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969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969A
KR20100084969A KR1020090133627A KR20090133627A KR20100084969A KR 20100084969 A KR20100084969 A KR 20100084969A KR 1020090133627 A KR1020090133627 A KR 1020090133627A KR 20090133627 A KR20090133627 A KR 20090133627A KR 20100084969 A KR20100084969 A KR 20100084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od waste
main body
space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542B1 (ko
Inventor
유상필
Original Assignee
유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필 filed Critical 유상필
Priority to KR102009013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5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교반공간부(110)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배출구(130)를 갖는 배출공간부(120)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공간부(120)의 내측에 이송스크류(150)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됨과 동시에 하반부 둘레에 공지의 히팅수단과 연결된 가열관(140)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가열관(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본체(100)의 상부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커버(160)와,
상기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선단부에 교반날(231)이 결합된 다수의 지지대(230)가 구동축(210)의 지지관(220)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교반스크류부(200)와,
상기 교반스크류부(200) 및 이송스크류(150)의 회전을 위해 구동축(210)의 일단 및 이송스크류(150)의 일단에 풀리(520)가 축설되어 구동모터(510)와 공지의 동력전달요소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500)와,
일단이 본체(100)의 일측과 연통된 상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타측이 본체(100)의 저부와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라인상에 취수구(310) 및 교반공간부(110)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기 위한 급송휀(320)이 구비되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덕트부재(300)의 라인상에 설치되며 교반공간부(110)의 고온고습한 공 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순환 공급시켜 주기 위해 마련되는 제습장치(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건조, 제습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Device for disposing food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습을 위한 냉동설비의 설치를 지양하되,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여 음식물쓰레기 가열시 발생되는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용이하게 순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영업장에서는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가 부득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통상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거 후 처리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상기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는 땅속에 매립하는 것이 보편적이였으나 환경문제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강제 건조시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감량하여 처리하거나, 발효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비료 또는 사료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9-84591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출원은 음식물쓰레기 가열시 발생되는 고온고습한 공기의 제습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열교환기와 같은 일련의 냉동장치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운용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첫 번째로 본체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처리장치가 가동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개방부위로 인해 열손실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두 번째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열교환기와 같은 일련의 복잡한 냉동장치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제습이 실시됨으로 인하여 각 부위의 고장이 잦고 설비비가 과도하게 소요된다.
세 번째로 상기 냉동장치의 적용으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따르는 전력소모가 불가피하고, 특히 이러한 처리장치의 경우 음식물쓰레기의 건조를 위해 강제로 가열시킨 공기가 제습과정에서 수증기와 함께 처리장치 외부로 완전히 버려지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건조를 위해 지속적인 가열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습을 위한 냉동설비의 설치를 지양하되, 공랭식 냉각구조를 적용하여 음식물쓰레기 가열시 발생되는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용이하게 순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교반공간부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배출구를 갖는 배출공간부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공간부의 내측에 이송스크류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됨과 동시에 하반부 둘레에 공지의 히팅수단과 연결된 가열관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가열관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본체의 상부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의 교반공간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선단부에 교반날이 결합된 다수의 지지대가 구동축의 지지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교반스크류부와,
상기 교반스크류부 및 이송스크류의 회전을 위해 구동축의 일단 및 이송스크류의 일단에 풀리가 축설되어 구동모터와 공지의 동력전달요소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와,
일단이 본체의 일측과 연통된 상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타측이 본체의 저부와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라인상에 취수구 및 교반공간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기 위한 급송휀이 구비되는 덕트부재와,
상기 덕트부재의 라인상에 설치되며 교반공간부의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순환 공급시켜 주기 위해 마련되는 제습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커버에 의해 밀폐된 상태로 가동됨에 따라 열손실 방지는 물론 악취가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열교환기와 같은 일련의 복잡한 냉동장치를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제습을 실시하지 아니하고 공냉식 냉각구조를 적용하여 음식물쓰레기 가열시 발생되는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용이하게 순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건조에 따르는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완전 밀폐된 상태로 가동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의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의 제습 및 건조가 연속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습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제습장치의 측면구성도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S1은 내부공기유입공간부, S2는 외부공기유입공간부르르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교반공간부(110)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배출구(130)를 갖는 배출공간부(120)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공간부(120)의 내측에 이송스크류(150)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됨과 동시에 하반부 둘레에 공지의 히팅수단과 연결된 가열관(140)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가열관(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본체(100)의 상부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커버(160)와,
상기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선단부에 교반날(231)이 결합된 다수의 지지대(230)가 구동축(210)의 지지관(220)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교반스크류부(200)와,
상기 교반스크류부(200) 및 이송스크류(150)의 회전을 위해 구동축(210)의 일단 및 이송스크류(150)의 일단에 풀리(520)가 축설되어 구동모터(510)와 공지의 동력전달요소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500)와,
일단이 본체(100)의 일측과 연통된 상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타측이 본체(100)의 저부와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라인상에 취수구(310) 및 교반공간부(110)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기 위한 급송휀(320)이 구비되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덕트부재(300)의 라인상에 설치되며 교반공간부(110)의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순환 공급시켜 주기 위해 마련되는 제습장치(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습장치(400)는 금속판으로 성형되며 중앙에 정사각형의 벽체부(411)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상부접합날개부(412) 및 하부접합날개부가(413)가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벽체부(411)의 양측에 측면접합날개부(414)가 상기 상부접합날개부(412) 및 하부접합날개부(413)의 반대편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다수의 칸막이부재(410)를 서로 대향되게 연속적으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부접합날개부(412) 및 하부접합날개부(413), 그리고 측면접합날개부(414)를 각각 스포트용접으로 접합하여 상기 칸막이부재(410)와 칸막이부재(410)의 사이사이에 수직으로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고온고습한 공기를 통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내부공기유입공간부(S1)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칸막이부재(410)의 사이사이에 수평으로 송풍휀(330)에 의한 외부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외부공기유입공간부(S2)를 확보하여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순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커버(160)와, 교반스크류부(200)와, 구동부(500)와, 덕트부재(300)와, 제습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습을 위한 냉동설비의 설치를 지양하되, 공냉식 냉각구조를 적용하여 음식물쓰레기 가열시 발생되는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용이하게 순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 내측에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분해를 위한 미생물을 함께 공급한 다음 상기 본체(100)의 상부를 커버(160)로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공급이 완료되면, 공지의 히팅수단을 통해 가열관(140)을 가열함과 동시에 구동부(500)의 구동모터(510)와 풀리(520) 및 공지의 동력전달요소로 연결되는 교반스크류부(200)를 회전시켜 주게 된다.
상기 풀리(520)는 마그네트풀리(52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관(140)에 의해 가열된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의 온도는 통상 80∼90℃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교반스크류부(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고온고습한 공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덕트부재(300)의 라인상에 설치된 급송휀(320)을 가동시켜 주게 되면, 상기 고온고습한 공기가 덕트부재(300)의 라인상에 설치된 크로스형태의 건조구조를 갖는 제습장 치(400)를 경유하게 된다.
상기 제습장치(400)는 가열관(140)에 의해 강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다시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로 재공급하고 악취 등이 포함된 수증기만을 걸러내어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써, 덕트부재(300)를 통해 흡송된 고온고습한 공기가 덕트부재(300)의 라인상에 유입 설치됨과 동시에 칸막이부재(410)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내부공기유입공간부(S1)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습장치(400) 일측에 설치된 송풍휀(330)을 가동시켜 외부공기유입공간부(S2)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상기 내부공기유입공간부(S1)를 통과중인 고온고습한 공기가 단면적이 넓은 칸막이부재(410)의 벽체부(411)에 닿게 되고 이로 인해 서로 다른 온도차에 의해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액화된 상태로 취수구(310)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습장치(400)를 경유한 고온저습한 공기를 음식물쓰레기 가열을 위해 재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액화된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물받이(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400)는 음식물쓰레기 가열시 발생되는 고온고습한 공기의 제습을 위해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열교환기와 같은 일련의 냉동장치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물의 순환만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만을 간단하게 제거하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재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 내부를 초기 가열과 필요에 의한 가열만으로 음식물쓰레기 건조를 위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장치의 운전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고 설비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냉동장치의 적용으로 인해 파생되는 각종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건조과정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본체(100)의 배출공간부(120)를 통해 교반스크류부(200)와 함께 풀리(520)로 연동되는 이송스크류(150)의 회전에 의해 완벽히 건조된 음식물쓰레기가 본체(100)의 배출구(130)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습을 위한 냉동설비의 설치를 지양하되, 공냉식 냉각구조를 적용하여 음식물쓰레기 가열시 발생되는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용이하게 순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 건조에 따르는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습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제습장치의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교반공간부
120 : 배출공간부 130 : 배출구
140 : 가열관 150 : 이송스크류
160 : 커버 200 : 교반스크류부
210 : 구동축 220 ; 지지관
230 : 지지대 231 : 교반날
300 : 덕트부재 310 : 취수구
320 : 급송휀 330 : 송풍휀
400 : 제습장치 411 : 벽체부
412 : 상부접합날개부 413 : 하부접합날개부
414 : 측면접합날개부

Claims (2)

  1.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교반공간부(110)가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배출구(130)를 갖는 배출공간부(120)가 마련되어 상기 배출공간부(120)의 내측에 이송스크류(150)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됨과 동시에 하반부 둘레에 공지의 히팅수단과 연결된 가열관(140)이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가열관(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 및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본체(100)의 상부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는 커버(160)와,
    상기 본체(100)의 교반공간부(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골고루 건조될 수 있도록 선단부에 교반날(231)이 결합된 다수의 지지대(230)가 구동축(210)의 지지관(220)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교반스크류부(200)와,
    상기 교반스크류부(200) 및 이송스크류(150)의 회전을 위해 구동축(210)의 일단 및 이송스크류(150)의 일단에 풀리(520)가 축설되어 구동모터(510)와 공지의 동력전달요소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500)와,
    일단이 본체(100)의 일측과 연통된 상태로 설치됨과 동시에 타측이 본체(100)의 저부와 연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라인상에 취수구(310) 및 교반공간부(110)의 공기를 순환시켜 주기 위한 급송휀(320)이 구비되는 덕트부재(300)와,
    상기 덕트부재(300)의 라인상에 설치되며 교반공간부(110)의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 기만을 순환 공급시켜 주기 위해 마련되는 제습장치(40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장치(400)는 금속판으로 성형되며 중앙에 정사각형의 벽체부(411)가 마련되어 상기 벽체부(411)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상부접합날개부(412) 및 하부접합날개부가(413)가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벽체부(411)의 양측에 측면접합날개부(414)가 상기 상부접합날개부(412) 및 하부접합날개부(413)의 반대편쪽으로 절곡 형성되는 다수의 칸막이부재(410)를 서로 대향되게 연속적으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맞닿는 상부접합날개부(412) 및 하부접합날개부(413), 그리고 측면접합날개부(414)를 각각 스포트용접으로 접합하여 상기 칸막이부재(410)와 칸막이부재(410)의 사이사이에 수직으로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발생된 고온고습한 공기를 통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내부공기유입공간부(S1)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칸막이부재(410)의 사이사이에 수평으로 송풍휀(330)에 의한 외부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외부공기유입공간부(S2)를 확보하여 고온고습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배출시키고 고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만을 순환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90133627A 2009-12-30 2009-12-3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627A KR101103542B1 (ko) 2009-12-30 2009-12-3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627A KR101103542B1 (ko) 2009-12-30 2009-12-3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969A true KR20100084969A (ko) 2010-07-28
KR101103542B1 KR101103542B1 (ko) 2012-01-06

Family

ID=4264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627A KR101103542B1 (ko) 2009-12-30 2009-12-3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5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606B1 (ko) * 2013-08-14 2014-10-13 티더블유앤씨(주) 감압 건조장치
CN107702476A (zh) * 2017-11-10 2018-02-16 上海艺迈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餐厨废弃物处理的余热回收利用装置及工艺流程
KR101990957B1 (ko) * 2019-01-30 2019-06-20 (주)성우하이텍 효율성이 향상된 음식물쓰레기 하이브리드 건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57B1 (ko) * 2016-11-01 2019-10-11 (주)에코크린바이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528A (ko) * 1998-12-25 2000-07-25 오오노 오사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자동운전 제어방법
JP3942075B2 (ja) 2001-08-30 2007-07-11 吉四郎 戸村 生ゴミ処理機
JP2004041962A (ja) 2002-07-12 2004-02-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KR20060000841A (ko) * 2004-06-29 2006-01-06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전량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 이를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606B1 (ko) * 2013-08-14 2014-10-13 티더블유앤씨(주) 감압 건조장치
CN107702476A (zh) * 2017-11-10 2018-02-16 上海艺迈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餐厨废弃物处理的余热回收利用装置及工艺流程
CN107702476B (zh) * 2017-11-10 2022-09-30 上海艺迈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餐厨废弃物处理的余热回收利用装置及工艺流程
KR101990957B1 (ko) * 2019-01-30 2019-06-20 (주)성우하이텍 효율성이 향상된 음식물쓰레기 하이브리드 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542B1 (ko) 201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00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장치
KR100219909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KR10110354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9071B1 (ko) 음식물쓰레기의 드럼교반건조장치
KR20160087027A (ko) 공냉식 냉각기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7942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5701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46609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11344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34469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3383150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9980063228U (ko) 폐열회수 및 공기순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021992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속성 건조기
JP3671826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1868479B1 (ko)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104305A (ko) 격납형 응축식 탈취건조처리기
KR2015014565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KR102405271B1 (ko) 동물 사체 처리기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68386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KR1016838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CN217303370U (zh) 一种毒性中药饮片热风循环烘干装置
KR1013988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9125208A (ja) 洗濯乾燥機
KR10168386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