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694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694B1
KR100732694B1 KR1020060027024A KR20060027024A KR100732694B1 KR 100732694 B1 KR100732694 B1 KR 100732694B1 KR 1020060027024 A KR1020060027024 A KR 1020060027024A KR 20060027024 A KR20060027024 A KR 20060027024A KR 100732694 B1 KR100732694 B1 KR 100732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charge pipe
condenser
evapora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 F25J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 F25J3/04Processes or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constituents of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involving the use of liquefaction or solidification by rectification, i.e. by continuous interchange of heat and material between a vapour stream and a liquid stream for air
    • F25J3/0476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 F25J3/04769Operation, control and regulation of the process; Instrumentation within the process
    • F25J3/04787Heat exchange, e.g. main heat exchange line; Subcooler, external reboiler-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냉각시스템의 증발기를 통해 배출관의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서 적은 전력으로 응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기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컴팩트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시스템, 음식물 쓰레기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중요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200 : 교반기
300 : 배출관 400 : 회수관
410 : 팬 510 : 증발기
520 : 압축기 530 : 응축기
540 : 팽창밸브
한국등록특허 제480700호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관을 냉각시 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냉각시스템의 증발기를 통해 배출관의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서 적은 전력으로 응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기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컴팩트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480700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쓰레기 처리기는 복사열 히터(56), 반사판(58), 배출관, 회수관(59c) 및 응축기(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사열 히터(56)는 처리물 용기(52)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온의 복사열을 방출함에 의해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쓰레기 건조시 생성되는 수증기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열분해하며, 상기 반사판(58)은 복사열 히터(56)의 상부에 설치되어 복사에너지를 쓰레기에 반사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은 제1응축수관(59a)과, 제2응축수관(59b)으로 이루어 진다.이 때, 상기 제1응축수관(59a)의 일단은 상기 처리물 용기(52)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응축기(60)의 일단과 연결되어 복사열 히터(56)를 거치면서 탈취된 수증기 및 가스를 배출시켜 상기 응축기(6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그리고, 상기 제2응축수관(59b)의 일단은 상기 응축기(60)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응축수 저장용기(62)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기(60)를 통과한 수 증기 및 가스를 응축수 저장용기(62) 및 처리물 용기(5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60)는 제1응축수관(59a)에 연결되어 제1응축수관(59a)으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며, 상기 회수관(59c)은 응축기(60)의 하단에 연결된 제2응축수관(59b)과 외조(51)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미응축 수증기와 미응축 가스 및 탈취가 이루어진 가스를 처리물 용기(52)에 재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복사열 히터(56)의 상부에는 처리물 용기(52) 내의 악취 및 수분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응축수관(59a)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57)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원심팬(57)이 회동되면 화살표와 같이 수증기 및 가스가 처리물 용기(52)의 상부로 흡입되고, 이러한 수증기 및 가스는 복사열 히터(56)를 거친 다음에 제1응축수관(59a)을 통해 응축기(60)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기(60)의 일측에는 냉각팬(61)이 설치되어 응축기(60)를 냉각시키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응축기(60)에 유입된 수증기는 응축된 다음에 수분으로 변하여 제2응축수관(59b)을 통해 응축수 저장용기(62)로 유입되게 된다.
원적외선은 반사판(58)을 사용함에 따라 전달방향의 변경도 가능하여 열효율이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원적외선의 열전달량은 주로 발열체 표면의 온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열 히터(56)는 약 1000℃ 이상의 온도로 가열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복사열 히터(56)에 의해 쓰레기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처리 물 용기(52) 내에는 수증기와 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수증기 및 가스는 원심팬(57)의 흡입력에 의해 복사열 히터(56)를 거친 다음, 제1응축수관(59a)을 통과하여 응축기(6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수증기 및 가스에 포함된 악취는 복사열 히터(56)와 접촉되면서 거의 대부분의 악취가 열분해된다.
이처럼 응축기(60)에 유입된 수증기 및 가스 중에서 미응축된 수증기와 미응축 가스 즉, 탈취가 이루어지지 않은 소량의 가스는 다시 회수관(59c)을 통해 처리물 용기(52)에 유입되고, 응축된 수증기는 수분으로 변하여 중력에 의해 응축수 저장용기(62)에 유입된다. 이 때, 탈취가 이루어진 가스도 상기 회수관(59c)을 통해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 내로 유입되어 미응축 가스와 더불어 탈취 과정 동안에 계속 순환하게 된다.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미응축된 수증기는 미응축된 가스에 포함되어 상기 회수관(59c)을 통해 처리물 용기(52)에 유입되고, 유입된 가스는 다시 복사열 히터(56)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지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수증기는 수분으로 변하여 중력에 의해 제2응축수관(59b)을 따라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62)에 유입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미응축된 가스가 상기 응축수 저장용기(62)에 유입될 수도 있으나, 구성이 밀폐된 상태에서 공기가 순환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결국 미응축된 가스는 회수관(59c)을 통해 처리물 용기(52)로 유입된다. 따라서, 쓰레기 처리기는 탈취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처리물 용기(52)에서 발생된 수증기 및 악취 가스는 계속적으로 순환을 하여 복사열 히터(56) 및 응축기(60)에 의해 응축 및 탈취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음식물 처리기는 처리물 용기(52)에 있는 악취 및 습기가 있는 공 기를 원심팬(57)으로 빨아들여 냉각팬(61)으로 냉각시킨 후에 처리물 용기(52)로 회수관(59c)을 통해 유입시킨다. 따라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많아져서 장치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없으며 비용도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는 하우징 하부에 히터가 구비되어 있고,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증기를 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이러한 과정에서 응축된 물은 하수구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건조시에 발생하는 습공기를 외부로 방출함에 따라 음식물의 악취도 같이 나오게 되고 건물 외부로 이러한 악취가 방출될 경우에는 이웃간에 마찰이 생길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냉각시스템의 증발기를 통해 배출관의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서 적은 전력으로 응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기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컴팩트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기와,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 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각시스템의 증발기를 통해 배출관의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서 적은 전력으로 응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기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컴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회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는 상기 회수관 내부에 설치되어, 적은 전력으로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동시에 하우징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중요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기(200)와, 상기 하우징(10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관(300)과, 상기 배출관(300)을 냉각시키는 증발기(510)와, 상기 증발기(510)에 연결되는 압축기(520)와, 상기 압축기(520)에 연결되는 응축기(530)와, 상기 응축기(530)와 상기 증발기(510)에 연결되는 팽창밸브(540)와, 상기 하우징(100)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300)으로 이송시키는 팬(4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은 음식물 쓰레기가 넣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0) 저면은 단면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되어 교반기(200)의 날개부가 원활하게 회동가능하게 하고 하우징(1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교반기(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저어주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100) 양측내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 외주면에 지름방향으로 다수개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 날개부와,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날개부는 양측에 설치된 연결봉을 통해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며, 단면형상이 반원으로 형성된다.
배출관(300)은 하우징(100)에 연통되도록 하우징(100) 상부에 설치된다.
배출관(300)에는 증발기(510) 하류측에 오도록 드레인관이 분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관은 배출관(300)에서 증발기(510)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가 배출 된다.
회수관(400)은 일단은 배출관(300)에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하우징(100) 상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3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증발기(510)는 배출관(300) 내부에 배치되며, 저온 저압으로 변한 액체냉매가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상기 배출관(300)을 냉각시킨 후에 저압의 기체상태로 상변화된다.
압축기(520)는 상기 증발기(510)에 연결되며, 배출관(300) 및 회수관(400) 외부에 배치되고, 저온 저압의 기체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되도록 한다.
응축기(530)는 상기 압축기(520)에 연결되며 상기 회수관(400) 내부에 설치되어, 압축기(520)에서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응축시켜서 고온 고압의 액체냉매로 상변화시킨다.
팽창밸브(540)는 상기 응축기(530)와 상기 증발기(510)에 연결되어, 응축기(530)를 통과한 고온 고압의 액체냉매를 팽창시켜서 저온 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킨다.
이러한, 팽창밸브(540)는 회수관(4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냉매는 압축기(520)를 통과하면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로 압축되며, 응축기(530)로 이송되어 고온 고압의 액체냉매로 상변화되고, 팽창밸브(540)로 이송되어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되어 다시 증발기(510)로 이송되어 저압의 기체상태로 상변화된 후에 다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기 위해 압축기(520)로 유입되게 된다.
팬(410)은 회수관(400)에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00)의 공기를 배출관(300)으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상기 회수관(400)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로써, 하우징(100) 내부에 증기가 포함된 공기는 회수관(400)에 설치된 팬(410)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관(300)으로 유입되어 증발기(300)를 통과하면서 증기가 응축되면서 제습이 되고, 다음으로 회수관(400)으로 이송되어 응축기(530)를 통과하면서 다시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되어 팬(410)에 의해 하우징(100)으로 이송되어 음식물을 건조하게 된다.
여기서 응축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히터에 50W의 전력을 넣으면 50W의 열량만 나오지만 압축기(520), 증발기(510), 응축기(530), 팽창밸브(540)로 이루어진 냉동시스템은 50W의 전력을 넣으면 통상 150W의 열량이 발생하므로 보다 적은 전력으로 음식물을 건조할 수 있고 외부에 별도의 냉각을 위한 송풍기가 들어가지 않음으로 하여 부품수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팽창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냉각시스템의 증발기를 통해 배출관의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어서 적은 전력으로 응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별도의 송풍기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줄어 컴팩트해진다.
또한,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회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기는 상기 회수관 내부에 설치되어, 적은 전력으로도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동시에 하우징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삭제
  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기;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관;
    상기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팽창밸브;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하우징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회수관;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상기 배출관으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상기 회수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응축기는 상기 회수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60027024A 2006-03-24 2006-03-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2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024A KR100732694B1 (ko) 2006-03-24 2006-03-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024A KR100732694B1 (ko) 2006-03-24 2006-03-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2694B1 true KR100732694B1 (ko) 2007-06-27

Family

ID=3837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024A KR100732694B1 (ko) 2006-03-24 2006-03-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6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15A (ko) * 2018-12-03 2020-06-11 이진호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KR20210011757A (ko) * 2019-07-23 2021-02-02 (주)지에이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918A (ko) * 1998-02-26 1999-09-15 유제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0918A (ko) * 1998-02-26 1999-09-15 유제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915A (ko) * 2018-12-03 2020-06-11 이진호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KR102255375B1 (ko) * 2018-12-03 2021-05-25 이진호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KR20210011757A (ko) * 2019-07-23 2021-02-02 (주)지에이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102289720B1 (ko) * 2019-07-23 2021-08-17 (주)지에이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1795A (en) Flat material dryer
US5806204A (en) Material dryer using vacuum drying and vapor condensation
US5343632A (en) Closed-loop drying process and system
JP4386950B2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生ごみ処理方法
JP5023569B2 (ja) 衣類乾燥機
KR10073269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026469B2 (ja) 衣類乾燥装置
KR10068388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296449A (ja) 洗濯乾燥機
JPH04281178A (ja) 真空乾燥処理装置
JP2004116846A (ja) 乾燥システム
KR100369541B1 (ko) 냉동장치를 이용한 수분함유 쓰레기 건조장치
KR101021992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속성 건조기
KR100480700B1 (ko) 쓰레기 처리기
KR0127338Y1 (ko) 피건조물 건조장치
KR100455182B1 (ko) 고주파 가열방식 쓰레기 처리기의 증기 순환장치
JP2008079767A (ja) 衣類乾燥装置
JP2009034306A (ja) 衣類乾燥装置
KR1013988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38602B1 (ko) 고주파 가열방식 쓰레기 처리기의 재가열 방지장치
KR20060053867A (ko) 응축식 탈취 건조 처리기
JPH11179326A (ja) 厨芥処理機
JP2010220873A (ja) 衣類乾燥機
JP2010115582A (ja) 厨芥処理装置
JP2005040316A (ja) 衣類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