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689A -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 Google Patents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689A
KR20100085689A KR1020090005106A KR20090005106A KR20100085689A KR 20100085689 A KR20100085689 A KR 20100085689A KR 1020090005106 A KR1020090005106 A KR 1020090005106A KR 20090005106 A KR20090005106 A KR 20090005106A KR 20100085689 A KR20100085689 A KR 20100085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level
low
drai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963B1 (ko
Inventor
유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090005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9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박스 내의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플로팅 가능한 볼에 의해 기계식으로 감지하여 마이크로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켜 드레인 펌프를 구동 제어하도록 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워터박스(10)와, 상기 워터박스(10)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조립되어 하부면에 드레인 펌프(20)가 결합된 판 형상의 펌프하우징(30)과,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부설되는 부품을 보호하는 탑커버(40)로 구성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수위에 따라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감지하도록 각각의 수용부(34e, 35c, 35d)에 수용되어 플로팅 가능한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용 볼(37, 38, 39)과; 상기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용 볼(37, 38, 39)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 볼들이 플로팅됨에 따라 접촉되어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 및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b)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각각의 접점(36c, 36d)과; 상기 저수위 및 고수위용 볼(38, 39)이 수용되는 각각의 수용부(35c, 35d)가 수직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그들 수용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격벽부재(35e)의 중앙에 형성되어 저수위용 볼(39)이 플로팅됨에 따라 폐쇄되는 원형홀(35f)과; 상기 고수위용 볼(38)이 수용되는 수용부(35c)의 상측 측면에 물이 고수위가 될 때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입홀(35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워터박스 내의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플로팅 가능한 볼에 의해 기계식으로 감지하여 마이크로스위치를 스 위칭 동작시켜 드레인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워터박스 내의 물이 저수위가 될 때까지 드레인 펌프를 구동시키므로 드레인 펌프의 반복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드레인 펌프의 고장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드레인 펌프, 강제 배수펌프, 강제 배수장치

Description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DRAIN PUMP UNIT FOR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터박스 내의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플로팅 가능한 볼에 의해 기계식으로 감지하여 마이크로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켜 드레인 펌프를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빙기는 저수조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시스템이 마련된 제빙장치에 의해 물을 순환시켜 얼음 모양의 증발기 표면에 물을 흡착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제빙기는 케이스와, 도어부와, 제빙유닛과, 냉각 시스템 그리고, 저수조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일측에 개구를 형성하여 도어부에 의해 개폐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제빙수를 결빙시켜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유닛(얼음 모양의 증발기)과 제빙유닛에서 형성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얼음저장고가 구비되며, 제빙유닛과 연결되며 압축기와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이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에는 제빙수를 제빙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설치되어 내부에 소정량의 제빙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제빙유닛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빙기는 내부에 위치된 제빙용 순환펌프에 의해서 저수조의 물을 얼음 모양의 증발기 표면에 분사시켜 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은 케이스 내부의 얼음저장고에 저장되어 필요에 따라 도어부를 개방하여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빙기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작동중이라고 얼음 저장고에 담긴 얼음이 자연적으로 녹아 녹은 물이 배수되고, 또한 제빙 과정 중에 외부 공급수가 저수조에 보충되면 기존의 물과 희석되어 사용되고 남은 물이 배수된다.
이와 같이 배수되는 물을 배수구를 통해 배수시키게 되는 바, 배수구가 없는 장소에 이 제빙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배수되는 물을 한 곳에 모아 두었다가 일정량 모이게 되면 물을 강제로 배수시키는 강제배수 장치인 드레인 펌프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저수조의 물은 항상 제빙기 내부에 위치된 순환펌프 모터에 의해 항상 순환하며, 얼음을 지속적으로 생성시킨다. 얼음이 생성되고 얼음 저장고로 떨어뜨리는 과정 중 급수관을 통해서 물의 부족분을 공급하게 되고, 남은 물은 배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제빙기에는 강제 배수장치인 드레인 펌프 유닛이 없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킬 수 없으므로, 저수조 내에 저장되어 있게 되고, 저장된 물을 장기간 방치하게 됨에 따라 저수조에서 곰팡이 및 다량의 세균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불쾌한 냄새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박스 내의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플로팅 가능한 볼에 의해 기계식으로 감지하여 마이크로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켜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 펌프를 구동 제어하도록 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은, 상부가 개구된 워터박스와, 상기 워터박스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조립되어 하부면에 드레인 펌프가 결합된 판 형상의 펌프하우징과, 상기 펌프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하우징의 상면에 부설되는 부품을 보호하는 탑커버로 구성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워터박스 내의 수위에 따라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감지하도록 각각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플로팅 가능한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용 볼과; 상기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용 볼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 볼들이 플로팅됨에 따라 접촉되어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 및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각각의 접점과; 상기 저수위 및 고수위용 볼이 수용되는 각각의 수용부가 수직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그들 수용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격벽부재의 중앙에 형성되어 저수위용 볼이 플로팅됨에 따라 폐쇄되는 원형홀과; 상기 고수위용 볼을 수용되는 수용부의 상측 측면에 물이 고수위가 될 때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입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의하면, 배수되는 물이 저장된 저수 조 내의 물을 강제로 배수시키는 장치인 드레인 펌프 유닛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빙기를 배수구가 없는 어느 곳이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 드레인 펌프 유닛을 워터박스 내의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플로팅 가능한 볼에 의해 기계식으로 감지하여 마이크로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켜 드레인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여 워터박스 내의 물이 저수위가 될 때까지 드레인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드레인 펌프의 반복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드레인 펌프의 고장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펌프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펌프하우징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은, 상부가 개구된 워터박스(10)와, 상기 워터박스(10)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조립되어 하부면에 드레인 펌프(20)가 결합된 판 형상의 펌프하우징(30)과,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부설되는 부품을 보호하는 탑커버(40)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 일측편, 즉 상기 탑커버(4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측에는, 급수관(도시안됨)으로부터 물을 상기 워터박스(10) 내로 공급하는 급수구(31)와, 상기 급수구(31)의 일측에 상기 드레인 펌프(20)에서 펌핑된 물을 배 수하는 배수구(32)와, 상기 배수구(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33)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 타측편, 즉 상기 탑커버(40)에 의해 커버되는 측에는,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물의 수위가 최고점, 즉 안전수위에 이르러 워터박스(10) 내의 물이 넘치는 것을 감지하여 제빙기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b)를 고정하는 안전스위치용 고정부재(34a)가 삽입된 안전스위치용 홀(34)과, 상기 안전스위치용 홀(3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물의 수위를 저수위와 고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드레인 펌프(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를 고정하는 저고수위 스위치용 고정부재(35a)가 삽입된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과, 상기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펌프(20)의 구동 전원선(21)을 인출하여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에 연결하는 전원선 인출홀(3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스위치용 홀(34)은 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안전스위치용 고정부재(34a)의 일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안전스위치 캡(34b)이 결합된다. 그리고, 그 하면에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이고, 일측면에 슬릿홀(34c)이 형성되며, 그 하면 개구에는 그 내부에 물에 의해 플로팅되는 안전수위용 볼(37)이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십자형의 리브(34d)가 형성된 안전수위용 볼 수용부(34e)가 상기 안전스위치용 홀(34)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은 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저고수위 스위치용 고정부재(35a)의 일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저고수위 스위치 캡(35b)이 결합된다. 그리고, 그 하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수위용 볼(38)이 삽입되는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와, 상기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의 하측에 형성된 저수위용 볼(39)이 삽입되는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가 상기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는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와 구분하도록 중앙에 원형홀(35f)이 형성된 격벽부재(35e)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 즉 상기 펌프하우징(30)의 하부측에 워터박스(10) 내의 고수위가 된 물이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 내로 유입되는 유입홀(35g)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는 그 상부에 상기 격벽부재(35e)가 있고, 하부가 상기 저수위용 볼(39)이 삽입되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워터박스(10)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커팅홀(35h)이 하단으로부터 상기 격벽부재(35e)에 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20)는 상기 펌프하우징(30)의 하부면에 그 상부가 밀착 결합되고, 하부면은 상기 워터박스(10)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드레인 펌프(20) 작동시 하부로부터 물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하우징(30)의 배수구(32)로 물을 배출하도록 배출호스(22)가 상기 드레인 펌프(20)의 배출구와 상기 배수구(32)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32)에는 물이 워터박스(10) 내로 역류되지 않도록 체크밸브(3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전수위용 볼(37) 및 저고수위용 볼(38, 39)은 물에 플로팅되도록 물 의 비중보다 더 작은 비중을 가진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재질로 제작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급수구(31)를 통하여 워터박스(10) 내로 유입되어 채워지게 된다. 물이 서서히 채워지면 수위가 높아져 상기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의 하부 및 커팅홀(35h)로 물이 채워지고, 동시에 그 내의 저수위용 볼(39)이 플로팅된다. 이와 같이 저수위용 볼(39)이 플로팅되어 그 상부의 격벽부재(35e)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홀(35f)에 밀착되어 이 원형홀(35f)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저수위용 볼(39)이 원형홀(35f)을 폐쇄하고 있는 동안 워터박스(10) 내에는 물이 계속 채워져 그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위가 상승하여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유입홀(35g)에 까지 이르면, 이 유입홀(35g)을 통해 물이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 내로 유입된다. 이 유입되는 물은 그 내의 고수위용 볼(38)을 플로팅시켜 이 고수위용 볼(38)이 상부의 저고수위 스위치용 고정부재(35a)의 일단을 들어올리면, 이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의 접점(36c)을 들어올려 스위칭 동작시킴으로써 드레인 펌프(20)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 구동전원의 인가에 의해 드레인 펌프(20)가 작동하여 워터박스(10) 내의 물을 상기 배수구(32)를 통해 배수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 펌프(20)는 물의 수위가 저수위가 될 때까지 작동하게 되는데, 그것은 드레인 펌프(20)가 물을 펌핑하여 처음에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 내의 물의 수위는 낮아지지 않아 이 고수위용 볼(38)이 고저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의 접점(36c)을 들어 올리고 있는 상태이고, 드레인 펌프(20)를 계속 펌핑하여 물의 수위가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의 격벽부재(35e) 하부까지 낮아지면, 비로소 저수위용 볼(39)이 하강하면서 막고 있던 격벽부재(35e)의 원형홀(35f)을 개방하면서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 내의 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 내의 물이 배출되면서 수위가 낮아져 고저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의 접점(36c)을 하강 즉, 스위칭 동작을 멈추게 하여 드레인 펌프(20)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만약 이 드레인 펌프(20)를 작동시키는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가 고장나서 작동되지 않을 경우 및 배수구가 막혔을 때에는, 물의 수위가 최고점에 이르러 안전스수위용 볼 수용부(34e) 내의 볼(37)이 상승하여 상부의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b)의 접점(36d)을 들어올리면, 이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b)가 스위칭 동작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마이컴으로부터 제빙기 전체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펌프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펌프하우징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워터박스 20 : 드레인 펌프
30 : 펌프하우징 31 : 급수구
32 : 배수구 33 : 에어벤트
34e : 저수위용 볼 수용부 35c : 고수위용 볼 수용부
35d : 안전수위용 볼 수용부 35e : 격벽부재
35f : 원형홀 35g : 유입홀
36 :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 36b :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
36c, 36d : 접점 37 : 안전수위용 볼
38 : 고수위용 볼 39 : 저수위용 볼
40 : 탑커버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된 워터박스(10)와, 상기 워터박스(10)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조립되어 하부면에 드레인 펌프(20)가 결합된 판 형상의 펌프하우징(30)과,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부설되는 부품을 보호하는 탑커버(40)로 구성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수위에 따라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를 감지하도록 각각의 수용부(34e, 35c, 35d)에 수용되어 플로팅 가능한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용 볼(37, 38, 39)과;
    상기 저수위, 고수위 및 안전수위용 볼(37, 38, 39)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 볼들이 플로팅됨에 따라 접촉되어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 및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b)를 스위칭 작동시키는 각각의 접점(36c, 36d)과;
    상기 저수위 및 고수위용 볼(38, 39)이 수용되는 각각의 수용부(35c, 35d)가 수직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그들 수용부를 상하로 구분하는 격벽부재(35e)의 중앙에 형성되어 저수위용 볼(39)이 플로팅됨에 따라 폐쇄되는 원형홀(35f)과;
    상기 고수위용 볼(38)이 수용되는 수용부(35c)의 상측 측면에 물이 고수위가 될 때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입홀(35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2. 상부가 개구된 워터박스(10)와, 상기 워터박스(10)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 도록 조립되어 하부면에 드레인 펌프(20)가 결합된 판 형상의 펌프하우징(30)과,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에 부설되는 부품을 보호하는 탑커버(40)로 구성된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 일측편에는, 급수관으로부터 물을 상기 워터박스(10) 내로 공급하는 급수구(31)와, 상기 급수구(31)의 일측에 상기 드레인 펌프(20)에서 펌핑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32)와, 상기 배수구(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33)가 형성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0)의 상면 타측편에는,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물의 수위가 최고점에 이르러 워터박스(10) 내의 물이 넘치는 것을 감지하여 제빙기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안전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b)를 고정하는 안전스위치용 고정부재(34a)가 삽입된 안전스위치용 홀(34)과, 상기 안전스위치용 홀(34)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워터박스(10) 내의 물의 수위를 저수위와 고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드레인 펌프(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를 고정하는 저수위 스위치용 고정부재(35a)가 삽입된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과, 상기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펌프(20)의 구동 전원선(21)을 인출하여 저고수위용 마이크로스위치(36)에 연결하는 전원선 인출홀(3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용 홀(34)은 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안전 스위치 고정부재(34a)의 일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안전스위치 캡(34b)이 결합되며, 그 하면에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이고, 일측면에 슬릿홀(34c)이 형성되며, 그 하면 개구에는 그 내부에 물에 의해 플로팅되는 안전수위용 볼(37)이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십자형의 리브(34d)가 형성된 안전수위용 볼 수용부(34e)가 상기 안전스위치용 홀(34)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은 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저고수위 스위치용 고정부재(35a)의 일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저고수위 스위치 캡(35b)이 결합되며, 그 하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수위용 볼(38)이 삽입되는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와, 상기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의 하측에 형성된 저수위용 볼(39)이 삽입되는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가 상기 저고수위 스위치용 홀(35)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는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와 구분하도록 중앙에 원형홀(35f)이 형성된 격벽부재(35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펌프하우징(30)의 하부측에 워터박스(10) 내의 고수위가 된 물이 고수위용 볼 수용부(35c) 내로 유입되는 유입홀(35g)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위용 볼 수용부(35d)는 그 상부에 상기 격벽부재(35e)가 있고, 하부가 상기 저수위용 볼(39)이 삽입되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워터박스(10)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커팅홀(35h)이 하단으로부터 상기 격벽부재(35e)에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30)의 배수구(32)에는 물이 워터박스(10) 내로 역류되지 않도록 체크밸브(32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KR1020090005106A 2009-01-21 2009-01-21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KR101069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06A KR101069963B1 (ko) 2009-01-21 2009-01-21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106A KR101069963B1 (ko) 2009-01-21 2009-01-21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689A true KR20100085689A (ko) 2010-07-29
KR101069963B1 KR101069963B1 (ko) 2011-10-05

Family

ID=4264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106A KR101069963B1 (ko) 2009-01-21 2009-01-21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70746A1 (it) * 2017-06-23 2018-12-23 Brema Group Spa Dispositivo di drenaggio per fabbricatore di ghiacci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167B2 (ja) * 1994-12-06 2004-08-11 株式会社工技研究所 レベル計
JPH10318822A (ja) * 1997-05-15 1998-12-04 Satori Techno Syst Kk カートリッジ用液体サーバー
KR19990079614A (ko) * 1998-04-07 1999-11-05 윤종용 용기내에 저수된 액체의 저수 레벨 측정장치
DE19942377A1 (de) * 1999-09-04 2001-03-08 Mannesmann Vd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eines Füllstandes einer Flüssigkeit in einem Behälter
KR200339301Y1 (ko) * 2003-10-29 2004-01-24 주식회사 파세코 제빙기의 드레인유닛
KR200359700Y1 (ko) * 2004-05-18 2004-08-21 주식회사 필택 부유물 수집기
KR20100000858U (ko) * 2008-07-17 2010-01-27 강대익 온열매트용 온수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70746A1 (it) * 2017-06-23 2018-12-23 Brema Group Spa Dispositivo di drenaggio per fabbricatore di ghiaccio
EP3418656A1 (en) * 2017-06-23 2018-12-26 Brema Group S.p.A. Drainage device for ic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963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074B1 (ko) 제습기
WO2009041124A1 (ja) 自動製氷機の製氷水タンク
JPH03137473A (ja) 冷蔵庫
WO2000070278A1 (fr) Machine à glace du type à écoulement descendant
US5946924A (en) Automatic icemaker for a refrigerator
CN104136856A (zh) 防漏水加湿器
KR101069963B1 (ko)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KR20100085690A (ko)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JP2013064518A (ja) 製氷機の貯留タンク
CN215892631U (zh) 一种电极加湿器自动排水降温装置
JP7361249B2 (ja) 空気浄化装置
KR102107691B1 (ko) 포세식 변기용 거품생성 제어 시스템
CN113167523A (zh) 制冰机
JP2021109079A (ja) 空気浄化装置
CN112710078B (zh) 布水装置、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930003100Y1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정량급수장치
CN220034517U (zh) 培养箱
KR20200138515A (ko) 선박용 오일 회수장치
JP3970472B2 (ja) 汚水槽用スカム除去装置
CN112484373B (zh) 用于冰箱的蓄水散热装置和冰箱
JP2000220929A (ja) 定量給水装置
KR20140123283A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KR200339301Y1 (ko) 제빙기의 드레인유닛
CN215832087U (zh) 加湿器
JP6827859B2 (ja) セル型製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