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166A -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166A
KR20100086166A KR1020090005384A KR20090005384A KR20100086166A KR 20100086166 A KR20100086166 A KR 20100086166A KR 1020090005384 A KR1020090005384 A KR 1020090005384A KR 20090005384 A KR20090005384 A KR 20090005384A KR 20100086166 A KR20100086166 A KR 2010008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uide panel
camera
conveyo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272B1 (ko
Inventor
이태송
Original Assignee
이태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송 filed Critical 이태송
Priority to KR102009000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r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01N2021/8893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providing a video image and a processed signal for helping visual dec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벨트에 케이스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케이스 각면의 영상을 수득하고, 이 수득된 영상을 제어부가 판독하여 케이스 표면의 결함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이송벨트에 공급되는 케이스가 항시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카메라 초점 형성을 통해 케이스의 정밀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검사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한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 케이스, 카메라, 외관 검사, 위치 교정, 초점, 표면 결함

Description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SURFACE INSPECTION DEVICE FOR CASE}
본 발명은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벨트에 케이스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케이스 각면의 영상을 수득하고, 이 수득된 영상을 제어부가 판독하여 케이스 표면의 결함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이송벨트에 공급되는 케이스가 항시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카메라 초점 형성을 통해 케이스의 정밀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검사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한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전화기 등 각종 전자제품의 케이스에는, 다양한 문양이나 심볼이 각인 또는 인쇄를 통해 형성되며, 그 재질 또한 플라스틱재, 금속재, 세라믹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된다.
그런데, 상기 케이스의 표면에는 코팅이나 생산 및 운반과정 중에 스크래치나 찍힘을 포함하는 결함이 발생 될 수 있고, 이와 같이 결함이 발생된 케이스를 전자기기의 제작에 사용할 경우에는 제품의 신뢰도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는 표면의 결함의 발생 여부를 검사하는 외관 검사과정이 요구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육안을 통해 외관 검사하면 작업성이 떨어지고, 또 실수에 의해 결함을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당 분야에서도 이송벨트에 케이스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이송벨트의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케이스 각 면의 영상을 수득하고, 이 수득된 영상을 제어부가 판독하여 케이스의 결함 발생 여부를 검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검사장치는, 이송벨트에 케이스를 안치함에 있어, 케이스의 위치를 교정하여 이송벨트의 정위치에 케이스를 안치시키는 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한 관계로, 케이스가 이송벨트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하여 위치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케이스가 정위치에 위치되지 아니하면, 상기 케이스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의 초점이 흐트러져 정밀한 영상 획득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제어부에 의해 케이스의 결함여부가 오 판독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벨트에 케이스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케이스 각 면의 영상을 수득하고, 이 수득된 영상을 제어부가 판독하여 케이스 표면의 결함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상기 이송벨트에 공급되는 케이스가 항시 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카메라 초점 형성을 통해 케이스의 정밀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검사에 따른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한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이송벨트를 통해 케이스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이송벨트의 전방과 후방과 좌측과 우측 및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케이스의 전방면과 후방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부면의 영상을 수득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케이스의 조도를 설정하는 조명; 및 상기 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케이스의 결함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표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 일편에는 일자형의 가이드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일자형의 가이드 패널과 대향하는 이송벨트의 일측 타편에는 상기 직선형 가이드 패널과 이격거리가 점차 좁아지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이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벨트에 안치된 케이스들은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점차 간섭되면서, 이송벨트에 일렬로 정렬하여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는, 일단은 본체, 또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며, 타단은 비 고정상태의 자유단을 형성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벨트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케이스는 일편이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의 탄력적인 지지를 통해 일자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곡형 가이드 패널에 조절볼트를 관통시켜 조절볼트의 단부가 코일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조절볼트의 체결량에 따라 코일 스프링을 통한 케이스의 탄지력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일자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핀형의 롤러부재들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력적인 지지를 통해 일자형 가이드의 내벽에 밀착된 케이스가 핀형의 롤러부재를 통해 구름 마찰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다.
이때, 상기 구름롤러의 표면과, 코일 스프링의 표면에는 테프론 피막층이 형성되어서, 케이스 표면과의 접촉에 따른 케이스의 표면의 손상이 예방되도록 구성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송벨트에 케이스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외측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가 상기 케이스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케이스 각면의 영상을 수득하고, 이 수득된 영상을 제어부가 판독하여 케이스 표면의 결함여부를 검사하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케이스의 표면 검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표면 검사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카메라의 직진 이송을 통한 카메라의 위치조절과, 케이스를 이송벨트의 정위치에 일렬로 정렬하는 정렬구조를 부가하여 마련하여, 크기나 형태가 다른 다양한 케이스들의 검사도 가능한 공용성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마련하고 있는 정렬구조는 일단은 고정단이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외부 간섭에 의해 자유 변형이 가능한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현되므로, 케이스의 형상이 모가 심한 형태이거나, 복수의 케이스 사이의 간섭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케이스는 코일 스프링의 탄력적인 지지에 의해 일자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위치가 정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초점이 정확히 형성되어 케이스의 정밀한 영상의 취득이 가능하므로, 이를 통해 케이스의 결함여부가 정밀하게 검사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용 표면 검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용 표면 검사장치에 있어, 카메라의 직진 이송 및 각도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용 표면 검사장치에 있어, 케이스의 정렬구조와, 이 정렬구조를 통한 케이스의 정렬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이송벨트(22)를 통해 케이스(100)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20)와; 상기 컨베이어(20)를 구성하는 이송벨트(22)의 외측에 위치되어서, 상기 컨베이어(20)의 이송벨트(22)를 통해 이송되는 케이스(100)의 전방면과 후방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부면의 영상을 수득하는 복수의 카메라(30)와; 상기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되는 케이스(100)의 조도를 설정하는 조명(31); 및 상기 각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케이스(100)의 결함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0)의 이송벨트(22)는, 컨베이어 몸체(21)의 일편에 설치된 구동롤러(21a)와 컨베이어 몸체(21)의 타편에 설치된 종동롤러(21b)에 견착되어,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1)는, 이송벨트(22)를 통해 케이스(100)가 일렬로 정렬하여 일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이송벨트(22)의 외측에 위치된 카메라(30)들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면과 후방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부면을 촬영하여 케이스 각 면의 영상을 획득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촬영면적이 넓을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분할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획득된 영상들은 제어부(40)에 의해 분석 및 케이스(100)의 결함여부가 최종 판정되며, 일반적으로 제어부(40)에 의해 케이스(100)에 결함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될 경우 이송벨트(22)는 정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각 카메라(3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 카메라(30)의 영상을 개별 수득하여 분석하는 복수의 개별 단말기(41)들과, 상기 개별 단말기(41)들을 통해 수득된 분석값을 통합하여 케이스(100)의 결함 여부를 판정하는 통합 단말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신속한 영상 분석을 통해 케이스(100)의 결함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에는 케이스의 표준 제품 영상을 취득하고, 이 취득된 영상에서 검사영역의 셀을 분리시킨 다음, 각 셀의 화소값의 표준편차를 계산한 표준 데이터가 사전 저장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검사단계는, 검사 케이스의 영상을 취득하고, 이 취득된 영상에서 검사영역의 셀을 분리시킨 다음, 각 셀의 화소값의 표준편차를 계산한 검사 데이터를 획득하게 되며, 이후 상기 표준 데이터와 검사 데이터의 대조하여 케이스 표면의 결함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베이어(20)가 설치된 본체(10)에는,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일(11a)이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11)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11)에는 레일(11a)을 따라 직진 이송되는 가동체(1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11)에 설치된 가동체(12)에는 카메라(3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11)와 가동체(12) 사이에는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서보모터(13)와, 상기 서보모터(13)의 정역 회전에 의해 가동체(12)를 레일(11a)을 따라 직진 이송시키는 볼스크루(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송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체(12)에 설치된 각 카메라(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한 이송구조에 의해 직진 이송되어서, 케이스(100)와의 초점거리가 물리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가동체(12)에는 볼스크루공(12a)이 형성되며, 이 볼스크루공(12a)에는 서보모터(13)의 회전축과 연결된 볼스크루(14)가 관통되어서, 볼스크루(14)의 정역 회전에 따른 리드변화에 의해 카메라(30)가 설치된 가동체(12)의 직진 이송이 도모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체(12)에는 고정판(12b)이 설치되고, 이 고정판(12b)에 카메라(30)가 힌지축(15)을 통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힌지축(15)에는 각도 조절모터(16)의 회전축(16a)이 연결되어서,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한 각도 조절모터(16)의 정역 회전에 의해 카메라(3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어부(40)는 이송벨트(22)를 통해 공급되는 케이스(10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을 통해 서보모터(1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카메라(30)와 케이스(100) 사이의 거리를 정형화되게 조절하여서, 정확한 초점을 통해 케이스(100)의 정밀한 영상을 수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1)는, 기본적으로 카메라(30)의 직진 이송을 통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케이스(100)의 각 면을 정밀하게 촬영하고, 이 촬영을 통해 생성된 영상 분석을 통해 표면 결함여부를 판독하므로, 다양한 크기나 형상을 갖는 케이스의 외관 검사가 가능한 공용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에 사전 입력된 설정값은, 이송벨트(22) 상에 케이스(100)가 정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값으로 예컨대, 이송벨트(22) 상에 케이스(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중하여 위치되거나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면, 카메라(30)의 초점이 흐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30)의 초점이 흐트러지면, 정밀한 케이스(100) 각면의 영상 획득이 어렵게 되므로, 제어부(40)를 통한 케이스 표면의 결함에 대한 판정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2)의 일측에 케이스(100)들을 일렬로 정렬하는 정렬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이송벨트(22)에 안치되어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카메라(30)에 의해 촬영되는 케이스(100)가 상기 정렬구조에 의해 항시 이송벨트(22)의 정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이 송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정렬구조는, 기본적으로 상기 이송벨트(22)의 일측 일편에 일자형 가이드 패널(50)을 설치하고, 상기 일자형 가이드 패널(50)과 대향하는 이송벨트(22)의 일측 타편에 상기 일자형 가이드 패널(50)과 이격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60)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이송벨트(22)의 일편에 복수의 케이스(100)들을 공급하면 상기 케이스(100)들은 이송벨트(22)의 일방향 이송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며, 이러한 과정 중에 상기 케이스(100)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60)과의 간섭에 의해 기준면을 형성하는 일자형 가이드 패널(50)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케이스(100)는 좌우 편중하여 위치됨 없이 이송벨트(22)의 상부에 일렬로 정렬하여 위치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일자형 가이드 패널(50)의 내벽에는 핀형의 롤러부재(51)들이 설치되어, 상기 절곡형 가이드 패널(60)과의 간섭에 의해 일자형 가이드 패널(50)의 내벽에 밀착된 케이스(100)는, 핀형의 롤러부재(51)들을 통해 구름 마찰되면서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복수의 케이스(100)를 상기 절곡형 가이드 패널(60)과 일자형 가이드 패널(50) 사이에 공급하면, 이격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60)과 일자형 가이드 패널(50) 사이에 케이스(100)들이 상호 뒤엉켜서 케이스들의 이송 및 정렬이 어려운 상태 소위, 병목상태가 발생될 수 있고, 이 병목상태에 의해 케이스의 일방향 이송이 어렵게 되므로 케이스의 표면검사가 중단되는 문제점 이 발생 될 수도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곡형 가이드 패널(60)의 내측에, 일단은 절곡형 가이드 패널(50) 또는 본체(10)에 고정되어 고정단(71)을 이루며, 타단은 비 고정상태의 자유단(72)을 형성한 코일 스프링(70)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22)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케이스(100)는 일편이 절곡형 가이드 패널(60)의 내벽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70)의 탄력적인 지지를 통해 일자형 가이드 패널(50)의 내벽으로 탄력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이루어서, 상기 일자형 가이드 패널(50)과 절곡형 가이드 패널(60)을 통과한 케이스(100)는 이송벨트(22)의 정위치에 항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70)의 탄지력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70)의 외측과 대향하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60)에 복수의 조절볼트(61)를 관통시켜, 코일 스프링(70)의 외측이 지지볼트(61)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코일 스프링(70)을 지지하는 조절볼트(61)의 단부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완충패드(62)가 설치되어서, 조절볼트(61)의 단부의 지지에 의해 코일 스프링(70)이 급격하게 절곡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1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일자형 가이드 패널(50)의 내벽에 케이스(100)를 탄력적으로 밀착시키는 코일 스프링(70)이 지지볼트(61)들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면, 상기 조절볼트(61)의 체결량에 따라 코일 스프링(70)을 통한 케이스(100)의 탄지력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정렬을 요하는 케이스(100)의 형태나 크기 그리고 중량을 고려하여 상기 조절볼트(61)의 체결량을 조절하여 코일 스프링(70)의 탄지력을 정렬을 요하는 케이스(100)의 크기나 중량에 적합하도록 설정하고, 또 각 카메라(30)를 이송구조를 통해 직진 이송시켜 초점거리를 재설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나 크기를 갖는 케이스의 외관을 안정되게 검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형의 롤러부재(51)의 표면과, 코일 스프링(70)의 표면에는 테프론 피막층(미도시)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테프론 피막층에 의해 케이스 표면과의 접촉에 따른 케이스의 표면의 손상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용 표면 검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용 표면 검사장치에 있어, 카메라의 직진 이송 및 각도 조절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기기 케이스용 표면 검사장치에 있어, 케이스의 정렬구조와, 이 정렬구조를 통한 케이스의 정렬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10. 본체 11. 가이드
11a. 레일 12. 가동체
12a. 볼스크루공 12b. 고정편
13. 서버모터 14. 볼스크루
15. 힌지축 16. 각도 조절모터
16a. 회전축
20. 컨베이어 21. 컨베이어 몸체
22. 이송벨트
30. 카메라 31. 조명
40. 제어부 41. 개별 단말기
42. 통합 단말기
50. 일자형 가이드 패널 51. 핀형의 롤러부재
60. 절곡형 가이드 패널 61. 조절볼트
62. 지지패드
70. 코일 스프링 71. 일단(고정단)
72. 타단(자유단)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이송벨트를 통해 케이스를 안치시켜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이송벨트의 전방과 후방과 좌측과 우측 및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케이스의 전방면과 후방면과 좌측면과 우측면 및 상부면의 영상을 수득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케이스의 조도를 설정하는 조명; 및 상기 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케이스의 결함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표면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의 일측 일편에는 일자형의 가이드 패널이 설치되고, 상기 일자형의 가이드 패널과 대향하는 이송벨트의 일측 타편에는 상기 직선형 가이드 패널과 이격거리가 점차 좁아지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이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벨트에 안치된 케이스들은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점차 간섭되면서, 이송벨트에 일렬로 정렬하여 이송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는, 일단은 본체, 또는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이루며, 타단은 비 고정상태의 자유단을 형성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벨트를 통해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케이스는 일편이 절곡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의 탄력적인 지지를 통해 일자형 가이드 패널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형 가이드 패널에 조절볼트를 관통시켜 조절볼트의 단부가 코일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조절볼트의 체결량에 따라 코일 스프링을 통한 케이스의 탄지력이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KR1020090005384A 2009-01-22 2009-01-22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KR10111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84A KR101111272B1 (ko) 2009-01-22 2009-01-22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84A KR101111272B1 (ko) 2009-01-22 2009-01-22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66A true KR20100086166A (ko) 2010-07-30
KR101111272B1 KR101111272B1 (ko) 2012-02-21

Family

ID=4264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384A KR101111272B1 (ko) 2009-01-22 2009-01-22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951A (ko) * 2014-02-10 2015-08-19 박종현 자동 렌즈검사장치
CN108760752A (zh) * 2018-05-29 2018-11-06 深圳东瑞兴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壳外观缺陷智能检测设备
KR102240462B1 (ko) * 2020-12-14 2021-04-13 손호국 에폭시 실링 검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69B1 (ko) 2015-10-30 2017-05-16 주식회사 고영테크놀러지 물품 이송 장치 및 물품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920A (ja) * 1985-07-11 1987-01-26 Kirin Brewery Co Ltd 容器回転搬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951A (ko) * 2014-02-10 2015-08-19 박종현 자동 렌즈검사장치
CN108760752A (zh) * 2018-05-29 2018-11-06 深圳东瑞兴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壳外观缺陷智能检测设备
CN108760752B (zh) * 2018-05-29 2023-11-03 杭州慧知连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机壳外观缺陷智能检测设备
KR102240462B1 (ko) * 2020-12-14 2021-04-13 손호국 에폭시 실링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272B1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0477B (zh) 電子零件檢查方法及用於該方法中之裝置
TWI622541B (zh) 電子零件搬送裝置及電子零件檢查裝置
US11249031B2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ng defects
KR102114718B1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및 실장 부품 검사 방법
KR101747852B1 (ko) 인쇄회로기판 코팅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WO2009090871A1 (ja) 被検査体の検査装置
KR101454823B1 (ko) 외관 검사 장치
JP2009081165A (ja) 基板処理装置、表面実装機、印刷機、検査機、及び塗布機
KR102032807B1 (ko) 노광 묘화 장치 및 노광 묘화 방법
WO2015083211A1 (ja) 電子部品搬送装置
KR101111272B1 (ko) 향상된 정확도를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JP2006198725A (ja) クランプ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66041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102133688A (zh) 激光加工方法与激光加工装置以及太阳能电池板制造方法
CN111656882A (zh) 元件安装系统
KR101178403B1 (ko)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KR20150003161A (ko) 노광 묘화 장치 및 노광 묘화 방법
KR101062971B1 (ko) 공용성을 갖는 전자기기 케이스의 외관 검사장치
JP2007198903A (ja) 搬送装置の位置調整方法、搬送装置の位置調整装置及びicハンドラー
KR101730039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에지 검사장치 및 방법
JP4629449B2 (ja) クランプ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クランプ方法
JP2020043153A (ja) 電子部品搬送装置及び電子部品搬送方法
TWI545329B (zh) An electronic component operating device, a working method, and a working device for its application
JP2007225431A (ja) 外観検査装置
JP7066184B2 (ja) 加工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