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88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886B1
KR101398886B1 KR1020120075989A KR20120075989A KR101398886B1 KR 101398886 B1 KR101398886 B1 KR 101398886B1 KR 1020120075989 A KR1020120075989 A KR 1020120075989A KR 20120075989 A KR20120075989 A KR 20120075989A KR 101398886 B1 KR101398886 B1 KR 10139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duct
sealed casing
food was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809A (ko
Inventor
백상기
Original Assignee
(주)덕산코트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산코트랜 filed Critical (주)덕산코트랜
Priority to KR102012007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8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챔버와;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와; 상기 건조챔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건조챔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중에 발생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건조챔버와 연결된 제1덕트를 통하여 공급받는 밀폐케이싱과; 상기 밀폐케이싱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와 재열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증발기와 재열기 및 응축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기 밀폐케이싱과 연결된 제2덕트 쪽으로 안내하고, 동시에 그 안내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와 연결된 제3덕트를 통하여 건조챔버 내부로 보내는 제1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습 및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습 및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산업 발달과 인구증가로 인한 쓰레기 배출량의 증가는 심각한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지목받아 왔다.
이러한 쓰레기 중에서도 특히 가정, 음식점 및 음식물 제조공장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심한 악취를 발생시켜 그 자체로 공해가 될 뿐만 아니라, 하천으로 흘러들어갈 경우 물의 부영양화(富營養化)를 촉진시켜 수질을 오염시키는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한편,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거 및 운반 처리가 까다로우며 소각처리가 어렵고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종전에는 간편한 토양 매립을 행해 왔으나, 이러한 토양 매립은 토질오염, 수질오염 등의 2차적인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근본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근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많은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출원번호 20-2009-0016031의 발명(발명명칭: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출원일자:2009년12월09일)처럼 일정한 내부공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교반을 하면서 열을 가하여 수증기를 증발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제습효과도 많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많은 전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조챔버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밀폐된 환경에서 제습한 후 고온으로 변환시키고, 이 공기를 밀폐된 환경에서 반복 순환시켜 다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데 사용함으로써 제습 및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컨트롤박스와; 상기 컨트롤박스의 제어에 의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챔버와;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와; 상기 건조챔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건조챔버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중에 발생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건조챔버와 연결된 제1덕트를 통하여 공급받는 밀폐케이싱과; 상기 밀폐케이싱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와 재열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증발기와 재열기 및 응축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기 밀폐케이싱과 연결된 제2덕트 쪽으로 안내하고, 동시에 그 안내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와 연결된 제3덕트를 통하여 건조챔버 내부로 보내는 제1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제2송풍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케이싱 내부에는 상부격벽과 하부격벽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증발기와 재열기 및 응축기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접하되; 상기 밀폐케이싱은 상기 건조챔버와 제4덕트에 의하여 더 연결되어 건조챔버로부터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제2송풍기는 상기 밀폐케이싱과 제5덕트에 의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와 제6덕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건조챔버 내부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증발기와 재열기 및 응축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의 냉동사이클이 외부공기와 차단된 밀폐케이싱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제습 및 건조효과가 높고, 건조챔버와 밀폐케이싱 및 제1송풍기(또는 제2송풍기)가 제1 내지 제3덕트(또는 제4 내지 제6덕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므로 밀폐된 공기 순환 흐름의 반복에 의하여 제습 및 건조가 되므로 그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밀폐케이싱 내부의 공기를 제1송풍기와 제2송풍기로 나누어 흡입하므로, 송풍 용량이 큰 송풍기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되는 장치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순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또한,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고온이 된 공기를 다시 건조챔버 내부에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이용하므로 전력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일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타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결관계를 간단히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일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타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타측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결관계를 간단히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20)와, 상기 컨트롤박스(20)에 의하여 제어되는 건조챔버(30)와, 교반모터(40)와, 상기 건조챔버(30)와 제1덕트(D1) 및 제4덕트(D4)에 의하여 연결되는 밀폐케이싱(50)과, 상기 밀폐케이싱(50)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60)와, 상기 밀폐케이싱(50)과 제2덕트(D2)에 의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30)와 제3덕트(D3)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1송풍기(70)와, 상기 밀폐케이싱(50)과 제5덕트(D5)에 의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30)와 제6덕트(D6)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송풍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한 구성요소들(컨트롤박스, 건조챔버, 교반모터, 밀폐케이싱, 제1송풍기, 제2송풍기, 제1 내지 제6덕트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컨트롤박스(20)는 상기 건조챔버(30), 교반모터(40), 제1송풍기(70) 및 제2송풍기(80)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작동 또는 작동 중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컨트롤박스(2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건조챔버(3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컨트롤박스(20)의 제어에 의하여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건조챔버(30) 내부에는 수분이 다량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와 이를 발효시키는 미생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투입구(31)가 구비되고, 컨트롤박스(20)의 조작에 의하여 열이 가해져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일정 비율 밑으로 제거하면 그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타측에 배출구(32)가 구비된다.
이러한 건조챔버(30)의 내부에는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박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터(33)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수분감지센서(34)가 설치된다.
즉, 컨트롤박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분감지센서(34)가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임을 감지하면 컨트롤박스(20)는 히터(33)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건조챔버(30)에 가함으로써 상기 건조챔버(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모터(40)는 상기 컨트롤박스(20)의 조작에 의하여 동작되고,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교반모터(40)는 회전축이 교반샤프트(41)와 연결되어 교반샤프트(41)에 회전력을 제공하므로, 교반모터(40)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교반샤프트(41)도 같이 회전한다.
상기 교반샤프트(41)는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챔버(3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더욱 잘 증발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밀폐케이싱(50)은 외부의 공기와 차단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건조챔버(3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중에 발생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건조챔버(30)와 연결된 제1덕트(D1)를 통하여 공급받는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덕트(D1)는 일단이 상기 건조챔버(30)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밀폐케이싱(50) 내부에 연결된다. 이로써, 건조챔버(30)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함유된 고온의 공기를 밀폐케이싱(50)이 공급받는데, 이 수분이 함유된 고온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밀폐케이싱(5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밀폐케이싱(50)을 상기 건조챔버(30)보다 상측에 배치한다. 이렇게 밀폐케이싱(50)을 건조챔버(30)보다 상측에 배치하면 고온의 공기를 밀폐케이싱(50)으로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설비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소형화와 제작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케이싱(50)의 내부에는 밀폐케이싱(50)의 상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부격벽(51)이 설치되고, 밀폐케이싱(50)의 하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부격벽(52)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격벽(51)은 상기 제4덕트(D4)가 설치되는 부분의 밀폐케이싱(50)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그 마주보는 면, 즉 제1덕트(D1)가 연결되는 면을 향하여 연장되되 일정거리 이격된다.
상기 하부격벽(52)은 상기 제1덕트(D1)가 설치되는 부분의 밀폐케이싱(50)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그 마주보는 면, 즉 제4덕트(D4)가 연결되는 면을 향하여 연장되되 일정거리 이격된다.
상기 상부격벽(51)은 제4덕트(D4)를 통하여 유입된 수증기가 후술할 열교환기(60)의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부격벽(52)은 제1덕트(D1)와 제2덕트(D2)를 통하여 유입된 수증기가 열교환기(60)의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제2덕트(D2)와 제5덕트(D5)를 밀폐케이싱(5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기(60)는 상기 밀폐케이싱(5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60)의 작동은 밀폐케이싱(50)에 의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건조챔버(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일 먼저 증발기(61)를 거치고, 그 다음에 재열기(62)를 거치며, 마지막으로 응축기(63)를 거치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는 상단이 상기 밀폐케이싱(50)의 상부격벽(51)에 접하고, 하단이 상기 밀폐케이싱(50)의 하부격벽(52)에 접한다.
상기 증발기(61)는 상기 건조챔버(3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제습한다. 건조챔버(30)에서 밀폐케이싱(5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재열기(62)나 응축기(63)보다 증발기(61)를 가장 처음 만나도록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60)를 밀폐케이싱(50) 내부에 설치할 때에는 제1덕트(D1)와 밀폐케이싱(50)이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증발기(61)를 설치한다.
상기 재열기(62)는 상기 증발기(61)의 옆에 나란하게 설치하는 것으로서, 증발기(61)를 거쳐서 차가워진 공기를 가열한다. 상기 증발기(61)를 통과한 공기는 제습작용에 의하여 차가운 상태가 되는데, 이때의 차가운 공기를 재열기(62)가 가열하게 되므로 제습작용이 다시 한번 이루어지게 되고, 결국 제습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기(63)는 재열기(62)를 거친 공기를 다시 가열한다. 즉, 재열기(62)를 통하여 1차 가열된 공기를 응축기(63)에서 2차 가열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열기(62)와 응축기(63)를 통하여 공기를 두 번에 걸쳐 가열함으로써 공기가 일정 온도가 되면 이 고온의 공기는 제1송풍기(70) 쪽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61), 재열기(62) 및 응축기(63)는 밀폐케이싱(50) 외부에 설치된 압축기(미도시) 및 팽창밸브(미도시)와 서로 냉매라인으로 연결되어 순환하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이 일어나는 냉동사이클로 구성된다.
상기 제1송풍기(70)는 제2덕트(D2)에 의하여 밀폐케이싱(50)과 연결됨과 아울러 제3덕트(D3)에 의하여 건조챔버(30)와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덕트(D2)는 일단이 상기 밀폐케이싱(50)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송풍기(70)에 연결되며, 상기 제3덕트(D3)는 일단이 상기 제1송풍기(7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챔버(30)의 내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송풍기(70)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기 제2덕트(D2) 쪽으로 안내하고, 동시에 그 안내한 공기를 상기 제3덕트(D3)를 통하여 건조챔버(30) 내부로 보낸다.
정리하면, 상기 제1송풍기(70)는 상기 열교환기(60)에 의하여 제습되고 고온이 된 공기를 상기 밀폐케이싱(50)에서 흡입하여 상기 건조챔버(3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제습된 고온의 공기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밀폐케이싱(50)은 제1덕트(D1)에 의하여 상기 건조챔버(30)와 연결되기도 하지만, 상기 건조챔버(30)와 제4덕트(D4)에 의하여 연결되기도 한다. 즉, 제4덕트(D4)는 일단이 상기 건조챔버(30)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밀폐케이싱(50)의 내부에 연결된다. 이로써, 건조챔버(30)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제1덕트(D1)를 통하여 밀폐케이싱(50) 내부로 공급됨과 아울러 제2덕트(D2)를 통해서도 밀폐케이싱(50)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제2송풍기(80)는 제5덕트(D5)에 의하여 밀폐케이싱(50)과 연결됨과 아울러 제6덕트(D6)에 의하여 건조챔버(30)와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5덕트(D5)는 일단이 상기 밀폐케이싱(50)의 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송풍기(80)에 연결되며, 상기 제6덕트(D6)는 일단이 상기 제2송풍기(8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건조챔버(30)의 내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송풍기(80)는 상기 열교환기(60)의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기 제5덕트(D5) 쪽으로 안내하고, 동시에 그 안내한 공기를 상기 제6덕트(D6)를 통하여 건조챔버(30) 내부로 보낸다.
정리하면, 상기 제2송풍기(80)는 상기 열교환기(60)에 의하여 제습되고 고온이 된 공기를 상기 밀폐케이싱(50)에서 흡입하여 상기 건조챔버(3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데 제습된 고온의 공기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한 것처럼 열교환기(6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를 2개의 송풍기, 즉 제1송풍기(70)와 제2송풍기(80)로 흡입한 후 다시 건조챔버(30)로 보냄으로써 소용량의 송풍기를 사용하여도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원하는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6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가 다시 건조챔버(30) 내부로 공급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제습과 건조에 이용되므로, 건조챔버(30)의 히터(33)가 많은 열을 가하지 않아도 고온의 공기로 일정부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프레임 20: 컨트롤박스
30: 건조챔버 31: 투입구
32: 배출구 33: 히터
34: 수분감지센서 40: 교반모터
41: 교반샤프트 50: 밀폐케이싱
51: 상부격벽 52: 하부격벽
60: 열교환기 61: 증발기
62: 재열기 63: 응축기
70: 제1송풍기 80: 제2송풍기
D1: 제1덕트 D2: 제2덕트
D3: 제3덕트 D4: 제4덕트
D5: 제5덕트 D6: 제6덕트

Claims (5)

  1. 컨트롤박스(20)와; 상기 컨트롤박스(20)의 제어에 의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챔버(30)와; 상기 건조챔버(3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중에 발생되는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건조챔버(30)와 연결된 제1덕트(D1)를 통하여 공급받는 밀폐케이싱(50)과; 상기 밀폐케이싱(50)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로 이루어진 열교환기(60)와; 상기 열교환기(60)의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수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상기 밀폐케이싱(50)과 연결된 제2덕트(D2) 쪽으로 안내하고, 동시에 그 안내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30)와 연결된 제3덕트(D3)를 통하여 건조챔버(30) 내부로 보내는 제1송풍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제2송풍기(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케이싱(50) 내부에는 상부격벽(51)과 하부격벽(52)이 밀폐케이싱(5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60)의 상기 증발기(61)와 재열기(62) 및 응축기(63)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접하되,
    상기 밀폐케이싱(50)은 상기 건조챔버(30)와 제4덕트(D4)에 의하여 더 연결되어 건조챔버(30)로부터 수분이 함유된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제2송풍기(80)는 상기 밀폐케이싱(50)과 제5덕트(D5)에 의하여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건조챔버(30)와 제6덕트(D6)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기(60)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됨과 아울러 온도가 상승된 공기를 건조챔버(30) 내부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챔버(3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샤프트(4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챔버(30)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케이싱(50)은 상기 건조챔버(30)의 상측에 배치되어, 건조챔버(30)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함유된 고온의 공기가 밀폐케이싱(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20075989A 2012-07-12 2012-07-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89A KR101398886B1 (ko) 2012-07-12 2012-07-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89A KR101398886B1 (ko) 2012-07-12 2012-07-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09A KR20140008809A (ko) 2014-01-22
KR101398886B1 true KR101398886B1 (ko) 2014-05-27

Family

ID=50142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989A KR101398886B1 (ko) 2012-07-12 2012-07-1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348B1 (ko) * 2014-06-10 2015-03-16 이영희 악취 제거 기능을 가진 슬러지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886A (ko) * 2002-02-05 2003-08-14 남방이앤비(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71808B1 (ko) * 2010-05-28 2011-10-11 (주)덕산코트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886A (ko) * 2002-02-05 2003-08-14 남방이앤비(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71808B1 (ko) * 2010-05-28 2011-10-11 (주)덕산코트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09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632A (en) Closed-loop drying process and system
EP304047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U2008295743B2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US7866061B2 (en) Clothes dryer
KR100595763B1 (ko) 제습 겸용 의류 건조기
EP2599912A1 (en) Heat pump laundry drying appliance
JP2009172569A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生ごみ処理方法
CN102331160A (zh) 热泵工业烘干机
KR20140083400A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건조장치
TW201317529A (zh) 密閉空氣循環污泥乾燥機
CN109269245B (zh) 一种光伏能源全环保型常温节能干燥房
KR20070018545A (ko) 전기 건조기
RU2499211C1 (ru) Конденсационная сушилка для пиломатериалов с абсорбционным утилизатором
US10612184B2 (en) Hydronic drying machine
KR1013988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138716B2 (ja) 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KR10110354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02267329U (zh) 热泵工业烘干机
KR10073269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1056645Y (zh) 工商用滚桶式热泵型干衣机
KR101246674B1 (ko) 냉난방기를 이용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2556230B1 (ko) 기체 투과막 이용 하이브리드 고효율 건조장치
JP2019120484A (ja) 除湿空調装置
CN110629479B (zh) 一种集成装置及干燥设备
KR20020093379A (ko) 의류 건조 장치 및 의류 건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