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994B1 -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 Google Patents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994B1
KR100819994B1 KR1020080001653A KR20080001653A KR100819994B1 KR 100819994 B1 KR100819994 B1 KR 100819994B1 KR 1020080001653 A KR1020080001653 A KR 1020080001653A KR 20080001653 A KR20080001653 A KR 20080001653A KR 100819994 B1 KR100819994 B1 KR 100819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urface
locking portion
intermediate support
concave curved
convex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조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철 filed Critical 조영철
Priority to KR102008000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모노레일이나 일반 교량 또는 철도교의 교각 상에 설치되어 그 위에 탑재되는 모노레일 궤도나 교량 상판 또는 레일지지구조물 등을 지지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교좌장치는 중간지지부는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의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1볼록곡면 또는 제1오목곡면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제2오목곡면 또는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부반력저항수단은,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서 양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부, 걸림부와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걸림부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3볼록곡면 또는 제3오목곡면을 구비하는 1방향회동지지부 및 1방향회동지지부를 걸림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그 양측은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에 고정되는 걸림부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교좌장치, 부반력, 슈, 모노레일, 교량, 철도교

Description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Bridge bearing having a function to prevent overturning}
본 발명은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노레일이나 일반 교량 또는 철도교의 교각 상에 설치되어 그 위에 탑재되는 모노레일 궤도나 교량 상판 또는 레일지지구조물 등을 지지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교좌장치로서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교통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모노레일이 많이 언급되고 있다. 모노레일은 일본, 미국, 싱가포르 등의 나라에서 설치되어 시민의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여러 지자체에서도 그 설치가 고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노레일은 교각 위에 모노레일차량이 타고서 이동할 수 있는 궤도를 설치한 것으로, 궤도는 교좌장치를 통해 교각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모노레일에서 교좌장치를 통해 교각 상에 설치되는 궤도는 교축 직각방향으로는 모노레일 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을 허용하지 않거나 회전을 미소량 허용하더라도 큰 힘으로 지지되어야 하고, 반면에 고정단이 아닌 일방향 가동단의 경우 교축방향으로는 열변형 등에 따른 신축을 허용하여야 하고 아울러 어느 정도 회전을 받아 줄 수 있어야 된다.
모노레일에 사용되는 종래의 교좌장치는 교각에 고정되는 하부구조와 궤도에 고정되는 상부구조 사이에 교축직각 방향으로 금속 핀을 설치하여 궤도가 교축직각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축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모노레일용 교좌장치는 핀의 직경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고 이에 따라 핀이 결합되는 부분에서 마모가 심하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어렵고 교좌장치의 교체 주기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핀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직경이 작은 원통형이기 때문에 PTFE와 같은 미끄럼부재의 사용이 어렵고, 윤활재를 사용하는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핀의 측면으로 배출되거나 쉽게 굳어져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핀 방식이 아닌 것으로 부반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핀 방식이 아닌 것으로서, 부반력에 저항하는 기능을 갖는 교좌장치로는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의 측면 돌출부 표면에 탄성재를 개재하고 타측부재에 볼트로 고정되는 기역자 단면의 부재로 잡아주어 부반력을 잡아주는 것이 개발된 것이 있으나, 부반력이 아주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 기역자 단면부재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거나 돌출부에 걸리는 부분의 안쪽 끝단이 위쪽으로 들려서 부반력을 잡아주는 데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는, 기역자 단면부재를 더 개선하여, 걸림부와의 사이에 부반력저항탄성재를 두고 부반력저항탄성재를 걸림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그 양측은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쪽으로 꺾여져 걸림부와 부반력저항탄성재의 삼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은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에 고정되어 양단이 고정되는 부재와 함께 걸림부의 4면을 폐쇄하는 걸림부구속부재를 가지는 교좌장치가 있다. 이 교좌장치는 큰 부반력에 저항할 수 있고, 걸림부와 가압부 사이에 부반력에 저항하는 탄성재가 설치되어 있어 부반력을 분산하여주어 궤도를 부드럽게 그리고 큰 지지력으로 지지하여줄 수 있고, 탄성체를 가압하는 가압력 및 부반력을 잡아주기 위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는 뛰어난 점은 있으나,
초기 설치 시 부반력저항 탄성재를 미리 초기 압축(pre-compression)할 때 작용하는 힘과 교량에 설치된 후 교량에서 작용하는 부반력 둘 모두를 합한 힘에 견딜 수 있도록 걸림부를 설계하여야 하기 때문에, 걸림부의 두께가 너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50톤의 초기 압축력이 필요하고 예상되는 부반력이 50톤이라면 걸림부는 적어도 100톤의 힘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즉, 걸림부의 폭과 재질이 동일하다면 부반력만 작용하는 경우에 비해 두께를 약 2배로 두껍게 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걸림부가 설치되는 부품과 그 걸림부를 잡아주기 위한 부품의 높이가 그만큼 커져야 되고, 이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부반력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교좌장치에서는 부반력저항탄성재가 걸림 부와 걸림부구속부재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부반력을 잡아주기 때문에 아주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 교축직각방향으로도 약간의 회전을 허용하기 때문에 교축직각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조금이라도 허용하지 않아야 하는 곳에 사용할 수 있는 교좌장치의 개발의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걸림부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림부가 설치되는 부재의 높이, 걸림부를 잡아주기 위한 걸림부구속부재의 높이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촉부위의 마모가 적게 발생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수명이 긴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TFE, 스테인리스 스틸판과 같은 미끄럼부재의 사용이 용이한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부반력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노레일의 궤도 설치에 가장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핀 방식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는 교각 상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부재,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한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간격을 두고 지지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지지부 및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부재에 작용하는 부반력에 저항하기 위한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상부부재가 좌우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의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1볼록곡면 또는 제1오목곡면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에 결합되는 제2오목곡면 또는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반력저항수단은,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서 양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와 하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3볼록곡면 또는 제3오목곡면을 구비하는 1방향회동지지부 및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를 두고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를 상기 걸림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그 양측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쪽으로 꺾여져 상기 걸림부와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의 삼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양단이 고정되는 부재와 함 께 상기 걸림부의 4면을 폐쇄하는 걸림부구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볼록곡면 내지 제3볼록곡면과 상기 제1오목곡면 내지 제3오목곡면은 각각의 곡률중심이 모두 상방을 향하거나 모두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는 교각 상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부재,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한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간격을 두고 지지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지지부 및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부재에 작용하는 부반력에 저항하기 위한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상부부재가 좌우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1볼록곡면 또는 제1오목곡면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과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고 이탈은 방지하는 핀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부반력저항수단은,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서 양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와 하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3볼록곡면 또는 제3오목곡면을 구비하는 1방향회동지지부 및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 를 두고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를 상기 걸림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그 양측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쪽으로 꺾여져 상기 걸림부와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의 삼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양단이 고정되는 부재와 함께 상기 걸림부의 4면을 폐쇄하는 걸림부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볼록곡면, 제3볼록곡면, 제1오목곡면, 제3오목곡면은 각각의 곡률중심이 모두 상방을 향하거나 모두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와 마주보는 부분의 상기 걸림부구속부재 또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3볼록곡면 또는 제3오목곡면에 결합되며 결합되는 부분과 같은 방향으로 곡률중심을 갖는 제4오목곡면 또는 제4볼록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는 상기 걸림부 또는 상기 걸림부구속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는 상기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구속부재와는 분리된 별도의 1방향회동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을 향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중간지지부재수용홈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 합되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2오목곡면으로 형성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구속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가압부의 길이가 상기 걸림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을 향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중간지지부재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된 부재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2오목곡면으로 형성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여 구성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은 상기 중간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중간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을 향해 제2오목곡면 또는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된 부재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으로 형성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된 부재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평면부로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와 마주보는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케 설치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마주보는 부재 사이에는 미끄럼부재가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구속부재가 설치되는 부재 사이에 걸림부지지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와 걸림부지지부재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제1오목곡면과 같은 방향으로 곡률중심을 갖는 제5오목곡면과 제5볼록곡면이 각각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보조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와 접촉되는 상기 보조부재의 접촉면에는 1방향회동지지부에 대응되는 오목곡면 또는 볼록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교좌장치는 각 구성요소들이 상하를 바꾸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접촉하는 볼록곡면과 오목곡면은 그 위치를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는 큰 부반력에 저항할 수 있어 모노레 일의 궤도 설치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고, 특히 걸림부의 두께를 종래의 것에 비해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림부가 설치되는 부재의 높이와 걸림부구속부재의 높이를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는 접촉부위에 마모가 적게 발생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수명이 길어서 자주 교체하여주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부부재와 중간지지부 사이, 하부부재와 중간지지부 사이, 1방향회동지지부와 걸림부 사이 또는 1방향회동지지부와 걸림부구족부재 사이의 마찰면에 PTFE, 스테인리스 스틸판과 같은 미끄럼부재의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품의 작동이 원활하고 제품손상이 덜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부반력에 저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노레일의 궤도 설치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는 교축직각방향으로는 상부부재의 회동을 전혀 허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교좌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100)는 하부부재(110)를 구비한다. 이 하부부재(110)는 모노레일 구조물의 교각 상에 설치 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교각에 설치된 기초볼트나 기초너트를 통해 고정된다. 이 경우 하부부재(110)에 기초볼트나 기초너트 체결에 필요한 구멍을 뚫거나 측면으로 돌출되게 고정용 플랜지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교각 상에 금속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하부부재(110)는 용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기타 하부부재(110)를 교각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고정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하부부재(110)의 상면에는 중간지지부재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간지지부재수용홈(112)은 뒤에서 설명되는 중간지지부재(140)의 하단이 삽입되어 전후,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설치되는 부분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 하부부재(110)에는 상면의 각 모서리 부근에 체결공(113)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100)는 상부부재(130)를 구비한다. 이 상부부재(130)는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용접, 볼트, 너트 등을 통해 모노레일의 궤도 등과 같은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30)에는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된 걸림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131)는 상부부재(13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부부재(130)의 저면에는 중간지지부재(140) 상면의 제1볼록곡면(142) 형태의 제2오목곡면(1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볼록곡면(142)과 제2오목곡면(132)은 상부부재(130)가 좌우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의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볼록곡면(142)과 제2오목곡면(132)은 좌우방향으로는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부재(140)는 좌우방향으로는 회동될 수 없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향은 교축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교축직각방향을 의미한다.
제2오목곡면(132)의 저면에는 PTFE결합홈(133)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는 PTFE(134)가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PTFE(134)는 중간지지부재(140)와 상부부재(130)간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미끄럼부재이다. 이 PTFE(134)로는 제1볼록곡면(142)과 같은 곡면 형상의 우븐 PTFE가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0)는 하부부재(110)와 상부부재(130)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부재(110)와 상부부재(130)를 간격을 두고 지지하고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지지부(140a)를 구비한다. 이 중간지지부(140a)는 상부부재(130) 및 하부부재(110)와 분리된 중간지지부재(140)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부부재(130) 또는 하부부재(140)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중간지지부(140a)는 상부부재(130) 및 하부부재(110)와는 분리된 형태의 중간지지부재(140)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지지부재(140)의 하단 일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지지부재수용홈(112)에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간지지부재(140)는 하부부재(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 중간지지부재의 상면 제1볼록곡면(142)은 상부부재(130)의 저면에 형성된 제2오목곡면(132)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부재(130)는 중간지지부재(140)에 대해 전후의 교축방향으로는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좌장치(100)는 모노레일 또는 교량의 고정단에 사용 된다.
중간지지부재(140)는 옆으로 누워 있는 원통형부재 일부를 수평으로 절단한 형상을 하는 것으로, 하단은 평면형태로 구성되고, 상단은 제1볼록곡면(142)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후의 양 측면도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제1볼록곡면(142)은 반경이 일정한 정원의 원호일 필요는 없고, 타원형이나 기타의 곡면일 수 있다. 이 중간지지부재(140)의 하단은 중간지지부재수용홈(11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의 제1볼록곡면(142)은 상부부재(130)의 저면에 형성된 제2오목곡면(132)에 결합되어 상부부재(130)가 걸림부(131)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즉, 교축방향으로 좌우 회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중간지지부재(140)로는 고력황동이 적당하며, PTFE(134) 대신에 중간지지부재(140) 상면에 홈을 다수 형성하고, 여기에 흑연이나 몰리브덴을 넣어서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31) 상에는 1방향회동지지부(160a)가 배치되어 있다. 이 1방향회동지지부(160a)는 걸림부(131) 및 뒤에서 설명되는 걸림부구속부재(15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1방향회동지지부재(1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1방향회동지지부(160a)의 상면에는 제3볼록곡면(1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3볼록곡면(162)은 그 표면의 높이가 좌우방향으로는 변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1방향회동지지부(160a)는 중간지지부(140a)와 대략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간지지부(140a)보다 크기가 작다. 1방향회동지지부(160a)의 곡률반경은 중간지지부(140a)와의 높이차이만큼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부부재(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오목곡면(132)의 깊이를 크게 하여 중간지지부(140a)의 표면 높이가 1방향회동지지부(160a)의 표면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배치되는 경우 중간지지부(140)의 곡률이 더 커질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두 구성요소의 높이차에 상관없이 중간지지부(140a)의 곡률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1방향회동지지부(160a)는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뒤에서 설명되는 걸림부구속부재(150)를 지지하여 상부부재(130)가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전혀 허용하지 않고, 전후의 교축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0)는 걸림부구속부재(150)를 구비한다. 이 걸림부구속부재(150)는 1방향회동지지부(160a)를 통해 걸림부(131)를 가압하여 상부부재(130)에 작용하는 부반력에 잡아주는 부분으로, 가압부(151)를 구비한다. 이 걸림부구속부재(150)는 걸림부(131)와의 사이에 1방향회동지지부(160a)를 두고 가압부(151)를 통해 1방향회동지지부(160a)를 걸림부(131)를 향해 가압한다. 이 때 가압부(151)의 저면이 1방향회동지지부(160a)의 상면에 밀착될 정도이면 족하다. 이에 따라 초기에 가압부(151)와 걸림부(131) 사이에 큰 힘이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0)에서는 걸림부(131)의 두께를 부반력탄성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압부(151)는 평면형태로 되어 있어도 되지만, 1방향회동지지부(160a)의 제3볼록곡면(162)과 같은 형태의 제4오목곡면(152)의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1방향회동지지부(160a)와 면접촉하여 집중하중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1방향회동지지부(160a)의 하면에 볼록곡면 또는 오목곡면이 형성되고 그 상면이 평면인 경우에 걸림부구속부재(150)의 가압부(151)의 저면은 당연히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가압부(151) 양측은 걸림부(131)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110) 쪽으로 꺾여져 걸림부(131)와 1방향회동지지부(160a)의 삼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은 걸림부(131)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110)에 고정된다. 이 걸림부구속부재(150)는 그 양단이 고정되는 하부부재(110)와 함께 걸림부(131)의 4면을 폐쇄하여 걸림부(131)를 견고하게 잡아준다. 이 걸림부구속부재(150)는 상부부재(130)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걸림부구속부재(150)는 위에서 설명한 가압부(151)와 가압부(15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꺾여진 꺾임부(153) 및 꺾임부(153)에서 가압부(151)의 바깥쪽으로 꺾여져 하부부재(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55)로 이루어져 있다. 이 걸림부구속부재(150)는 단면모양이 모자형 단면모양을 하고 있다. 이 걸림부구속부재(150)의 꺾임부(153)와 고정부(155) 외면에는 삼각형의 보강재(1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부구속부재(150)는 주조 또는 용접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고정부재(150)의 고정부(155)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볼트(158)로 하부부재(11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155)는 하부부재(11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위의 설명에서, 걸림부(131), 1방향회동지지부(160a), 걸림부구속부재(150)는 부반력저항수단을 이룬다. 필요에 따라 걸림부구속부재(150)와 1방향회동지지부(160a) 사이 또는 1방향회동지지부(160a)와 걸림부(131)의 사이에 설치되는 PTFE 및 스테인리스 스틸판과 같은 미끄럼부재들이 부반력저항수단의 구성요소로 더 포 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0)는 걸림부구속부재(150)가 걸림부(131)를 삼면을 둘러싸서 하부부재(110)에 잡아주므로 상부부재(130)에 큰 부반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잡아줄 수 있다.
도 1과 2를 통해 설명한 교좌장치(100)는 그 상하를 바꾸어 뒤집어서 구성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부재는 상부부재가 되고 상부부재는 하부부재가 되며, 걸림부구속부재도 거꾸로 설치되게 된다. 여타의 다른 구성요소들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각 구성요소들의 상하 배치 및 상, 하면도 거꾸로 바뀌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중간지지부재(140)의 상면에는 제1오목곡면이 형성되고, 대신에 상부부재(130) 저면에 그에 대응되는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교좌장치(100)는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형태의 교좌장치로서, 중간지지부재(140)의 형상에 의해 교축직각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하지 않고, 교축방향으로는 회전을 허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131) 상면에 1방향회동지지부(160a)를 구성하기 위한 제3볼록곡면(162)을 일체로 형성하고, 걸림부구속부재(150)의 가압부(151) 저면에 제4오목곡면(152)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1)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151)와 걸림부(131) 사이에 피티에프이와 같은 미끄럼부재(152a)를 설치할 수 있다. 피티에프이로는 우븐(woven) 피티 에프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반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131)의 상면에 일체로 제3오목곡면(137)을 형성하고, 가압부(151)의 저면에 아래로 볼록한 제4볼록곡면(154)을 형성하고, 중간지지부(140a)를 구성하는 중간지지부재(140)의 저면에 아래로 볼록한 제1볼록곡면(142)을 형성하고, 하부부재(110)의 상면에 제1볼록곡면(142)이 맞물리는 제2오목곡면(114)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2)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부재(110)와 중간지지부(140a) 사이에 우븐피티에프이와 같은 미끄럼부재(134c)를 설치하고, 가압부(151)와 걸림부(131) 사이에 미끄럼부재(152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사항은 도 1과 2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 경우 가압부(151)의 저부가 1방향회동지지부(160a)가 된다.
도 3과 4에 나타낸 교좌장치(101, 102) 역시 상하를 바꾸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지지부재(140)와 상부부재(130)가 전후의 교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110)에 형성되는 홈(112)을 전후방향으로 중간지지부재(140)보다 길게 형성하고, 걸림부(131)의 상면에 제3볼록곡면(162)을 형성하고, 가압부(151)와 걸림부(131) 사이에 저면에 제3볼록곡면(162)에 결합되는 오목곡면(212)이 형성된 보조부재(210)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3)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부재(210) 상에 홈(214)을 형성하고, 여기에 평판상의 피티에프이(215)를 장착하고, 가압부(151)의 저면에 스테인리스 스틸판(151a) 을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홈(112)의 바닥에는 스테인리스 스틸판(112a)을 중간지지부재(140)의 저면에 피티에프이(141)를 또는 그 반대로 미끄럼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걸림부(131)의 상단부가 1방향회동지지부(160a)가 된다.
이러한 구성의 도 5의 교좌장치(103)는 전후의 교축방향으로 상부부재(130)의 이동을 허용하면서도 상부부재(130)의 회동 동작도 허용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교좌장치(103)는 모노레일 등의 일방향 가동단의 교좌장치(103)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나머지 사항은 도 1과 2를 통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31) 저면에 제5오목곡면(138)을 형성하고, 걸림부(131)와 하부부재(110) 사이에 걸림부지지부재(220)를 개재하여 걸림부(131)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걸림부지지부재(220)의 상면에는 제5오목곡면(138)과 대응되는 형태의 제5볼록곡면(2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는 경우 부반력이 어느 일측의 걸림부(131)에 작용되더라도 반대편의 걸림부(131)를 걸림부지지부재(220)가 지지하여주고 있으므로 양측 걸림부(131) 모두에 부반력이 걸리므로 부반력이 양측 걸림부(131)로 분산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131)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J-J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과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부재(130)의 저면을 평면(132a)형태로 형성하는 대신에 핀(170)을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중간지지부(140a)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핀(170)의 회동을 허용할 정도의 여유를 가지는 핀 홈(145)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5)를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1과 2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는 도 5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K-K에 따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9와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131)의 상면에 위로 볼록하게 제3볼록곡면(162)을 형성하고, 걸림부구속부재(150)의 가압부(151) 저면은 평면(152c)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부재(11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홈(112)을 길게 형성하여 전후방향의 일방향으로 회전 및 수평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중간지지부재(140)의 폭보다 크게 좌우방향으로 홈(11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걸림부구속부재(150)를 상부부재(130)의 측면에 밀착되게 설치하여 상부부재(130)가 좌우방향으로는 구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가 모노레일 외의 다른 교량에 장착되어 양방향 가동단에 설치되는 경우 좌우방향을 구속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홈(112)의 바닥에는 스테인리스 스틸판(112a)을, 중간지지부재(140)의 저면에 피티에프이(141)를 각각 설치하여 중간지지부재(140)가 하부부재(110)에 대해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나머지 사항은 도 1과 2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과 도 12는 걸림부구속부재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걸림부구속부재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걸림부구속부재(150a)의 바깥측면에 폐쇄부(154)를 설치하여 그 내면이 걸림부의 바깥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걸림부에 대한 측방향 구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이 걸림부구속부재(150a)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구속부재(150b)는 육면체 부재에 홈(156)을 형성하고, 그 양단에 볼트체결을 위한 깊은 체결공(159)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걸림부구속부재(150b)의 바깥 측면은 도 13에서와 같이 막힌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도 1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볼록한 제1볼록곡면(142)을 갖는 중간지지부(140a)를 하부부재(110)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부재(130)의 저면에 제2오목곡면(132)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7)를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부재(110)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중간지지부(140a) 상면에 제1오목곡면(142a)을 형성하고, 상부부재(130)의 저면에 제2볼록곡면(132b)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8)를 구성할 수 있다. 접촉면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미끄럼부재(134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사항은 도1과 2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131)의 저면에 제5오목곡면(137)을 형성하고, 그 아래에 하부부재(110)와의 사이에 상면 제5볼록곡면(222)을 갖는 걸림부지지부재(220)를 설치하고, 걸림부(131) 상면을 제3볼록곡면(162)으로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109)를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5와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는 큰 부반력이 작용하며, 교축직각방향으로는 이동 및 회전을 불허하고, 교축방향으로는 이동 및 회전을 허용하거나 고정된 상태로 회전을 허용하여야 하는 모노레일 구조물이나 교량 구조물의 교좌장치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교축직각방향으로의 이동도 허용해야 하는 여타의 교량의 교좌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교좌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J-J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5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K-K에 따른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걸림부구속부재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13과 도 14는 도 1 교좌장치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109 :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110 : 하부부재 112 : 중간지지부재수용홈
114, 132 : 제2오목곡면 130 : 상부부재
131 : 걸림부 132b : 제2볼록곡면
137 : 제3오목곡면 140a : 중간지지부
140 : 중간지지부재 142 : 제1볼록곡면
142a : 제1오목곡면 145 : 핀 홈
150 : 걸림부구속부재 151 : 가압부
152 : 제4오목곡면 154 : 제4볼록곡면
160a : 1방향회동지지부 160 : 1방향회동지지부재
162 : 제3볼록곡면 170 : 핀
210 : 보조부재 220 : 걸림부지지부재

Claims (11)

  1. 교각 상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부재,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한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간격을 두고 지지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지지부 및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부재에 작용하는 부반력에 저항하기 위한 부반력저항수단을 갖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상부부재가 좌우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의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1볼록곡면 또는 제1오목곡면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에 결합되는 제2오목곡면 또는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부반력저항수단은,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서 양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와 하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3볼록곡면 또는 제3오목곡면을 구비하는 1방향회동지지부; 및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를 두고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 를 상기 걸림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그 양측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쪽으로 꺾여져 상기 걸림부와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의 삼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양단이 고정되는 부재와 함께 상기 걸림부의 4면을 폐쇄하는 걸림부구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볼록곡면 내지 제3볼록곡면과 상기 제1오목곡면 내지 제3오목곡면은 각각의 곡률중심이 모두 상방을 향하거나 모두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2. 교각 상에 설치하기 위한 하부부재,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한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를 간격을 두고 지지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지지부 및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부재에 작용하는 부반력에 저항하기 위한 부반력저항수단을 갖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는 상기 상부부재가 좌우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1볼록곡면 또는 제1오목곡면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과의 사이에 전후방향으로의 회전은 허용하고 이탈은 방지하는 핀이 결합 되어 있고,
    상기 부반력저항수단은,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서 양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와 하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고 전후방향으로는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표면의 높이가 변하는 곡면으로 되고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형성된 제3볼록곡면 또는 제3오목곡면을 구비하는 1방향회동지지부; 및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를 두고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를 상기 걸림부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그 양측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 쪽으로 꺾여져 상기 걸림부와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의 삼면을 둘러싸면서 양단은 상기 걸림부가 설치되지 않은 하부부재 또는 상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양단이 고정되는 부재와 함께 상기 걸림부의 4면을 폐쇄하는 걸림부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볼록곡면, 제3볼록곡면, 제1오목곡면, 제3오목곡면은 각각의 곡률중심이 모두 상방을 향하거나 모두 하방을 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와 마주보는 부분의 상기 걸림부구속부재 또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면에 상기 제3볼록곡면 또는 제3오목곡면에 결합되며 결합되는 부분과 같은 방향으로 곡률중심을 갖는 제4오목곡면 또는 제4볼록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는 상기 걸림부 또는 상기 걸림부구속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는 상기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구속부재와는 분리된 별도의 1방향회동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을 향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중간지지부재수용홈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합되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2오목곡면으로 형성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구속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상 기 가압부의 길이가 상기 걸림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을 향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중간지지부재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된 부재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2오목곡면으로 형성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은 상기 중간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중간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중간지지부재수용홈을 향해 제2오목곡면 또는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된 부재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으로 형성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 중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오목곡면 또는 상기 제2볼록곡면이 형성된 부재가 상기 걸림부가 돌출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상기 제1오목곡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평면부로 형성되어 상기 평면부와 마주보는 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케 설치된 중간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와 마주보는 부재 사이에는 미끄럼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구속부재가 설치되는 부재 사이에 걸림부지지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와 걸림부지지부재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1볼록곡면 또는 제1오목곡면과 같은 방향으로 곡률중심을 갖는 제5오목곡면과 제5볼록곡면이 각각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보조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1방향회동지지부와 접촉되는 상기 보조부재의 접촉면에는 1방향회동지지부에 대응되는 오목곡면 또는 볼록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KR1020080001653A 2008-01-07 2008-01-07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KR100819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53A KR100819994B1 (ko) 2008-01-07 2008-01-07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653A KR100819994B1 (ko) 2008-01-07 2008-01-07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994B1 true KR100819994B1 (ko) 2008-04-08

Family

ID=3953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653A KR100819994B1 (ko) 2008-01-07 2008-01-07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9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11B1 (ko) 2010-11-17 2013-06-04 주식회사 베스탑 보수교체가 용이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는 교좌장치
CN107447603A (zh) * 2017-09-30 2017-12-08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拉压轴式单轨梁支座
CN110184900A (zh) * 2019-06-19 2019-08-30 天津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 一种桥梁抗拉拔限位支承装置
CN112064518A (zh) * 2020-08-21 2020-12-11 温州融宸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桥墩组合转体支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44Y1 (ko) * 2001-08-08 2001-12-03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교량 교좌장치의 이탈 방지장치
KR200298431Y1 (ko) * 2002-09-03 2002-12-16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수평계가 부착된 회전 수용이 가능한 부반력 베어링
KR20040022251A (ko) * 2002-09-03 2004-03-12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수평계가 부착된 회전 수용이 가능한 부반력 베어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644Y1 (ko) * 2001-08-08 2001-12-03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교량 교좌장치의 이탈 방지장치
KR200298431Y1 (ko) * 2002-09-03 2002-12-16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수평계가 부착된 회전 수용이 가능한 부반력 베어링
KR20040022251A (ko) * 2002-09-03 2004-03-12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수평계가 부착된 회전 수용이 가능한 부반력 베어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11B1 (ko) 2010-11-17 2013-06-04 주식회사 베스탑 보수교체가 용이하며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는 교좌장치
CN107447603A (zh) * 2017-09-30 2017-12-08 成都市新筑路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拉压轴式单轨梁支座
CN107447603B (zh) * 2017-09-30 2023-12-22 成都市新筑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拉压轴式单轨梁支座
CN110184900A (zh) * 2019-06-19 2019-08-30 天津市市政工程设计研究院 一种桥梁抗拉拔限位支承装置
CN112064518A (zh) * 2020-08-21 2020-12-11 温州融宸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桥墩组合转体支座
CN112064518B (zh) * 2020-08-21 2022-06-10 中建协和建设有限公司 一种桥梁桥墩组合转体支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3360B2 (en) Finger joint with a bridging cover plate
KR100819994B1 (ko) 전도방지형 교좌장치
KR100660035B1 (ko) 교좌장치
KR100845064B1 (ko) 교좌장치의 수평하중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CA2691210C (en) Device for fastening railway rails
CA2770375C (en) Friction wedge for railroad car truck
KR101003775B1 (ko) 교좌 장치
CA2554935C (en) Non-metallic insert for rail car bolster wedge
KR101053274B1 (ko) 스페리컬 베어링
KR101173684B1 (ko) 복합형 신축이음장치
KR101599822B1 (ko) 분리형 스페리칼 받침
US10087591B1 (en) Expansion joint system
CN107988857B (zh) 一种跨座式单轨半固定连续梁
KR100783259B1 (ko) 부반력저항탄성재를 갖는 교좌장치
US8351687B1 (en) Bearing and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same
KR200381212Y1 (ko) 부반력 방지를 위한 교량용 탄성받침
KR200403743Y1 (ko) 교좌장치
US8091293B2 (en) Bearing and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same
KR100716106B1 (ko) 구조물 지지용 구면형 베어링
CN211689872U (zh) 一种高速铁路桥梁用球型支座
KR101680711B1 (ko) 스페리컬 교좌장치
KR101105642B1 (ko) 일체형 교량받침
KR20090046127A (ko) 복합 탄성 받침
KR100948681B1 (ko) 오목 볼록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복합 거동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 탄성 받침
KR20200116699A (ko) 교량용 디스크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