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494A -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 Google Patents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494A
KR20100084494A KR1020100062092A KR20100062092A KR20100084494A KR 20100084494 A KR20100084494 A KR 20100084494A KR 1020100062092 A KR1020100062092 A KR 1020100062092A KR 20100062092 A KR20100062092 A KR 20100062092A KR 20100084494 A KR20100084494 A KR 2010008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olt
shear key
shea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173B1 (ko
Inventor
손해원
Original Assignee
(주) 국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국제이엔씨 filed Critical (주) 국제이엔씨
Priority to KR102010006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1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해지는 높은 수직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디스크형 교량 받침의 전단키의 구조를 개량하여 전단키가 상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각에 설치되는 하답과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상답 및 상기 하답과 상답 사이에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디스크(25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2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발생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전단키로 이루어진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있어서, 상답(210)과 하답(220) 각각에 납작머리볼트의 머리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의 활동홈(212)(222)을 포함하는 전단키구멍(211)(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구멍(211)(221)에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32)(235)를 각각 포함하는 암전단키너트(234)와 숫전단키볼트(231)의 결합으로 전단키(230)가 이루어지되, 결합에 가능하도록 암전단키너트(234)에는 너트공(236)이 형성되어 있고, 숫전단볼트(231)에는 너트공(236)에 체결되는 볼트(2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DISC Steel Bearing for Bridge}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해지는 높은 수직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디스크형 교량 받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받침의 파손으로 야기되는 낙교방지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전단키의 구조를 개량하여 전단키가 상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가설할 때 계절의 온도변화,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교판(상판)의 수평력을 정적으로 흡수하여 교량의 내진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내구 수명을 연장코자 상부구조물(상판)의 양단부와 교각 사이에는 교량용 받침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설치 사용되어지는 기존의 교량용 받침은 그 용도에 따라 제작형태가 다르다.
도 1은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일 실시예로써, 상부구조물의 저면으로 설치되는 상답(110)과 교각의 상면으로 설치되는 하답(20) 및 상기 상답(110)과 하답(120)의 사이로 설치되는 디스크(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답(110)의 내저면 중앙에는 전단키(111)가 나사결합 되어 있고, 하답(120) 중앙에는 상답(110)에 설치된 전단키(111)가 삽입 위치하는 전단키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상답(110)과 하답(120)에는 각각의 기초너트(112)(122)가 볼트(112a) (122a)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2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교각으로 설치되어지는 하답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21)에 전단키(22)가 나사식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22)에는 상답(10)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11)에서 활동할 때 상답과 마찰시 전단키 이탈예방과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강제의 로테이션슬리브(23)가 장착되어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답(10)과 하답(20)에는 각각의 기초너트가 볼트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도 1의 제1실시예와, 도 2의 제2실시예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낙교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단키는 어느 일단이 상답 또는 하답에 대하여 자유로운 상태에 놓여져 조립 형성되어지는 것이어서, 상,하 수직하중이 크게 발생하였을 때 전단키가 전단키 구멍으로부터 이탈되어 낙교 의 단초가 된다.
본 발명은 종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답과 하답에 납작머리볼트의 머리와 대응하는 형상의 활동홈을 포함하는 전단키 구멍에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암전단키너트와 숫전단키볼트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단키 또는 상,하답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전단키구멍에 위,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를 위치시켜 커플링으로 고정시켜서된 전단키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효과적으로 받아줌은 물론, 상, 하 수직 하중이 심하게 발생하여 수직 이동이 크게 일어나더라도 전단키가 이탈되어지지 않아 전단키 이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낙교현상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각에 설치되는 하답과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상답 및 상기 하답과 상답 사이에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디스크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발생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전단키로 이루어진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있어서,
상답(210)과 하답(220) 각각에 납작머리볼트의 머리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의 활동홈(212)(222)을 포함하는 전단키구멍(211)(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구멍(211)(221)에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32)(235)를 각각 포함하는 암전단키너트(234)와 숫전단키볼트(231)의 결합으로 전단키(230)가 이루어지되, 결합에 가능하도록 암전단키너트(234)에는 너트공(236)이 형성되어 있고, 숫전단볼트(231)에는 너트공(236)에 체결되는 볼트(2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상답(210)과 하답(220)에 납작머리볼트의 머리와 대응하는 형상의 활동홈(212)(222)을 포함하는 전단키구멍(211)(221)에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32)(235)를 포함하는 암전단키너트(234)와 숫전단키볼트(234)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단키(230) 또는 상,하답(210)(220) 각각에 전단키구멍(211)(221)에 형성된 위,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4)를 위치시켜 커플링(260)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전단키(270)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첫째,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효과적으로 받아줌은 물론, 상,하 수직 하중이 심하게 발생하여 수직 이동이 크게 일어나더라도 전단키가 이탈되어지지 않아 전단키 이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낙교현상을 원천적으로 예방하였을 뿐만 아니라, 닐할 수 있고;
둘째, 상,하답(210)(220)에 형성된 활동홈(212)(222)에 위 암전단키너트(234)와 아래 숫전단키볼트(234) 각각의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32)(235)가 여유공간을 이루며 적용된 것이어서 수직력이 향상되었으며;
셋째, 전단키(230)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아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 확보로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일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실시예로써 전단키를 조립하기 이전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실시예로써 전단키를 조립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상답에 정상답을 장착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디스크가 변화 되었을때의 예를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의 또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교각 또는 교대(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 설치되어지는 하답(220),상부구조물과 정상답(240)을 받쳐주는 상답(210)과, 상기 하답(220)과 상답(210)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크(250) 및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주는 전단키(2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답(220)은 교각에 매설되는 기초너트(223)가 볼트(224)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하답(220)의 중앙에는 전단키(230)를 구성하는 암전단키너트(234)가 체결 되는 전단키구멍(2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되, 납작머리볼트의 머리 형태를 이루는 걸림부(235)가 활동함과 동시에 걸림되어지는 활동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답(220)에 얹혀지는 디스크(250)는 상부구조물과 정상답(240)으로부터 발생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브이홈(251)이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전단키(230)가 관통되는 구멍(도면에 특정부호로 지정하지 않았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크(250)에 위치하여 상부구조물과 불소수지판(241)을 포함하는 정상답(240)을 받쳐주는 상답(210)은 전단키(230)가 끼워져 활동하는 전단키구멍(211)이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전단키구멍(211)은 전단키(230)를 구성하는 숫전단볼트(231)에 걸림부(235)가 활동함과 동시에 걸림되어지는 활동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답(210)과 하답(220)의 전단키구멍(211)(221)에 걸쳐 조립되는 전단키(230)는 암전단키너트(234)와 숫전단키볼트(231)로 구분 형성된다.
상기 숫전단키너트(231)은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32)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에 암전단키너트(234)의 너트공(236)에 체결되는 볼트(2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숫전단키너트(231)에는 내구성보강용결합돌부(238)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전단키너트(234)는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35)가 형성되어 있고, 숫전단키볼트(231)의 볼트(233)가 체결되는 너트공(2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암전단키너트(234)의 선단에는 숫전단키너트(231)의 내구성보강용결합돌부(238)가 합체되는 내구성보강용결합홈(237)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8은 전단키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단키(270)는 외주면에 커플링(260)의 나사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위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1)와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4)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1)와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4)는 커플링(260)에 의해 체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하답(220)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221)으로 전단키(230)를 구성하는 암전단키너트(234)를 삽입 위치시킨다.
이후, 디스크(150)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250)에 상답(210)을 설치한다.
상기 상답(10)을 설치할 때에는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211)이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크(250)에 상답(21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단키(230)를 구성하는 숫전단키볼트(234)를 상답(210)의 전단키구멍(211)으로 삽입시켜 볼트(233)를 암전단키너트(234)의 너트공(236)에 나사 체결하여 전단키(23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도 8의 다른 실시예의 전단키(270)는 하답(220)의 전단키구멍(221)에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커플링(260)을 나사식 체결한 다음 디스크(250)에 상답(210)을 얹힌 상태에서 상답(210)의 전단키구멍(211)에 위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1)를 위치시켜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4)에 체결되어 있는 커플링(260)에 나사식 체결하여서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서 된 본원 발명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을 설치할 때에는 상답 및 하답(20)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너트(앙카볼트)(223)를 빔과 교각(도시하지 않았음)에 매설시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답(220)이 매설된 교각이 양생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상답(210)에 상부구조물과 정상답(240)을 얹어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답(10)에 정상답(240)에는 불소수지판(PTFE)(241)이 있어 미끄럼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교각과 상부구조물과 정상답(240) 사이에 설치되어진 본원 발명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상답(210)에 상부구조물과 정상답(240)로부터 전해지는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이 디스크(250)와 전단키(230)(270)에서 받아 흡수하게 되는 것으로 도6과 같이 된다.
상기와 같이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이 디스크(250)와 전단키(230)(270)에서 받아 흡수할 때 전단키(230)(270)는, 상기 전단키(230)을 구성하는 암전단키너트(234)와 숫전단키볼트(231) 각각에 형성된 걸림부(232)(235)가 걸림되어져 상답(210)과 하답(22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체결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8의 전단키(270)키 역시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4)와 위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1) 각각에 형성된 걸림부(272)(275)가 걸림되어져 상답(210)과 하답(220)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체결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단키(230)(270)의 이탈로 일어날 수 있는 낙교현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200 : 교량받침 210 : 상답
211,221 : 전단키구멍 212,222 : 활동홈
220 : 하답 223 : 기초너트
224 : 볼트 230,270 : 전단키
231 : 숫전단키볼트 232,235,272,275 : 걸림부
233 : 볼트 234 : 암전단키볼트
236 : 너트공 237 : 내구성보강용결합홈
238 : 내구성보강용결합돌부 240 : 정상답
241 : 불소수지판(PTFE) 250 : 디스크
251 : 브이홈 260 : 커플링
271,274 : 맞대기숫전단키볼트

Claims (3)

  1. 교각에 설치되는 하답과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상답 및 상기 하답과 상답 사이에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디스크(25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2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발생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전단키로 이루어진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있어서,
    상답(210)과 하답(220) 각각에 납작머리볼트의 머리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의 활동홈(212)(222)을 포함하는 전단키구멍(211)(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구멍(211)(221)에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32)(235)를 각각 포함하는 암전단키너트(234)와 숫전단키볼트(231)의 결합으로 전단키(230)가 이루어지되, 결합에 가능하도록 암전단키너트(234)에는 너트공(236)이 형성되어 있고, 숫전단키볼트(231)에는 너트공(236)에 체결되는 볼트(2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230)의 숫전단키볼트(231)에는 볼트(233) 상부와 이웃하는 지점에 내구성보강용결합돌부(238)가 더 형성되어 있고, 암전단키너트(234)의 선단면에는 상기 내구성보강용결합돌부(238)가 결합되는 내구성보강용결합홈(237)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3. 교각에 설치되는 하답과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상답 및 상기 하답과 상답 사이에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디스크(25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25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발생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전단키로 이루어진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있어서,
    상답(210)과 하답(220) 각각에 납작머리볼트의 머리 형태와 대응하는 형상의 활동홈(212)(222)을 포함하는 전단키구멍(211)(22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구멍(211)(221)에 납작머리볼트 형태의 걸림부(272)(275)를 각각 포함하는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34)와 위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1)의 결합으로 전단키(270)가 이루어지되, 결합에 가능하도록 아래 맞대기숫전단키볼트(234)와 위 맞대기숫전단키볼트(271) 각각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에 나사식 결합되는 커플링(260)의 체결에 의해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KR1020100062092A 2010-06-29 2010-06-29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KR10116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92A KR101161173B1 (ko) 2010-06-29 2010-06-29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092A KR101161173B1 (ko) 2010-06-29 2010-06-29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494A true KR20100084494A (ko) 2010-07-26
KR101161173B1 KR101161173B1 (ko) 2012-07-02

Family

ID=4264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092A KR101161173B1 (ko) 2010-06-29 2010-06-29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1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62B1 (ko) * 2014-03-27 2014-12-11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링크타입의 앵커를 구비한 교량용 지지장치 및 그의 설치공법
KR101490896B1 (ko) * 2014-03-28 2015-02-06 신영기술개발(주) 공극 발생을 극소화한 교량용 지지장치의 설치공법 및 이를 위한 교량용 지지장치
CN112554047A (zh) * 2020-12-25 2021-03-26 尚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超薄钢支座
CN113931017A (zh) * 2020-06-29 2022-01-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梁的支座以及交通轨道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35B1 (ko) 2013-02-19 2014-07-04 손만길 디스크 타입 탄성받침
KR101639568B1 (ko) * 2013-11-29 2016-07-14 주식회사 큐빅스 높이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74Y1 (ko) 2003-02-19 2003-06-09 조영철 교좌장치
KR200403743Y1 (ko) 2005-07-22 2005-12-14 (주)알티에스 교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562B1 (ko) * 2014-03-27 2014-12-11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링크타입의 앵커를 구비한 교량용 지지장치 및 그의 설치공법
KR101490896B1 (ko) * 2014-03-28 2015-02-06 신영기술개발(주) 공극 발생을 극소화한 교량용 지지장치의 설치공법 및 이를 위한 교량용 지지장치
CN113931017A (zh) * 2020-06-29 2022-01-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轨道梁的支座以及交通轨道系统
CN112554047A (zh) * 2020-12-25 2021-03-26 尚德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桥梁超薄钢支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173B1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173B1 (ko)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US5386671A (en) Stiffness decoupler for base isolation of structures
KR102058684B1 (ko) 탄성복원력을 활용한 교량받침장치
CN113944098A (zh) 一种带消能钢板的装配式自复位双墩柱结构
KR200403138Y1 (ko)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KR101599822B1 (ko) 분리형 스페리칼 받침
JP4274557B2 (ja) 水平荷重弾性支持装置
KR19990066356A (ko) 구조물의 지진격리용 고무받침
KR102151069B1 (ko) 볼트체결에 의한 분리형 앵커복합체를 구비한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97635B1 (ko) 마찰판의 탈락 방지수단을 구비한 구조용 받침
KR101341845B1 (ko) 고하중용 디스크받침
KR20040084030A (ko) 핀이 구비된 면진베어링
KR100731788B1 (ko) 자석 키를 가진 일체형 탄성받침
KR102152740B1 (ko) 교량구조물의 교량받침 배치방법
KR102157577B1 (ko) 전단보강앵커소켓을 이용한 탄성받침 및 그 시공방법
CN113089462A (zh) 一种预制拼装式摇摆桥墩
KR20030064982A (ko) 수평조절 교좌장치
KR102174860B1 (ko) 보강형 받침 구조
US20030091247A1 (en) Bearing assembly for a bridge
KR100742974B1 (ko) 교량의 내진보강용 전단저항장치와 그 설치 및 분리 방법
JP2024074572A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分散型免震装置の協働機構
JP2013092009A (ja) 構造物減震装置及び構造物減震方法
JP7403106B2 (ja) 橋梁支承におけるサイドブロックの固定構造
JPH0487Y2 (ko)
KR200222439Y1 (ko)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