널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cAMP 와 cGMP 의 활성 및 프로틴 키나아제 G 활성에 의해 K+ 채널을 인산화시키고, 결국 K+ 채널이 활성화되어(sulfonylurea receptor) 2B K+ 채널 활성과 동일한 메 커니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K+ 채널의 활성화를 통해 발모촉진 또는 탈모방지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서는 공지된 대조 젤과 본 발명에 따른 젤의 고체 상태 유지율(도 1a)과 젤 상태(도 1b)에서 차이점을 도시한다.
도 2에서는 공지된 대조 젤과 본 발명에 따른 젤 또는 로션의 도포 후 30분 시점에서 활성 성분 고정 효능을 도시한다.
도 3에서는 공지된 대조군과 본 발명의 로션 또는 젤의 혈행 개선 효능을 비교한 사진을 도시한다.
도 4에서는 피부의 혈관 확장에 의한 혈관 맥파(Pulse Height) 변화 수치(도 4a) 및 맥파 측정 장치(도 4b)를 도시한다.
도 5에서는 정상적인 모세혈관의 형태(도 5a), 모세혈관의 확장에 의한 혈류 증가사진(도 5b) 및 말초 모세혈관 측정 장치(인후하이텍(주), 대한미국)(도 5c)를 도시한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로션의 도포 후 귀의 체열 변화 사진(6a), 로션의 도포 후 손의 체열 변화 사진(6b), 열화상 카메라(FLIR Therma CAMTM, 스웨덴)(도6c)를 도시한다.
도 7에서는 공지된 대조 추출물과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cAMP 생성량을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K+ 채널 막전류 증감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림을 도시한다.

Claims (11)

  1. (1) 감초(licorice root) 추출물, 강황(Curcuma longa) 추출물, 포도(Grape) 추출물, 포도씨 오일, 자몽 추출물, 대나무(Bamboo) 추출물, 라즈베리(Raspberry) 추출물, 계피(Cinnamon) 추출물, 헛개나무(Hovenia dulcis) 추출물, 자포니카(Japonica)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물;
    (2) 암모니아(Ammonia), 아질산염,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line), 질산은(silver nitrate), 질산마그네슘(Magnesium nitrite),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3) 사과산(malic acid),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C,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파라긴산(Aspart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레티놀(retinol), 글루탐산(glutamic acid), 및 첨가물용 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젤 또는 로션 형태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잔탄검 또는 글리세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동물성과 식물성 지방, 기름, 왁스, 파라핀, 전분, 트래거캔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아연 옥사이드, 알라토인(Allantoin),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글루코오스(Glucose),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경피 침투 강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침투 강화제는 레시틴, 화장품에 사용되는 다른 인지질 성분, 또는 리포좀 성분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유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착색제, pH 조절제, 보습제, 윤활제, 천연향, 화장품향, 및 한약재로 이루 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액순환 장애, 말초혈관 혈행 장애, 수족 냉증, 레이노드 현상(Raynaud’ phenomenon), 발기부전, 여성의 성감 저하, 또는 두피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탈모 증상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은 메틸화(methylation)된 커큐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행을 개선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
KR1020090067873A 2009-01-22 2009-07-24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KR10108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0441 WO2010085123A2 (en) 2009-01-22 2010-01-22 Composition applicable to skin and capable of improving blood circulation and enlarging blood vess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5301 2009-01-22
KR1020090005301 2009-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11A true KR20100086411A (ko) 2010-07-30
KR101086504B1 KR101086504B1 (ko) 2011-11-25

Family

ID=4264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873A KR101086504B1 (ko) 2009-01-22 2009-07-24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423B1 (ko) * 2011-09-30 2013-02-18 송기학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발향제품 제조방법
KR20150112429A (ko) * 2014-03-28 2015-10-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생장조절 기능을 갖는 계피 추출 정제물, 이의 효율적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및 첨가제
CN115154378A (zh) * 2021-04-07 2022-10-11 艾沐外株式会社 一种防脱发及促进生发的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01B1 (ko) * 2014-05-09 2014-12-05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655878B1 (ko) 2015-10-08 2016-09-08 (주)퓨젠바이오농업회사법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183165B1 (ko) 2019-01-23 2020-11-2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3163B1 (ko) 2019-01-23 2020-12-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도씨 추출물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클렌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3916B1 (ko) 2019-05-28 2021-03-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q1 숙신산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423B1 (ko) * 2011-09-30 2013-02-18 송기학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발향제품 제조방법
KR20150112429A (ko) * 2014-03-28 2015-10-0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생장조절 기능을 갖는 계피 추출 정제물, 이의 효율적 제조방법 및 이를 활용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및 첨가제
CN115154378A (zh) * 2021-04-07 2022-10-11 艾沐外株式会社 一种防脱发及促进生发的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504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504B1 (ko) 혈행개선 및 혈관확장 기능을 가지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JP6469582B2 (ja) トケイソウ種子の抽出物、ならびにそれを含んでなる化粧組成物、医薬組成物、皮膚組成物および栄養補助組成物
US20150125542A1 (en) TIE2 Activa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hibitor, Angiogenesis Inhibitor, Vascular Maturing Agent, Vascular Normalizing Agent and Vascular Stabilizing Agen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5599730B2 (ja) 免疫細胞の活性化閾値を上昇させる物質
JP2005060366A (ja) 脂肪分解促進剤
BRPI0921042A2 (pt) extrato de partes aéreas de aveias colhidas antes do florescimento da espiga
TW200306209A (en) Medicament for curing itching rough skin or sensitive skin and for skin whitening based on reducing production and/or release of stem cell factor
KR20200063855A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5990058B2 (ja) エストロゲン受容体β活性化剤
KR101407659B1 (ko)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용 조성물
JP5730550B2 (ja) Cgrp応答性促進剤
JP6156900B2 (ja) ヨモギ抽出組成物
KR20150007975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AU2008321719B2 (en) Skin moisturizer, blood circulation promoter, and external preparations for the skin containing the skin moisturizer and the blood circulation promoter
CN110381971A (zh) 女性更年期症状改善用组合物
KR100482694B1 (ko) 발모 촉진용 리포좀 베이스, 그를 포함한 발모 촉진용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생약 성분의 흡수율 향상방법
JPH1160496A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ITRM20130657A1 (it) Trattamento delle dermatopatie mediante estratto vegetale di daphne laureola
US202401156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lk thistl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971574B1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US10806693B2 (en) Method for increasing lipolysi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bioactive Nelumbo nucifera (lotus) extract
KR20090126992A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20130074807A (ko) 서사향을 함유하는 화장품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