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375B1 -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375B1
KR102255375B1 KR1020180153640A KR20180153640A KR102255375B1 KR 102255375 B1 KR102255375 B1 KR 102255375B1 KR 1020180153640 A KR1020180153640 A KR 1020180153640A KR 20180153640 A KR20180153640 A KR 20180153640A KR 102255375 B1 KR102255375 B1 KR 10225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steam
pressure injection
injection modul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915A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18015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3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스크류로 교반하면서 히터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교반기의 일측과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통과하고 상부의 냉각팬에 의해 상기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며,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응축수를 일정량 수용하고, 일정량을 초과하는 응축수 수면의 슬러지를 토출하는 토출관이 연통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내측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을 통해 증기를 흡기하는 흡기팬; 상기 수조의 응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교반기와 인접하는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교반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분사하는 제1 고압분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고압분사모듈을 구동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Mist High-Pressure Jet Condensing System of Maximizing Deodorization and Condensation Efficiency of Discharging Vapor in 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분사모듈의 미스트 고압분사로, 증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려서 응축속도를 높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증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추며, 음식물쓰레기 냄새를 제거하여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고, 직수분사에 비해 고압분사에 따른 물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는 일반쓰레기와 함께 매립되거나 소각되고, 일부는 가축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되고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되어 심한 악취와 오수가 발생하여 수거하여 버리는 과정이 매우 비위생적이고, 음식물쓰레기를 지하에 매립하는 경우 침출수로 인해 환경오염이 발생하여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수분 함수율을 줄여 전체 음식물쓰레기 중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에, 건조방식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증발되는 증기를 신속하게 응축하고, 증기에 포함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응축시스템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30818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016.06.0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826974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2018.02.01.)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조방식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증발되는 증기를 신속하게 응축하고, 증기에 포함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스크류로 교반하면서 히터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교반기의 일측과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통과하고 상부의 냉각팬에 의해 상기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며,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응축수를 일정량 수용하고, 일정량을 초과하는 응축수 수면의 슬러지를 토출하는 토출관이 연통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내측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을 통해 증기를 흡기하는 흡기팬; 상기 수조의 응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교반기와 인접하는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교반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분사하는 제1 고압분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고압분사모듈을 구동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압분사모듈은, 상기 배출관 내측 중심에 증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노즐과, 상기 배출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냉매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어 체크밸브에 의해 탈취제 또는 스케일 제거제를 공급하는 약품공급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의 분사공에 의한 고압분사방향은, 상기 배출관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와 인접하는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온도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와 상기 수조 사이의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분사하는 제2 고압분사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고압분사모듈을 구동하되, 상기 제2 고압분사모듈은, 상기 배출관 내측 중심에 증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노즐과, 상기 배출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냉매를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의 분사공에 의한 고압분사방향은, 상기 배출관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20℃ 이상이면, 상기 제2 고압분사모듈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고압분사모듈의 공급관 일측에는 분사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냄새성분을 검출하는 냄새검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냄새검출센서에 의해 일정값 이상의 농도를 검출하면 상기 약품공급유닛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고압분사모듈의 노즐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노즐본체; 상기 관통공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로 상기 분사공을 형성하는 노즐헤드부; 상기 노즐헤드부를 하향 탄발되게 상기 체결부 외측으로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체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은 상기 배출관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분사모듈의 미스트 고압분사로, 증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려서 응축속도를 높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증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추며, 음식물쓰레기 냄새를 제거하여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고, 직수분사에 비해 고압분사에 따른 물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의 구성을 블럭화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의 고압분사모듈의 구성을 블럭화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고압분사모듈의 노즐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의 배출관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의 구성을 블럭화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의 고압분사모듈의 구성을 블럭화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고압분사모듈의 노즐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1의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의 배출관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은, 배출관(110)과, 응축기(120)와, 수조(130)와, 흡기팬(140)과, 순환펌프(150)와, 제1 온도센서(160)와, 제1 고압분사모듈(170)로 구성된다.
우선, 배출관(110)은, 음식물 쓰레기를 스크류(11)로 교반하면서 히터(12)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교반기(10)의 일측과 연통되어서, 생성된 증기를 교반기 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관라인이다.
교반기(10)와 배출관(110) 사이에는 필터(미도시)가 형성되어 배출관(110)으로 증기 이외의 고형성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교반기(10)과 연통된 배출관(110)은 응축기(120)를 향하여 아래로 경사져 형성되어 증기의 응축수가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여 흡기팬(140)에 의한 흡기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배출관(110)은, 증기가 수평방향으로 주로 유동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응축기(120)가 구성되거나, 증기가 수직방향으로 주로 유동하도록 연장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응축기(120)가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응축기(120)는, 교반기(10)보다 낮게 배치 형성되며, 배출관(110)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내측을 통과하고 상부의 냉각팬(121)에 의해 배출관(110)을 냉각시켜 배출관(110)을 유동하는 증기를 응축시킨다.
여기서, 응축기로 공랭식을 예시하였으나, 수냉식 또는 혼합식(공랭식과 수냉식)의 응축기(120)가 적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20) 내부를 통과하는 배출관(110)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증기가 투입 회수된다.
다음, 수조(130)는, 응축기(120) 하부에 형성되며, 응축기(120)를 통과한 배출관(110)과 상단에서 연통되며, 배출관(110)으로부터 수조내측으로 토출되는 응축수를 일정량 수용하고, 일정량을 초과하는(overflow) 응축수 수면의 슬러지를 토출하는 토출관(131)이 연통 형성된다.
여기서, 수조(130)와 연통되는 배출관(110)은 토출관(131)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수조(130)는 배출관(110)으로부터의 응축수를 토출관(131) 높이까지 수용하고, 토출관(131)으로는 응축수의 유기거품 또는 부유물인 슬러지를 외부의 저장용기(132)로 토출시킨다.
다음, 흡기팬(140)은, 모터와 팬으로 구성되어, 수조(130)의 상단과 연통된 흡기관(141)을 통해 수조(130)의 내측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여 기압차에 의해 배출관(110)을 통해 증기를 흡기하여 응축기(120)를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 순환펌프(150)는, 수조(130)의 응축수를 주기적으로 순환시켜 응축수의 고형화를 방지하고 슬러지를 응축수 수면으로 유도하여서 토출관(131)을 통한 토출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순환펌프(150)는, 수조(130)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순환관(151)과, 수조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순환관(152)과, 하단순환관(151) 및 상단순환관(152) 사이에 형성된 순환모터펌프(153)로 구성되어, 하단순환관(151)으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하고 상단순환관(152)을 통해 수조(130) 내측으로 응축수를 다시 토출하여서 응축수를 순환시킨다.
다음, 제1 온도센서(160)는, 교반기(10)와 인접하는 배출관(110) 내측에 형성되어 배출관(110)을 유동하는 증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다음, 제1 고압분사모듈(170)은, 교반기(10)와 응축기(120) 사이의 배출관(110)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분사하는데, 제1 온도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제1 고압분사모듈(170)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교반기(10)의 초기가열 가동시, 배출관(110)을 유동하는 증기량이 적어 응축기(120)에 의해서만 증기를 응축하고, 교반기(10)의 중후기 가열 가동시(3시간 가동시), 제1 온도센서(160)에 의해 190℃의 증기온도가 감지되면 교반기(10) 또는 배출관(110)이 포화상태가 되어 제1 고압분사모듈(170)을 가동하여 증기의 응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제1 고압분사모듈(170)의 미스트 고압분사로, 증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려서 응축속도를 높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증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추며, 음식물쓰레기 냄새를 제거하여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고, 직수분사에 비해 고압분사에 따른 물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고압분사모듈(170)은 저온 냉각수를 대체하여 냉매를 고압분사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압분사모듈(170)은, 배출관(110) 내측 중심에 증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노즐(171)과, 배출관(110)을 관통하여 노즐(171)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냉매를 공급하는 공급관(172)과, 공급관(172)과 연통되어 체크밸브에 의해 탈취제 또는 스케일 제거제를 공급하는 약품공급유닛(173)으로 구성되고, 노즐(171)의 분사공에 의한 고압분사방향은, 배출관(110)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되어서, 고압분사된 미스트에 의해 증기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약품공급유닛(173)은 탈취제 또는 스케일제거제를 배출관(110)으로 공급하여서, 냄새를 제거하거나 배출관(110) 내부의 침전물에 의한 막힘 및 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압분사모듈(170)의 공급관(172) 일측에는 분사압을 조절하는 온오프 버튼식 또는 다이얼식의 조절밸브(174)가 형성되어서 배출관(110)을 유동하는 증기의 온도 또는 증기량에 따라 적응적으로 분사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냄새검출센서(175)를 제1 온도센서(160)에 인접하여 배출관(110) 내측에 형성하여, 증기의 냄새성분을 검출하고, 일정값 이상의 농도를 검출하면 약품공급유닛(173)을 구동하여서, 증기의 냄새를 중화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압분사모듈(170)의 노즐(171)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171a-1)와, 체결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71a-2)과, 관통공(171a-2)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171a-3)로 이루어진 노즐본체(171a), 체결공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체결부(171b-1)와, 체결부(171b-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져 경사부와 안착부(171a-3) 사이로 분사공(171b-2)을 형성하는 노즐헤드부(171b), 노즐헤드부(171b)를 하향 탄발되게 체결부(171b-1) 외측으로 형성된 탄성부재(171c), 및 탄성부재(171c)를 지지하도록 체결부(171b-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71d)로 구성되어서, 조절밸브(174)에 의한 분사압 조절시, 분사압이 일정값이상으로 높아지면 분사공(171b-2)이 확장되어 배출관(110)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미스트를 고압분사할 수 있다.
한편, 제1 고압분사모듈(170)에 의해 증기가 모두 응축되지 않으면, 제2 온도센서(180)와 제2 고압분사모듈(190)의 구동에 의해 증기를 완전히 응축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온도센서(180)는 수조(130)와 인접하는 배출관(110) 내측에 형성되고, 제2 고압분사모듈(190)은 제2 온도센서(180)와 수조(130) 사이의 배출관(110)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분사한다.
즉, 제2 고압분사모듈(190)은, 배출관(110) 내측 중심에 증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노즐(191)과, 배출관(110)을 관통하여 노즐(191)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냉매를 공급하는 공급관(192)으로 구성되고, 노즐(191)의 분사공에 의한 고압분사방향은, 배출관(110)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온도센서(18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제2 고압분사모듈(190)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데, 제2 온도센서(180)에 의해 20℃ 이상의 증기온도가 감지되면 제2 고압분사모듈(190)을 가동하여 증기의 응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고압분사모듈(190)에서, 배출관(110) 내측 중심에 증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노즐(191)의 분사공에 의한 고압분사방향은, 배출관(110)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고압분사모듈(190)의 구성은 전술한 제1 고압분사모듈(170)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나, 노즐(191)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고압분사모듈(170,190)의 분사공은 배출관(110)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증기를 보다 균일하게 고압분사하여 응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고압분사모듈(170,190)은 배출관(1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단독으로 교체가능하도록 배출관(110)과 결합 형성될 수 있고, 노즐(171,191)이 배치된 제1 또는 제2 고압분사모듈(170,190)의 배관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노즐(171,191)에 의한 고압분사를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고압분사모듈의 미스트 고압분사로, 증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려서 응축속도를 높여 응축효율을 향상시키며, 증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추며, 음식물쓰레기 냄새를 제거하여 탈취효율을 향상시키고, 직수분사에 비해 고압분사에 따른 물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교반기 11 : 스크류
12 : 히터
110 : 배출관 120 : 응축기
121 : 냉각팬 130 : 수조
131 : 토출관 132 : 저장용기
140 : 흡기팬 141 : 흡기관
150 : 순환펌프 151 : 하단순환관
152 : 상단순환관 153 : 순환모터펌프
160 : 제1 온도센서 170 : 제1 고압분사모듈
171 : 노즐 172 : 공급관
173 : 약품공급유닛 174 : 조절밸브
175 : 냄새검출센서 180 : 제2 온도센서
190 : 제2 고압분사모듈 191 : 노즐
192 : 공급관

Claims (8)

  1. 음식물 쓰레기를 스크류로 교반하면서 히터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교반기의 일측과 연통되어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통과하고 상부의 냉각팬에 의해 상기 배출관을 냉각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며,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응축수를 일정량 수용하고, 일정량을 초과하는 응축수 수면의 슬러지를 토출하는 토출관이 연통 형성된 수조;
    상기 수조와 연통되어 내측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관을 통해 증기를 흡기하는 흡기팬;
    상기 수조의 응축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상기 교반기와 인접하는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교반기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분사하는 제1 고압분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고압분사모듈을 구동하고,
    상기 제1 고압분사모듈은, 상기 배출관 내측 중심에 증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노즐과, 상기 배출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냉매를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어 체크밸브에 의해 탈취제 또는 스케일 제거제를 공급하는 약품공급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의 분사공에 의한 고압분사방향은, 상기 배출관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수조와 인접하는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온도센서와, 상기 제2 온도센서와 상기 수조 사이의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유동방향으로 냉각수를 미스트로 고압분사하는 제2 고압분사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2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2 고압분사모듈을 구동하되,
    상기 제2 고압분사모듈은, 상기 배출관 내측 중심에 증기의 유동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노즐과, 상기 배출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냉매를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의 분사공에 의한 고압분사방향은, 상기 배출관의 중심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20℃ 이상이면, 상기 제2 고압분사모듈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고압분사모듈의 공급관 일측에는 분사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관 내측에 형성되어 증기의 냄새성분을 검출하는 냄새검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냄새검출센서에 의해 일정값 이상의 농도를 검출하면 상기 약품공급유닛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고압분사모듈의 노즐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로 이루어진 노즐본체; 상기 관통공 중앙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경사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로 상기 분사공을 형성하는 노즐헤드부; 상기 노즐헤드부를 하향 탄발되게 상기 체결부 외측으로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체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상기 배출관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회오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KR1020180153640A 2018-12-03 2018-12-03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KR10225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40A KR102255375B1 (ko) 2018-12-03 2018-12-03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40A KR102255375B1 (ko) 2018-12-03 2018-12-03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15A KR20200066915A (ko) 2020-06-11
KR102255375B1 true KR102255375B1 (ko) 2021-05-25

Family

ID=7107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640A KR102255375B1 (ko) 2018-12-03 2018-12-03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3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2675A (zh) * 2022-06-13 2022-10-21 安徽融德机电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超微雾蒸汽装置及抑尘降尘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94B1 (ko) * 2006-03-24 2007-06-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90128B1 (ko) 2010-09-15 2012-10-12 강원석 세척용 분사노즐
KR101362080B1 (ko) 2013-08-08 2014-02-12 주식회사 금영이엔텍 복합 생활쓰레기의 악취 제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46081A (fi) * 2014-12-10 2016-06-11 Evac Oy Jätteenkäsittelylaitteisto
KR101630818B1 (ko) 2014-12-22 2016-06-24 (주)현대워터텍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16455B1 (ko) * 2016-11-11 2018-11-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산화 미스트 분무에 의한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방법
KR101826974B1 (ko) 2017-05-23 2018-03-22 정한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694B1 (ko) * 2006-03-24 2007-06-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90128B1 (ko) 2010-09-15 2012-10-12 강원석 세척용 분사노즐
KR101362080B1 (ko) 2013-08-08 2014-02-12 주식회사 금영이엔텍 복합 생활쓰레기의 악취 제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915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8296B1 (en) Exhaust gas cooling system
KR101112079B1 (ko)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2255375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배출증기의 탈취 및 응축 효율을 극대화하는 미스트 고압분사식 응축시스템
US6995341B2 (en)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substances, in particular foods
JP2013154316A (ja) 有機系廃棄物の発酵処理方法及び同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102103703B1 (ko) 악취제거장치
KR10155733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1196837B1 (ko) 초음파진동기가 장착된 진공증발식 조수장치
KR101816517B1 (ko) 친환경 축사
JP2001340829A (ja) 含水廃棄物乾燥装置
KR101176369B1 (ko) 슬러지 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시스템
KR100702363B1 (ko) 슬러지의 수분 제거 장치
KR101083033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 보일러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0760431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100312832B1 (ko) 축산폐수처리장치및방법
KR101900081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JP5839262B2 (ja) 臭気量平準化方法及び装置
JP2009189959A (ja) 浄水装置
KR101624914B1 (ko) 오염가스 흡수기능을 구비한 이젝터 진공발생장치
KR101345051B1 (ko) 생물반응조의 효율개선을 위한 온도 저감 장치
KR100336289B1 (ko) 축사용 오수처리장치
PL191963B1 (pl) Urządzenie do oczyszczania cieczy w postaci pary wodnej, pochodzącej z obiegu
KR20090075308A (ko) 음식물 처리기에 장착되는 탈취장치.
KR1006127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냄새탈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