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38Y1 -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 Google Patents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38Y1
KR200403138Y1 KR20-2005-0025262U KR20050025262U KR200403138Y1 KR 200403138 Y1 KR200403138 Y1 KR 200403138Y1 KR 20050025262 U KR20050025262 U KR 20050025262U KR 200403138 Y1 KR200403138 Y1 KR 2004031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r key
type bridge
center
disk
ans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해원
Original Assignee
(주) 국제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국제이엔씨 filed Critical (주) 국제이엔씨
Priority to KR20-2005-0025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5Line and point rock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정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위구조물로부터 전해지는 높은 수직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있어서,
하답(2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21)에 합금을 사용한 전단키(22)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22)에는 상답(10)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 구멍(11)에서 활동할 때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강제의 로테이션슬리브(23)가 장착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omitted}
본 고안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전해지는 높은 수직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안전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가설할때 계절의 온도변화, 바람, 지진 등의 충격 등에 의한 상대변위나 교판(상판)의 수평력을 정적으로 흡수하여 교량의 내진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내구 수명을 연장코자 상부구조물(상판)의 양단부와 교각 사이에는 교량용 받침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설치 사용되어지는 기존의 교량용 받침은 그 용도에 따라 제작형태가 다른다.
도1은 종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일 실시예로써, 상부구조물의 저면으로 설치되는 상답(110)과 교각의 상면으로 설치되는 하답(20) 및 상기 상답(110)과 하답(120)의 사이로 설치되는 디스크(1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답(110)의 내저면 중앙에는 전단키(111)가 나사결합 되어 있고, 하답(120) 중앙에는 상답(110)에 설치된 전단키(111)가 삽입 위치하는 전단키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상답(110)과 하답(120)에는 각각의 기초너트(112)(122)가 볼트(112a)(122a)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상답(110)의 전단키(111)의 외주면과 하답(120)의 전단키구멍(121)의 내주면 사이가 많이 떨어져 있어 상부구조물(상판)로부터 전해지는 하중 및 회전력을 받아줄 때 전단키(111)가 전단키구멍(121)에 부딪침이 발생하게 되고, 전단키(111)가 전단키구멍(121)에 부딪침이 발생하도록 설계된 종래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은 상부구조물(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지나친 하중과 회전력이 전해졌을 때 전단키(111)가 전단키구멍(121)에 부딪치는 순간 응력이 집중되어져 쉽게 파손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 도2에 도시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이다.
상기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상답(210)의 중앙으로 나사결합된 전단키(211)가 하답(220)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221)에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써, 전술한 종래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단점을 해소한 반면, 상부구조물(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전해지는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줄 때 하답(220)의 전단키구멍(221)과 상기 전단키구멍(221)에 삽입 위치한 전단키(211)가 서로 마찰되어지면서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키(211)가 활동하는 전단키구멍(221)이 하답(220)에 형성되어 있어, 교각(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 상기 하답(220)을 설치하기 위하여 무수축 몰탈을 타설할 때 몰탈이 전단키구멍(221)으로 유입되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답(210)에 나사결합 되는 전단키(211)가 낮은 깊이로 체결되어 있는 것이어서 전단키(211)에 하중과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질 때 상답(210)으로부터 전단키(211)가 이탈되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답의 중앙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에 전단키를 체결하고, 마찰계수가 낮은 로테이션슬리브를 개재하여 상답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에 끼워져 활동할 때 마찰소음의 발생을 해소함과 동시에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효과적으로 받아줌은 물론 응력 집중에 의한 전단키의 파손을 방지하였으며, 전단키의 견고한 결합으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에 의해 전단키가 분리되는 문제를 해소하였고, 전단키구멍이 상답에 형성되어짐에 따라 하답을 교각에 설치하기 위하여 무수축 몰탈을 타설할 때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인 전단키로의 몰탈 유입을 방지할 수할 수 있는 디스크타입 교량용 받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각에 설치되는 하답과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상답 및 상기 하답과 상답 사이에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디스크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발생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전단키로 이루어진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있어서,
하답(20)의 중앙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21)에 전단키(22)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22)에는 상답(10)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11)에서 활동할 때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강제의 로테이션슬리브(23)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교각(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 설치되어지는 하답(20),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을 받쳐주는 상답(10)과, 상기 하답(20)과 상답(10) 사이에 설치되는 디스크(30) 및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주는 전단키(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답(20)은 교각에 매설되는 기초너트(24)가 볼트(24a)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하답(20)의 중앙에는 전단키(22)가 나사체결 되는 결합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답(20)의 결합공(21)에 체결되는 전단키(22)에는 상답(10)의 전단키구멍(11)에서 활동할 때 소음의 발생을 저감 시킴과 동시에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충격 없이 받아줄 수 있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강제의 로테이션슬리브(23)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하답(20)에 얹혀지는 디스크(30)는 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으로부터 발생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브이홈(31)이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전단키(22)가 관통되는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크(30)에 위치하여 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을 받쳐주는 상답(10)은 전단키(22)가 끼워져 활동하는 전단키구멍(11)이 중앙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상답(10)에는 설치구조 및 수평력 방향에 따라 기초너트를 구비할 수도 있고,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상답(10)에는 도5와 같이 키퍼플레이트(60)를 설치하여 수평력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하답(20)의 중앙으로 형성된 결합공(21)에 전단키(23)를 나사체결 한다.
상기와 같이 전단키(22)가 체결되어진 하답(20)의 상면에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디스크(30)를 설치하고, 상기 디스크(30)에 상답(1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상답(10)을 설치할 때에는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11)에 전단키(22)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서 된 본원 고안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을 설치할 때에는 상답 및 하답(20)에 설치되어 있는 기초너트(앙카볼트)(24)를 빔과 교각(도시하지 않았음)에 매설시켜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답(20)이 매설된 교각이 양생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상답(10)에 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을 얹어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답(10)에 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을 설치할 때에는 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의 미끄럼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불소수지판(PTFE)(50)을 개재 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교각과 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 사이에 설치되어진 본원 고안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상답(10)에 상부구조물과 정상답(40)로부터 전해지는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이 디스크(30)와 전단키(22)에서 받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은, 하답(20)의 중앙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21)에 전단키(22)를 체결하고, 마찰계수가 낮은 강제로 된 로테이션슬리브(23)를 개재함에 따라 상답(10)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11)에 전단키(22)가 끼워져 활동할 때 마찰소음의 발생을 해소 시킴과 동시에 하중과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효과적으로 받아줌은 물론 응력 집중에 의한 전단키(22)의 파손을 방지하였으며, 전단키(22)의 견고한 결합으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전단키(22)가 체결공(21)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해소하였고, 전단키구멍이(11) 상답(10)에 형성되어 짐에 따라 하답(20)을 교각에 설치하기 위하여 무수축 몰탈을 타설할 때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인 전단키(22)로의 몰탈의 유입을 방지할 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상답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의 상답에 상부구조물을 설치한 상태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답 11 : 전단키구멍
20 : 하답 21 : 체결공
22 : 전단키 23 : 로테이션슬리브
24 : 기초너트(앙카볼트) 30 : 디스크
40 : 정상답 50 : 불소수지판(PTFE)
60 : 키퍼플레이트

Claims (1)

  1. 교각에 설치되는 하답과 상부구조물을 받쳐주는 상답 및 상기 하답과 상답 사이에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디스크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부구조물로부터 발생된 하중 및 회전력 그리고 수평력을 받아 주는 전단키로 이루어진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에 있어서,
    안착된 하답(2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결합공(21)에 전단키(22)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전단키(22)에는 상답(10)의 중앙으로 형성된 전단키구멍(11)에서 활동할 때 마찰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찰계수가 낮은 강제의 로테이션슬리브(23)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KR20-2005-0025262U 2005-09-01 2005-09-01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KR2004031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62U KR200403138Y1 (ko) 2005-09-01 2005-09-01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62U KR200403138Y1 (ko) 2005-09-01 2005-09-01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38Y1 true KR200403138Y1 (ko) 2005-12-08

Family

ID=4370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262U KR200403138Y1 (ko) 2005-09-01 2005-09-01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3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80B1 (ko) * 2005-12-29 2007-11-06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수직진동 감쇠 베어링
KR101024688B1 (ko) 2011-01-07 2011-03-25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 슬래브에 대한 안전진단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KR101415335B1 (ko) 2013-02-19 2014-07-04 손만길 디스크 타입 탄성받침
KR101538956B1 (ko) * 2014-07-21 2015-07-27 (주) 케이 이엔씨 이탈 방지형 교량 디스크받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880B1 (ko) * 2005-12-29 2007-11-06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수직진동 감쇠 베어링
KR101024688B1 (ko) 2011-01-07 2011-03-25 주식회사 한국구조물안전연구원 교량 슬래브에 대한 안전진단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
KR101415335B1 (ko) 2013-02-19 2014-07-04 손만길 디스크 타입 탄성받침
KR101538956B1 (ko) * 2014-07-21 2015-07-27 (주) 케이 이엔씨 이탈 방지형 교량 디스크받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4963B2 (en) Construction frame shear lug
KR101161173B1 (ko)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KR200403138Y1 (ko)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101495315B1 (ko) 합성 목재 지지 보강 및 하중분배 보강 구조체
KR100283782B1 (ko) 구조물의 지진격리용 마찰감쇠형 고무받침
JP4274557B2 (ja) 水平荷重弾性支持装置
JP3455644B2 (ja) 杭基礎構造
KR100283681B1 (ko) 면진성능이향상된교좌장치
KR102092413B1 (ko)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중간 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용 제진 장치
KR200398507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JP2003232046A (ja) 鋼管ダンパー及びこれを用いたロッキング基礎構造
JP3671153B2 (ja) 杭基礎構造
KR101905886B1 (ko) 진동 감쇄 특성이 증대된 프리스트레스트 빔을 이용하는 내진 구조의 라멘 교량
KR100393418B1 (ko) 교량용 내진형 탄성받침과 그 시공방법
JPH09296626A (ja) 免震構造系及び該免震構造系における浮上り防止装置
JP2001056042A (ja) ゴム支承体の浮上り防止装置
JP2007154558A (ja) 杭頭免震構造
JP2021169722A (ja) 柱脚構造
JP2008133644A (ja) 橋梁用固定支承構造
KR200222439Y1 (ko)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JPH11166331A (ja) 免震引抜抵抗装置
JP7018550B1 (ja) アンカーボルト及び摩擦減震装置の協働機構
KR200285855Y1 (ko) 탄성받침을 갖는 교량용 교좌장치
KR200283561Y1 (ko) 교량용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