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174Y1 -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교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5174Y1 KR200315174Y1 KR20-2003-0004918U KR20030004918U KR200315174Y1 KR 200315174 Y1 KR200315174 Y1 KR 200315174Y1 KR 20030004918 U KR20030004918 U KR 20030004918U KR 200315174 Y1 KR200315174 Y1 KR 2003151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in
- upper plate
- bridge
- pin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여주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핀구멍에 삽입되는 핀의 외주면과 핀구멍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핀의 상하운동과 제한적인 회동운동을 허용하면서도 핀의 외주면과 핀구멍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줄여주므로써 교각과 교량 상판 상호간의 수평방향의 충격력을 줄여주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핀 또는 핀구멍에 형성되는 볼록부에 의해 핀의 표면과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표면 또는 그에 부착된 부재의 표면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교각에 대한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의 운동에 의한 충격력을 적게 받아 수명이 길고 동일 규격의 핀으로도 종래의 것에 비해 훨씬 큰 용량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또 핀과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등의 형상을 바꾸는 간단한 구성으로 부발방지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여주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판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에 의한 힘을 완충하여 받아주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교각 상에는 교량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교좌장치가 설치된다. 교좌장치에는 그 용도나 제작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본 고안은 디스크 베어링 또는 디스크 베어링과 유사한 구조의 교좌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좌장치(100)는 기초너트(102)에 결합되는 볼트(104) 등을 통해 교량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0)와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120)를 구비한다. 하부플레이트(120)의 중앙부에는 핀구멍(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플레이트(110)의 중앙부근에는 핀(130)이 나사결합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중앙부에 관통공(142)을 갖는 디스크(140)가 장착되어 있고, 핀(130)은 디스크(140)의 관통공(142)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핀구멍(122)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130)은 핀구멍(122)보다 직경이 작게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핀(130)의 외주면과 핀구멍(122)의 내주면은 서로 떨어져 있다. 핀(130)의 직경을 핀구멍(122)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은 핀(130)의 상하 운동을허용하면서도, 제한된 각도 내에서 디스크(140)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핀(130)의 좌우 회전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핀구멍(122)과 대략 동일 직경의 핀(130)이 핀구멍(122)에 삽입되는 경우 핀(130)의 상하운동은 허용되지만 핀(130)의 좌우방향의 회전운동은 허용되지 않는다.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좌장치(100)는 핀(130)의 외주면과 핀구멍(122)의 내주면 사이가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해 교각 또는 교량 상판에 큰 수평력이 작용하는 경우 힘이 작용하는 초기에는 그 힘을 받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상판은 힘을 받는 방향으로 가속되게 되고, 그 상태에서 핀(130)이 핀구멍(122)의 내주면에 부딪히는 경우 핀(130)은 매우 큰 충격을 받아 쉽게 파손되게 된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교좌장치에서는 바람 등에 의해 상판에 작용하는 부발력을 잡아주지는 못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교각과 상판 상호간의 상대적인 승강운동과 회전운동을 허용하면서도 교각과 상판 상호간에 힘이 작용하는 초기부터 상대방의 힘을 받아줄 수 있어 구성요소 상호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줄여줌으로써 성능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교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부발력에 대항할 수 있는 교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교좌장치 202 : 기초너트
204 : 볼트 210 : 상부플레이트
220 : 하부플레이트 222 : 핀구멍
224, 234 : 볼록부 226 : 부발방지턱
230 : 핀 236 : 걸림턱
240 : 완충부재 244 : 관통공
250 : 중간플레이트 260 : PTFE 디스크
270 :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 280 : 부발방지기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 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부착된 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플레이트 또는 상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결합된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핀구멍에 삽입되는 핀의 외주면과 핀구멍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핀의 상하운동과 제한적인 회동운동을 허용하면서도 핀의 외주면과 핀구멍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줄여주므로써 교각과 교량 상판 상호간의 수평방향의 충격력을 줄여주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볼록부는 원호모양의 단면 표면을 갖고 볼록부를 통해 핀의 외주면과 핀구멍의 내주면은 서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핀에는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상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핀구멍과 부발방지턱이 형성되고 완충부재 반대면에 PTFE 디스크홈을 갖는 중간플레이트, PTFE 디스크홈에 장착된 PTFE 디스크,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어 PTFE 디스크와 접촉되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가 더 개재되고,
상부플레이트에는 중간플레이트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에서 중간플레이트 저면을 향해 연장되어 중간플레이트 저면을 지지하여주는 수평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 하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핀구멍과 부발방지턱이 형성되고 완충부재 반대면에 PTFE 디스크홈을 갖는 중간플레이트, PTFE 디스크홈에 장착된 PTFE 디스크, 하부플레이트에 장착되어 PTFE 디스크와 접촉되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가 더 개재되고,
하부플레이트에는 중간플레이트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에서 중간플레이트 상면을 향해 연장되어 중간플레이트 상면을 지지하여주는 수평부재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중간플레이트와 수직부재의 마주보는 부분 및 중간플레이트와 수평부재의 접촉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 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부착된 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플레이트 또는 상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결합된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핀에는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교량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부플레이트(210)는 교량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기초너트(202)에 결합되는 볼트(204) 등을 통해 설치된다. 물론, 교량 상판의 저면에 금속 빔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210)와 마주보고 하부플레이트(2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하부플레이트(220)는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 역시 교각에 설치되는 기초너트(202)에 결합되는 볼트(204) 등을 통해 고정된다. 이 하부플레이트(220)의 중앙부에는 핀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핀구멍(222)으로는 뒤에서 설명되는 핀(230)의 일단이 삽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 사이에 완충부재(2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완충부재(240)의 측면에는 V자모양의 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42)은 교량 상판의 일측이 타측보다 큰 하중을 받아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완충부재(240)의 일측이 보다 쉽게 수축되면서 교량의 회전운동에 의한 힘을 탄력적으로 완충하여 받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24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2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44)은 완충부재(24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핀(230)의 통과를 허용하여 핀(230)의 일단이 핀구멍(2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해주고, 또 핀(230)이 완충부재(240)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완충부재(240)로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으로 된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고, 경우에 따라 다른 재질 또는 복합재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210)에는 핀(2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23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210) 저면에 나선이 형성된 홈(212)을 형성하고 핀(230)의 상단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선(232)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하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핀(230)은 용접에 의해 상부플레이트(2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핀(230)은 완충부재(240)의 관통공(244)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핀구멍(222)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230)은 전체적으로는 핀구멍(222)보다 직경이 작지만, 핀구멍(222)에 삽입되는 끝단부근에는 대략 핀구멍(222)과 동일 직경을 갖도록 볼록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34)는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핀구멍(222)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볼록부(234)로는 그 단면의 표면이 원호모양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원호라 함은 타원의 원호를 포함함은 물론이고, 원호와 유사한 모양도 포함한다. 핀(230)의 외주면에 볼록부(234)를 형성하는 것은 지진 등에 의해 교량 상판이 교각에 대해 상하 또는 회전운동을 할 때, 핀(230)의 상하운동 또는 제한된각도 내에서 완충부재(240)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핀(230)의 좌우 회전운동을 허용하면서도 핀(230)의 일측과 핀구멍(222)의 내주면이 서로 접촉상태로 있게 하여 힘이 작용하는 초기부터 상대방의 힘을 받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핀(230)과 하부플레이트(220) 상호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핀(230)의 볼록부(234)를 제외하고 동일한 여건을 가지는 종래 교좌장치와 대비하여 볼 때 보다 훨씬 큰 수평력을 견딜 수 있다.
즉,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핀(230)의 볼록부(234) 외주면과 핀구멍(222)의 내주면 사이가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지진 등에 의해 교각 또는 교량 상판에 큰 수평력이 작용하는 경우 초기에부터 상대방의 힘을 받아줄 수 있기 때문에 상판 등이 힘을 받는 방향으로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따라서 핀(230)이 핀구멍(222)의 내주면에 가속되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상하를 뒤집어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부 플레이트(210)는 하부플레이트가 되고, 하부플레이트(220)는 상부플레이트가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핀(230)의 외주면 대신에 핀구멍(222)의 내주면에 볼록부(224)를 형성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를구성할 수도 있다. 이 볼록부(224) 역시 그 단면 표면이 원호모양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원호라 함은 타원의 원호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그 외 나머지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상부플레이트(210)와 완충부재(240), 기초너트(202) 및 볼트(204)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고, 하부플레이트(220)와 핀(230)에서 차이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220)에는 그 중앙부근에 핀구멍(222)이 형성되어 있고, 핀구멍(222)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발방지턱(2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발방지턱(226)은 핀구멍(222)이 넓어짐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핀(230)과 작용하여 상부플레이트(210)의 부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부발방지턱(226)의 단면 표면은 원호모양 또는 원뿔모양으로 하는 것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230)의 외주면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볼록부(23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부발방지턱(226)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236)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36)의 상부 표면 형상은 부발방지턱(226)의 표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핀(230) 대신에 핀구멍(222) 내주면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교좌장치가 구성될 수 있고, 상하를 바꾸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부발방지의 목적만을 위한 경우 볼록부(234) 없이 부발방지턱(226)과 걸림턱(236)만을 형성하여 교좌장치가 구성될 수도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4를 통해 설명한 교좌장치(200)는 본 고안의 다른 목적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도 4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별도의 부발방지구조 없이도 핀(230)의 형상과 상부 또는 하부플레이트(210 또는 220)의 형상만 바꾸어서 부발방지 기능을 갖는다. 이상 도 2∼도 4의 교좌장치는 교량의 고정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1방향 가동단에 적용되는 교좌장치(200)로서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플레이트(210)는 용접 등에 의해, 하부플레이트(220)는 기초너트에 결합되는 볼트 등에 의해 교량 상판의 저면과 교각 상에 각각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240) 위쪽으로는 완충부재(240) 반대쪽에 PTFE 디스크홈(252)을 갖고 핀(230)이 결합되는 핀구멍(222)이 형성된 중간플레이트(250)가 개재되어 있다. 핀구멍(222)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부(224)가 형성되어 있고, 핀구멍(222)은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져 부발방지턱(226)이 형성되어 있다. PTFE 디스크홈(252)에는 PTFE 디스크(26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플레이트(210)와 PTFE 디스크(260) 사이에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270)가 설치되어 있다. PTFE 디스크(260)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270)와 마찰계수가 적기 때문에 구속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적은 마찰력으로 서로간의 유동이 허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플레이트(250) 양측으로 상부플레이트(210)에는 수직부재(281)와 수평부재(282)로 된 부발방지기구(2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발방지기구(280)는 그 하단 수평부재(282)가 중간플레이트(250)의 저면 가장자리에 걸려있다. 이 부발방지기구(280)는 상부플레이트(210)가 중간플레이트(250)에 대해좌우로는 일정 거리 이상 움직이는 것을 구속하고, 전후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
핀(230)은 하부플레이트(220)에 고정된 보조플레이트(220a)에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되며, 그 상단에 부발방지턱(226)에 걸리는 걸림턱(236)을 구비한다. 이 걸림턱(236)은 부발방지턱(226)과 대응되는 형상의 표면을 갖는다.
중간플레이트(250)와 수직부재(281)의 마주보는 부분 및 중간플레이트(250)와 수평부재(282)의 접촉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284)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는 핀 또는 핀구멍에 형성되는 볼록부에 의해 핀의 표면과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표면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교각에 대한 교량 상판의 수평방향의 운동에 의한 충격력을 적게 받아 수명이 길고 동일 규격의 핀으로도 종래의 것에 비해 훨씬 큰 용량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는 핀과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형상을 바꾸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부발방지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Claims (7)
-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 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부착된 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 또는 상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결합된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상기 핀구멍에 삽입되는 핀의 외주면과 상기 핀구멍의 내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핀의 상하운동과 제한적인 회동운동을 허용하면서도 상기 핀의 외주면과 상기 핀구멍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줄여주므로써 상기 교각과 교량 상판 상호간의 수평방향의 충격력을 줄여주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원호모양의 단면 표면을 갖고 상기 볼록부를 통해 상기 핀의 외주면과 상기 핀구멍의 내주면은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상기 핀구멍이 넓어짐에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상기 핀구멍과 부발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 반대면에 PTFE 디스크홈을 갖는 중간플레이트, 상기 PTFE 디스크홈에 장착된 PTFE 디스크,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PTFE 디스크와 접촉되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가 더 개재되고,상기 상부플레이트에는 상기 중간플레이트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서 상기 중간플레이트 저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중간플레이트 저면을 지지하여주는 수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상기 핀구멍과 부발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 반대면에 PTFE 디스크홈을 갖는 중간플레이트, 상기 PTFE 디스크홈에 장착된 PTFE 디스크,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PTFE 디스크와 접촉되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레이트가 더 개재되고,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상기 중간플레이트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서 상기 중간플레이트 상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중간플레이트 상면을 지지하여주는 수평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수직부재의 마주보는 부분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수평부재의 접촉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 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부착된 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 또는 상부플레이트 또는 그에 결합된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상기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상기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4918U KR200315174Y1 (ko) | 2003-02-19 | 2003-02-19 | 교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4918U KR200315174Y1 (ko) | 2003-02-19 | 2003-02-19 | 교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5174Y1 true KR200315174Y1 (ko) | 2003-06-09 |
Family
ID=4940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4918U KR200315174Y1 (ko) | 2003-02-19 | 2003-02-19 | 교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5174Y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118Y1 (ko) * | 2003-10-17 | 2004-01-31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교좌장치 |
KR100610586B1 (ko) * | 2005-12-06 | 2006-08-09 | 코벡주식회사 | 교량용 교좌장치 |
KR100757198B1 (ko) | 2006-12-15 | 2007-09-07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종방향 섬유판과 프리캐스트 복합섬유 바닥판을 이용한스트레스 리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KR100816890B1 (ko) * | 2008-01-10 | 2008-03-27 | 주식회사 케이.알 |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
KR100914032B1 (ko) | 2009-05-15 | 2009-08-28 | (주)중원기업 | 원추형 홈이 구비된 볼베어링 면진장치 |
KR101161173B1 (ko) | 2010-06-29 | 2012-07-02 | (주) 국제이엔씨 |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
KR101194307B1 (ko) | 2010-10-11 | 2012-10-24 | 주식회사 베스탑 | 보수교체가 용이한 디스크받침 |
KR20190119742A (ko) * | 2018-04-13 | 2019-10-23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
CN111424539A (zh) * | 2020-05-21 | 2020-07-17 | 河南三建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桥梁支座结构 |
-
2003
- 2003-02-19 KR KR20-2003-0004918U patent/KR20031517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118Y1 (ko) * | 2003-10-17 | 2004-01-31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교좌장치 |
KR100610586B1 (ko) * | 2005-12-06 | 2006-08-09 | 코벡주식회사 | 교량용 교좌장치 |
KR100757198B1 (ko) | 2006-12-15 | 2007-09-07 |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 종방향 섬유판과 프리캐스트 복합섬유 바닥판을 이용한스트레스 리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KR100816890B1 (ko) * | 2008-01-10 | 2008-03-27 | 주식회사 케이.알 |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
KR100914032B1 (ko) | 2009-05-15 | 2009-08-28 | (주)중원기업 | 원추형 홈이 구비된 볼베어링 면진장치 |
KR101161173B1 (ko) | 2010-06-29 | 2012-07-02 | (주) 국제이엔씨 | 디스크 타입의 교량용 받침 |
KR101194307B1 (ko) | 2010-10-11 | 2012-10-24 | 주식회사 베스탑 | 보수교체가 용이한 디스크받침 |
KR20190119742A (ko) * | 2018-04-13 | 2019-10-23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
KR102222899B1 (ko) * | 2018-04-13 | 2021-03-05 |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
CN111424539A (zh) * | 2020-05-21 | 2020-07-17 | 河南三建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桥梁支座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15174Y1 (ko) | 교좌장치 | |
KR100845064B1 (ko) | 교좌장치의 수평하중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 |
US5452548A (en) | Bearing structure with isolation and anchor device | |
AU742308B2 (en) | Pile foundation structure | |
KR101803421B1 (ko) | 중앙부 설치형 부반력키를 구비한 교량용 스페리컬 받침 | |
JP7042722B2 (ja) | 耐風装置 | |
KR101440878B1 (ko) | 덮개판과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 |
KR102170121B1 (ko) | 마찰진자형 교량 면진 받침 | |
KR101173684B1 (ko) |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 |
JP2003049408A (ja) | 鋼製支承及び橋梁の支承装置 | |
KR100783245B1 (ko) | 복수의 탄성기둥을 가지는 교좌장치 | |
KR101053274B1 (ko) | 스페리컬 베어링 | |
KR200403743Y1 (ko) | 교좌장치 | |
KR101293331B1 (ko) |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 |
KR100819994B1 (ko) |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 |
KR200340118Y1 (ko) | 교좌장치 | |
EP4174239A1 (en) | Composite sliding block for frictional-type seismic isolators and seismic isolators with said composite sliding block | |
KR100773879B1 (ko) | 교좌장치 | |
KR100816890B1 (ko) | 충격하중을 분산시키는 슬리브 구조를 가진 교량지지용디스크 받침 | |
KR100783259B1 (ko) | 부반력저항탄성재를 갖는 교좌장치 | |
KR200222439Y1 (ko) | 낙교방지장치를 가진 교좌장치 | |
NO782244L (no) | Lager for hoeye belastninger for bruk i broer og lignende konstruksjoner | |
KR102076740B1 (ko) | 기구설계를 이용하여 수평력을 저항하는 포트 받침 | |
KR101667695B1 (ko) | 회전형 부반력 제어용 쐐기를 구비한 교량받침 | |
JP2017014748A (ja) | 支承の移動拘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