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297A -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297A
KR20100084297A KR1020090003710A KR20090003710A KR20100084297A KR 20100084297 A KR20100084297 A KR 20100084297A KR 1020090003710 A KR1020090003710 A KR 1020090003710A KR 20090003710 A KR20090003710 A KR 20090003710A KR 20100084297 A KR20100084297 A KR 20100084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ilm layer
door scuff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535B1 (ko
Inventor
이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03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53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2013/046Foo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스커프를 구성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있어 각종 표시물을 형상화하기 위해 빛이 투과되는 관통부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켜 지지 플레이트의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먼지 등의 기타 이물질에 대한 침입을 제한하여 수밀(水密) 및 방오(防汚)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표시물을 형상화하는 관통부(12)를 갖춘 지지 플레이트(10)와, 상기 관통부(12)의 전 부위를 메우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필름층(14),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설치되는 빛 투과층(16)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설치되어 상기 빛 투과층(16)을 투과하여 상기 필름층(14)에 빛을 전사하는 면발광 구조물(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 스커프, 수밀, 방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Door scuff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스커프에 있어 문자를 포함하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형상화하기 위해 빛이 투과되는 부위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이드 실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돕기 위한 도어 스커프(Door scuff)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도어 스커프는 승객의 승/하차시 발판의 기능을 수행하여 차체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문자와 숫자를 포함하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발광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차량의 식별력 내지 심미감(審美感)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종래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는 도 7에 도시된 단면도에서와 같이, 평판 형태의 지지 플레이트(1)상에 문자와 숫자를 포함하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형성하 도록 천공된 관통부(3)와, 상기 관통부(3)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의 외부로 노출되는 렌즈부(5) 및, 상기 렌즈부(5)의 배면에 설치되어 통전시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면발광 구조물(7)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렌즈부(5)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특히 상기 렌즈부(5)는 상기 관통부(3)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돌출부(5a)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면발광 구조물(7)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의 배면에서 상기 렌즈부(5)의 저면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LED와 같은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도시안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면발광 구조물(7)을 통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렌즈부(5)를 투과한 다음 상기 돌출부(5a)를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도어 스커프에서는 제작시 상기 지지 플레이트(1)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3)의 크기와 상기 렌즈부(5)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5a)의 크기가 정확하게 일치하여야 하는 바, 이는 상기 관통부(3)와 상기 돌출부(5a)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들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의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 도어 스커프에 있어 상기 관통부(3)와 상기 돌출부(5a)의 크기는 각각 일치되게 설정할 수 없는 데, 이는 주변 온도와 같은 작업 환경의 변화로부터 상호 조립시 원활한 끼움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크기 설정에 있어 다소의 조립 공차를 둘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 결과, 종래 도어 스커프는 사용시 상기 관통부(3)와 상기 돌출부(5a)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을 포함한 흙과 먼지 등의 유입이 필연적으로 수반되고, 이를 통해 도어 스커프가 오염되어 외관미를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수분의 침투에 따른 상기 면발광 구조물(7)에 대한 손상까지도 초래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어 스커프를 구성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있어 문자를 포함하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형상화하기 위해 빛이 투과되는 관통부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켜 지지 플레이트의 내부로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먼지 등의 기타 이물질에 대한 침입을 제한하여 수밀(水密) 및 방오(防汚)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부와 이에 조립되어 렌즈의 기능을 수행하는 빛 투과층을 도어 스커프의 제작시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도어 스커프의 제작 공정에 있어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수밀 및 방오 성능의 향상에 따른 제품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종 표시물을 형상화하는 관 통부를 갖춘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부의 전 부위를 메우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필름층, 상기 필름층의 배면에 설치되는 빛 투과층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빛 투과층을 투과하여 상기 필름층에 빛을 전사하는 면발광 구조물을 구비하는 도어 스커프를 제공한다.
상기 필름층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상기 필름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상기 관통부를 제외한 전 영역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상기 필름층에 실크인쇄방식으로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관통부를 제외한 부위와 대향되는 상기 필름층에 표면에 국한하여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름층은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노출되고, 상기 필름층은 유색의 안료에 의해 착색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빛 투과층은 상기 면발광 구조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 투과 또는 완전 투과하는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자동차의 스텝 플레이트에 조립되어 도어 스커프를 구성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문자를 포함하 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형상화하는 관통부를 기밀하게 형성하기 위해 관통부의 전 둘레측 내주면에 필름층을 밀착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관통부와 필름층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이나 먼지 등의 기타 이물질이 지지 플레이트의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게 되므로 도어 스커프에 대한 수밀(水密) 및 방오(防汚)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스커프의 제작시 지지 플레이트의 관통부와 이에 조립되는 빛 투과층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도어 스커프의 제작시 부품들의 가공오차에 의한 조립 불량에 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 스커프에 대한 조립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 및 방오 성능의 향상에 따른 도어 스커프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스커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스커프는 자동차의 스텝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지지 플레이트(1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를 통해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면발광 구조물(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면발광 구조물(18)은 LED와 같은 발광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공지의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는 숫자와 문자를 포함하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음각으로 형상화하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는 이의 배면에서 고형화되어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필름층(14)을 구비한다. 예컨대, 상기 필름층(14)은 폴리우레탄 필름(PU Film)과 같은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필름층(14)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서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층(14)은 열성형에 의해 상기 관통부(12) 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외측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름층(14)은 유색의 안료에 의한 착색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면발광 구조물(18)을 통해 조사되는 빛에 대한 착색 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제품의 미감(美感)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필름층(14)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2)의 전 둘레측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성형되어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으로 수분(水分)이나 먼지 등의 기타 이물질에 대한 침입을제한하는 수밀(水密) 및 방오(防汚) 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필름층(14)은 이의 배면에서 고형화되어 상기 관통부(12) 내에서 상기 필름층(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빛 투과층(16)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빛 투과층(16)은 상기 면발광 구조물(18)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하는 일종의 렌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상기 면발광 구조물(18)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빛 투과층(16)을 투과한 다음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전사(轉寫)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면발광 구조물(18)을 통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빛 투과층(16)을 투과한 다음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전사되고, 이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2)의 형태는 상기 필름층(14)으로 전사된 빛을 매개로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認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빛 투과층(16)은 반 투명성 또는 전 투명성 실리콘 등의 광투과성(光透過性) 액상의 소재를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형성된 공간으로 주입한 다음 열성형에 의해 고형화시켜 제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빛 투과층(16)은 상기 면발광 구조물(18)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투과시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2)의 형태에 대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빛 투과층(16)은 상기 필름층(14)과 동일하게 열성형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서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빛 투과층(16)은 상기 필름층(14)과 함께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2)를 메우는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으로 수분(水分) 등의 기타 이물질에 대한 침입을 더욱 더 제한하는 수밀(水密) 및 방오(防汚) 기능을 더욱 적극적으로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는 배면에서 상기 필름층(14)과의 접착시 부착력의 향상을 위해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20)를 도포하는 바, 상기 접착제(20)는 상 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서 상기 관통부(12)를 제외한 전 영역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착제(2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도포되어 금속재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와 수지재의 상기 필름층(14) 사이의 접착성을 보다 원활하게 하여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접착제(2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과 대향되는 상기 필름층(14)의 표면에 실크인쇄방식으로 직접 도포되는 바, 이 경우에도 상기 접착제(20)는 상기 필름층(14)의 표면중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상기 관통부(12)를 제외한 전 영역과 대향되는 부위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도, 상기 접착제(2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과 수지재의 상기 필름층(14) 사이의 접착성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접착제(20)를 상기 필름층(14)에 실크인쇄방식을 통하여 도포하게 되면, 도포되는 상기 접착제(20)의 두께를 보다 더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상기 필름층(14)을 접착할 때 국부적인 들뜸 또는 이격과 같은 접합 불량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스텝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지지 플레이트(10)에 숫자와 문자를 포함하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형상화하는 관통부(12)를 프레스 성형 등 다양한 종류의 천공작업으로 형성한다.
이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접착제(20)를 도포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와 상기 필름층(14)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데, 이때 상기 접착제(20)의 도포 부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있어 상기 관통부(12)를 제외한 전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상기 접착제(20)를 도포할 때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를 뒤집은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접착제(20)가 흘러 내려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20)는 상기 필름층(14)에 실크인쇄방식으로 도포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와 상기 필름층(14)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제(20)를 상기 필름층(14)에 실크인쇄할 때에도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상기 관통부(12)를 제외한 전 영역과 대향되는 부위에 걸쳐 상기 필름층(14)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5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20)를 매개로 상기 필름층(14)을 부착한 다음, 상기 필름층(14)을 열성형에 의해 상기 관통부(12) 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외측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필름층(14)은 폴리우레탄 필름(PU Film)과 같은 얇은 막 형태의 소재로서, 상기 관통부(12)의 전 부위를 메우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층(14)은 유색의 안료에 의해 착색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미감의 향 상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상기 빛 투과층(16)을 형성하는 데, 상기 빛 투과층(16)은 반 투명성 또는 전 투명성 실리콘과 같은 광투과성(光透過性) 액상 소재를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형성된 전 공간으로 주입한 다음 열성형에 의해 고형화시켜 제작한다. 이 경우,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상기 빛 투과층(16)의 형성을 위해 광투과성 소재의 실리콘을 도포할 때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를 뒤집은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필름층(14)의 상부에 광투과성 액상 소재가 용이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서 상기 필름층(14)과 상기 빛 투과층(16)을 각각 열성형에 의해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과정에 있어, 상기 필름층(14)의 돌출 높이는 상기 관통부(12) 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빛 투과층(16)은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층(14)과 상기 빛 투과층(16)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서 상기 관통부(12)를 메우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관통부(12)를 통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으로 수분(水分) 이나 먼지 등의 기타 이물질의 침투를 제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서 상기 면발광 구조물(18)을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발광 구조물(18)을 통해 조사되는 빛은 상기 빛 투과층(16)을 투과한 다음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전 사되어 상기 관통부(12)의 형상을 따라 외부로 발산하게 되므로 상기 관통부(12)의 형태에 대한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 스커프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지지 플레이트 12-관통부
14-필름층 16-빛 투과층
18-면발광 구조물 20-접착제

Claims (8)

  1. 각종 표시물을 형상화하는 관통부(12)를 갖춘 지지 플레이트(10);
    상기 관통부(12)의 전 부위를 메우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필름층(14); 및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설치되는 빛 투과층(16)을 구비하는 도어 스커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14)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커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는 상기 필름층(14)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제(20)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커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14)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크인쇄방식으로 접착제(20)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커프.
  5. 지지 플레이트(10)에 각종 표시물을 형상화하는 관통부(12)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관통부(12)의 전 부위를 메우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에 필름층(14)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층(14)의 배면에 빛 투과층(16)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스커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상기 관통부(12)를 제외한 전 영역으로 접착제(20)를 도포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와 상기 필름층(14)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커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14)에 접착제(20)를 실크인쇄방식으로 도포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와 상기 필름층(14)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커프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14)의 돌출 높이는 상기 관통부(12) 내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1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며, 상기 빛 투과층(16)은 상기 필름층(14) 의 배면에 광투과성 액상의 소재를 주입하여 열성형으로 고형화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스커프의 제조방법.
KR1020090003710A 2009-01-16 2009-01-16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3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10A KR100983535B1 (ko) 2009-01-16 2009-01-16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10A KR100983535B1 (ko) 2009-01-16 2009-01-16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297A true KR20100084297A (ko) 2010-07-26
KR100983535B1 KR100983535B1 (ko) 2010-09-24

Family

ID=4264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710A KR100983535B1 (ko) 2009-01-16 2009-01-16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5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45B1 (ko) * 2013-11-13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스커프 장식장치
CN106143084A (zh) * 2015-05-12 2016-11-23 福特全球技术公司 发光车辆密封件
KR102022916B1 (ko) * 2019-04-25 2019-09-20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의 도어스텝 장치
KR20190135625A (ko) * 2018-05-29 2019-12-09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의 도어스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645B1 (ko) 2018-07-23 2020-03-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도어 스커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232Y1 (ko) 2004-09-21 2004-12-29 이상기 차량용 도어 스커프
KR100628020B1 (ko) 2004-09-21 2006-09-27 이상기 발광수단을 가지는 차량용 패널
KR100773325B1 (ko) * 2006-10-13 2007-11-05 주식회사 에이앤피 테크 자동차용 도어 스커프의 제조방법
KR100775392B1 (ko) * 2006-11-14 2007-11-1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장식용 스커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345B1 (ko) * 2013-11-13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스커프 장식장치
CN106143084A (zh) * 2015-05-12 2016-11-23 福特全球技术公司 发光车辆密封件
KR20190135625A (ko) * 2018-05-29 2019-12-09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의 도어스텝 장치
KR102022916B1 (ko) * 2019-04-25 2019-09-20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의 도어스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535B1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535B1 (ko)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6876064B2 (ja) 車両用外装ガラストリム要素
CN203528394U (zh) 发光的车辆标志总成
JP2002108257A (ja) 照明装置
KR101707789B1 (ko) 광발산 메탈노브의 제조방법
US11199609B2 (en) Radar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dar cover
WO2010106868A1 (ja) 装飾モールおよび枠体付き車両用窓ガラス板
JP2014091342A (ja) 車両用樹脂ガラス
KR101560998B1 (ko) 광발산 노브의 제조방법
JP2009143521A (ja) 車両用外装部品
KR20180026834A (ko) 아트데코필름을 갖는 플럭시블 oled 디스플레이 패널
KR101369078B1 (ko) 입체형 엠블럼 및 그 제조방법
JP2000301985A (ja) バックウインド用樹脂窓及びその製造方法
CN213920840U (zh) 一种发光玻璃总成
JP6066624B2 (ja) 車両用ウインドパネル
JP5095029B1 (ja) 車両用led発光エンブレム
JP2006205750A (ja) 車両用照明装置
MX2011009584A (es) Moldura decorativa y placa de cristal de ventana enmarcada para vehiculo.
CN207350139U (zh) 用于机动车大灯的遮盖盘片、车辆大灯和车辆
CN214492762U (zh) 一种内饰结构及汽车
CN210941617U (zh) 一种汽车透光标牌
WO2017199609A1 (ja) カバー部品、及び転写フィルム
JP2017149412A (ja) 透明板
JP2014172426A (ja) スポイラの構造
US20120256052A1 (en) Window ring for an aircraft window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