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606B1 - 감압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감압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606B1
KR101449606B1 KR1020130096464A KR20130096464A KR101449606B1 KR 101449606 B1 KR101449606 B1 KR 101449606B1 KR 1020130096464 A KR1020130096464 A KR 1020130096464A KR 20130096464 A KR20130096464 A KR 20130096464A KR 101449606 B1 KR101449606 B1 KR 101449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란
Original Assignee
티더블유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더블유앤씨(주) filed Critical 티더블유앤씨(주)
Priority to KR102013009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26B23/004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by compressing and condensing vapour in exhaust gases, i.e. using an open cycle heat pump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 및 일측이 상기 본체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여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키며,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된 감압부 및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 및 일측이 상기 제습기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습기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를 상기 본체로 재공급하는 재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장치 내부를 감압시킴으로써, 건조장치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의 기화점을 낮춤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장치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장치 내부로 재공급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열손실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압 건조장치{Depressed Type Drying Device}
본 발명은 감압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장치 내부를 감압하여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의 기화점을 낮춤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감압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와 같은 농산물을 건조시키거나 음식물 쓰레기, 동물폐기물의 퇴비화 등을 최종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농산물이나 음식물 쓰레기, 동물폐기물 등과 같은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농산물이나 음식물 쓰레기, 동물폐기물 등과 같은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건조장치 내부에 가열된 건조한 공기를 주입하여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주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원은 전기, 기름 및 가스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기름 및 가스 등은 열에너지로 전환되는 효율이 대략 30% 내지 50%로 에너지 효율이 낮아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에는 적은 에너지를 공급하면서도 건조효율은 상승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45162호 “감압식 농산물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조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함으로써, 건조장치 내부를 감압시키는 감압수단이 구비된 감압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건조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습윤한 공기의 습도를 제거하여 건조장치 내부로 고온건조한 공기를 재공급하는 공기 순환수단이 구비된 감압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 및 일측이 상기 본체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여 상기 본체 내부를 감압시키며,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된 감압부 및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 및 일측이 상기 제습기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습기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를 상기 본체로 재공급하는 재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압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대상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 교반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 외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 및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는 순환탱크 및 상기 순환탱크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열전달 매체 및 일측과 타측이 상기 순환탱크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열전달 매체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관 및 상기 순환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이 상기 본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압부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열교환기를 통해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상기 본체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수저장통 및 일측이 상기 본체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응축수저장통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 및 일측이 상기 응축수저장통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압부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관 및 상기 응축수저장통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응축수배출관 및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의 배출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이 제 1 응축수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저장통으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를 정화하는 응축수정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정화부는 일측이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에 연결되는 응축수반응조 및 상기 응축수반응조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응축수배출관 및 상기 제 2 응축수배출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의 배출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부재 및 상기 응축수반응조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반응조에 오존을 공급하는 제 1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정화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배출관의 일측에 설치되는 공기살균기 및 상기 공기살균기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살균기에 오존을 공급하는 제 2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장치 내부를 감압시킴으로써, 건조장치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의 기화점을 낮춤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장치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여 건조장치 내부로 재공급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열손실을 방지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의 본체와 가열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의 본체와 가열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1)는 본체(10), 가열부(20), 감압부(30), 제습기(40) 및 재공급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교반수단(60), 구동부(70), 응축수배출부(80), 응축수 정화부(90) 및 공기정화부(100)를 더 포함한다.
본체(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건조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개폐하는 커버(11)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건조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 되어 있으나, 본체(10)의 외면에는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10)의 수용공간 하부에는 후술하는 재공급관(50)을 통해 본체(10)로 재유입되는 공기를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메쉬망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부(20)는 본체(10)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10)에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순환탱크(21), 열전달 매체(24), 순환관(22) 및 히터(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순환탱크(21)는 본체(10)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에 본체(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10)와 대응되는 반구형상의 안착면(21a)이 형성된다.
열전달 매체(24)는 순환탱크(21) 내부에 수용되고, 후술하는 히터(23)에 의해 가열된 열을 순환탱크(21)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본체(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물 또는 액상의 합성수지 및 자동차의 오일류를 사용할 수 있다.
순환관(22)은 일측이 순환탱크(21)의 측면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이 순환탱크(21)의 측면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탱크(21) 내부에 수용되는 열전달 매체(24)의 순환경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으나, 순환탱크(21)와 순환관(22)의 외면에는 외부로 열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온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23)는 순환관(22)에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탱크(21)와 순환관(22)을 통해 순환하는 열전달 매체(24)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가열부(20)는 히터(23)로 가열되어 대류현상에 의해 순환탱크(21) 내부와 순환관(22)을 순환하는 열전달 매체(24)의 열을 순환탱크(21)의 상면과 본체(10) 하부를 통해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로 전도시키는 방식으로써, 본체(10) 하부를 가열수단으로 직접 가열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건조대상물의 변질 또는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단순 대류현상에 의한 열전달 이외에 본체(10)와 순환관(22) 간을 순환하는 열전달 매체의 흐름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되어 열전달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감압부(30)는 일측이 본체(10) 일측과 연통되고,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여 본체(10) 내부를 감압시키는 역할을 하며, 타측에는 본체(10) 내부에서 강제배출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31)이 형성된다.
이러한 감압부(30)는 본체(10) 내부의 압력을 감압시켜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의 기화점을 낮춤으로써,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공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제습기(40)는 감압부(30)의 배출관(31) 일측에 설치되고, 감압부(30)를 통해 본체(10) 내부에서 강제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재공급관(50)은 일측이 제습기(40)의 후단에 형성된 배출관(3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10)의 측면 하부 일측을 통해 본체 내저면에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 1 산기관(12)에 연결되며, 제습기(40)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를 제 1 산기관(12)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재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재공급관(50)을 통해 본체(10)로 유입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제 1 산기관(12)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분산시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유입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가 건조대상물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건조효율이 증대된다.
위와 같이, 감압부(30)를 통해 본체(10) 내부에서 강제배출되어 배출관(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습기(40)를 통해 제거하고, 재공급관(50)을 통해 고온 건조한 공기를 본체(10) 내부로 재유입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교반수단(60)은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대상물을 교반시켜 건조대상물의 표면을 균일하게 재공공급된 고온 건조한 공기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대상물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반수단(60)은 본체(10)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61)과 회전축(61)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6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후술하는 구동부(70)를 통해 회전축(61)이 회전될 경우, 교반날개(62)가 본체(10) 내부에서 동반회전하면서 건조대상물을 교반시키게 된다.
구동부(70)는 교반수단(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 외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71)과 동력수단(71)의 회전력을 회전축(6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동력수단(71)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 수단은 모터축과 본체(10)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61)의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풀리(72a)와 각각의 풀리(72a)에 결합되어 모터축의 회전력을 회전축(61)에 전달하는 벨트(72b)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수배출부(80)는 응축수저장통(81), 제 1 연결관(82), 제 2 연결관(83), 제 1 응축수배출관(84), 제 1 밸브부재(85) 및 열교환기(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응축수저장통(81)은 본체(10) 외부에 설치되고, 본체(10) 내부를 감압시키는 보조역할과 본체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열교환기(86)를 거쳐 물로 응축될 경우, 응축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 1 연결관(82)은 일측이 본체(10)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응축수저장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본체(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로를 제공한다.
제 2 연결관(83)은 일측이 응축수저장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감압부(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응축수저장부에 유입된 공기의 배출로를 제공한다.
제 1 응축수배출관(84)은 응축수저장통(8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응축수저장통(18)에 응축되어 저장되는 응축수를 후술하는 응축수정화부(100)로 배출하는 배출로를 제공한다.
제 1 밸브부재(85)는 제 1 응축수배출관(84)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응축수배출관(84)의 배출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열교환기(86)는 제 1 연결관 일측에 설치되고, 별도의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통해 본체 내부에서 배출되어 열교환기(86)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온도를 낮춰줌으로써 본체(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응축수저장통(81)은 본체(10)와 감압부(30) 사이에 설치되고, 응축수저장통(81)의 내부는 제 1 연결관(82)을 통해 본체(10) 내부와 연결되며, 제 2 연결관(83)을 통해 감압부(30)와 연결되어 감압부(30)의 구동시 본체(10) 내부와 마찬가지로 감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체(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는 열교환기(86)를 거치면서 물로 응축되고, 응축된 물은 응축수저장통(81)의 하부에 저장되었다가 제 1 응축수배출관(84)을 통해 후술하는 응축수정화부(90)로 이송된다.
응축수정화부(90)는 일측이 제 1 응축수배출관(84)에 연결되고, 응축수배출부로(80)부터 유입되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응축수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응축수반응조(91), 제 1 오존발생기(92), 제 2 산기관(93), 제 2 응축수배출관(94) 및 제 2 밸브부재(9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응축수반응조(91)는 응축수배출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면 일측이 제 1 응축수배출관(84)에 연결되어 응축수배출부(80)로부터 유입되는 유해성분이 포함된 응축수를 정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나선상의 유로가 형성되어 응축수배출부(80)로부터 유입된 응축수가 응축수반응조(91)의 상부에서 하부로 천천히 하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응축수반응조(91)는 나선상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응축수반응조(91)에 투입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는 응축수와 제 1 오존발생기(92)에서 공급되는 오존과 응축수의 반응으로 생성된 OH라디칼의 반응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 정화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응축수반응조(91)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는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에서 개방되고,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에서 폐쇄되는 BPR(Back Pressure Regulator)이 설치된다.
이러한 BPR(Back Pressure Regulator)은 응축수와 오존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산소가 응축수반응조(91) 상부에 포집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될 경우, 포집된 산소를 응축수반응조(91)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오존발생기(92)는 응축수반응조(91)의 외측에 설치되고, 응축수반응조(91) 내부로 오존을 공급한다.
위와 같은, 제 1 오존발생기(92)는 응축수반응조(91) 내저면 일측에 설치된 제 2 산기관(93)에 연결되며, 이러한 제 2 산기관(93)은 제 1 오존발생기(92)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응축수반응조(91) 내부로 분산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오존과 응축수반응조(91) 내부의 응축수와의 접촉면적을 높여 오존과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OH라디칼의 생성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OH라디칼은 응축수반응조(91) 내에서 응축수를 살균 및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응축수배출관(94)은 응축수반응조(91)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응축수반응조(91) 내부에서 정화처리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로를 제공한다.
제 2 밸브부재(95)는 제 2 응축수배출관(94) 일측에 설치되어 제 2 응축수배출관(94)의 배출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정화부(100)는 배출관(31)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하며, 공기살균기(101)와 제 2 오존발생기(102), 제 3 산기관(103) 및 제 4 산기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살균기(10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배출관(3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나선상의 유로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공기살균기(101) 내부를 물로 채우는 이유는 제 2 오존발생기(102)를 통해 공급된 오존과 물을 반응시켜 살균 및 정화기능을 가지는 OH라디칼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공기살균기(101) 내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나선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이유는 배출관(3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제 2 오존발생기(102)에서 공급되는 오존과 물의 반응으로 생성된 OH라디칼의 반응시간을 연장시켜 살균 및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배출관(31)은 공기살균기(101)의 하단부 일측을 통해 공기살균기(101) 내저면 일측에 설치된 제 3 산기관(103)에 연결되며, 이러한 제 3 산기관(103)은 배출관(3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살균기(101) 내부로 분산공급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제 3 산기관(103)을 통해 배출관(3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살균기(101) 내부로 분산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배출관(31)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OH라디칼의 접촉면적을 높여 살균 및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공기살균기(101)의 상단부 외면 일측에는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에서 개방되고,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에서 폐쇄되는 BPR(Back Pressure Regulator)이 설치된다.
이러한 BPR(Back Pressure Regulator)은 공기살균기(101) 내에서 물과 오존이 반응하여 OH라디칼과 함께 생성되는 산소가 공기살균기(101) 상부에 포집되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될 경우, 포집된 산소를 공기살균기(101)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오존발생기(102)는 공기살균기(101)의 외측에 설치되고, 공기살균기(101) 내부로 오존을 공급한다.
위와 같은, 제 2 오존발생기(102)는 공기살균기(101) 하단부 타측을 통해 공기살균기(101) 내저면 일측에 설치된 제 4 산기관(104)과 연결되며, 이러한 제 4 산기관(104)은 제 2 오존발생기(102)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을 공기살균기(101) 내부로 분산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오존과 공기살균기(101) 내부의 물과의 접촉면적을 높여 오존과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OH라디칼의 생성률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감압 건조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투입되는 건조대상물은 종류에 따라 수분 함량이 다양하므로 건조장치 본체(10)에 투입되기 전에 원심분리기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는 전처리과정을 거친 후 투입된다.
전처리 과정을 통해 일부의 수분이 제거된 건조대상물이 건조장치 본체(10)에 투입되면, 히터(23)를 통해 가열되어 순환탱크(21)와 순환관(22)로를 순환하는 열전달 매체(24)의 열은 순환탱크(21) 상면과 본체(10)의 하부를 통해 전도되어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건조대상물로 전달되어 건조대상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 때, 동력전달수단(72)을 통해 동력수단(7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61)이 회전하면 회전축(6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교반날개(62)가 동반회전하면서 건조대상물을 교반시킴으로써, 가열되는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본체(10) 외부로 강제배출시키는 감압부(30)를 통해 본체(10) 내부가 감압되어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의 기화점이 낮아짐으로써, 건조대상물에 포함된 수분을 보다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압부(30)에 의해 본체(10) 외부로 강제배출되는 건조대상물에서 증발된 수증기와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열교환기(86)를 지나면서 건조대상물에서 증발된 수분의 일부가 응축되어 응축수배출부(80)에 저장된다.
그리고, 응축수배출부(80)에 저장된 응축수는 건조되는 건조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응축수정화부(90)로 이동되어 살균 및 정화 처리를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응축수배출부(80)에서 제거되지 않은 수분의 일부를 포함한 공기는 감압부(30)의 후단에 설치된 제습기(40)를 지나면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고,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본체(10) 하단부 일측과 연결된 재공급관(50)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재유입된다.
위와 같이, 본체(10) 내부에서 배출되는 고온 습윤한 공기를 외부로 바로 배출하지 않고 습기를 제거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를 본체(10) 내부로 재유입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공급관(50)을 통해 유입되지 않고 배출관(31)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살균기(101) 내부에서 제 2 오존발생기(102)로부터 공급된 오존과 물의 반응으로 생성된 OH라디칼에 의해 살균 및 정화 처리를 거친후 외부로 배출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감압 건조장치 10 : 본체
11 : 커버 12 : 제 1 산기관
20 : 가열부 21 : 순환탱크
21a : 안착면 22 : 순환관
23 : 히터 24 : 열전달 매체
30 : 감압부 31 : 배출관
40 : 제습기 50 : 재공급관
60 : 교반수단 61 : 회전축
62 : 교반날개 70 : 구동부
71 : 동력수단 72 : 동력전달수단
72a : 풀리 72b : 벨트
80 : 응축수배출부 81 : 응축수저장통
82 : 제 1 연결관 83 : 제 2 연결관
84 : 제 1 응축수배출관 85 : 제 1 밸브부재
86 : 열교환기 90 : 응축수정화부
91 : 응축수반응조 92 : 제 1 오존발생기
93 : 제 2 산기관 94 : 제 2 응축수배출관
95 : 제 2 밸브부재 100 : 공기정화부
101 : 공기살균기 102 : 제 2 오존발생기
103 : 제 3 산기관 104 : 제 4 산기관

Claims (6)

  1.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20);
    일측이 상기 본체(10)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배출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를 감압시키며, 타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31)이 형성된 감압부(30); 및
    상기 배출관(31)의 일측과 연통되고, 상기 배출관(3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40); 및
    일측이 상기 제습기(40)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배출관(31)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0)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습기(40)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를 상기 본체(10)로 재공급하는 재공급관(50)을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20)는
    상기 본체(10) 하부에 설치되는 순환탱크(21);
    상기 순환탱크(21)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의 열전달 매체(24);
    일측과 타측이 상기 순환탱크(21)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열전달 매체(24)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관(22);
    상기 순환관(22)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열전달 매체(24)를 가열하는 히터(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건조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대상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60)과 상기 교반수단(6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교반수단(60)은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61);
    상기 회전축(61)의 외주연 일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교반날개(62);를 포함하여 이루이지고,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본체(10) 외측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71);
    상기 동력수단(71)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6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건조장치(1).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본체(10)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압부(30)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열교환기(86)를 통해 응축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부(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 배출부(80)는
    상기 본체(10)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수저장통(81);
    일측이 상기 본체(10)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응축수저장통(81) 일측에 연결되는 제 1 연결관(82);
    일측이 상기 응축수저장통(81)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감압부(30) 일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관(83);
    상기 응축수저장통(81)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응축수배출관(84);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84)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84)의 배출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부재(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건조장치(1).
  5. 제 4 항에 있어서,
    일측이 제 1 응축수배출관(84)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저장통(81)으로부터 유입된 응축수를 정화하는 응축수정화부(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정화부(90)는
    일측이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84)에 연결되는 응축수반응조(91);
    상기 응축수반응조(91)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 2 응축수배출관(94);
    상기 제 2 응축수배출관(94)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응축수배출관(84)의 배출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부재(95); 및
    상기 응축수반응조(9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반응조(91)에 오존을 공급하는 제 1 오존발생기(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건조장치(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31)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공기정화부(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정화부(100)는
    상기 배출관(31)의 일측에 설치되는 공기살균기(101);
    상기 공기살균기(101)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살균기(101)에 오존을 공급하는 제 2 오존발생기(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 건조장치(1).
KR1020130096464A 2013-08-14 2013-08-14 감압 건조장치 KR101449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64A KR101449606B1 (ko) 2013-08-14 2013-08-14 감압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64A KR101449606B1 (ko) 2013-08-14 2013-08-14 감압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606B1 true KR101449606B1 (ko) 2014-10-13

Family

ID=5199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464A KR101449606B1 (ko) 2013-08-14 2013-08-14 감압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6882A (zh) * 2021-01-12 2021-04-23 成都庆吉珂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维修小型显示屏时的干燥除尘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313B2 (ja) * 2004-08-31 2007-04-18 株式会社加来野製作所 減圧式乾燥機及びそれを用いた木材の乾燥方法
KR20100084969A (ko) * 2009-12-30 2010-07-28 유상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6313B2 (ja) * 2004-08-31 2007-04-18 株式会社加来野製作所 減圧式乾燥機及びそれを用いた木材の乾燥方法
KR20100084969A (ko) * 2009-12-30 2010-07-28 유상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6882A (zh) * 2021-01-12 2021-04-23 成都庆吉珂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维修小型显示屏时的干燥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838B1 (ko) 감압 발효 건조 장치
CN102460050B (zh) 用于将物料进行干燥的方法和设备
KR101661282B1 (ko) 축분 건조 장치
JP2007125472A (ja) 生ごみ乾燥機および生ごみ乾燥システム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219909B1 (ko) 유기성 폐기물 발효건조장치 및 발효건조방법
JP5762246B2 (ja) 有機物処理方法及び有機物処理装置
CN102873071A (zh) 厨余垃圾处理装置
KR101449606B1 (ko) 감압 건조장치
KR20100029961A (ko)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424011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용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7181759A (ja) 含水汚泥の熱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CN113739419B (zh) 一种余热回收型家用智能厨余垃圾处理方法
KR20100077378A (ko) 폐사 가축 멸균처리 시스템
KR10210520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85908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US20080083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hydration and/or ster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WO20080251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hydration and/or sterilization of organic materials
JP7282386B2 (ja) 粉末体
KR101962959B1 (ko) 가축 사체 진공 열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 사체 진공포장 방법
JPH08136135A (ja) 含水物乾燥処理装置
KR20040044286A (ko) 폐사 어류 가공장치
KR201001168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20092499U (zh) 一种陆用餐厨垃圾除臭装置
KR102563540B1 (ko) 증기를 이용한 진공 열복사 방식의 폐기물 건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