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446A -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446A
KR20100085446A KR1020090004731A KR20090004731A KR20100085446A KR 20100085446 A KR20100085446 A KR 20100085446A KR 1020090004731 A KR1020090004731 A KR 1020090004731A KR 20090004731 A KR20090004731 A KR 20090004731A KR 20100085446 A KR20100085446 A KR 2010008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ealing
file
forming
embroidery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식
Original Assignee
김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식 filed Critical 김충식
Priority to KR102009000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5446A/ko
Publication of KR2010008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5/00Making 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by inserting loops into a base material
    • D05C15/04Tufting
    • D05C15/08Tufting machines
    • D05C15/16Arrangements or devices for manipulating threads
    • D05C15/18Thread feed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5/00Making 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by inserting loops into a base material
    • D05C15/04Tufting
    • D05C15/08Tufting machines
    • D05C15/16Arrangements or devices for manipulating threads
    • D05C15/22Loop-catching arrangements, e.g. loop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은 모터와, 상기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포획바를 좌우 왕복 구동시키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자수실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파일형성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파일형성모듈에 탑재되어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별도로 전달받아 상기 파일형성모듈의 회동 범위를 변화시켜 상기 파일형성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파일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파일진행모듈로 이루어진 연속파일부로 구성한다.
자수기, 연속, 파일, 입체

Description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EVICE FORMING LOOP OR PILE FOR EMBROIDERING MACHINE AND LOOP IN A ROW CREATION DEVICE FOR EMBROIDER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적 파일 또는 연속적 입체 파일를 형성시킬 수 있어 다양한 파일 스티치 형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수라 함은 바늘과 실 그 외 간단한 용구로 수를 놓는 것을 말하고, 종류로는 서양 자수와 동양 자수가 있으며, 서양 자수에는 프랑스 자수, 스웨덴 자수, 튤(tulle) 자수, 코드(cord) 자수, 리본(ribbon) 자수, 비즈(beads)자수, 스팽글(spangle)자수, 컷웍(cut work)자수, 드론웍(drawn work) 자수, 퀼팅(quilting) 자수, 마벨(marvel)자수, 래치 훅(latchhook)자수, 스모킹(smocking)자수 등이 있다.
파일직물의 예로서는 벨벳, 타올직물, 카펫트직물 등이 있고 상기 제조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트리코트 라셀방식으로 편직된 직물을 절단하여 형성 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자수직물의 표면에 대한 파일 또는 파일의 형성은 직물의 일부분만을 장식 등을 위하여 형성하는 것이므로 상기 이중직 등 직물구조적으로 구현하는 방식과는 차이가 있음이 분명하다.
종래 파일나 파일 스티치(stitch)를 생성하는 장치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6-14459호에서는 "자수실를 풀면서 자수하도록 라지, 스몰 텐션바(3,4), 텐션롤러(2)와 라지샤프트(72)로 이루어진 오토매틱셔틀 쟈카드자수기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2)의 좌단에 장착된 파일기어(71)와, 상기 파일기어(71)에 라지샤프트(72)의 왕복운동을 전달하는 다수의 컨넥팅로드(73, 74, 75)와, 상기 파일기어(71)를 회전시켜 자수실(8)를 추가로 균일하게 송출시키기 위해 컨넥팅로드(75)의 일단에 장착된 캣치(76)와, 상기 캣치(76)가 파일기어(71)와 분리결합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와이어(78)로 연결된 캣치레버(77)와, 상기 캣치레버(77)의 상하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카드(1)상의 M.W 최종위치에 천공된 통공(63, 64)에 의해 파일 스티치의 시작지점(61)과 종료지점(62)를 지시하여 이를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일반자수(65)와 동시에 연이어 파일스티치(6)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기의 파일스티치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95-32807호에서는 "구동되는 실 이송 유닛과 적어도 한 개의 가동 실 가이드와 자수품 프레임과 실운반 유닛을 제어하고 실 가이드와 바늘 및 셔틀의 구동을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 셔틀-자수기계로 자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실가이드와 운반 유닛은 재료로 바늘을 삽입하고 파일형성을 위해서 그리고 파일를 통해 셔틀의 이동을 위해서 필요한 실의 양과 스티치 형성을 위해 자수품 사이에 제공되는 실의 양을 운반하고 바늘실은 전체의 스티치형성 동안에 실제적으로 인장력없이 유지되고, 스티치의 인장은 셔틀실의 매출력에 위해서만 수행되는 방법의 수행을 위해 실 이송 유닛은 모터로 구동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실은 롤러에서 더 많은 자수 위치를 이동하고 각 자수 위치에 실 롤러가 위치되고 실롤러는 롤러와 실 롤러사이의 마찰접촉에 의해서 실을 이송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파일나 파일스티치 형성을 위한 각각의 개별적 기구구성을 필요로 하고 그 운동전동수단도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자수 중 입체적인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 터프팅기(tufting machine)를 사용하였다. 터프팅기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었고 그 중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만을 소개하면 수직선상으로 피자수직물 위에 바늘이 놓이고 상기 다수의 바늘이 피자수직물의 표·이면을 왕복하면서 임의의 하나의 바늘이 피자수직물을 관통하는 경우 포획바(looper)가 바늘에 있는 자수실를 포획하며 그 후 하나의 바늘은 상승하고 다른 임의의 바늘이 하강하여 파일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또한 파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나이프가 형성된 바늘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나이프의 동력전달체계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식은 대량의 파일를 형성할 수 있는 점은 있으나 파일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바늘이 교차운동을 하여야하고 또한 파일형성용 나이프의 운동체계도 구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기구적 구성은 복잡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일이나 파일 스티치 형성을 위한 운동시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되, 전동 간극의 최소화에 의해 간소한 동력전달쳬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에 파일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연속적인 파일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파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파일 생성시 이들을 관통하는 자수실 또는 장식사를 더 봉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연속적 파일 또는 입체적 파일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침봉에 의해 원단에 봉착되는 자수실을 통해 장식사 또는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속적 파일 형성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포획바를 좌우 왕복 구동시키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자수실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파일형성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파일형성모듈에 탑재되어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별도로 전달받아 상기 파일형성모듈의 회동 범위를 변화시켜 상기 파일형성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파일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파일진행모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일형성모듈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원동 기어에 연결한 타이밍 벨트가 외주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중앙에 수직으로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 반호의 요홈을 형성시킨 플랜지와, 상기 요홈의 내부에 자유굴절이 가능한 볼을 결합한 다음 상기 볼에 수직하향으로 연동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연동부재에 횡방향으로 형성시킨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결합한 다음 플랜지 상면에 탑재되어 관통공에 결합된 파일진행모듈에 체결부재를 고정시켜 상기 플랜지의 회동에 의해 볼을 기준으로 연동부재 하부의 회전각도가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연동부재 하부에는 장착공을 횡방향으로 형성시켜 이루어진 방향전환구와, 상기 연동부재의 장착공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각도 변환에 의해 좌우로 왕복 운동시켜 상기 파일진행모듈의 중앙에 관통한 봉착구멍을 통해 침봉의 봉착작업과 연계하여 자수실를 연속적인 파일로 형성시키는 포획바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일진행모듈은 상기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면 중앙에 상향으로 안내편을 돌출시킨 다음 안내편을 거쳐 하부로 봉착구멍을 형성시켜 자수실가 연결된 침봉의 승.하강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으로 봉착구멍이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바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일 진행모듈은 회전판과 회전바 내부를 관통하는 공급공을 더 형성시키고, 상기 포획바 전방에는 배출공을 형성시켜 상기 공급공과 배출공을 통해 장식사가 공급되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획바는 내부에 중공의 배출공을 관통시킨 것을 더 포함시켜 외부에서 별도로 자수실나 장식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은 제 1항 내지 제5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를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의 다른실시예는 제 1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파일형성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 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셋팅된 파일 지름 만큼 이동하는 제1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제 2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 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 1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파일형성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셋팅된 파일 지름 만큼 이동하는 제1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제 1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 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제1봉착위치변경단계의 봉착위치로 베이스판을 역 이동시킨 후 자수실을 봉착시켜 상승시킨 후 다시 제 2 봉착 시작점 ,위치로 베이스판을 이동시켜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결속봉착단계와, 상기 결속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 1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이고 입체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포획바에 배출공을 통해 다른 개소의 자수실이나 장식사가 생성된 파일를 관통하는 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 및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파일 내부에 자수실이나 장식사가 관통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은 상기 연속파일형성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파일의 봉착 진행방향에 맞추어 침봉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파일진행모듈의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는 파일형성모듈이 연동하여 방향전환구와 포획바의 회동 위치를 변경시킴에 따라 연속적인 파일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방향전환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은 상기 파일형성단계에서 자수실을 포획하는 포획바의 회동 반경(R)에 따라 파일의 곡률(r)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은 상기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에서 자수기에 입력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베이스판에 의한 원단의 이동 거리(L) 만큼 파일 간의 봉착거리(ℓ)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은 파일나 파일 스티치 형성을 위한 운동시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되, 운동방향의 전환을 위한 전동 간극을 최소화시켜 간소한 동력전달쳬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연속적 파일의 생성을 가능하게 함으로 써,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품의 잔고장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은 원단에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파일진행모듈을 통하여 연속적인 파일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파일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연출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은 연속 파일 또는 연속 파일 생성시 이들을 관통하는 자수실 또는 장식사를 봉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입체적 파일 또는 파일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은 침봉에 의해 원단에 봉착되는 자수실을 통해 장식사 또는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시켜 다양한 원단에 다양한 봉착방법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b,c는 본 발명의 파일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b,는 본 발명의 입체 파일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파일형성장치를 통하여 봉착된 다양한 실시예의 파일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1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1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1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나타낸 계략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2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2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2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나타낸 계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3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3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3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나타낸 계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일형성장치 10는 모터 100와, 상기 모터 1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포획바 230를 좌우 왕복 구동시키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자수실 12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파일형성모듈 200a이 마련되고, 상기 파일형성모듈 200a에 탑재되어 모터 100로 부터 구동력을 별도로 전달받아 상기 파일형성모듈 200a의 회동 범위를 변화시켜 상기 파일형성모듈 200a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파일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파일진행모듈 200b로 이루어진 연속파일부 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터 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파일형성모듈 200a과 파일진행모듈 200b에 각각 구동력을 각각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형성모듈 200a은 플랜지 210와 방향전환구 220 및 포획바 230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 210는 모터 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외주연에 기어가 형성되어 모터 100의 회전축에 장착된 원동기어 1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아울러, 플랜지 210의 중앙에 수직에는 관통공 212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210의 하부면에 반호의 요홈 211을 형성시킨다.
상기 방향전환구 220는 상기 요홈 211의 내부에 자유굴절이 가능한 볼 221을 결합한 다음 상기 볼 221에 바 형태의 연동부재 222를 수직하향으로 결합하여 요홈 211에 결합된 볼 221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 222가 자유 각도로 변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부재 222에 횡방향으로 형성시킨 체결공 222a에 체결부재 223를 결합한 다음 플랜지 210 상면에 탑재되어 관통공 212에 결합된 파일진행모듈 200b에 체결부재 223를 고정시켜 상기 플랜지 210의 회동에 의해 볼 221을 기준으로 연동부재 222 하부의 회전각도가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연동부재 222 하부에는 장착공 222b을 횡방향으로 형성시킨다.
즉, 상기 체결부재 223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파일진행모듈 200b의 회전바 250에 고정되어 모터 100의 정.회전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플랜지 210가 회전을 하면 회전바 250에 결합된 체결부재 223와 볼 221을 기존을 연동부재 222의 하부의 회전 각도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또한, 포획바 230는 상기 연동부재 222의 장착공 222b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재 222의 각도 변환에 의해 좌우로 왕복 운동시켜 상기 파일진행모듈 200b의 중앙에 관통한 봉착구멍 242을 통해 침봉 11의 봉착작업과 연계하여 자수실 12를 연속적인 파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파일진행모듈 200b은 상기 플랜지 210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면 중앙에 상향으로 안내편 241을 돌출시킨 다음 안내편 241을 거쳐 하부로 봉착구멍 242을 형성시켜 자수실 12가 연결된 침봉 11의 승.하강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판 240과, 상기 회전판 24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 210의 관통공 2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으로 봉착구멍 242이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바 25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진행모듈 200b은 연속적인 파일의 형성이 진행되는 동안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파일의 봉착 진행방향에 맞추어 침봉 11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모터 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파일진행모듈 200b의 회전판 240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는 파일형성모듈 200a이 연동하여 방향전환구 220와 포획바 230의 회동 위치를 변경시킴에 따라 연속적인 파일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 250에 관통된 플랜지 210를 받추어 주어 회전바 250와 플랜지 21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바 250의 외주연에 받침블럭 251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회전바 250의 하단에는 단턱 252을 더 형성시켜 상기 회전바 250와 원단의 사이 간격이 좁을 경우 상기 회전바 250 하단에 장식사 또는 자수실이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턱 만큼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속적인 파일의 형성 단계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수기의 침봉 11이 낙하하여 직물에 1땀을 형성하고, 상승한 후 포획바 2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여 상승한 침붕에 연결되어 있는 자수실 12를 포획한다.
이후, 침봉 11은 다시 하강하여 직물에 2땀을 형성하고, 상승하면 포획바 2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봉착된 2땀의 자수실 12를 반대방향으로 포획하여 파일가 생성된다.
여기서,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기 위해 자수기에서 원단을 상면에 고정시킨 베이스가 봉착 진행방향에 점진적으로 이동되는 동작과 상기에서 언급된 파일의 생성 단계가 연계되어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자수기의 공지기술로써, 상기 베이스 상면에 파일 형성대상인 원단을 부착하는것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에 대해 도면 및 부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파일형성장치 10를 통하여 제1실시예에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 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일나 파일 스티치 형성을 위한 운동시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되, 운동방향의 전환을 위한 전동 간극을 최소화시켜 간소한 동력전달쳬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연속적 파일의 생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품의 잔고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더불어, 원단에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파일진행모듈 200b을 통하여 연속적인 파일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파일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연출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2b 내지 도 3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일 진행모듈은 회전판 240과 회전바 250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공급공 243을 더 형성시킨다.
상기 포획바 230 전방에는 배출공 231을 형성시켜 상기 공급공 243과 배출공 231을 통해 장식사 13가 공급되어지도록 하여 후술될 연속 파일 생성시 이들을 관통하는 자수실 12 또는 장식사 13를 봉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입체적 파일 또는 파일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포획바 230는 중앙으로부터 연통공 232을 배출공으로 연통되게 형성시켜 장식사 또는 자수실을 공급을 자유럽게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획바 230는 내부에 중공의 배출공 231을 관통시킨 것을 더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 별도로 자수실 12나 장식사 13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속 파일 생성시 이들을 관통하는 자수실 12 또는 장식사 13를 봉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입체적 파일 또는 파일를 생성 시킬 수 도 있으면서, 침봉에 연결된 자수실을 통해 배출공 231로 공급되는 장식사를 원단에 봉착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배출공 231은 포획바 230 내부 중앙에서 관통되게 형성시키거나, 상기 포획바 230의 중앙에서 전방측으로 관통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포획바가 침봉에 연결된 자수실을 포획하지 않도록 연동부재의 장착공에 결합된 포획바의 끝단이 후방으로 위치시켜 침봉의 봉착위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자수실을 포획하지 않도록 한 다음 장식사 또는 자수실을 별도로 배출공으로 좌,우로 반복 회전시키면서 공급하되 침봉의 봉착 동작과 연계시켜 원단에 자수실 또는 장식사가 봉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장식사 13는 구슬이나 스팽글이 연속적으로 이음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이외에도 테잎 형태로도 공급될 수 있으나, 상기 테잎 형태의 장식사 13일 경우 상기 폭을 갖고 있는 테잎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의 자유절곡이 어렵기 때문에 파일진행모듈 200b의 동작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파일 형성장치를 통하여 원단에 봉착되는 파일형태는 도 4,b,c,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출될 수 있다.
즉, 도 4a는 연속적인 파일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입체적 연속 파일를 나타낸 것이며, 도 4c는 구슬형태인 장식사를 봉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테잎형태의 장식사를 봉착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파일형성장치 10를 통하여 다양한 파일 형성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인 파일 형성과 1 포인트 봉착방법은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와, 파일 형성단계 S20와, 제 1 파일 봉착단계 S30와, 봉착위치변경단계 S40와,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50 및 연속파일 형성단계 S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는 침봉 11의 낙하 의해 자수실 12을 원단에 1회 봉착시킨 후 침봉 11을 상승시킨다.(S10)
이후, 침봉 11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 2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포획바 230의 뾰족한 끝부분이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 12을 걸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포획함으로써, 자수실 12이 파일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 형성단계를 거친다.(S20)
다음으로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 12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다시 원단에 봉착시켜 단일 개소의 첫 번째 파일가 고리 모양으로 원단에 봉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파일봉착단계를 행한다.(S30)
상기 제 1 파일봉착단계 S30 이후 침봉 11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 위치로 한 피치 이동하는 봉착위치변경단계를 거친다.(S40)
이후, 상기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의 위치에 자수실 12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를 행한다.(S50)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50 이후 포획바 230를 소정 각도만큼 역회전시켜 원단 14에 봉착된 자수실 12 13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를 봉착하여 두 번째 파일가 원단 14에 형성되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 S60로 이루어진다.(S60)
이렇게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와, 파일 형성단계 S20와, 제 1 파일봉착단계 S30와, 봉착위치변경단계 S40와,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50 및 연속파일 형성단계 S60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파일의 형성방법은 1 포인트 봉착 방법으로써, 파일의 반경 또는 길이가 짧을 경우 적용되어 크기가 작은 파일를 보다 신속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면서 봉착 횟수를 2 포인트로 형성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연속적인 파일에 대한 2 포인트 봉착방법은 자수실 12봉착단계 S10와, 파일형성단계 S20와, 제1봉착위치변경단계 S30와, 제 1 파일봉착단계 S40와,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 S50와,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60 및 연속파일형성단계 S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는 침봉 11의 낙하 의해 자수실 12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 11을 상승시킨다.(S10)
이후, 침봉 11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 2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포획바 230의 뾰족한 끝부분이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 12을 걸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포획함으로써 자수실 12이 파일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 형성단계를 거친다.(S20)
다음으로 파일형성단계 S20 이후 침봉 11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셋팅된 파일 지름만큼 이동하는 제1봉착위치변경단계를 거친다.(S30)
다음으로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 12을 봉착시켜 포획바 230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킴으로써 단일 개소 첫 번째 파일가 고리 모양으로 원단 에 봉착되는 파일 봉착단계를 행한다.(S40)
상기 파일봉착단계 S40 이후 침봉 11이 상승하면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 S50를 통하여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로 원단에 봉착될 두 번째 파일 시작점 봉착위치로 이동한다.(S50)
이후,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의 위치에 자수실 12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를 행한다.(S60)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60 이후 포획바 230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60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 12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 봉착을 행하여 간격을 갖는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자수실 12봉착단계 S10와, 파일형성단계 S20와, 제1봉착위치변경단계 S30와, 제 1 파일봉착단계 S40와,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 S50와,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60 및 연속파일형성단계 S70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파일의 형성방법은 2 포인트 봉착 방법으로써, 파일의 반경과 길이를 갖는 파일 크기의 중간 크기로써, 2 포인트로 봉착하여 원단과의 고정력과 신속한 연속적 파일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면서 봉착 횟수를 3 포인트로 형성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연속적인 파일에 대한 3 포인트 봉착방법은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와, 파일 형성단계 S20와, 제 1 봉착위치변경단계 S30와, 제 1 파일봉착단계 S40와,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 S50와,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60와, 결속봉착단계 S70와, 연속파일형성단계 S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는 침봉 11 11의 낙하 의해 자수실 12 13을 원단 14에 봉착시킨 후 침봉 11을 상승시킨다.(S10)
이후, 침봉 11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 2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포획바 230의 뾰족한 끝단이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 12을 걸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포획함으로써 자수실 12이 파일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 형성단계를 거친다.(S20)
상기 파일형성단계 S20 이후 침봉 11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셋팅된 파일 지름 만큼 이동하는 제 1 봉착위치변경단계를 거친다.(S30)
이후,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 12을 봉착시켜 포획바 230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킴으로써 단일 개소 제1의 파일가 고리 모양으로 원단에 봉착되는 제1 파일 봉착단계를 행한다.(S40)
다음으로 제 1 파일봉착단계 S40 이후 침봉 11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 위치로 이동하는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를 거친다.(S50)
그리고,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50를 거쳐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 12을 봉착시킨다.(S60)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50 이후 제1봉착위치변경단계 S30의 봉착위치로 베이스판을 역 이동시킨 후 침봉 11을 봉착시켜 상승시킨 후 다시 제 2 봉착 시작점 위치로 베이스판을 이동시키는 결속봉착단계를 행한다.(S70)
이는 첫 번째 파일가 형성되고 난 다음 두 번째 파일를 형성시키기 위한 공정 중 첫 번째 및 두 번째 파일의 간격 사이에서 자수실 12이 3번 봉착되도록 하여 원단 14에 파일가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속봉착단계 S70 이후 포획바 230 121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60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 12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마무리한다.(S80)
이렇게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와, 파일 형성단계 S20와, 제1봉착위치변경단계 S30와, 제 1 파일봉착단계 S40,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 S50, 제 2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60, 결속봉착단계 S70, 연속파일형성단계 S80를 반복적으로 행하여 3 포인트의 봉착공정을 갖으며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속적인 파일의 형성방법과 3 포인트 봉착 방법을 병행함으로써, 파일의 반경이 크고 길이가 긴 파일를 3 포인트로 봉착하여 원단과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파일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연속적인 파일 형성 방법에 있어 1포인트, 2포인트, 3포인트 봉착방법이 적용되는 본 발명에서 연속적인 복수개의 파일를 직선상으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원단만을 이동시키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파일를 불규칙적인 진행방향으로 봉착시킬 때에는 파일진행모듈 200b을 통하여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속파일형성단계 S60, S80, S90가 진행되는 동안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파일의 봉착 진행방향에 맞추어 침봉 11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포획바 230의 회동 위치를 변경시킴에 따라 연속적인 파일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방향전환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면서 장식사 13 또는 자수실 12을 관통시켜 입체적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입체적 파일에 대한 봉착방법은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 파일형성단계 S20, 제1파일봉착단계 S30, 봉착위치변경단계 S40, 파일 관통단계 S50, 제2파일 시작점봉착단계 S60, 연속 파일형성단계 S70, 파일 연속 관통단계 S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수실 12 봉착단계 S10는 상기 침봉 11의 낙하 의해 자수실 12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 11을 상승시킨다.(S10)
이후, 이후, 침봉 11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 획바 2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포획바 230의 뾰족한 끝단이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 12을 걸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포획함으로써 자수실 12이 파일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 형성단계를 거친다.(S20)
다음으로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 12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다시 원단에 봉착시켜 단일 개소의 첫 번째 파일가 고리 모양으로 원단에 봉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파일봉착단계를 행한다.(S30)
상기 제 1 파일봉착단계 S30 이후 침봉 11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 위치로 한 피치 이동하는 봉착위치변경단계를 거친다.(S40)
이때, 상기 포획바 230에 배출공 231을 통해 공급되는 다른 개소의 자수실 12 또는 장식사 13가 생성된 파일를 관통하는 단계를 거친다.(S50)
이후, 상기 침봉 11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의 위치에 자수실 12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를 행한다.(S60)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S50 이후 포획바 230를 소정 각도만큼 역회전시켜 원단 14에 봉착된 자수실 12 13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를 봉착하여 두 번째 파일가 원단 14에 형성되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 S70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파일 내부에 자수실 12이나 장식사 13가 관통되도록 하는 단계 S8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수기의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에서는 상기 파일형성단 계에서 자수실 12을 포획하는 포획바 230의 회동 반경(R)에 따라 파일의 곡률(r)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파일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파일 연출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2포인트 및 3 포인트 봉착공정을 갖는 연속적인 파일 형성방법에서는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 S50에서 자수기에 입력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베이스판에 의한 원단의 이동 거리(L) 만큼 파일 사이 간격의 봉착거리(ℓ)를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연속파일 형성방법에서 포확바가 아닌 베이스판의 이동에 의해 원단에 파일을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원단을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획바에 봉착된 자수실이 포획되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을 원단에 봉착시키는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원단을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반대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획바에 봉착된 자수실이 포획되는 동작과 상기 파일봉착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연속적인 파일을 형성하되, 상기 포획바는 베이스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생성되는 파일의 크기를 확대시켜 파일에 볼륨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파일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b,c는 본 발명의 파일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b,c,d는 본 발명의 입체적 파일를 형성시키기 위한 파일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일형성장치를 통하여 봉착된 다양한 실시예의 파일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1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1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7는 본 발명의 1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나타낸 계략도.
도 8는 본 발명의 2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2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2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나타낸 계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3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3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3 포인트로 봉착되면서 연속적으로 파일를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일를 나타낸 계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연속적 입체 파일를 형성 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일 형성장치 11 : 침봉
12 : 자수실 13 : 장식사
100 : 모터 110 : 원동기어
120 : 타이밍벨트 200 : 연속파일부
200a: 파일형성모듈 200b : 파일진행모듈
210 : 플랜지 211 : 요홈
212 : 관통공 220 : 방향전환구
221 : 볼 222 : 연동부재
222a : 체결공 222b : 장착공
223 : 체결부재 230 : 포획바
231 : 배출공 232 : 연통공
240 : 회전판 241 : 안내편
242 : 봉착구멍 243 : 공급공
250 : 회전바 251 : 받침블럭
252 : 단턱

Claims (13)

  1. 모터와,
    상기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켜 포획바를 좌우 왕복 구동시키면 외부에서 공급되는 자수실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파일형성모듈이 마련되고, 상기 파일형성모듈에 탑재되어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별도로 전달받아 상기 파일형성모듈의 회동 범위를 변화시켜 상기 파일형성모듈에 의해 형성되는 연속파일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파일진행모듈로 이루어진 연속파일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형성모듈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원동기어에 연결한 타이밍 벨트가 외주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중앙에 수직으로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 반호의 요홈을 형성시킨 플랜지와,
    상기 요홈의 내부에 자유굴절이 가능한 볼을 결합한 다음 상기 볼에 수직하향으로 연동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연동부재에 횡방향으로 형성시킨 체결공에 체결부재를 결합한 다음 플랜지 상면에 탑재되어 관통공에 결합된 파일진행모듈에 체결부재를 고정시켜 상기 플랜지의 회동에 의해 볼을 기준으로 연동부재 하부의 회전각도가 변환되도록 하고 상기 연동부재 하부에는 장착공을 횡방향으로 형성시켜 이 루어진 방향전환구와,
    상기 연동부재의 장착공에 결합되어 상기 연동부재의 각도 변환에 의해 좌우로 왕복 운동시켜 상기 파일진행모듈의 중앙에 관통한 봉착구멍을 통해 침봉의 봉착작업과 연계하여 자수실를 연속적인 파일로 형성시키는 포획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진행모듈은,
    상기 플랜지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면 중앙에 상향으로 안내편을 돌출시킨 다음 안내편을 거쳐 하부로 봉착구멍을 형성시켜 자수실가 연결된 침봉의 승.하강동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으로 봉착구멍이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바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진행모듈은 회전판과 회전바 내부를 관통하는 공급공을 더 형성시키고, 상기 포획바 전방에는 배출공을 형성시켜 상기 공급공과 배출공을 통해 장식사나 자수실이 공급되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바는 내부에 중공의 배출공을 관통시킨 것을 더 포함시켜 외부에서 별도로 자수실나 장식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침봉의 자수실에 의해 원단에 봉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형성장치.
  6. 제 1항 내지 제5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를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7. 제 1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파일형성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셋팅된 파일 지름 만큼 이동하는 제1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제 2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 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 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8. 제 1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파일형성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셋팅된 파일 지름 만큼 이동하는 제1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제 1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제1봉착위치변경단계의 봉착위치로 베이스판을 역 이동시킨 후 자수실을 봉착시켜 상승시킨 후 다시 제 2 봉착 시작점 ,위치로 베이스판을 이동시켜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결속봉착단계와,
    상기 결속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9. 제 1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이고 입체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침봉의 하부에서 좌우 연속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획바의 회전에 자수실을 포획하여 파일 형상을 갖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를 원단에 봉착시키는 제 1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파일봉착단계 이후 침봉이 상승하면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원단을 상면에 펼쳐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다음 차례의 파일 봉착위치로 이동하는 봉착위치변경단계와,
    상기 포획바에 배출공을 통해 다른 개소의 자수실이나 장식사가 생성된 파일 를 관통하는 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다음 차례로 형성시킬 파일 위치에 자수실을 봉착시키는 제 2 파일 시작점봉착단계와,
    상기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 이후 포획바를 역회전시켜 제 2 파일 시작점 봉착단계에서 원단에 봉착된 자수실을 반대 방향으로 포획한 다음 파일봉착을 행하여 파일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도록 하는 연속 파일 형성단계 및,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파일 내부에 자수실이나 장식사가 연속적으로 관통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파일형성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자수기에 입력된 파일 형상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파일의 봉착 진행방향에 맞추어 침봉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파일진행모듈의 회전판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동하는 파일형성모듈이 연동하여 방향전환구와 포획바의 회동 위치를 변경시킴에 따라 연속적인 파일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방향전환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11. 제 6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형성단계에서 자수실을 포획하는 포획바의 회동 반경(R)에 따라 파일의 곡률(r)를 조절할 수 있도록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12.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봉착위치변경단계에서 자수기에 입력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베이스판에 의한 원단의 이동 거리(L) 만큼 파일 간의 봉착거리(ℓ)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13. 제 1항에서 제시된 파일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파일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침봉의 낙하 의해 자수실을 원단에 봉착시킨 후 침봉을 상승시키는 자수실 봉착단계와,
    상기 원단을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획바에 봉착된 자수실이 포획되도록 하는 파일형성단계와,
    상기 침봉의 낙하에 의해 원단에 자수실을 봉착시켜 형성된 파일을 원단에 봉착시키는 파일봉착단계와,
    상기 원단을 고정시킨 베이스판이 반대 사선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획바에 봉착된 자수실이 포획되는 동작과 상기 파일봉착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연속적인 파일을 형성하되, 상기 포획바는 베이스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생성되는 파일의 크기를 확대시켜 파일에 볼륨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파일 형성방법.
KR1020090004731A 2009-01-20 2009-01-20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 KR20100085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31A KR20100085446A (ko) 2009-01-20 2009-01-20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31A KR20100085446A (ko) 2009-01-20 2009-01-20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446A true KR20100085446A (ko) 2010-07-29

Family

ID=4264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731A KR20100085446A (ko) 2009-01-20 2009-01-20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54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the backing feed for a tufting machine
US7426895B2 (en) Tufting machine and process for variable stitch rate tufting
JPH07197370A (ja) 可変ゲージタフティング装置及び操作方法
US11505886B2 (en) Variable or multi-gauge tufting with color placement and pattern scaling
US4103630A (en) Tufting machines and method
KR20100085446A (ko)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적 파일 형성 방법
CN108978065A (zh) 绣花簇绒机及绣花簇绒方法
KR100770018B1 (ko) 장식사 제조장치 및 그 장식사
JPH04333653A (ja) タフティング工法およびこの工法を実施する装置
US20210017685A1 (en) Variable or Multi-Gauge Cut Pile Tufting with Backing Shifting
KR100657034B1 (ko) 직물 표면용 루프 또는 파일 형성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90114820A (ko) 자수기의 연속적인 루프 형성장치 및 방법
CN113235237A (zh) 一种缝制方法
GB214415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titches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m
KR200332117Y1 (ko) 자수기용 루프 또는 파일 형성장치
JP3313713B2 (ja) 飾り付きの基布を自動的に生産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装置
KR200370201Y1 (ko) 직물 표면용 루프 또는 파일 형성 장치
KR102449156B1 (ko) 코아 네트 제조장치
US3229652A (en) Production of tufted fabrics
CN213571032U (zh) 缝纫机防跳线装置及缝纫机
KR101032789B1 (ko) 자수기용 루프 또는 파일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연속적인 루프 형성방법과 장치
JP6614590B2 (ja) キルティング生地の製造方法
US401418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knitted long-pile fabrics and fabrics made by the method
JP5941271B2 (ja) 擬似二重環縫い目構造と、該縫い目を形成する多本針ミシン
US7353761B2 (en)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